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126A -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 Google Patents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126A
KR20100130126A KR1020090048812A KR20090048812A KR20100130126A KR 20100130126 A KR20100130126 A KR 20100130126A KR 1020090048812 A KR1020090048812 A KR 1020090048812A KR 20090048812 A KR20090048812 A KR 20090048812A KR 20100130126 A KR20100130126 A KR 2010013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asoning
green tea
composition
l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596B1 (ko
Inventor
전현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filed Critical 전현철
Priority to KR102009004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산업발달은 육지의 공해를 초래하고 공해는 식 자재의 불안으로 이어져 세계는 바다에서 안전하고 풍부한 식 자재를 공급받고자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현실에 가장 전통적인 우리의 수산물인 김(海苔)을 세계화하기 위하여 조미 김의 문제인 산패(酸敗)를 방지하고 대륙과 문화와 기호에 합당한 차별화된 새로운 조성물을 조성하여 위하여 각 지역에서 선호하는 특산물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의한 새로운 조성물을 목적으로 세계인에게 사랑받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을 마른 김, 달콤한 소금가루, 식용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또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을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흩뿌림= (撒布 살포), 전송 대(컨베이어 Conveyor), 마른 김, 비타 녹차 조미유, 달콤한 소금 가루,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Description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Produce Sweet Salt Powder & Edible Vita oil Contain The Seaweed}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우리의 김을 세계인의 입맛에 합당한 향미의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짠맛을 가진 소금에 달콤한 대중적 향미로 개선하는 기술분야와, 지방산의 산패를 방지하는 조미유를 조성하는 기술분야와, 세계적 대중의 기호에 합당한 향미를 개발하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분야와, 대륙과 문화에 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분야와, 바다에 생산된 김의 기능과 기호를 향상시키는 조화로운 첨가물을 개발 선정하는 기술분야와, 달콤한 소금가루를 김에 부착하는 기술분야로, 혼합의 기술과, 숙성의 기술과, 여과 및 착유의 기술과, 건조의 기술과, 굽는 기술과, 이송의 기술과, 절단의 기술과, 집합의 기술과, 포장의 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기술분야다.
혼합의 기술과, 숙성의 기술과, 여과 및 착유의 기술과, 건조의 기술과, 굽는 기술과, 이송의 기술과, 절단의 기술과, 집합의 기술과, 포장의 기술을 배경기술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우리의 김을 대륙과 문화와 습관과 기호에 합당한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여, 짠맛을 가진 소금에 달콤한 대중적 향미로 추가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장기 수송 및 보관으로 발생하는 지방산의 산패를 방지하는 조미유를 조성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대륙과 문화에 합당한 그 지역의 산물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접근성을 높이는 첨가물을 개발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바다에 생산된 김의 기능과 기호를 향상시키는 조화로운 첨가물을 개발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달콤한 소금가루를 김에 부착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과제로 하여 단계별 독립된 기술에 의한 단계별 생성물의 조성과정에 필요한 기술적 과제를 공정의 순서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별 독립된 공정의 순서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굽고 조미하여 새 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술적 단계를 구성하고, 단계별 생성물의 목적과 방법을 단계별로 설정하고, 단계별 생성물을 조성하는 과제에 대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기술을 아래의 공정의 순서에 의하여 제시한다.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바다에서 자라는 해초인 엽상체 가공하여 종이처럼 얇게 떠서 말린 식품을 김 또는 해태(海苔)라고도 부르고 단백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을 함유하는 세계적인 장수식품인 마른 김을 주원료로 선정하고, 청정지역의 12월에서 1월에 채취하여 가공한 마른 김으로 전장(260㎜×190㎜±10㎜) 1장의 중량 2g±0.5g을 기준으로 선별하고, 천일염을 1년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가공한 소금을 선정하고, 고염(苦鹽) 즉 간수가 적고 짠맛이 적은 것으로 소금가루의 입자 크기를 140μ(100 메시) ~ 74μ(200 메시)로 선별하고, 천연감미료로 항산화 기능과 자연의 단맛을 가진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고, 순도 5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대륙과 지역과 문화에 부합하는 기능과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카레농축액을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별하고, 또는 흑 마늘농축액을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별하고, 또는 인삼 또는 홍삼농축액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 별하고, 또는 고추씨 농축액을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별하고, 또는 천연 유기 유황을 선정하고, 순도 3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또는 동물성 단백질인 콜라겐을 선정하고, 냄새가 없고 수용성이 좋은 순도 95%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식용유로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 또는 콩기름 또는 면실유 또는 옥배 유 또는 카 놀라 오일 또는 홍화 기름 또는 해바라기 기름 또는 포도 씨 기름 또는 올리브유 또는 호두 유 또는 겨 기름을 선정하고, 착유 1 ~ 2개월이 내의 것으로 단일 또는 혼합한 것을 선별하고, 카테킨을 함유하는 녹차를 산패 방지 첨가물로 선정하고, 냉동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가루 녹차로 수분함량 13% 이하로 입자 크기를 140μ(100 메시) ~ 74μ(200 메시)로 선별하고, 향미의 개선과 산패 방지 및 항산화기능을 기진 아스코르빈산을 선정하고, 순도 95%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다.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 김 50 ~ 45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25 ~ 40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25 ~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다.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
신속한 수분의 증발을 위하여 정수 25 ~ 90중량%와 알코올 75 ~ 1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함량 75 ~ 10중량%의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스테비오사이드 1 ~ 10중량%와 카레농축액 또는 흑 마늘농축액 또는 인삼 또는 홍삼농축액 또는 고추씨 농축액 또는 천연 유기 유황 또는 콜라겐 1 ~ 10중량%와 상기 알코올혼합수용액 98 ~ 80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10 ~ 30분간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소금가루를 동력 5 ~ 60rpm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상단에 증기의 배출구가 있는 이중 볶음 솥에 넣고 휘저어면서 100±50℃로 가열하여 소금가루의 온도가 50℃ 이상 일 때, 이중 볶은 솥의 상단의 분무(噴霧) 구를 통하여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0.5 ~ 2㎏/㎠의 압력으로 10 ~ 60분간 분무하면서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이 소금가루에 착지 도포하고, 수분과 알코올을 열로 증발시키어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첨가물의 기능과 향미를 가지면서 달콤하고 짠 향미가 복합하여 어우러진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식용유는 제1공정에서 선정 선별한 식용유로 참기름 또는 들기름 또는 콩기름 또는 면실유 또는 옥배 유 또는 카 놀라 오일 또는 홍화 기름 또는 해바라기 기름 또는 포도 씨 기름 또는 올리브유 또는 호두 유 또는 겨 기름을 40 ~ 90중량%와, 녹차 가루 59 ~ 5중량%와 아스코르빈산 1 ~ 5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분말혼합기에 넣고, 혼합량에 따라 시간을 선택하여 10 ~ 60분간 혼합하여 녹차 가루가 식용유를 흡수하고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새로운 생성물로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20℃ 이하의 서늘한 저장고에서 용기 있는 비타녹차혼합식용을 일일 2회 팬이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를 뒤집고, 1 ~ 10일간 저온 숙성하면, 식용유가 녹차의 조직 속으로 침투하고 아스코르빈산과 흡수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공기를 차단하면서 녹차의 푸른색이 녹아 나와서 녹차의 량에 따라 군청색으로 변화는 숙성으로, 서로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므로 신선한 식용유를 지속하게 하고, 산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조성물로, 이때 새로운 조성물을 조금 혀에 되어보면 처음에는 식용유의 피막으로 느끼한 향미에서 입맛을 몇 번 다시면 녹차의 떫은맛과 아스코르빈산의 신맛과 식용유의 느끼한 향미가 어우러진 향미를 맛볼 수 있는 것은 녹차성분의 카테킨과 지용성 비타민E와 아스코르빈산이 녹아 함유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와 같이 숙성을 점검하는 방법에 의하여 생성하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 착유기에 74μ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넣고 1차 500㎏/㎠로 압력을 가하여 10 ~ 14분간 착유하고, 유압을 풀고, 1차 착유한 유 박(油粕)을 상하로 뒤집고, 2차로 580㎏/㎠로 압력으로 12 ~ 15분간 다시 착유하는 것으로 압력계기의 압력이 60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착유하고, 1차와 2차의 수득 물을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액상혼합기에 넣고 5 ~ 10분간 혼합하여 푸른 색깔을 나타내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조성하여 이것을 비타 녹차 조미유라 하는 단계다.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마른 김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마른 김을 30℃ 이하의 2.5m의 전송 대 굴속을 5 ~ 6초간 지나면서 미열로 마른 김을 넓게 펼치도록 하고, 계속하여 전송 대(傳送 帶)로 이송하면서 전송 대 위에 설치된 오일도포장치의 개폐손잡이로 량을 조절하는 기계에서 자연낙하로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 녹차 조미유를 회전하는 롤에 낙하시키어 비타 녹차 조미유를 마른 김에 5초 동안에 균일하게 바르고, 소금살포기에 의하여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달콤한 소금가루를 균일하게 흩뿌림하고, 4m의 가열 전송 대의 1구간에서 400 ~ 420℃로, 2구간에서 380 ~ 400℃로, 3구간에서 360 ~ 380℃로 이송하면서 굽는 소요시간 10 ~ 15초로 굽는 과정은 동력 5마력으로 움직이는 조미 김 굽이 자동기계장치(Conveyor System)에 의하여 조성하는 생성물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새로운 기능의 조미 김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전송 대를 다고 온 조미 김을 5 ~ 10매를 모아 절단기로 이송하고 용도에 따라 4 ~ 9절로 절단하는 것과 전장으로 알루미늄 호일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으로 대륙과 지역에 잘 알려진 산물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접근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사용한 원료의 기능적 특성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양과 효과에 대하여 먼저 기술하고 본 발명으로 생성된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고자 한다.
가. 원료의 기능적 특성과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影響).
1. 마른 김(해태)
엷고 끈적끈적한 물질 속에 박혀 있는 엽상체는 암갈색 또는 적색·분홍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을 띠고 있으며, 가장자리에서 유성생식이 일어난다. 남반구와 북반구의 조간대 상부에서 자라며 하수가 빠지는 지역처럼 질소가 풍부한 물에서 잘 자란다. 수확하여 말린 뒤 식용으로 쓰는데 그 양은 다른 어떤 바닷말들보다 많다.
일류가 최초로 사용한 것은 인디언들이 소금 대신 먹었던 김으로 미국 알래스카에 있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김을 굉장히 일찍부터 소금대용으로 먹었다. 아메리카 인디언은 음식에 소금 치는 것을 싫어해서 인체에 필요한 염분을 김으로부터 공급받았다고 인류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동양에서는 바다에서 주요작물로 양식을 하며 죽의 재료나 음식의 향을 내는 데 쓰이고, 육류의 양념으로도 사용한다. 영국 제도(諸島)에서는 빵과 함께 구워서 굴과 비슷한 맛이 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10종류의 김 속 식물들이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해태(海苔)라고도 부르는 김은 이들을 종이처럼 얇게 떠서 말린 식품을 말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양식하기 시작한 것은 조선 중기부터로 여겨지는데, 1600년대에는 대나무나 참나무 가지를 간척지에 세워 김을 이 가지에 달라붙어 자라게 하 는 섶 양식이 시작되었다.
1800년대에는 대나무 쪽으로 발을 엮어 한쪽은 바닥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은 물에 뜨도록 한 떼 발 양식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1920년대에 떼 발 양식을 개량한 뜬 발 양식이 시작되었는데, 이 방법은 김을 날마다 일정 기간 동안만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요즈음에도 이 방법을 쓰고 있고, 김을 양식할 때에는 바닷물 온도와 바람, 염분도 등에 주의하여야 한다.
① 바닷물 온도: 겨울로 접어들면서 15℃ 아래로 떨어지면 포자가 자라기 시작하여 5~8℃에서 가장 잘 자라며, 4℃ 아래로 떨어지거나 봄이 되면서 12 ~ 13℃가 되면 성장을 멈추고 다시 포자를 만들기 시작한다. 따라서 김을 양식할 때는 12월 ~ 1월에 김을 따는 것이 가장 좋다.
