KR20100130621A -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621A
KR20100130621A KR1020107022462A KR20107022462A KR20100130621A KR 20100130621 A KR20100130621 A KR 20100130621A KR 1020107022462 A KR1020107022462 A KR 1020107022462A KR 20107022462 A KR20107022462 A KR 20107022462A KR 20100130621 A KR20100130621 A KR 20100130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session
priority
processing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소노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3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처리에 따르는 전송 지연을 저감시키고, 고속이며 고품질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핸드오버 처리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서 통신가능한 휴대전화기(10)는, 핸드오버(HO)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HO 판정부(181)와, HO 처리를 행하는 HO 처리부(182)를 가진다. HO 처리부(182)는, HO 판정 결과에 따라 HO 처리가 실행될 경우에 있어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는 HO해야 할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와, 결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서 세션을 HO하는 HO 실행부(1822)를 가진다. HO 처리부(182)는 또한, HO 처리 중에 접속 요구 또는 절단 요구가 있던 경우는 그들 요구를 보류하는 HO 보류부(1823)를 가진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PROCESS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특정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등의 통신 단말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세션(Session)」이란, 1개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통신의 묶음을 말한다.
「핸드오버(HO) 처리」란, 이동체 통화나 이동체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로 셀간을 이동했을 때에 이동처의 셀 내의 기지국으로 접속처를 전환하는 처리를 말한다.
근래의 휴대전화기 등의 통신 단말은, 음성 통신뿐만이 아니라,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비롯하여, WEB(World Wide Web) 접속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 통신 시에는, 고속 데이터 통신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 링크를 1개의 논리적인 링크 순서로서 취급하는, 멀티 링크 프로토콜(Multi-link Protocol)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휴대전화기 등의 이동체 통신 단말은, 당해 통신 단말(자기(自機))이 통신 중인 기지국의 셀을 넘어 이동하여 다른 셀로 옮겨도 새로운 셀에 배치되어 있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접속처의 기지국을 탐색하고, 통신 중에 자기의 위치에 대응한 기지국으로 전환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이동체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용 휴대단말 장치에 의하면, 마스터 통신 장치 및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통해 데이터가 기지국에 송신된다.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핸드오버 처리하는 경우, 마스터 통신 장치가 호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다.
1):일본국 특허공개2002-112308호 공보
상술한 휴대전화기 등의 이동 가능 통신 단말을 USB(Universal Serial Bus)나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등을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하고, 모뎀(MODEM)으로서 이용하면, PC를 이용한 WEB 접속, Vol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의한 텔레비젼 회의,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의한 데이터 전송 등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VolP와 같이 통신의 보증이 요구되는 통신과 FTP와 같은 데이터 통신이 혼재하는 복수의 세션을 실행 중에, 셀간의 휴대전화기의 이동에 따르는 핸드오버 처리가 실행되면, 통신의 보증이 요구되는 통신에 대해서 핸드오버 처리에 따르는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불이익이 발생한다.
또한, 핸드오버 처리 중에 휴대전화기 등의 통신 단말에 접속된 데이터 단말 등으로부터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구가 발생하면, 그 접속 요구가 거부되고, 다시, 유저에 의한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요구가 필요하게 되고, 데이터 단말의 부담이 커진다고 하는 불이익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핸드오버 처리에 따르는 전송 지연을 저감시키고, 신속하며 고품질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핸드오버 처리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핸드오버 처리 중에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구를 반복하여 요구하는 것이 회피 가능한, 통신 단말, 핸드오버 처리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연산하고, 당해 연산한 스코어가 큰 세션의 순서대로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이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세션인지의 여부를 세션마다 판단하고,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세션이었을 경우에는 그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스코어보다 큰 스코어가 되도록 그 스코어의 값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중에, 상기 세션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보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는,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 후, 상기 보류한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재개하는 경우에, 상기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와 상기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의 양자가 존재할 때는, 상기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를 우선하여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를 처리한 후, 상기 보류된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이동체 통신 단말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 수단과, 상기 핸드오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수단을 가지는,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체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당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하나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신 단말은,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이동체 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으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 판정 단계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단계를 가지는, 핸드오버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핸드오버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 루틴과, 상기 핸드오버 판정 루틴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루틴을 가지는, 핸드오버 처리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버 처리에 의한 전송 지연 및 핸드오버 처리 중인 세션 접속 요구에 대한 거부가 저감하고, 고속이며 고품질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버 처리 중에 새로운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요구를 반복하여 요구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통신 단말의 부담이 경감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기가 접속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기의 주요 부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핸드오버 우선 순위 결정 처리(단계 6)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핸드오버 처리 방법, 프로그램, 통신 시스템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관련지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휴대전화기가 접속된 통신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은, 휴대전화기(10), 당해 휴대전화기(10)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체 통신이 가능한 바와 같이 각 셀(통신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기지국(20A~20C), 무선 통신 네트워크(30), 서버(40), 및, 데이터 단말(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와, 복수의 기지국(20A~20C)의 사이에는, 복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의 기능 및/또는 처리로 기재했을 때,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 장치의 기능 및/또는 처리를 의미한다.
휴대전화기(10)는, 예를 들면, iBurst(등록상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링크 어뎁테이션에 의해, 당해 휴대전화기(10)(이하, 자기)가 위치하는 셀 내의 기지국(20A~20C)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여 통신 가능해진다. 이 때, 휴대전화기(10)는, 예를 들면, 근처의 기지국, 즉, 기지국(20A~20C) 중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부터 그 기지국의 식별(ID:Identification) 번호를 포함하는 전파 신호를 수신하고, 이 기지국의 ID 번호를 바탕으로 접속처의 기지국과의 접속을 통신하면서 전환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행한다.
핸드오버 처리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0)가 있는 기지국, 예를 들면, 기지국(20A)과 접속하여 통신 중에 다른 셀로 이동했을 때, 그 이동처의 셀의 기지국, 예를 들면, 기지국(20B)으로 접속을 전환하는 처리를 말한다.
휴대전화기(10)는, 예를 들면, USB나 블루투스에 의해 데이터 단말(50)과 접속된 경우,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모뎀(MODEM)으로서 기능하고, 데이터 단말(50)이 휴대전화기(10)를 통해, VolP에 의한 음성 통신이나, FTP에 의한 데이터 전송 등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 기능에 의해, 휴대전화기(10)는, Vol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동시 사용하는 등, 복수의 세션(다중 세션)을 수행할 수 있다.
세션이란, 1개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통신의 묶음을 말한다.
데이터 단말(50)에 접속된 휴대전화기(10)는, 핸드오버 처리에 의해 접속된 새로운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을 통해, 서버(40), 그 외의 통신 단말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단말(50)에 접속된 휴대전화기(10)는, 데이터 단말(50)과 협동하여,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40)의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 전자 메일의 작성과, 그 송수신, WEB 사이트나 컨텐츠 데이터, 예를 들면, 동화상, 정지화상 등의 열람이 가능해지는 기능을 가진다.
각 셀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기지국(20A~20C)은, 예를 들면,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각각 가진다. 각 기지국은, 각각의 셀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셀 내에 위치하는 휴대전화기(10)와 통신을 행한다.
기지국(20A~20C)은, 휴대전화기(10)가 각각의 기지국을 식별하고 핸드오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기지국 고유의 식별 번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신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에는, 휴대전화기(10), 복수의 기지국(20A~20C) 및 서버(40)가 접속되고,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다.
서버(4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에 접속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 단말(50)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USB나 블루투스에 의해 휴대전화기(10)와 접속되면, 휴대전화기(10)가 모뎀(MODEM)으로서 기능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을 통해, 도시를 생략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이로 인해, 데이터 단말(50)은, VolP에 의한 음성 통신이나 FTP에 의한 데이터 전송 등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전화기(1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기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단, 도 2에는, 핸드 오버를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하는 부분만을 도해하고 있고, 휴대전화기의 그 외의 부분은 도해를 생략하고 있다.
휴대전화기(10)는, 안테나 ATT, 통신부(11), 조작부(12), 음성 처리부(13), 스피커(14), 마이크로폰(15), 표시부(16), 기억부(17), 제어부(18), 및, 버스 제어부(19)를 가진다.
제어부(18)은, 주제어부(180), 핸드오버(HO) 판정부(181), 및, 핸드오버(HO) 처리부(182)로 구성되어 있다.