② 바람: 약간의 바람은 양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에 의해 파도가 생기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물속으로 녹아 들어가면서 물속에 있는 양분들이 골고루 섞이기 때문에 잘 자랄 수 있다. 또한, 파도에 의해 김 주위에 있는 노폐물이 씻겨나가며 김에 붙어 있는 조그만 생물들이 떨어져 나간다.
③ 염분도:1.024 정도의 염분 도가 유지되는 곳이 양식하기에 적당하므로 민물이 어느 정도 흘러들어가는 곳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바닷가에서 양식을 하고 있으며 이중 완도 김이 널리 알려져 있다.
겨울철, 특히 11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바닷물 온도가 15℃ 부근에서 오래 지속 되거나 또는 15℃ 근처에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면 김이 병에 걸리기 쉬운데, 붉은 뇌 녹색 반점이 생기는 붉은 갯 병, 광택이 없어지며 흰 반점이 생기거 나 구멍이 뚫리는 호상 균 병 등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이 오징어·한천 등과 함께 3대 수산물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50일 정도 자란 김이 알맞게 연하고 색깔도 좋고 향기와 맛이 좋다. 발에서 떼 낸 김을 발 장에 넣어 말린 것을 마른 김(乾 海苔)이라고 하여 먹는데, 마른 김을 공기 중에 그대로 놓아두면 공기 중의 물기를 흡수하여 김의 독특한 색과 향기가 없어지게 되므로, 습기를 먹지 않도록 보관에도 주의하여야 한다.
김에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데, 마른 김 5장에 들어 있는 단백질 양이 달걀 1개에 들어 있는 양과 비슷하다. 그러나 품질이 나쁜 김에는 단백질보다 탄수화물이 더 많이 들어 있다.
또한,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하여 비타민도 많이 들어 있으며, 소화도 잘 되기 때문에 아주 좋은 영양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성분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10g(5장)에는 칼슘 39㎎, 철분 1.2g, 칼륨 210㎎, 미각장애를 예방하는 아연 510㎎, 비타민 A 효력 1400U 등과 미네랄을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고, 파래 김은 말린 김의 다섯 배 이상의 칼슘과 2배 이상의 철분이 들어 있다.
김의 성분 효능 효과
마른 김 1장 약 2g에는 β-카로틴을 대량함유하고 있는 김은 피망의 2배를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 A 효력은 140U다.
김 100g(50장)에는 식이섬유 함량이 양배추의 16배 귤의 30배 이상 있고 김 속에 요도 성분을 함유하여 고추장 곰팡이 생기지 못하게 살균 작용을 한다. 상온에서 마른 김의 유통기간은 보통 3개월이지만, 상온에서 기름을 바른 조미 김은 산패가 일찍 온다.
김은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10 ∼ 15㎝가량이고 빛깔이 검고 광택이 나며 향기가 좋은 것, 구웠을 때 청록색으로 변하는 것이 좋은 김이다.
김은 식물성 식품 중에서 조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B12를 가장 많이 함유한 것 중의 하나이며 김 중의 하나인 파래에는 철분이 특히 많이 있어서 파래 10 ∼ 20g이면 하루 철분 요구량(10 ∼ 12㎎)이 충족되어 김은 빈혈이나 성장기 매우 좋은 식품이다.
김에는 단백질도 많이 들어 있는데 품질이 좋은 것에는 30 ∼ 35%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비타민 A, B1, B2, C, D, 칼슘, 칼륨, 인, 철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김은 겨울에 채취한 것이 좋은데 푸른 채소가 드문 겨울에 비타민 등의 공급원으로 매우 중요하다.
김은 서늘하고 빛이 차단되고 건조한 곳에 보존해야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김을 기름에 재어놓은 후에 오랫동안 방치해두면 기름이 산패되어 과산화지질로 변화되므로 공기를 차단하는 포장과 산패를 방지하는 식용유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상온에서 기름을 바른 김은 저장하지 않고 즉시 먹는 것이 좋다.
김은 혈중 콜레스테롤 50% 감소하는 것으로 1988년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인위적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시킨 생쥐에게 김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콜 레스테롤의 혈중 함량이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 콜레스테롤의 배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식품으로 동맥경화 예방 자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김으로 콜레스테롤은 소장에서 담즙 산과 만나 체내로 흡수되는데,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과 담즙 산의 합성을 막는 작용을 한다. 곧, 담즙 산과 만나지 못한 콜레스테롤은 체내에 흡수, 축척 못하고 그대로 체외로 배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식이섬유는 대장에 있는 발암물질까지 흡착해 배설시킴으로써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까지 있는 좋은 영양소이다. 김 100g 에 들어있는 식이섬유의 함유량은 양배추의 16배 이상, 그리고 귤보다 무려 30배 이상 많다.
심근경색 예방을 예방하는 김은 지질은 혈전중의 콜레스테롤을 저하하고 혈관 내에서 혈전의 형성을 방지하여 소 혈전이나 심근경색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E P A(아니코사렌타엔산)가 49.7%나 포함되어 있다.
인체에 필요한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철분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단백질이 반드시 필요한데 김은 이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철분을 쉽게 흡수한다. (인체에는 3g)의 철분이 들어 있다.
김에는 인체의 윤활유와 비타민이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김에는 비타민A가 많아 단백질과 결합하여 로돕신(Rhodopsin)을 만드는데, 로돕신(Rhodopsin)에는 눈의 빛을 감지하는 성분이 있으며 비타민A가 부족하면 빛에 대한 감수성이 나빠져 야맹증에 걸리기 쉽다.
김은 해조류 중에서 가장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도 풍부한 식품이다. 김에 함유된 지질은 소화성이 좋으나 그 함량이 낮고, 가장 함량이 높은 탄수화물은 불 소화성 당질비율이 높은 편이다.
김에 함유된 비타민 B군, 특히 B12(뇌신경영양물 질, 치매예방 기능성, 항 빈혈 비타민 역할)는 동물 장기 중의 함량과 유사할 만큼 높은 농도로 존재하여 건조 김 3매의 섭취로서 1일 필요량의 B12 공급량 충족이 기대된다.
또한, 인지질(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이나 콜린(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선구 물질)의 함량에 있어서도 타 식용 해조류보다 훨씬 높다.
또한, 김에는 미역과 비교했을 때 약 3배 이상의 타우린을 함유하고 있는데(건조 김 1매당 약 30 ~ 36㎎ 함유) 타우린은 인체 내에서 지질의 흡수 촉 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유익한 H D L콜레스테롤 증가, 간 기능 강화, 강심작용, 혈압 강하 등 수많은 생리적 작용이 알려지고 있는 성분으로서 해산물 중함 량이 매우 높다는 굴과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좋은 식 재료인 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를 식용으로 하는 국가는 21세기에 이르도록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일부가 전부라고 할 정도이다.
김의 일반 성분. 수분 13%,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질, 회분, 칼슘, 인, 철분, 비타민A, 비타민B1, B2, 비타민C등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김 1장에 달걀 2개에 있는 비타민 A가 들어있다.
2. 천일염(소금 NaCl)가루
pH 7~9 (중성), 모양은 정육면체, 무색투명, 100g의 물에 0℃에서 35.7g, 100℃에서 39.8g 녹는다. 녹는점 800.4 ℃, 끓는점 1,400 ℃, 비중 2.16 (20 ℃), 굴절률 1.5443이다. 녹는점 이상에서는 휘발성이 높고, 기체가 되면 NaCl 분자가 존재한다. 우리의 몸속의 세포 안에는 0.71%가 들어 있고, 하루의 소요량은 10 ~ 20g 꼭 필요하고 바다.
지금으로부터 45억 년경에 생겨난 지구는 뜨거운 용암이 흘러내리는 바위에서 가스를 내뿜고 있었다. 바위 속에 섞인 산화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은 가스 속의 수증기로 염화수소와 화합하여 염화나트륨이 되어 하늘로 날아갔다.
지구가 차츰 식으면서 수증기는 비가 되어 땅에 쏟아져 내렸는데 이때 함께 녹은 소금(염화나트륨)이 빗물과 같이 흘러서 커다란 웅덩이로 모였다. 그게 바로 바다이다. 바다에는 2.8%의 지금으로부터 약 40억 년경에 일이다.
소금은 몸에 해로운 작용도 있지만 이로운 작용이 참 많다. 함부로 쓰거나 많이 쓰면 좋지 않지만. 제대로 알고 쓰면 생황에 무척 유용하며 때론 천하의 명약이 되기도 한다. 소금은 진정한 맛의 왕초다. 소금(牛金) 속에는 시고 쓰고 달고 매운 맛이 다 들어있다.
짜다는 말은 그런 오미(五味)가 잘 짜여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을 확고하게 혼합하면 짠맛이 나온다. 그러니 음식에 소금만 잘 쓰면 그 어떤 양념도 필요 없다.
또 소금은 사랑이라는 에너지로 뭉쳐져 있어서 사기, 잡균, 세균이나 미생물이 번식할 틈을 주지 않으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함없는 성질이 있다.
소금을 불에 태우면 노란 불꽃을 내면서 분해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노란 7가지 빛 중에서 사랑의 빛이라 한다. 소금은 빛이고 생명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소금의 기능적 특성.
소금은 일류의 발전과 함께 인체의 미치는 기능적 특성이 증명된 것을 간추리어 설명하고자 한다.
소금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의 농도, 곧 염도(鹽度)가 낮을수록 생명체에 유익한 소금으로 맛과 품질이 좋은 소금이다.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47 ~ 50% 정도일 때에는 염도와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미네랄과 효소 성분들이 조화를 이루어 소금의 짠맛을 별로 느껴지지 않고 쓴맛도 나지 않으며 은은한 단맛이 난다.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60%가 넘어가면 미네랄의 농도는 적어지고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맛은 쓰고 짜며 독성을 지닌 소금이 된다.
순수염도 곧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낮을수록 질이 좋은 소금이고 높을수록 나쁜 소금이라고 할 수 있다. 소금의 성분 중에 나트륨(Na+)은 중금속을 비롯한 오염물질을 껴안는 특성으로 강한 흡착력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좋은 소금의 조건
1. 짠맛이 작고 단맛이 난다.
2. 물에 넣으면 빨리 녹는다.
3. 입자가 굵고 완전한 정육면체를 이룬다. (한 면의 길이가 5㎜ 이상)
4. 발효식품에 사용하면 오래 두어도 잘 쉬어지지 않고 곰팡이가 없다.
5. 무게가 가볍고 빛깔이 희고 맑다.
6. 산소를 많이 품고 있다.
나쁜 소금의 조건
1. 몹시 짜고 쓴맛이 난다.
2. 물에 잘 녹지 않는다.
3. 입자가 적고, 결정체가 세모, 직사각형 등 일그러지나 깨어짐.
4. 발효식품에 사용하면 쉽게 상한다.
5. 무게가 무겁고 빛깔이 불투명하고 딱하다.
6. 산소를 조금 품고 있거나 없다.
소금의 기능적 가치
소금에서 중요한 것은 염화나트륨 곧 짠맛 성분이 아니라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수십 가지 종류의 미네랄이다.
바닷물에는 모든 생명체의 근본 생명력이 되는 물질인 미네랄과 효소들이 균일하게 녹아 있다. 그러므로 바닷물을 말려서 만드는 소금에는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온갖 미네랄과 무기물 효소들이 그대로 응축(凝縮)되어 있다.
소금을 먹는다는 것은 바닷물을 마시는 것과 같다. 사람의 양수는 바닷물과 같다.
소금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활인 영약이 될 수 있고, 살인 독 인이 될 수 있다. 바닷물 속에는 무서운 독극물과 중 금속류도 있기 때문이다.
소금의 염도가 낮은 소금일수록 생명체의 활성과 면역력을 높이고 생기를 완성하게 하는 죽어가는 세포를 살리는 역할을 한다.
소금은 생체의 해로운 미생물을 죽이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산소의 공급을 도우는 일을 한다.
소금의 제조.