핸드오버 판정부(181)는, 핸드오버를 할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핸드오버 판정부(181)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해야 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한다.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 핸드오버 실행부(1822)를 가진다. 또한,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핸드 오버 보류부(1823)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1)는, 안테나 ATT를 통해 복수의 기지국(20A~20C)이 브로드캐스트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의 식별(ID) 번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의 ID 번호가 일치한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11)는, 도시의 예에서는 단일의 안테나 ATT를 가지지만, 복수의 채널, 예를 들면 2채널(링크라고도 한다)에 대응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안테나, 예를 들면 2개의 안테나로 구성해도 된다.
조작부(12)는, 유저가 휴대전화기(10)를 조작하는 각종 키, 예를 들면, 전원 키, 통화 키, 숫자 키, 문자 키, 방향 키, 결정 키, 발신 키 등 각종 조작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키를 가진다. 조작부(12)는, 이들 키가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경우, 그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을 유저의 지시로서 제어부(18)에 출력한다. 제어부(18)에는, 각 키가 어느 조작에 대응하고 있는지 기억되어 있다.
음성 처리부(13)는, 제어부(18)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에, 부호화,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SP)(14)에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3)는, 마이크로폰(MIC)(15)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을 행하고, 또한 부호화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8)에 출력한다.
표시부(16)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제어부(18)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 문자 신호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한다.
기억부(17)는, 예를 들면,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디바이스나, SRAM, DRAM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17)는, 제어부(18)가 실행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휴대전화기(10)의 각종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의 응용 프로그램(AP)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17)는 또, 제어부(18)의 출력 결과, 제어부(18)가 실행하는 AP의 수행의 과정에서 이용되는 일시적인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어부(18)는, 휴대전화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괄한다. 즉, 제어부(18)는, 휴대전화기(10)의 각종 처리,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행해지는 음성 통화 처리, 전자 메일의 작성과 그 송수신 처리, WEB 사이트의 열람 등의 제어가 유저에 의한 조작부(12)의 조작에 따라 적절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휴대전화기(10)의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주제어부(180)를 통해 제어한다.
상기 각 구성 요소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통신부(11)에 있어서의 전파 신호의 송수신 처리, 음성 처리부(13)에 있어서의 음성의 입출력 처리, 표시부(16)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 처리, 기억부(17)와의 액세스 처리 등이 있다.
제어부(18)는, 기억부(17)에 저장된 프로그램,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응용 프로그램(AP) 등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를 가지는 제어부(18)는, AP에 의해 지시받은 순서(처리 루틴)에 따라 상기 예시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컴퓨터를 가지는 제어부(18)는, 기억부(17)에 저장된 OS나 AP로부터 명령 코드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처리를 실행한다.
핸드오버 판정부(181)는, 안테나 ATT를 통해 통신부(11)가 수신한 복수의 기지국의 식별(ID) 번호를 바탕으로 핸드오버를 실행할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핸드오버 판정부(181)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실행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주제어부(180)에 의해 구동되어, 하기의 상술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판정부(181)는, 핸드오버 처리부(182)가 핸드오버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 중이 아닌 경우, 이번에 수신한 기지국의 식별(ID) 번호와 전회 수신한 기지국의 ID 번호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비교한다.
2개의 기지국의 ID 번호의 비교 결과가 일치한 경우, 휴대전화기(10)가 같은 셀 내에 있고, 핸드오버 처리를 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핸드오버의 처리시에 요구 보류 처리에 의해 보류되어 있는 처리가 있는 경우, 당해 요구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기지국의 ID 번호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핸드오버 처리부(182)의 처리로 이행하고,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핸드오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처리를 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예를 들면,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와,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실행부(1822)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핸드오버 처리부(182)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와, 핸드오버 실행부(1822)에 더하여, 핸드오버의 처리의 요구를 보류하는 핸드오버 보류부(1823)를 가질 수 있다.
핸드오버 실행부(1822)는, 통상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핸드오버 처리해야 할 세션에 대해서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핸드오버 처리 자체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애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그러한 통상의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에 더하여, 하기의 처리도 행한다.
핸드오버 실행부(1822)는, 핸드오버 판정부(181)에 있어서의 핸드오버를 실행할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휴대전화기(10)가 새롭게 접속해야 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주제어부(180)의 제어하에서 동작을 개시하여, 후술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가 결정한 핸드오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세션의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을 「핸드오버 처리」라고 한다.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핸드오버 판정부(18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핸드오버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각각의 세션을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스코어화(수치화)하고,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것을 핸드오버 우선 순위 결정 처리라고 한다.
「무선 리소스」란, 통신 시스템(1)을 통해, 어느 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자원을 말한다. 즉, 어느 세션을 지장없이 수행시키기 위해서 확보해 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이, 예를 들면, VoIP 등과 같이 높은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통신 품질 보증형의 세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세션이 통신 품질 보증형이 아닌 경우,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확립되어 있는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을 검출하고, 이 때의 무선 리소스량을 스코어로 한다.
또한, 세션이 통신 품질 보증형이었을 경우,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세션의 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 용량에 소정치 α, 예를 들면, 10을 더한 값을 스코어 SCORE로서 설정한다(가산 처리). 혹은,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세션의 무선 리소스 용량에 소정 계수 β, 예를 들면, 5.0을 곱한 값을 스코어 SCORE로서 설정한다(가중 처리). 이와 같이,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통신 품질 보증형의 세션에 대해서는,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우선적으로 핸드오버 처리가 수행되도록, 스코어 SCORE의 값을 연산한다.
이와 같이, 통신 품질 보증형의 세션의 스코어의 값을 크게 하는 연산을 행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우선 순위를 높일 수 있다.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핸드오버 실행부(1822)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처리 중에, 신규의 세션에 대한 네트워크로의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에 대한 네트워크로부터의 세션 절단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들 접속 요구 및 절단 요구를 총칭하여 「접속 변경 요구」라고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단말(50)로부터 세션에 관한 접속 요구 또는 세션의 절단 요구가 있는 경우,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이들 요구를 보류한다. 이것을 「요구 보류 처리」라고 한다.
신규의 세션의 접속 요구란, 예를 들면, 유저가 데이터 단말(50)의 데이터를 휴대전화기(10)를 통해 송신하는 바와 같은 요구를 의미한다.
세션의 절단 요구란,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0)와 데이터 단말(50) 사이에서 통신하고 있는 데이터 전송 등을 중단하는 것이나, 예를 들면, 유저가 서버(40)와 휴대전화기(10)를 통해 데이터 단말(50)의 사이에서 통신하고 있는 데이터 전송 등을 중단하는 요구를 의미한다.
핸드오버 실행부(1822)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처리 후,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보류한 요구의 처리를 재개하는 경우에, 세션의 접속 요구와 세션의 절단 요구가 혼재하고 있을 때는, 세션의 절단 요구를 우선하여 처리한다.
버스 제어부(19)는, 휴대전화기(10)와 데이터 단말(50)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면, FTP의 변환 및 제어를 행한다.
휴대전화기(10)의 핸드오버 처리를 중심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휴대전화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핸드오버 우선 순위의 결정 처리(단계 ST6)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의 기술에서는, 일예로서, 휴대전화기(10)에는 데이터 단말(50)이 접속되고, 휴대전화기(10)와 데이터 단말(50)이 모두 기지국(20A)의 셀 내에 위치하고, 복수의 세션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0)의 통신부(11)는, 기지국(20A)이 브로드캐스트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의 식별(ID) 번호를 전파 신호로서 수신한다(단계 ST1). 그 기지국(20A)의 ID번호를 “n”으로 한다(ID-No=n).
휴대전화기(10)의 제어부(18) 내의 핸드오버 판정부(181)는, 현재, 핸드오버(HO) 처리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2).
단계 ST2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판정부(181)의 판정에서, 핸드오버 처리 중인 경우(YES), 핸드오버 처리부(182) 내의 핸드 오버 보류부(1823)는, 데이터 단말(50)로부터 신규의 세션의 접속 요구 또는 현재의 세션에 대한 세션의 절단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3).
단계 ST3에 있어서, 데이터 단말(50)로부터의 세션의 접속 요구 또는 세션의 절단 요구가 없는 경우(NO), 핸드오버 판정부(181)에 있어서의 단계 ST2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데이터 단말(50)로부터의 세션의 접속 요구 또는 세션의 절단 요구가 있는 경우(YES), 핸드오버 처리부(182) 내의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핸드오버 실행부(1822)에 의한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이들 요구를 보류하고(단계 ST4), 핸드오버 판정(181)에 의해, 다시 단계 ST2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T2에 있어서, 핸드오버 처리 중이 아닌 경우(NO), 핸드오버 판정부(181)는, 단계 ST1에서 수신한 기지국(20A)의 ID 번호 n과 전회 수신했을 때의 기지국의 ID 번호(예를 들면, 전회의 기지국의 ID 번호를 (n-1)로 한다)를 비교한다(단계 ST5).