소금은 염전의 소금물의 온도가 16 ~ 17℃일 때에 염화나트륨 농도는 가장 낮고 미네랄 성분은 가장 높은 소금상태로 응결한다. 18℃ 이상 염전의 온도가 올라가면 바닷물 속에 있는 중금속 독소 등이 온도에 영양을 받아 소금 원소 중심으로 엉겨 붙어서 독성을 가지는 소금으로 무정형의 강한 짠맛과 쓴맛을 가지는 소금이 된다. 즉 염화나트륨은 47 ~ 50% 미네랄이 53 ~ 50%의 소금이 생체에 우수한 소금이 된다.
좋은 소금은 저온에서 제조한 천일염으로 가마니에 담아서 서늘하고 바람이 잘 드는 곳에서 1년 이상 두면 무거운 간수는 아래로 흘러나오고, 산소를 많이 품은 좋은 소금이 된다. 천일염으로 제조한 소금은 80%가 염도이고 나머지 20%가 미네랄이다.
소금이 약이 되는 이유
소금은 몸속에 제독, 소염작용, 정혈작용, 신진대사 등의 기능 촉진 및 배설, 살균, 방부, 생신(세포의 회복), 체질개선, 항균작용을 한다.
해독작용으로는 한약재의 부자를 소금으로 법제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제독의 효과가 있고, 아침에 소금을 마시면 변비가 생기지 않는 것과, 나쁜 음식으로 위 속이 괴로울 때 더운 소금을 마시면 즉시 토하게 된다.
3,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스테비오사이드는 국화과(菊花科)의 다년생(多年生) 초본인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의 잎에 들어 있는 천연의 감미료로 설탕보다 200 ~ 300배 단맛이 더 강하다. 원산지는 파라과이로 파라과이에서는 스테비아를 단 풀(감로 kaah)이라 부르고 있으며 차, 커피, 홍차 등의 감미료로 이용하고 있다.
스테비아는 파라과이, 브라질 등 남미뿐 아니라 현재 중국, 태국, 대만 등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때는 재배한 적이 있었지만 가뭄과 장마에 취약하여 지금은 스테비오사이드 생산에 필요한 원료인 스테비아잎을 중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다.
마른 스테비아 잎에는 스테비아가 3 ~ 8% 함유되어 있으며 단맛이 설탕과 유사하다. 스테비아 건 잎이나 정제하지 않은 추출액은 이미 와 이취가 강하여 상품적 가치가 낮으므로 스테비아 잎을 뜨거운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정제하여 순도 높은 제품을 만든다. 그런데 순 품은 정제과정으로 인해 비용이 높아진다.
스테비오사이드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충치예방, 당뇨환자의 감미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에 사용할 때는 칼로리가 없으므로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이나 빙과류를 만들 때에는 설탕을 12 ~ 13% 첨가하는데, 이때 스 테비오사이드로 대체해 주면 칼로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청량감도 높일 수 있다. 어묵, 생선살 소시지, 조미건어물에 값비싼 솔비톨이나 인공감미료 사카린 대신 사용할 수 있으며 청량음료나 커피 또는 홍차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간장 등에 첨가하면 구수한 맛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비오사이드는 당이 아미노산과 일으키는 갈변 반응이 없어서 간장과 같은 장류의 가공에 적당하다.
스테비오사이드는 지금까지의 연구 조사결과 단맛은 있으나 부작용이 있었던 인공감미료와는 달리 아직까지 부작용이 드러나지 않은 안정성이 높고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고열에서 단맛을 유지하는 천연감미료다.
남미 원주민들의 경우에도 수백 년간 스테비아 잎을 말려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안정성을 의심할 만한 일이 없었고, 또 일본에서도 만성 독성시험을 한 결과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가 인공감미료와 설탕을 대신하여 사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g의 열량이 4칼로리로 매우 낮다.
4. 녹차(綠茶).
녹차는 동백나무 과에 속하는 카밀리아 시네시스 잎을 녹차라고 하고 녹차 잎을 발효한 것을 홍차라고 하고, 녹차의 성분은 카페인과 타닌계 물질인 폴리페놀(카테킨)에 의한 독특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차의 독특 한 맛을 내고 있다.
녹차의 성분은 차나무가 자라는 토양, 햇빛, 습도 등의 자연조건 및 찻잎 따는 시기, 제다 법, 보관상태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채취 시기가 빠른 차일수록 총 질소, 카페인, 비타민C,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많고 타닌은 늦게 딴 찻잎일수록 함량이 많다.
타닌 또는 폴리페놀(Polyphenol)은 6종류의 카테킨(Catechin)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 탕의 색깔과 향기, 맛을 크게 좌우하는 성분으로, 발효차보다는 여름이나 가을에 채취한 2 ~ 3번 차에 많으며 찻잎 중의 폴리페놀은 온화한 쓴맛을 내는 유리형 카테킨과 쓰고 떫은맛을 내는 에스테르 형 카테킨, 강한 쓴맛과 약한 떫은맛을 내는 결합형 카테킨이 있어 감의 타닌은 달리 단백질과 분리되어 입안이 텁텁하지 않다.
카테킨C15 H14 O6. 플라반-3-올의 대표적인 화합물로, 폴리페놀류 중 플라보노이드의 한 형태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플라보놀(Flavonols)의 한 형태로 타닌의 전구체이며, 바늘모양의 무색 결정이다.
플라보놀은 과일, 채소뿐만 아니라 음료 등에 존재하며 특히 양파에 퀘세틴의 형태로 0.3㎎/g, 녹차에 10 ∼ 25㎎/ℓ 포함되어 있다.
카테킨이 함유된 식품은 공통으로 약간 떫은맛이 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떫은맛을 내는 것을 우리는 타닌으로 알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카테킨이다. 카테킨은 주로 E C, E G C, E C G, E G C G의 4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E G C G가 50%를 차지하고 있다.
카테킨의 효능 최근의 연구에 의해 밝혀진 녹차의 효능을 살펴보면, 그야말로 녹차는 만병통치약이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중년 이상의 모든 사람에게 녹차는 좋은 친구이고, 의사 선생님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이다.
중국에서는 녹차를 의약품으로 사용해 왔고, 고대 희랍에서는 녹차를 감기와 기관지 천식에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끊임없이 두통으로 고생한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루이 14세 황제에게 궁중의사들이 녹차를 두통약으로 사용한 것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다.
녹차의 카테킨은 가장 근본적인 생리작용은 강한 환원성과 단백질의 결합성에 있고, 그 효과는 카테킨의 구조가 분자 중에 페놀성 OH기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찻잎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로는 식용유에 카테킨을 첨가한 결과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고, 또 그것은 카페인과 상승 작용을 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비타민E로는 효과가 없었던 콩기름이나 채종유 등의 식물성 유지와 어유에 대해 강력한 산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카테킨 성분은 항산화효과가 비타민E에 비해 무려 50배나 되고, 비타민C에 비해 100배에 달하기 때문에,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녹차 속의 비타민 항산화 효과비타민은 총 13가지 종류가 있다. 기름에 녹는 지용성과 물에 녹는 수용성으로 나뉘는데, 지용성 비타민 A, D, E, K를 제외하고는 모두 수용성이다.
이 중에 비타민 A, C, E는 다시 묶어서 항산화 비타민이라고 불린다. 우리 몸 안에서 생성되는 유해산소, 즉 활성산소를 없애는 항산화제의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를 음식물의 형태로 섭취해야 한다. 음식물은 소화과정에서 호흡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 산소와 세포 내에서 결합하는데 이것이 곧 산화이다.
이산화 과정에서 우리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라는 찌꺼기가 나오는데, 이것이 적당히 나오면 우리 몸 자체 내에서 흡수 처리되지만, 다량 방출이 되면 세포를 빠른 속도로 산화시킴으로써 세포를 병들게 한다.
우리 몸이 노화가 된다는 것은 철이 녹슬듯이 산화가 진행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항산화 비타민과 같은 항산화 물질을 다량 섭취하면 불필요한 활성산소를 우리 몸에서 제거하고 세포를 건강하게 지켜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각종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를 비롯한 대표적인 성인병과 암 등은 항산화 물질이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이므로 비타민 C를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을 복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스코르빈산은 강력한 생물학적 환원제로 작용하고 콜라겐 형성, 도파민, 노에피네프린, 트립토판 등 신경전달물질의 합성, 카르니틴과 스테로이드 합성, 철의 흡수, 면역기능, 상처회복과 그밖에 엽산,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콜레스테롤, 포도당 대사에도 관여한다.
아스코르빈산이 결핍되면 모세혈관이 쉽게 파열되고 피부, 점막, 내장기관, 근육에서 출혈이 생기며 체중감소, 면역기능감소, 상처회복지연, 고지혈증 빈혈 등이 나타난다.
아스코르빈산의 급원은 채소와 과일류이며 특히 높은 식품으로는 풋고추, 고추 잎, 피만, 케일, 양배추, 시금치 등의 야채와 키위, 오렌지, 딸기, 토마토 등 과일이 있다.
아스코르빈산의 구체적인 기능으로 비타민은 우리 체내에서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로서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체내에서 물질대사를 위한 촉매 작용을 하며 분해나 합성의 화학반응을 원활하게 하도록 촉진하여 생리기능의 조절을 한다.
아스코르빈산은 항산화촉진(抗酸化促進)의 대표적 기능을 가진 비타민이다. 아스코르빈산의 항산화 작용이란 자신은 산화되면서 상대방을 환원시켜주는 역할이다. 즉 이미 산화된 철, 구리 같은 물질을 환원시키면서 비타민C 자신은 산화된다.
이 과정은 산화되어 못쓰게 된 것을 없애버리고, 철분이나 구리 등의 성분이 장내에서 산화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이다. 또한,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E의 재생에 관여한다.
6. 천연 유기 유황(Natural Sulfur).
1. 유황은 질병치유의 오랜 역사가 있으며 광물질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金丹)의 주원료로 쓰여 왔을 만큼 그 약성이 매우 강 하다.
생체건강의 초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신비한 해독(解毒)작용을 가지고 있어, 이 유황이야말로 21세기의 필수 영양제라고도 한다.
2.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대체의학 병원에서는 유황을 항암제, 염증치료제, 통증완화제, 류머티스성 치료제, 우울증치료제, 피부 경화 치료제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3. 유명한 영양학자 칼 파이 퍼 박사는 유황이 생체(生體)에 필수영양소라 하였고 C.미첼 박사는 생체정화 및 해독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했다. 또한,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페니실린(Penicillin), 돌부타미드, 설파민, 페노티아진(Phenithiajine), 등에는 상당히 많은 유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조미료, 감미료, 표백제, 비료, 염료, 농약 등에도 유황성분이 이용되고 있는 사실을 볼 때 우리 생활에 여러 면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우리 몸에도 생체원소로서 수소(H), 산소(O), 질소(N), 유황(S), 나트륨(Na) 등 14종의 원소들은 주체적인 것들로서 그중 유황은 8번째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뼈나 피부, 머리카락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이로 인한 결핍으로 대머리, 손톱발톱의 각질화, 피부의 노화 등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5. 각종 암을 유발시키는 유해물질인 활성산소로 인해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켜 노화와 치명적인 암을 유발하는 독성이 강한 히드록시 레디 칼의 공격으로부터 D N A를 보호해주는 글루타티온과 세포를 활성화하고 종양을 괴멸시키는 면역세포 T N F를 증강하는 큰 역할을 이 유황성분이 한다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실험결과 그 효능을 발표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김치, 된장, 간장, 치즈, 요구르트, 등은 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Methionine)에 의해 발효된 결과물이다.
6. 생체의 표피층이 케라틴(Keratin) 단백질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주성분인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아 피부에 누적된 유해물질을 정화 해독해주는 작용을 유황이 한다.
또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콜라겐(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 관여하는 효소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을 유황성분이 붙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Beauty Mineral로 불릴 만큼 그 효능이 매우 크다.
7. 마늘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성분은 탁월한 해독작용이 있어 생선회를 먹을 때에 겨자와 함께 섭취하는 것도 음식물 중에 들어있는 독을 제거하고 살균을 위한 목적이다.
이와 같이 파와 마늘에는 다량의 유황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염증제거와 살균작용을 하고 장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가스와 노폐물을 배출하고 만성적인 숙변을 제거하여 몸 안을 깨끗이 한다.