단계 ST5에 있어서, 기지국(20A)의 ID번호 n과 전회 수신한 기지국의 ID 번호 (n-1)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휴대전화기(10)가, 예를 들면, 인접하는 기지국(20B) 또는 기지국(20C)의 셀 내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핸드오버 처리부(182) 내의 우선 순위 결정부(1821)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핸드오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세션에 대한 전체 스코어 SCORE를, SCORE=0으로 초기화하고(단계 ST61), 현재 확립되어 있는 세션을 검색한다(단계 ST62).
이 세션의 검색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0)의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세션을 검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T62의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3개의 세션이 검색된 것으로 하고, 제1 세션을 세션 Sn1, 제2 세션을 세션 Sn2, 제3 세션을 세션 Sn3라고 기재한다. 각각의 세션에 대한 스코어를 스코어 SCORE1, 스코어 SCORE2, 스코어 SCORE3라고 기재한다.
단계 ST62에 있어서의 세션의 검색 후,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제1 세션 Sn1이 통신 품질을 보증하는 통신 품질 보증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T63).
단계 ST63에 있어서, 제1 세션 Sn1이 통신 품질 보증형이 아니었던 경우(NO),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세션 Sn1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리소스량을 검출하고(단계 ST64),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제1 스코어 SCORE1을 결정한다(단계 ST65).
스코어의 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량을 수치화하는 것이며, 결정한 스코어는 기억부(17)에 기억해 둘 수 있다.
한편, 단계 ST63에 있어서, 제1 세션 Sn1이 통신 품질 보증형이었을 경우(YES),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세션 Sn1에 있어서의 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에 소정치 α, 예를 들면, α=10를 더한 것을 스코어 SCORE1으로 한다(단계 ST66). 즉, SCORE1=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α으로 한다.
혹은, SCORE1=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β(단, β는 가중 계수, 예를 들면, β=5.0)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통신 품질 보증형의 세션의 스코어의 값을 크게 하는 연산을 행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우선 순위를 높일 수 있다.
단계 ST66에 있어서 결정되는 스코어 SCORE1(=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α)은, 단계 ST65의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스코어 SCORE1보다도 높은 스코어이면 되고, 나중의 단계 ST7에 있어서 세션 Sn1이 통신 품질 보증형인 것을 나타내는 스코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의 종류, 예를 들면, VoIP나 FTP에 의한 데이터 전송 등에 기초하여, 스코어 SCORE1~SCORE3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코어 SCORE1이 결정된 후, 우선 순위 결정부(1821)에 있어서, 상술의 단계 ST63, 64, 65, 또는, 단계 ST63, 66의 처리가, 제2 세션 Sn2 및 제3 Sn3에 대해서도 실행된다.
그 결과, 각각의 스코어가 제1 스코어 SCORE1=2, 제2 스코어 SCORE2=15, 제3의 스코어 SCORE3=8로 된 것으로 한다.
우선 순위 결정부(1821)는, 스코어 SCORE1~SCORE3를 값이 작아지는 순서대로(내림차순에, 바꿔말하면, 값이 큰 순서대로) 늘어놓고, 소트한 스코어의 순서를 핸드오버 해야 할 세션의 우선 순위로 한다(단계 ST67).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우선 순위는, 통신 품질 보증을 해야 할 세션이 높아진다.
이 예에서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순서는, 제2 SCORE2의 제2 세션, 제3 SCORE3의 제3 세션, 제1 SCORE1의 제1 세션의 순서로 된다.
그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 처리부(182)의 핸드오버 실행부(1822)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에 의해 결정된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차례, 즉, 통신 품질 보증을 해야 할 세션의 차례로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T7).
이로 인해, 통신 품질 보증형의 세션에 대해 핸드오버 처리에 의한 전송 지연을 저감시키고, 고속이며 고품질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 실행부(1822)에 의한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한 후,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단계 ST4에 있어서 보류된 처리, 예를 들면, 세션의 새로운 접속 요구 또는 세션의 절단 요구 등의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8).