8. 정자를 살린다. 유황은 인체의 '생명의 칩'이라 할 수 있는 세포 속의 세포인 미토콘드리아에 불을 지펴 주는 에너지원이다. 정자 구조를 살펴보면, 정자의 중간 부분의 섬유 초에는 전기 코일을 감아 놓은 듯한 미토콘드리아 나선이 치밀하게 감겨 있다. 이 섬유 초 속의 미토콘드리아 나선에 불을 지펴 주는 원소가 유황이다.
만약 정자 섬유 초의 미토콘드리아가 공해 독으로 인하여 상처를 입게 되면 정자는 기형화되고, 정자의 활동력은 떨어지게 된다. 물론 정자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유황은 공해 독으로 인하여 손상된 정자의 세포를 치료해 주어 죽어 가는 정자를 살리게 된다. 나아가 유황은 정자의 활동력을 증강하고, 환경 호르몬으로부터 정자를 보호한다.
9.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혈전 분해 작용으로 유황은 혈관 벽을 좁히는 주요인이 되는 콜레스테롤과 과산화 지질을 분해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유황은 뇌 혈전 등 성인병의 주원인이 되는 핏덩어리인 혈전을 녹이는 신비한 성질이 있다.
10. 뼈 강화 작용으로 유황을 장복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골수가 충만하게 된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 經)에서는 유황은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고, 탈모를 방지한다. 라고 쓰여 있다.
신정(腎精)을 충만케 하는 유황으로 유황이 신(腎)에 작용하게 되면 신정(腎精)이 충만하게 되어 뼈가 튼튼해지고 골수가 충만하게 된다. 실제로 오리에게 유황을 6개월 이상 먹인 유황 오리의 뼈는 유황을 먹이지 않은 일반오리의 뼈보다 훨씬 단단하여 좀처럼 깨지지 않는다.
11. 염증 제거와 살균 작용으로 유황은 염증을 삭히고, 살균력이 강해 수술 환자가 복용하게 되면 통증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수술 자국이 덧나지 않고 속히 새살이 돋게 된다.
12. 이뇨 및 변비 억제 작용 유황은 대장(大腸)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 가스와 숙변을 빼고, 온몸의 노폐물을 배출하여 몸 안을 깨끗이 청소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이뇨제로 유황 아미노산인 하이드로크로로티아지드(hydrochlorothiazide) 4가 쓰이고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따라서 유황은 변비, 숙변을 제거해 주고 이뇨 작용이 뛰어나다.
13. 유황은 피부병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어왔다. 또한, 피부병에 걸리면 비방의 하나로 유황 온천을 찾았다. 젊음의 징표는 탄력성이다. 유황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서로 결집(S-S)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피부에 탁월한 탄력성을 유지시켜준다. 피부에 누적된 유해 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시켜 준다.
또한, 세포조직의 활성화로 검버섯과 기미 등이 엷어지며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가 깨끗해진다. 1달 ~ 2달 사이에 확실히 다른 피부를 경험할 것이다.
14. 당뇨병을 다스리는 유황으로 인슐린 호르몬의 끈(S-S)을 이어주는 유황으로 인슐린 호르몬은 유황성분 없이 합성될 수 없다. 당뇨병 치료제톨부타미드(tolbutamide) 5의 주성분으로 들어가는 유황이다.
15. 우리 몸 안에는 해독력이 아주강한 유황 아미노산인 메탈로티오네인이 존재하고 있다. 메탈로티오네인은 포유동물의 경우 61개 ~ 62개의 많은 아미노산으로 엮어져 있는데, 군데군데 시스테인 유황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이 시스테인을 이루고 있는 일부 원소인 -SH이 여러 중금속과 이온결합 하는 특성이 있다. 결국, 메탈로티오네인 단백질은 중금속과 잘 결합하여 몸 안의 중금속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한편 독성이 혈액이나 뼈에 침투되지 않도록 재빨리 오줌으로 배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 밖에 우리 몸속에는 글루타티온(Glutathione. C10H17N306S) 유황 아미노산과 쓸개즙에 들어있는 해독작용을 하는 타우린(NH2CH2CH2SO3H)이라는 아미노산이 있다.
16. 천연 유기 유황의 작용으로 피부 미백, 부드러움, 기미, 탄력성(주름 탄력성) 및 피부 각질 제거 식물성 유황(천연 유기 유황/ Natural Sulfur)은 피부 조직의 기능성(주름 탄력성)에 깊이 개입되어있다.
17.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원소 중에는 유황이 있다. 유황의 필수아미노산인시스틴(Cystine),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이 있고, 그 외 티아민(Thiamine), 비오틴(Biotin), 리포산과 같은 비타민이 일부 유황 화합물에 속한다. 이중 메티오닌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식품으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에 속한다.
18. 의약제품의 1/4의 유황 성분으로 의학 박사 C. 미첼은 “유황 화합물의 생물학적 작용”이라는 책자에서 유황의 정화(淨化) 해독(解毒)작용이 수천 년간 알려져 왔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 제품의 1/4의 유황을 포함하고 있다. 라고 역설했다.
19. 피부조직(콜라겐)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유황은 젊음의 징표는 피부 의 탄력성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는 탄력성을 잃고 쭈글쭈글해 져 간다. 피부가 탄력성이 있느냐? 그렇지않느냐는 진피 층인 콜라겐의 기능성에 있다. 그래서 화장품 중에서도 가장 비싼 화장품이 콜라겐 기능성 화장품이다.
그럼 피부 조직에 탄력성을 주는 콜라겐(Collagen)과 유황 성분과의 관계를 알아보자. 콜라겐(Collagen) 분자는 사람의 몸속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써 3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콜라게 나아 제라는 효소가 있다. 이 콜라게 나아 제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 사슬을 마치 풀처럼 끈끈하게 엮어 주는 것이 유황이다.
다시 말하면 유황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결집(S-S)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콜라겐 기능적 작용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피부조직(케라틴 - 표피)에 침착된 유해 물질을 해독시켜 주는 유황 예로부터 광물질 유황은 피부병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어 왔다. 또한, 피부병에 걸리면 비방의 하나로 유황 온천을 찾았다. 피부는 인체의 외부와 내부 조직을 연결하는 통로로 자연 환경 조건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따라서 날로 심화하는 환경오염 속에서 피부 조직에 누적되어 가는 공해 독, 유해 물질을 해독시키는 것이 피부 건강의 선행 조건이다. 그것은 케라틴(Keratin) 단백질 구조의 주성분인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고 있다.
따라서 유황 성분은 피부 조직의 케라틴(Keratin)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주어 피부에 누적된 유해 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시켜 준다.
20. 21세기는 유황의 시대가 될 것으로 학자들은 주장하고 있고, 유황 캡슐이 항암제, 해독제, 근육통 치료제, 통증 완화제, 항우울제, 염증 치료제, 피부 외용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황을 주성분으로 하여 개발한 콜라겐, 영양 크림, 클린저, 스킨, 바디로션, 샴푸 등 유황 화장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
21. 유황은 인체 내에서 생리적 작용을 보면. 첫째, 유황은 통증 완화 작용이 강하다. 둘째, 유황은 염증을 삭히는 작용이 강하다. 셋째, 유황은 물질을 운반하는 성질이 강해 피부, 인체의 세포막 깊숙이 투과되어 약성을 발휘한다. 넷째, 유황은 혈관을 팽창시키고, 피의 흐름을 증강하는 작용이 강하다. 다섯째, 유황은 노화 방지 및 장의 연동 작용을 회복시켜 변비를 신속하게 회복시킨다. 여섯째, 유황은 결합한 형체 조직을 이루는 성분으로 콜라겐(Collagen)의 교차 결합 과정을 변화시켜 빠르게 흉터 조직을 감소시킨다.
22. S M의 발견(천연 식이 유황) -1930년 구(舊)소련 주코프박사 -1963년 제이콥 박사가 D M S O (Dimethyl Sulfoxide) 임상실험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23. 유황의 종류로 광물성 유황은 화산이나 지진 또는 유황온천과 같이 지하에서 표출된 토 유황으로 담황색을 나타낸다. 동물성 유황은 흔히 웅담이라고 일컫는 곰의 쓸개(돼지의 쓸개도 마찬가지)나 우황청심환의 주성분인 소의 담즙, 사향노루의 배꼽주변에서 채취한 사향을 말한다. 식물성 유황은 그 수를 헤아릴 수가 없지만 대표적인 것이 인삼 속의 사포닌, 같은 독특한 방향을 가진 채소나 약초 소 나무 등을 들 수가 있다.
24. 유황온천(硫黃溫泉)은 물 1ℓ에 유황의 성분이 1㎎ 이상을 함유하는 온천을 유황온천으로 구분하고, 법제유황을 마시거나 목욕을 하면 혈액 중에 구루타치온(Glutathion) 즉 항 산화물질의 생성을 촉진시켜 비타민의 농도가 높아져 해독 기능이 항진되고 피부를 부드럽게 된다.
※1972년 제이콥 박사와 허슐러 박사가 오래 곤 과학대학에서 12,000명에 이르는 임상실험을 거처 눈과 같이 하얗고 냄새가 전혀 없는 천연 유기(식이) 유황(Natural Sulfur/ M S M)을 개발 선진국에서는 식품으로 또는 의약계통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7. 카레 농축액
카레가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의 주성분이 울금으로 특유의 맛과 향이 티메릭이라는 향신료의 주성분이다. 각종 식품의 황색 착색제로 이용되기도 하는, 울금을 추출하여 농축한 것을 카레 농축액이라 한다.
인도에서는 신성시 여겨 기원전부터 제사와 여러 중요의식에는 빠짐없이 사용되어 왔고 16세기 명대의 이시진이 편찬한 본초강목에는 기와 혈의 막힘을 개선해 주며 모든 질병의 치유에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10세기경(에도시대) 일본에 전해진 카레(울금)는 오키나와 류규 왕조의 고가 지역특산물로 국가 전매품이었으며 (히미꼬의 비약) 또는 (홍법 대사의 보석)으로 불렸다.
현재 일본에서는 오키나와의 다화전신순이 울금고라는 논문을 쓴 것을 계기 로 울금의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수년 전부터 크게 붐이 일고 있다.
최근에는 인도, 일본, 대만, 미국, 유럽 등지의 세계 많은 연구기관들 사이에서 울금의 연구성과에 대한 라이선스 분쟁이 일어날 정도로 그 세계적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울금은 예로부터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애용되어 왔는데, 그것이 과학적으로 실증되는 동시에 항산화성분에 의한 살균 및 항암 등의 폭 넓은 작용을 하는 것이 밝혀지면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모으게 됐다.
울금의 항산화성분은 컬큐민이라고 하는 노란색 색소로서, 주요 작용은 간 기능을 개선하고 담즙의 분비를 활성화한다. 담즙의 분비는 콜레스테롤의 소비로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도 아울러 나타낸다. 또 컬큐민(Curcumin)은 유전자를 지키고 발암을 억제하는 작용도 있는데, 담배의 발암물질 작용을 50%나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한편, 울금의 정유성분도 다채로운 작용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담즙의 분비를 활발히 하는 동시에, 콜레스테롤 용해작용에 의해 담도 결석,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고, 건의작용 및 살균·항균작용도 뛰어나며 위궤양의 원인이 되는 파이로리균을 제 균하고 항암효과도 발휘한다.
울금(鬱金 심황)은 주로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서식하는 생강과의 열대관목인 울금(Curcuma longa)의 뿌리에서 얻을 수 있는 노란 가루다.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심황은 신성한 향신료로 취급되는데, 특히 인도에서는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차지하고 있다.
심황은 인도의 식생활에서 바질 수 없는 음식인데, 인도인들은 매일 1.5 내지 2g의 심황(울금 카레)을 소비한다.
적응증으로는 간염, 담도염, 황달, 위염, 생리불순,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 등 다양한데, 최근에는 특히 만성C형 간염을 포함한 간경화, 암, 당뇨병에 대한 효능에도 기대하고 있다.
8. 흑 마늘(Garlic) 농축액.
백합 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며 비늘줄기가 있는 다년생 식물. 예로부터 여러 나라에서 써왔으며, 양파 같은 냄새가 나고 찌르는 것과 같은 자극적인 맛이 있다.
미국에서 널리 쓰는 마늘은 유럽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가져온 것이다. 아시아가 원산지인 마늘은 이탈리아와 프랑스 남부에서도 야생상태로 자란다. 비늘줄기의 막질로 된 껍질이 식용의 으로 사용한다.
작은 비늘줄기는 마늘쪽을 감싸고 있고 때때로 꽃대가 비늘줄기에서 올라와 꽃이 피기도 하나 씨는 맺히지 않는다. 작은 비늘줄기를 심거나 또는 작은 비늘줄기의 끝 부분을 심어 번식시키며, 양파를 기르는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해마다 1번씩 경작한다.
마늘에는 정유(精油)가 약 0.1% 들어 있으며, 이 정유의 주성분은 2-황화 디알릴, 3-황화 디알릴 이다. 고대와 중세에는 의학적인 특성 때문에 높이 평가받았으며, 현대의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마늘의 많은 특성이 입증되었는데, 비늘줄기에 는 항생물질인 알리움이 들어 있어 방부제, 거담제, 장의 경련을 가라앉히는 진정제 효과를 나타낸다.
20세기 후반에는 순환계에 마늘의 효능이 의학적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고, 마늘에 정당한 습도와 온도를 주고 숙성하면 냄새가 적은 흑 마늘로 숙성되고 이것을 추출농축한 것이 흑 마늘 농축액이다.
마늘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나 이집트로 추정되며, 기원전 2천5백 년경 축조된 이집트의 피라미드 벽면에 노무자에게 나누어준 마늘의 양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을 거쳐 전래 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기원전 축조된 이집트의 피라미드 벽면의 기록에 따르면 피라미드 축조에 동원된 노예들에게 나누어준 마늘의 양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당시 노예들은 스태미나 증강을 위해 마늘을 먹는다고 전해진다. 고대 이집트 투탕카멘 왕의 금 황 묘지에서는 진짜 마늘 여섯 뿌리가 출토되었고, 중동지역의 일부다처제도의 정력제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마늘의 일반적인 성분으로 열량 165㎉, 인 50㎎, 수분 79%, 철 1.6㎎, 단백질 3.0g, 지방 0.5g, 비타민B1 0.33㎎, 비타민B2 0.52㎎, 탄수화물 당질 32g, 리보플라민 0.53㎎, 섬유 0.8g, 니아신 0.1㎎, 회분 1.3g, 아스코르브산 7㎎, 칼슘 32㎎, 폐기분 10% 등이다.
2002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10가지 건강식품에 포함됐고 미국 국립암연구소는 항암작용이 있는 48개 식품 중 마늘을 첫 번째로 선정했다. 마늘은 심장마비나 뇌졸중을 예방하는 효과가 크다.
마늘은 콜레스테롤 합성효소를 억제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L D L을 줄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 D L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가 하면 혈소판의 응집과 혈액응고를 억제하여 혈전을 방지해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이 있다.
암을 예방한다. 마늘은 세계가 인정하는 대표적 항암식품 중 하나로, 해마다 세계 각국에서 마늘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실례로 지난 9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영양학 교수 이론플라이샤워 박사는 역학조사결과 식사 때 마늘을 많이 먹는 사람은 위암과 결장암 위험이 각각 50%와 30%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뉴질랜드의 루아쿠라 농업연구소 연구팀도 동물실험에서 마늘의 장암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마늘 추출물을 사람의 종양에 이용해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수많은 동물실험을 통해 생마늘이 암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국내에서도 지난 99년 서울대 화학과 양 철학 교수팀이 마늘(Garlic)의 알리신(Allicin) 성분이 장암과 췌장암에 대해 항암효과를 갖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고, 동 대학 병리학교실 장 자준 교수도 마늘의 아릴 설파이드가 간암과 위암, 폐암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고려대 의대 비뇨기과 천준 교수도 마늘이 탁월한 전립선암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9. 홍삼(紅蔘)과 인삼(人蔘) 농축액
홍삼과 인삼의 효능은 사포닌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사포닌을 8가지 부위로 분류하면 홍삼의 주근(主根)을 10이라 할 때, 소형 홍삼은 12, 피부 백삼은 16, 뇌 두 28, 삼잎 30, 삼 피 35, 삼꽃 50, 세근(細根) 55로 홍삼의 부위에 따라 사포닌의 함량의 차이가 있어 세근이 사포닌 함량을 높다.
인삼과 홍삼의 부위별 사포니 함량은 별 차이가 없고, 이와 같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숙성 건조하면 홍삼이 되고 이와 같은 인삼 또는 홍삼을 추출하여 농축하면 농축액이 된다.
우리의 인삼과 홍삼 속에는 사포닌 32종으로 확인되고 다른 나라의 반정도 확인되었다. 인삼과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 및 항종양작용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인삼과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아답토겐(Adaptogen 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 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더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홍삼 또는 인삼에서 추출한 사포닌 성분을 이용해 동물 실험을 한 결과 고혈당 감소효과와 각종 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b 2는 당뇨병 동물의 고혈당을 억제하고 고지혈증의 개선 및 간의 단백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0. 고추농축액.
가지 과, 한해살이 식물, 채소. 키는 60㎝에서 90㎝ 정도.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은 길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여름에 작은 흰 꽃이 핌. 열매는 짙은 녹색이지만 익으면 빨갛게 되고 매운맛이 남. 잎은 나물로 먹고, 열매는 양념으로 쓰이고 이와 같은 고추를 씨와 같이 추출농축한 것이다.
고추는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권장되고 있고, 이 또한 캡사이신 덕택에 지방세포에 작용하여 몸속 지방을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매운 성분의 고추를 한 거 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에 반점이 생기고 위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위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고춧가루에 들어있는 캡사이신 성분이 췌장암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늦춘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피츠버그의대 메디컬센터 샌 제이 스리바스타바 박사팀은 췌장암을 일으킨 쥐를 대상으로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 성분을 먹인 결과 췌장암 세포의 자살을 유도함으로써 암의 진행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암 학회(A A C R)에서 발표됐다. 췌장암은 미국에서 5번째로 자주 발생하는 암으로 조기진단이 어려워 예후가 좋지 않은 암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연구팀 책임자인 스리바스타바 박사는 캡사 이신 성분이 암에 걸린 세포의 사멸을 유도했으며, 결과적으로 종양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 사람의 췌장암세포가 이식된 쥐에게 몸무게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캡사이신을 1주일에 5차례씩, 또는 1주일에 3차례씩 먹였다.
이 결과 캡사이신을 먹인 쥐들은 식염수만 먹인 대조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절반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상세포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스리바스타바 박사는 인터뷰를 통해 이번 실험결과를 볼 때 캡사이신 성분은 췌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 요법의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놀랍게도 캅사이신은 암 예방을 넘어 암전이 억제 작용의 발표는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 독성연구원의 김옥희 박사는 최근 식품의 안전성 연구 중 고추의 캅사이신이 동물실험을 통해 암 전이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쥐의 피부암이 폐로 전이되는 것을 막는 캅사이신의 효과를 발견했고 서 교수와 공동으로 그 작용 메커니즘을 알아냈다.
이 연구결과는 이탈리아 피사에서 열린 제8차 국제 항 돌연변이 및 항 발암 학회에 발표돼 전세계 관련 전문가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11. 콜라겐.
콜라겐은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상태의 경단백질(Albuminoid)입니다.
세포가 다수 집합되어 있는 부위에는 반드시 콜라겐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 뼈, 연골, 혈관 벽, 치아, 근육 등에는 콜라겐이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콜라겐은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콜라겐은 18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있고, 사람이 콜라겐 및 그 변성 물인 젤라틴을 섭취한 경우에는 다른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소화관 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대부분 아미노산의 형태로 흡수됩니다.
콜라겐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재생작용을 촉진시켜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다주고 동물에서 추출한 동물성 단백질 콜라겐이 수용성이 좋고 냄새가 없는 것이 시중에는 많다,
12. 식용유
식용유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기름을 말하는 것으로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동물과 식물 그리고 어류에서 얻어지는 기름 즉 지방산을 식용유라고 한다. t식용유에는 동물성 돈지(lard), 쇠기름(beef) 그리고 생선에서 얻어지는 어유(fish)도 모두 식용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 각각에 대한물리적 특성도 매우 다릅니다만, 식물성 기름은 대체로 상 온에서 액체인 반면, 동물성 기름은 고체인 경우가 많습니다. 색깔도 서로 달라서 팜유는 매우 붉은색, 콩기름은 맑은 투명한 색입니다. 그외에도 점도, 비중, 굴절률 조금씩 다릅니다.
지방산의 종류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이중 결합이 없는 지방산. 버터나 돼지기름 등의 동물성 지방에 들어 있으며, 상온에서는 고체나 반고체상태의 기름이다. 쇠기름, 돼지기름 등 모든 동물성 기름과 버터, 쇼트닝, 라아드, 식물성 기름 중 코코넛 기름과 팜유 등에 다량 포함되어 있다.
포화지방산을 다량 섭취하면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을 높여 심장질환의 발병률을 높인다. 불포화지방산 상온에서 액체상태의 기름으로 단가불포화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으로 구분한다.
다가 불포화지방은 오메가-3계 지방산과 오메가-6계 지방산으로 구분되며 다가 불포화지방산 중 오메가-3계 지방산은 참치, 고등어 등이 생선기름, 들깨기름, 콩류에 많고, 오메가-6계 지방산은 옥수수기름, 면실유, 콩기름, 해바라기 씨 기름 등에 다량 포함되어 있다.
단가 불포화지방산에는 올리브기름, 땅콩기름, 카 놀라 유 등에 많다. 불포화지방산의 역할단가 불포화지방산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질환의 발병 위험을 낮추게 된다.
다가 불포화지방산 중, 오메가-6계 지방산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출 수 있으나, 과량 섭취하면 혈액 내의 콜레스테 롤을 간으로 전달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콜레스테롤(일명H D L -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다.
오메가-3계 지방산은 혈액 내의 중성 지방 수치와 혈액이 엉키는 성질을 감소시켜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추게 한다.
오메가-3계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선의 종류는 주로 등 푸른 생선으로, 참치, 삼치, 꽁치, 고등어, 연어, 청어, 숭어, 정어리 등이 있고 일주일에 약 큰 셋 도막(250g정도)을 먹게 되면 효과가 있다.
식용유 종류
1. 참기름
참깨를 볶은 후 압력을 가해서 기름을 짜는 것으로 고소한 맛과 향을 지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용유입니다. 참기름은 조리할 때 처음부터 넣으면 향이 달아나기 쉽습니다. 조리의 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넣어 맛과 향을 살리는 것으로 무침, 볶음, 국, 양념장 등 두루두루 사용됩니다.
2. 들기름
들깨를 그대로, 혹은 볶은 뒤 압착해서 기름을 얻습니다. 들기름은 특유의 향이 있습니다. 실온에 두고 사용할 경우 변질하여 불쾌한 냄새가 나기 쉬우므로 반드시 냉장고에 넣어 두고 사용해야 하고, 무침이나 볶음에 사용되며 김을 잴 때도 많이 쓰입니다.
3. 콩기름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식용유로 노란 콩인 대두에서 짜낸 것으로 냄새가 없고 맛이 구수합니다. 발연점이 높아서 튀김에 많이 사용됩니다.
4. 면실유
목화씨를 찐 다음 압력을 가해서 짜내 만든 기름으로 발연점이 높아 튀김요리에 많이 사용해요.
5. 옥수수기름(옥 배 유)
옥수수의 배아를 눌러 짜서 얻는 기름으로 콩기름처럼 향이 없으며 맛이 고소하고 가정에서 콩기름과 더불어 가장 널리 쓰이는 식용유로 튀김이나 볶음 등에 쓰여요.
6. 유채 유(카 놀라 오일)
유채에서 짜낸 기름으로 색이 맑고 맛이 부드러우며 향이 거의 없어 콩기름이나 옥수수기름처럼 두루두루 사용하고,
특히 오메가 3 지방산이 많이 들어있어 영양으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발연점도 높아 튀김을 비롯한 거의 모든 요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럽인들이 즐겨 먹는다. 그래서 봄이면 유럽 내륙의 벌판은 바다 같은 노란 유채 꽃밭이 펼쳐진다. 고유의 맛과 향이 없고 담백하기 때문에 주로 샐러드용으로 인기가 높다.