단계 ST8에 있어서,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보류한 처리가 있는 경우(YES), 보류한 처리를 재개한다(단계 ST9).
세션의 새로운 접속 요구, 또는, 절단 처리는, 예를 들면, 주제어부(180)와 통신부(11)를 협동시켜, 주지의 방법에 따라 행한다.
보류한 처리가 없는 경우(NO), 휴대전화기(10)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 단계 ST9에 있어서, 세션의 접속 요구와 세션의 절단 요구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핸드오버 보류부(1823)는 세션의 절단 요구를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10)는,
a.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부(181)와,
b. 핸드오버 판정부(181)의 판정 결과에 의해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1821)와, 이 우선 순위 결정부(1821)가 결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세션을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실행부(1822)를 가지는 핸드오버 처리부(182)
를 가짐으로써, 통신 품질 보증형의 세션에 대해 핸드오버 처리에 의한 전송 지연을 저감시키고, 고속이며 고품질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10)는, 핸드오버 처리부(182) 내의 핸드오버 실행부(1822)에 의한 핸드오버 처리 중에, 세션에 대해서, 예를 들면, 세션의 접속 요구 또는 세션의 절단 요구 등의 변경 요구가 발생한 경우,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그 변경 요구를 보류하는 핸드오버 보류부(1823)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데이터 단말로부터의 핸드오버 처리 중인 세션 접속 요구에 대한 거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단말로서 휴대전화기를 예시했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게임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18)의 각 구성 요소가 가지는 기능의 수행에 대해, 그들 기능의 전부를 컴퓨터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혹은 그 일부를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주제어부(180), 핸드오버 판정부(181), 핸드오버 처리부(182) 내의 우선 순위 결정부(1821), 핸드오버 실행부(1822) 및 핸드오버 보류부(1823)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는, 1 또는 복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 컴퓨터에 있어서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동작시켜 실현해도 되고, 그 적어도 일부를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그러한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에 기억시켜, 컴퓨터에 접속하여 기록 매체내의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상술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1:통신 시스템 10:휴대전화기
11:통신부 12:조작부
13:음성 처리부 14:스피커
15:마이크로폰 16:표시부
17:기억부 18:제어부
180:주제어부 181:핸드오버 판정부
182:핸드오버 처리부 1821:우선 순위 결정부
1822:핸드오버 실행부 1823:핸드오버 보류부
19:버스 제어부 20A~20C:기지국
30:무선 통신 네트워크 40:서버
50:데이터 단말(PC)

Claims (20)

  1.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연산하고,
    당해 연산한 스코어가 큰 세션의 순서대로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통신 단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이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세션인지의 여부를 세션마다 판단하고,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세션이었을 경우에는 그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스코어보다 큰 스코어가 되도록 그 스코어의 값을 변경하는, 통신 단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세션이었을 경우에는 그 세션의 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스코어에, 당해 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스코어를 크게 하는 소정의 값을 가산하는, 통신 단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할 세션이었을 경우에는 그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스코어에, 당해 최대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스코어를 크게 하는 1 이상의 계수를 곱하는, 통신 단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중에, 상기 세션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보류하는, 통신 단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는,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 후, 상기 보류한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재개하는 경우에, 상기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와 상기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의 양자가 존재할 때는, 상기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를 우선하여 처리하는, 통신 단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를 처리한 후, 상기 보류된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통신 단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와,
    상기 우선 순위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핸드오버해야 할 세션에 대해서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 실행부를 가지는, 통신 단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처리를 행하는, 핸드오버 처리 보류 수단을 더 가지는, 통신 단말.
  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체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하나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신 단말은,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의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 및/또는, 상기 세션이 통신 품질 보증형인지의 여부에 따라 규정되는 스코어의 값에 따라 규정되는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의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중에, 상기 세션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보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이동체 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으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 판정 단계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단계를 가지는, 핸드오버 처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무선 리소스량, 및/또는, 상기 세션이 통신 품질 보증형인지의 여부에 따라 규정되는 스코어의 값에 따라 규정되는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단계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단계의 처리 중에, 상기 세션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보류하는, 핸드오버 처리 방법.
  17.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이동체 통신 단말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 수단과,
    상기 핸드오버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수단을 가지는, 통신 단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수단은, 상기 핸드오버 처리 중에, 상기 세션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보류하는, 통신 단말.