그래서 씨받기(採種) 샐러드유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인 튀김, 볶음, 무침 요리도 무난하다. 낮은 온도에서 잘 굳지 않고, 빛에 강해 보관이 쉽다. 튀김을 하면 오랫동안 바삭바삭한 기운을 유지한다.
7. 홍화 기름
홍화씨로 만든 기름으로 홍화씨가 관절에 좋은 약재라 해서 홍화씨 기름 역시 건강식품 대접을 톡톡히 받고 있고,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이 풍부해서 그냥 먹어도 좋고 튀김이나 볶음용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약으로 쓰기도 하는 기름이다. 홍화는 흔히 잇꽃이라 불리는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 꽃은 부인병, 통경, 복통 등의 약재로 쓰이고, 열매에서 추출한 홍화씨 유는 리놀산이 풍부해 콜레스테롤 과다에 의한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치료에 좋다고 한다.
일부 다이어트 프로그램에서는 홍화씨 유를 그냥 복용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사전에 의사의 처방이 필수이겠지만. 통증완화 효과가 있어 스포츠 마사지용 오일로도 활용된다. 일반 식용유처럼 모든 음식에 두루 활용할 수 있다.
8. 해바라기 기름
해바라기 씨를 압착해 짜내 만든 기름. 비타민 A와 비타민 E가 풍부하고, 맛이 담백하고 깔끔해서 샐러드, 드레싱 용도로 사용해도 좋고 빵을 만들 때 버터 대신 반죽에 넣기도 한다.
비타민E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피부미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모든 음식에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무침 요리에 좋다.
9. 포도 씨 기름
포도 씨를 압착시켜 추출한 기름으로 물의 점도(끈적이는 정도)가 가장 비슷한 기름으로 콜레스테롤이 없고 불포화지방산 다량함유, 건강에 유익하며 기름기가 적어 요리의 맛을 살려준다.
발연점이 높아서 튀김이나 볶음요리에 사용할 수 있고 샐러드, 드레싱 용도의 오일로도 적합하고, 포도 씨 기름으로 만든 드레싱은 올리브기름 등 다른 식용유로 만든 것보다 훨씬 담백합니다.
포도 씨 유의 오일 수율은 겨우 2 ~ 8%. 포도 0.5톤에서 500㏄ 정도만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값이 비싸다. 비타민을 많이 함유해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좋다고 한다. 오메가 6으로 잘 알려진 리놀레익 산이 많아 건강기능식품으로 대접받고 있다.
향이 거의 없고, 물처럼 묽기 때문에 비빔밥 등의 음식 풍미를 높이거나, 식 재료를 그냥 찍어 먹는 소스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담백한 동양식 샐러드 소스로는 적당하다. 발열 점이 높아 고온에서도 연기가 잘 나지 않고, 산화가 늦게 진행되기 때문에 튀김용으로 좋다. 튀긴 뒤에도 식 재료의 본 맛이 잘 살아난다.
10. 올리브유
구약성서에 기록돼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을 받는 식용유이다. 전량 수입품으로 주로 지중해 연안과 미국에서 가져온다.
대부분 가장 단순한 채유법인 압착법으로 얻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트랜스 지방의 염려가 없다. 노화방지, 성인병 예방,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지면서 우리 부엌에 급속히 보급됐다.
올리브유는 흔히 세 가지로 분류된다. 가장 고급인 엑스트라 버진은 샐러드의 드레싱에 어울리는 오일. 빵을 찍어 먹어도 좋다. 쉽게 타기 때문에 튀김이나 볶음에는 사용하지 않고 풍미가 강해 한식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다음 단계인 파인 버진은 열에 강해 모든 요리에 두루 사용할 수 있고, 그 아래 단계인 퓨어는 발열 점이 높아 부침이나 볶음이 적당하다.
신선한 열매만을 선별하여 세척한 후, 열을 전혀 가하지 않은 상태로, 압착하여 짜낸 오일이 바로 EXTRA VIRGIN 오일이다. 이 EXTRA VIRGIN은 올리브 고유의 색깔인 짙은 푸른색을 띄고 있고, 어떤 분들은 아주 짙은 푸른 색깔이 좋은 품질이라고 잘못 이해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푸른 색깔의 농도는 열매 종류에서 오는 차이 일뿐 품질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하고, 산도가 10% 이하이기 때문에 신맛은 거의 없는 편이고 EXTRA VIRGIN 은 올리브 고유의 맛과 향이 있다.
올리브유가 담긴 제품의 병을 흔들어 보아 걸쭉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아야 하고, 올리브오일을 유럽에서는 그냥 한두 스푼씩 먹기도 하는 것으로 그 정도로 건강에 좋은 식품이라는 뜻이죠.
파인 버진 올리브유(Fine Virgin Olive Oil) 엑스트라 버진과 마찬가지로 최상품 올리브를 처음 짠 오일. 그러나 산도가 2% 이하로 약간 높다. 일반 버진 올리브유(Ordinary, Standard Virgin Olive Oil) 위의 두 종류보다 약간 품질이 떨어지는 올리브를 짜낸 것이지만, 첫 번째 짜낸 기름이란 점은 똑같다.
산도는 3.3%이다. 퓨어 올리브유(Pure Olive Oil)정제 올리브유를 압착, 버진 올리브유와 섞어서 만든 것으로 압착 버진 올리브유를 얼마나 섞느냐에 따라 맛과 향에서 차이가 난다. 부침이나 튀김에 적당하다.
색이 밝은 편이다. 정제 올리브유(Pure Olive Oil)는 두 번째 짠 올리브유를 정제한 것으로 정제 과정에서 고온 처리되어 맛과 향이 거의 없고, 정제는 잡맛을 제거하고 산도는 낮춘다.
11. 호두 유
호두의 종(실)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동맥경화 예방, 관절기능 강화, 자양강장, 천식 치료 등 여러 질환에 두루 쓰이는 약 식용유. 호두 속살의 생김이 뇌를 닮아서일까. 머리 좋아지는 식용유로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오메가 3, 6등 필수지방산이 많아 허언은 아닌 듯. 고유의 고소한 뒷맛이 있어서 샐러드 드레싱, 무침 요리에 적당하고, 빵을 찍어 먹어도 좋다.
12. 겨 기름
쌀겨에는 12%의 기름이 있고, 이것을 미강 유라고 하고, 특징은 비검화물이 5% 정도 있고, 비검화물로 비타민E 계열 항산화 물질인 토코트리에놀, 감마 - 오리자놀베타 - 시스테롤이 있다. 토코트리에놀의 항산화효과는 토코페롤보다 40배 정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 한국인 지질 권장량
지방을 양적, 질적으로 바르게 섭취하기 위한 기준은 한국영양학회에서는 한국인들을 위한 지방 섭취 수준을 다음과 같이 권장하고 있다.
△성인의 경우에 지방은 총 섭취열량의 20%를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지방산의 균형을 이룬 섭취만 이루어진다면 건강한 성인의 경우에 지방섭취량을 총 열량의 15 ~ 25%의 범위에서 섭취해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임신 기와 수유기에도 지방섭취량이 조금 높아져도 별문제가 없으며, 다만, 만성질환의 이환율이 높은 노년기에는 지방섭취량을 성인의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균형을 이룬 섭취를 위하여 다중불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P / M / S)를 1 / 1 / 1의 비율로 한다.
△관상 동맥 심질환 예방을 위하여 성인은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1일 300㎎을 초과하지 않도록 권장한다.
※ 한국인 지질 섭취현황 및 질병 양상 최근 20여 년간 우리 국민의 식생활은 현저히 변화돼 지질섭취량은 꾸준히 증가 되어 왔으나 서구인에 비하면 아직 낮은 편이다.
200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 국민 1인 1일당 지방 섭취비율은 총 에너지 섭취량의 19.5%로서 95년 19.1%, 98년 19%와 유사했다. 80년대의 비교적 급격한 지방 섭취량 증가에 비해 90년대부터는 증가 추세가 둔화하고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지질 섭취 양상에 뚜렷한 변화는 없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지역이나 연령층에 따라 지방 에너지섭취비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 대도시지역은 지방 에너지섭취비가 20.1%, 읍, 면 지역은 16.6%로 나타났고, 일부 농촌지역은 10.7%에 불과했다.
또 연령층에 따라 아동 및 청소년기에는 23% 이상의 에너지를 지방에서 섭취했으나 50세 이상이 되면 15% 이하로 떨어졌고,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13.3%에 불과했다.
콩기름을 주로 섭취하는 사람은 지방산의 균형을 이루고 옥수수기름을 위시 한 다른 식용유를 주로 사용하면 지방산의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라면을 통한 지방 섭취량이 많고, 라면 제조에 주로 팜유를 사용하는 것도 불균형한 지방산 섭취를 초래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다.
※ 유지 산패.
유지 산패에 영향을 주는 외적 조건
1) 온도 - 온도가 높으면 화학반응이 촉진되고 낮으면 속도가 저하된다.
2) 산소의 양 - 유지의 산패에는 산소의 양이 극히 적어도 일어난다.
3)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신하면 심할수록 산패가 활발하게 일어난다.
4) 자외선 - 자외선에 가까운 파장의 광선은 유지의 산화를 촉진한다.
5) 항산화제 - 항산화의 기능을 함유한 성분이 부족하면 산패가 일어난다.
6) 산화촉진제 - 금속 및 이의 화합물의 용기를 사용하면 산패를 촉진한다.
※ 유지의 변 향.
대두 유 및 어 유는 탈취 정제 후 얼마 동안 저장하면 다시 비린 냄새를 갖는 경우가 있어나 이와 같은 현상은 산패와 다르며 원유의 냄새로 다시 돌아간다는 의미에서 변 향이라고 한다.
※ 산패란
유지(油脂)를 공기 속에 오래 방치해 두었을 때 산성이 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고, 맛이 나빠지거나 빛깔이 변하는 것으로 산패는 기름의 열화현상이고, 이것은 공기 속의 산소, 빛, 열, 세균, 효소, 습기 등의 작용에 의하여 유지가 화학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생기는 현상이다.
산패는 기름의 종류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일어나는 차이가 있으며, 버터나 야자유와 같은 휘발성의 글리세 리드를 많이 함유한 것은 빨리 산패한다. 산패의 반응기전은 글리세 리드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가수분해하면 각각 산화되어, 저급의 알데히드, 케톤, 지방산 등 불쾌한 냄새를 가진 물질을 생성하는 것이다.
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
본 발명은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로 세계적인 장수식품인 우리의 전통 김을 세계화하기 위하여 대륙과 문화에 합당한 조성물로 지역에 잘 알려진 산물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고객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한 것으로 인도 대륙은 카레, 일본과 중국은 고려 홍삼의 인지도를 김과 접목한 인삼 및 홍삼, 2천여 년 전부터 정력제로 사용한 마늘은 중동과 이슬람권, 천연 유기 유황을 개발하여 식품 의약에 여러 방면에 사용하는 유럽과 남미, 북미, 영어권 등으로 구분하여 습관과 문화에 편성된 김의 기능을 상승시키어 친근감을 준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조미 김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조미유의 산패를 녹차의 지용성 비타민과 카테긴 그리고 아스코르빈산으로 방지하여 유통기간을 연장하는 결과는 우리의 수산물인 김이 지구촌의 장수식품으로 합당한 가치를 개발한 것으로 무한한 성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가와 사회의 기여하는 이익은 매년 수천억의 경제적 효과와 산패 없는 조미 김으로 국민 건강에 기여하는 것은 또 다른 효과를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단맛에 의한 기호의 상승으로 소금의 량 즉 나트륨을 축소하는 새로운 향미의 조성물로 즉 짠맛을 대신하는 달콤한 향미로 소금을 10중량%를 줄인 것은 김이 장수식품으로 가치를 상승시키는 결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한 달콤한 소금의 효과는 조미 김에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효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결과다.
본 발명 바다에 생산된 해초인 김의 부족한 성분을 첨가물로 추가하여 더욱 완전한 식품으로 세계인의 기호와 건강증진에 합당한 새로운 조성물을 조상한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소금가루에 수분흡수력이 적고 표면 경화에 의한 피막을 형성하는 첨가물로, 도포하는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 소금의 조성물은, 소금의 수분흡수를 차단하는 새로운 효과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효과로 지방산의 산패를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효과다.
본 발명은 식용유의 여러 종류가 기지는 고유의 특성을 달콤한 소금의 향미가 조화롭게 조절하여 소금과 식용유의 향미를 개선하고 상승시킨 새로운 조성물의 조성기술을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실험한 결과를 관능적 평가에 의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33444999-PAT00001
상기의 실험은 동일한 방법에 의한 알루미늄 호일 포장으로 동일한 조건의 인큐베이터에 각각 5개의 조미 김 전장 포장 김을 넣고, 관능적 품질 차를 비교한 것으로 차이를 느낄 수 있을 때까지의 기한을 나타낸 것으로 색상의 변화와 향미의 변화를 종합하여 평균한 것이다.
상기의 실험에 나타난 것과 같이 녹차의 함량과 산패는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일반식용유보다 60% 증가하는 것으로 수출 제품은 생산자에게 막대한 이익을 제공하는 결과로 일반식용을 사용한 조미 김은 현재 180일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준하면 288일을 표기할 수 있고 이것은 산업적 경제적 효과는 너무도 큰 것으로 이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결과다.
Figure 112009033444999-PAT00002
상기의 전장 김을 9절로 절단한 도시락 조미 김을 3인 이상의 식구를 가진 10가정에 각각 10개씩 1가정 50개씩 지급하고 7일 지난 후에 대조군과의 가격 상시에 따라 구매지지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종합한 관능시음에 대한 결과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의 비율은 합계를 평균하여 백분율을 기록하고 백분율의 미달을 대조군의 지지도로 나타낸 것이다.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의 제 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의 제조방법(카레와 참기름을 사용한 인도 및 동남 아시아 용).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바다에서 자라는 해초인 엽상체 가공하여 종이처럼 얇게 떠서 말린 식품을 김 또는 해태(海苔)라고도 부르고 단백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을 함유하는 세계적인 장수식품인 마른 김을 주원료로 선정하고, 청정지역의 12월에서 1월에 채취하여 가공한 마른 김으로 전장(260㎜×190㎜) 1장의 중량 2g을 기준으로 선별하고, 천일염을 1년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가공한 소금을 선정하고, 고염(苦鹽) 즉 간수가 적고 짠맛이 적은 것으로 소금가루의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천연감미료로 항산화 기능과 자연의 단맛을 가진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고, 순도 5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기능과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카레농축액을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별하고, 식용유로는 참기름 선정하고, 착유 1개월이 내의 것으로 선별하고, 카테킨을 함유하는 녹차를 산패 방지 첨가물로 선정하고, 냉동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가루 녹차로 수분함량 13% 이하로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향미의 개선과 산패 방지 및 항산화기능을 기진 아스코르빈산을 선정하고, 순도 95%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했다.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 김 50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25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2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했다.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
신속한 수분의 증발을 위하여 정수 50중량%와 알코올 5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함량 50중량%의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스테비오사이드 5중량%와 카레농축액 5중량%와 상기 알코올혼합수용액 90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10분간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했다.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소금가루를 동력 60rpm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상단에 증기의 배출구가 있는 이중 볶음 솥에 넣고 휘저어면서 80℃로 가열하여 소금가루의 온도가 80℃ 이상 일 때, 이중 볶은 솥의 상단의 분무(噴霧) 구를 통하여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2㎏/㎠의 압력으로 30분간 분무하면서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이 소금가루에 착지 도포하고, 수분과 알코올을 열로 증발시키어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카레의 향미를 가지면서 달콤하고 짠 향미가 복합하여 어우러진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식용유는 제1공정에서 선정 선별한 식용유로 참기름을 60중량%와, 녹차 가루 39중량%와 아스코르빈산 1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분말혼합기에 넣고, 20분간 혼합하여 녹차 가루가 식용유를 흡수하고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새로운 생성물로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20℃ 이하의 서늘한 저장고에서 용기에 있는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일일 2회 팬이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를 뒤집고, 3일간 저온 숙성하면, 식용유가 녹차의 조직 속으로 침투하고 아스코르빈산과 흡수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공기를 차단하면서 녹차의 푸른색으로 변화는 숙성으로, 서로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므로 신선한 식용유를 지속하게 하고, 산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조성물로, 이때 새로운 조성물을 조금 혀에 되어보면 처음에는 식용유의 피막으로 느끼한 향미에서 입맛을 몇 번 다시면 녹차의 떫은맛과 아스코르빈산의 신맛과 식용유의 느끼한 향미가 어우러진 향미를 맛볼 수 있는 것은 녹차성분의 카테킨과 지용성 비타민E와 아스코르빈산이 녹아 함유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와 같이 숙성을 점검하는 방법에 의하여 생성하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 착유기에 74μ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넣고 1차 500㎏/㎠로 압력을 가하여 10분간 착유하고, 유압을 풀고, 1차 착유한 유 박을 상하로 뒤집고, 2차로 580㎏/㎠로 압력으로 12분간 다시 착유하는 것으로 압력계기의 압력이 60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착유하고, 1차와 2차의 수득 물을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액상혼합기에 넣고 5분간 혼합하여 푸른 색깔을 나타내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조성하여 이것을 비타 녹차 조미유라 했다.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마른 김 1매를 선별하고,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마른 김을 30℃ 이하의 2.5m의 전송 대 굴속을 5초간 지나면서 미열로 마른 김(2g 50중량%)을 넓게 펼치도록 하고, 계속하여 전송 대(傳送 帶)로 이송하면서 전송 대 위에 설치된 오일 도포(塗布) 기계의 량을 조절하는 개폐손잡이로 비타 녹차 조미유의 량을 조절하고, 자연낙하로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 녹차 조미유 (1g 25중량%)를 회전하는 롤에 낙하시키어 비타 녹차 조미유를 마른 김에 5초 동안에 균일하게 바르고, 소금 소금살포기에 의하여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달콤한 소금가루(1g 25중량%)를 균일하게 흩뿌림하고, 4m의 가열 전송 대의 1구간에서 400℃로, 2구간에서 380℃로, 3구간에서 360℃로 이송하면서 굽는 소요시간 10초로 굽는 과정은 동력 5마력으로 움직이는 조미 김 굽이 자동기계장치에 의하여 연속으로 조성하는 생성물은 1매의 4g 총중량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새로운 기능의 조미 김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전송 대를 다고 온 조미 김을 10매를 모아 절단기로 이송하고 용도에 따라 9절로 절단하여 알루미늄 호일 포장으로 상품화하는 것으로 국내의 카레의 마니아 또는 인도 및 동남아시아 수출상품으로 카레의 첨가로 접근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을 제조했다.
2.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의 제조방법(홍삼농축액 및 올리브유를 사용한 국내 마니아 및 일본과 중국 수출용).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바다에서 자라는 해초인 엽상체 가공하여 종이처럼 얇게 떠서 말린 식품을 김 또는 해태(海苔)라고도 부르고 단백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을 함유하는 세계적인 장수식품인 마른 김을 주원료로 선정하고, 청정지역의 12월에서 1월에 채취하여 가공한 마른 김으로 전장(250㎜×180㎜) 1장의 중량 1.8g을 기준으로 선별하고, 천일염을 1년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가공한 소금을 선정하고, 고염(苦鹽) 즉 간수가 적고 짠맛이 적은 것으로 소금가루의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천연감미료로 항산화 기능과 자연의 단맛을 가진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고, 순도 5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홍삼농축액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별하고, 식용유로는 올리브유 선정하고, 착유 2개월이 내의 것으로 선별하고, 카테킨을 함유하는 녹차를 산패 방지 첨가물로 선정하고, 냉동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가루 녹차로 수분함량 13% 이하로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향미의 개선과 산패 방지 및 항산화기능을 기진 아스코르빈산을 선정하고, 순도 95%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했다.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 김 45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40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했다.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
신속한 수분의 증발을 위하여 정수 25중량%와 알코올 75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함량 75중량%의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스테비오사이드 5중량%와 홍삼농축액 3중량%와 상기 알코올혼합수용액 92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30분간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소금가루를 동력 30rpm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상단에 증기의 배출구가 있는 이중 볶음 솥에 넣고 휘저어면서 80℃로 가열하여 소금가루의 온도가 80℃ 이상 일 때, 이중 볶은 솥의 상단의 분무(噴霧) 구를 통하여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1㎏/㎠의 압력으로 60분간 분무하면서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이 소금가루에 착지 도포하고, 수분과 알코올을 열로 증발시키어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홍삼기능과 향미를 가지면서 달콤하고 짠 향미가 복합하여 어우러진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식용유는 제1공정에서 선정 선별한 식용유로 올리브유를 40중량%와, 녹차 가 루 58중량%와 아스코르빈산 2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분말혼합기에 넣고, 30분간 혼합하여 녹차 가루가 식용유를 흡수하고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새로운 생성물로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20℃ 이하의 서늘한 저장고에서 용기 있는 비타녹차혼합식용을 일일 2회 팬이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를 뒤집고, 10일간 저온 숙성하면, 식용유가 녹차의 조직 속으로 침투하고 아스코르빈산과 흡수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공기를 차단하면서 녹차의 푸른색으로 변화는 숙성으로, 서로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므로 신선한 식용유를 지속하게 하고, 산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조성물로, 이때 새로운 조성물을 조금 혀에 되어보면 처음에는 식용유의 피막으로 느끼한 향미에서 입맛을 몇 번 다시면 녹차의 떫은맛과 아스코르빈산의 신맛과 식용유의 느끼한 향미가 어우러진 향미를 맛볼 수 있는 것은 녹차성분의 카테킨과 지용성 비타민E와 아스코르빈산이 녹아 함유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와 같이 숙성을 점검하는 방법에 의하여 생성하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 착유기에 74μ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넣고 1차 500㎏/㎠로 압력을 가하여 10 ~ 14분간 착유하고, 유압을 풀고, 1차 착유한 유 박을 상하로 뒤집고, 2차로 580㎏/㎠로 압력으로 12 ~ 15분간 다시 착유하는 것으로 압력계기의 압력이 60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착유하고, 1차와 2차의 수득 물을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액상혼합기에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푸른 색깔을 나타내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조성하여 이것을 비타 녹차 조미유라 했다.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한 마른 김을 선별하고,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마른 김(1.8g 45중량%)을 30℃ 이하의 2.5m의 전송 대 굴속을 6초간 지나면서 미열로 마른 김을 넓게 펼치도록 하고, 계속하여 전송 대(傳送 帶)로 이송하면서 전송 대 위에 설치된 오일도포장치의 개폐손잡이로 량을 조절하는 기계에서 자연낙하로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 녹차 조미유 (1.6g 40중량%)를 회전하는 롤에 낙하시키어 비타 녹차 조미유를 마른 김에 5초 동안에 균일하게 바르고, 소금살포기에 의하여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달콤한 소금가루(0.6g 15중량%)를 균일하게 흩뿌림하고, 4m의 가열 전송 대의 1구간에서 420℃로, 2구간에서 400℃로, 3구간에서 380℃로 이송하면서 굽는 소요시간 12초로 굽는 과정은 동력 5마력으로 움직이는 조미 김 굽이 자동기계장치에 의하여 조성하는 총중량 4g의 생성물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새로운 기능의 조미 김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전송 대를 다고 온 조미 김을 5매를 모아 전장으로 알루미늄 호일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으로 내국의 마니아 및 일본 수출을 위한 생성물로 홍삼을 사용하여 접근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 는 조미 김 조성물을 제조했다.