  19.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복수의 세션을 확립하여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핸드오버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핸드오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핸드오버 판정 루틴과,
    상기 핸드오버 판정 루틴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또한, 통신 중인 세션이 복수 존재할 때에, 핸드오버해야 할 복수의 세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세션부터 핸드오버 처리하는, 핸드오버 처리 루틴을 가지는, 핸드오버 처리 프로그램.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루틴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중에, 상기 세션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신규로 세션을 접속하는 접속 요구, 또는, 기존의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요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처리 중인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접속 관계를 변경하는 요구를 보류하는, 핸드오버 처리 프로그램.
KR1020107022462A 2008-03-13 2009-03-12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00130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4471 2008-03-13
JP2008064471 2008-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621A true KR20100130621A (ko) 2010-12-13

Family

ID=4106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462A KR20100130621A (ko) 2008-03-13 2009-03-12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94045B2 (ko)
JP (1) JP5160633B2 (ko)
KR (1) KR20100130621A (ko)
CN (1) CN101971673A (ko)
WO (1) WO2009113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4944B2 (ja) * 2010-12-21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US9288116B2 (en) * 2012-12-28 2016-03-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AS server test load generation
US10154133B2 (en) * 2016-05-17 2018-12-11 Nice-Systems Ltd Quality-dependent playback of recordin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034B2 (ja) * 1996-09-18 2001-06-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部分ハンドオーバ制御方式
JP4279827B2 (ja) * 1997-04-24 2009-06-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3750390B2 (ja) * 1999-01-08 2006-03-0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における呼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771420B2 (ja) * 2000-04-19 2006-04-26 富士通株式会社 交換局装置,基地局制御装置及びマルチコール通話呼数変更方法
JP3748373B2 (ja) 2000-09-29 2006-02-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用携帯端末装置
US6865167B2 (en) * 2001-02-02 2005-03-08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ff in wireles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JP3621987B2 (ja) * 2001-09-07 2005-02-23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システムのシームレス統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274437A (ja) * 2002-03-14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制御装置および移動端末の呼接続方法
US7260074B2 (en) * 2002-12-31 2007-08-21 Nokia Corporation Handover decision for IP services broadcasted on a DVB network
KR100560849B1 (ko) * 2003-05-14 2006-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을 이용한 핸드 오버설정 방법 및 시스템
EP1633159A4 (en) 2003-06-12 2011-02-23 Fujitsu Ltd BASIC STATION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86232B1 (ko) * 2003-12-22 2006-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US7848241B2 (en) * 2006-01-31 2010-12-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JP4804983B2 (ja) * 2006-03-29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70401B2 (en) * 2006-07-05 2011-06-28 Cisco Technology, Inc. Associating a handoff address to a communication session
US20090034472A1 (en) * 2007-08-03 2009-0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ing Over Sessions Betwee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4045B2 (en) 2013-11-26
US20110090867A1 (en) 2011-04-21
JP5160633B2 (ja) 2013-03-13
JPWO2009113622A1 (ja) 2011-07-21
CN101971673A (zh) 2011-02-09
WO2009113622A1 (ja)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37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ダイバーシチ適用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CN104782150B (zh) 用于在邻域知悉网络中进行广告和通信的系统和方法
EP20861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an uplink resource
KR100511675B1 (ko) 이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중모드 호처리방법
CN1286555A (zh) 移动分组数据网中话音通信越区切换的设备、方法和系统
KR100548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성능 향상 방법
KR2003005954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방송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316554A (zh) 一种基于电路域业务回落技术的网络选择方法和移动终端
JP2016026462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0708729A (zh) 一种固移融合网络环境中的异构网络切换管理方法及装置
JP2005101930A (ja) 携帯通信端末
JP5160633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29324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0400859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QoS management in a wireless mobile station
CN1291564C (zh) 使用绑定更新消息控制分组数据传输的方法和系统
CN114071586A (zh) 端到端QoS需求信息的拆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68620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execut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KR20070083093A (ko)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11800826B (zh) 一种rohc反馈处理方法及用户设备
JP200006955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13048407A (ja) 無線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13784384B (zh) 模式切换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2929934B (zh) 一种调整小区优先级的方法及终端设备
KR100644158B1 (ko) Evdo 및 svd 서비스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모드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05277537A (ja) 無線ip通信端末及びip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