3.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의 제조방법(흑 마늘농축액 및 포도 씨 기름을 사용한 국내 마니아 및 중동지역 및 이슬람 문화권 용).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바다에서 자라는 해초인 엽상체 가공하여 종이처럼 얇게 떠서 말린 식품을 김 또는 해태(海苔)라고도 부르고 단백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을 함유하는 세계적인 장수식품인 마른 김을 주원료로 선정하고, 청정지역의 12월에서 1월에 채취하여 가공한 마른 김으로 전장(260㎜×190㎜) 1장의 중량 2g을 기준으로 선별하고, 천일염을 1년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가공한 소금을 선정하고, 고염 즉 간수가 적고 짠맛이 적은 것으로 소금가루의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천연감미료로 항산화 기능과 자연의 단맛을 가진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고, 순도 5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흑 마늘농축액을 선정하고, 순도 60% 이상의 액상을 선별하고, 식용유로는 포도 씨 기름 착유 2개월이 내의 것으로 선별하고, 카테킨을 함유하는 녹차를 산패 방지 첨가물로 선정하고, 냉동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가루 녹차로 수분함량 13% 이하로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향미의 개선과 산패 방지 및 항산화기능을 기진 아스코르빈산을 선정하고, 순도 95%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했다.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 김 50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25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2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했다.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
신속한 수분의 증발을 위하여 정수 50중량%와 알코올 5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함량 50중량%의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스테비오사이드 6중량%와 흑 마늘농축액 4중량%와 상기 알코올혼합수용액 90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30분간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했다.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소금가루를 동력 60rpm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상단에 증기의 배출구가 있는 이중 볶음 솥에 넣고 휘저어면서 90℃로 가열하여 소금가루의 온도가 90℃ 이상 일 때, 이중 볶은 솥의 상단의 분무(噴霧) 구를 통하여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2㎏/㎠의 압력으로 60분간 분무하면서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이 소금가루에 착지 도포하고, 수분과 알코올을 열로 증발시키어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흑 마늘농축액기능과 향미를 가지면서 달콤하고 짠 향미가 복합하여 어우러진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식용유는 제1공정에서 선정 선별한 식용유로 포도 씨 기름을 40중량%와, 녹 차 가루 55중량%와 아스코르빈산 5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분말혼합기에 넣고, 30분간 혼합하여 녹차 가루가 식용유를 흡수하고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새로운 생성물로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20℃ 이하의 서늘한 저장고에서 용기 있는 비타녹차혼합식용을 일일 2회 팬이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를 뒤집고, 7일간 저온 숙성하면, 식용유가 녹차의 조직 속으로 침투하고 아스코르빈산과 흡수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공기를 차단하면서 녹차의 진한 푸른색으로 변화는 숙성으로, 서로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므로 신선한 식용유를 지속하게 하고, 산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조성물로, 이때 새로운 조성물을 조금 혀에 되어보면 처음에는 식용유의 피막으로 느끼한 향미에서 입맛을 몇 번 다시면 녹차의 떫은맛과 아스코르빈산의 신맛과 식용유의 느끼한 향미가 어우러진 향미를 맛볼 수 있는 것은 녹차성분의 카테킨과 지용성 비타민E와 아스코르빈산이 녹아 함유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와 같이 숙성을 점검하는 방법에 의하여 생성하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 착유기에 74μ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넣고 1차 500㎏/㎠로 압력을 가하여 14분간 착유하고, 유압을 풀고, 1차 착유한 유 박을 상하로 뒤집고, 2차로 580㎏/㎠로 압력으로 15분간 다시 착유하는 것으로 압력계기의 압력이 60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착유하고, 1차와 2차의 수득 물을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액상혼합기에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푸른 색깔을 나타내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조성하여 이것을 비타 녹차 조미유라 했다.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마른 김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마른 김(2g 50중량%)을 30℃ 이하의 2.5m의 전송 대 굴속을 6초간 지나면서 미열로 마른 김을 넓게 펼치도록 하고, 계속하여 전송 대(傳送 帶)로 이송하면서 전송 대 위에 설치된 오일도포장치의 개폐손잡이로 량을 조절하는 기계에서 자연낙하로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 녹차 조미유 (1g 25중량%)를 회전하는 롤에 낙하시키어 비타 녹차 조미유를 마른 김에 5초 동안에 균일하게 바르고, 소금살포기에 의하여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달콤한 소금가루(1g 25중량%)를 균일하게 흩뿌림하고, 4m의 가열 전송 대의 1구간에서 420℃로, 2구간에서 400℃로, 3구간에서 380℃로 이송하면서 굽는 소요시간 10초로 굽는 과정은 동력 5마력으로 움직이는 조미 김 굽이 자동기계장치에 의하여 조성하는 생성물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새로운 기능의 조미 김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전송 대를 다고 온 조미 김을 5매를 모아 절단기로 이송하고 용도에 따라 4절로 절단하는 것과 전장으로 알루미늄 호일 포장으로 상품화하는 것으로 대륙과 지역에 잘 알려진 산물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접근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을 제조했다.
4.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의 제조방법(천연 유기 유황 및 올리브유를 사용한 국내 마니아 및 북미, 남미, 유럽의 영어문화권 용).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
바다에서 자라는 해초인 엽상체 가공하여 종이처럼 얇게 떠서 말린 식품을 김 또는 해태(海苔)라고도 부르고 단백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을 함유하는 세계적인 장수식품인 마른 김을 주원료로 선정하고, 청정지역의 12월에서 1월에 채취하여 가공한 마른 김으로 전장(260㎜×190㎜) 1장의 중량 1.8g을 기준으로 선별하고, 천일염을 1년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가공한 소금을 선정하고, 고염 즉 간수가 적고 짠맛이 적은 것으로 소금가루의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천연감미료로 항산화 기능과 자연의 단맛을 가진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고, 순도 5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대륙과 지역과 문화에 부합하는 기능과 향미를 개선하는 첨가물로 천연 유기 유황을 선정하고, 순도 30%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고, 식용유로는 올리브유를 선정하고, 착유 2개월이 내의 것으로 선별하고, 카테킨을 함유하는 녹차를 산패 방지 첨가물로 선정하고, 냉동분쇄기를 통하여 분쇄한 가루 녹차로 수분함량 13% 이하로 입자 크기를 140μ ~ 74μ로 선별하고, 향미의 개선과 산패 방지 및 항산화기능을 기진 아스코르빈산을 선정하고, 순도 95% 이상의 분말을 선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했다.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 김 45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40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했다.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
신속한 수분의 증발을 위하여 정수 90중량%와 알코올 1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함량 10중량%의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스테비오사이드 10중량%와 유기 유황 또는 콜라겐 5중량%와 상기 알코올혼합수용액 85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30분간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했다.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소금가루를 동력 60rpm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상단에 증기의 배출구가 있는 이중 볶음 솥에 넣고 휘저어면서 100℃로 가열하여 소금가루의 온도가 100℃ 이상 일 때, 이중 볶은 솥의 상단의 분무(噴霧) 구를 통하여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2㎏/㎠의 압력으로 60분간 분무하면서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이 소금가루에 착지 도포하고, 수분과 알코올을 열로 증발시키어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천연 유기 유황의 기능과 향미를 가지면서 달콤하고 짠 향미가 복합하여 어우러진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식용유는 제1공정에서 선정 선별한 식용유로 올리브유를 40중량%와, 녹차 가루 59중량%와 아스코르빈산 1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분말혼합기에 넣고, 혼합량에 따라 시간을 선택하여 60분간 혼합하여 녹차 가루가 식용유를 흡수하고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새로운 생성물로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20℃ 이하의 서늘한 저장고에서 용기 있는 비타녹차혼합식용을 일일 2회 팬이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를 뒤집고, 10일간 저온 숙성하면, 식용유가 녹차의 조직 속으로 침투하고 아스코르빈산과 흡수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공기를 차단하면서 녹차의 진한 푸른색으로 변화는 숙성으로, 서로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므로 신선한 식용유를 지속하게 하고, 산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조성물로, 이때 새로운 조성물을 조금 혀에 되어보면 처음에는 식용유의 피막으로 느끼한 향미에서 입맛을 몇 번 다시면 녹차의 떫은맛과 아스코르빈산의 신맛과 식용유의 느끼한 향미가 어우러진 향미를 맛볼 수 있는 것은 녹차성분의 카테킨과 지용성 비타민E와 아스코르빈산이 녹아 함유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와 같이 숙성을 점검하는 방법에 의하여 생성하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 착유기에 74μ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넣고 1차 500㎏/㎠로 압력을 가하여 14분 간 착유하고, 유압을 풀고, 1차 착유한 유 박을 상하로 뒤집고, 2차로 580㎏/㎠로 압력으로 15분간 다시 착유하는 것으로 압력계기의 압력이 60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착유하고, 1차와 2차의 수득 물을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액상혼합기에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푸른 색깔을 나타내는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조성하여 이것을 비타 녹차 조미유라 한다.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마른 김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마른 김(1.8g 45중량%)을 30℃ 이하의 2.5m의 전송 대 굴속을 5초간 지나면서 미열로 마른 김을 넓게 펼치도록 하고, 계속하여 전송 대(傳送 帶)로 이송하면서 전송 대 위에 설치된 오일도포장치의 개폐손잡이로 량을 조절하는 기계에서 자연낙하로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 녹차 조미유 (1.6g 40중량%)를 회전하는 롤에 낙하시키어 비타 녹차 조미유를 마른 김에 5초 동안에 균일하게 바르고, 소금살포기에 의하여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달콤한 소금가루(0.6g 15중량%)를 균일하게 흩뿌림하고, 4m의 가열 전송 대의 1구간에서 400 ~ 420℃로, 2구간에서 380 ~ 400℃로, 3구간에서 360 ~ 380℃로 이송하면서 굽는 소요시간 10 ~ 15초로 굽는 과정은 동력 5마력으로 움직이는 조미 김 굽이 자동기계장치에 의하여 조성하는 생성물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새로운 기능의 조미 김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전송 대를 다고 온 조미 김을 10매를 모아 절단기로 이송하고 용도에 따라 9 절로 절단하여 알루미늄 호일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으로 대륙과 지역에 잘 알려진 산물을 첨가물로 사용하여 접근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을 제조했다.
상기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조성물을 세계화를 위한 지역 및 산물의 특성과 문화에 따라 차별적으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성한 조성물의 나타낸 표3 이다.
Figure 112009033444999-PAT00003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思想)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은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하는 해석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을 조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명세서의 발명 내용에서 과제 해결 수단에 나타나는 공정의 순서에 의한 도면이다.

Claims (3)

  1.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마른 김 50 ~ 45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25 ~ 40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25 ~ 15중량%를 포함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2.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것으로 마른 김, 비타 녹차 조미유, 달콤한 소금 가루를 선정하고 선별하는 단계와;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와;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공정은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로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은 총중량 을 기준으로 마른 김 50 ~ 45중량%, 비타 녹차 조미유 25 ~ 40중량%, 달콤한 소금 가루 25 ~ 1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성하는 원료의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와; 제3공정은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로 신속한 수분의 증발을 위하여 정수 25 ~ 90중량%와 알코올 75 ~ 10중량%를 혼합하여 알코올 함량 75 ~ 10중량%의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고, 제1공정에서 선정하여 스테비오사이드 1 ~ 10중량%와 카레농축액 또는 흑 마늘농축액 또는 인삼 또는 홍삼농축액 또는 고추씨 농축액 또는 천연 유기 유황 또는 콜라겐 1 ~ 10중량%와 상기 알코올혼합수용액 98 ~ 80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액상혼합기에 넣고 10 ~ 30분간 휘저어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4공정은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소금가루를 동력 5 ~ 60rpm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상단에 증기의 배출구가 있는 이중 볶음 솥에 넣고 휘저어면서 100±50℃로 가열하여 소금가루의 온도가 50℃ 이상 일 때, 이중 볶은 솥의 상단의 분무 구를 통하여 달콤한 알코올혼합수용액을 0.5 ~ 2㎏/㎠의 압력으로 10 ~ 60분간 분무하면서 휘저어 달콤한 소금가루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5공정은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식용유는 제1공정에서 선정 선별한 식용유로 참기름 또는 들기름 또는 콩기름 또는 면실유 또는 옥배 유 또는 카 놀라 오일 또는 홍화 기름 또는 해바라기 기름 또는 포도 씨 기름 또는 올리브유 또는 호두 유 또는 겨 기름을 40 ~ 90중량%와, 녹차 가루 59 ~ 5중량%와 아스코르빈산 1 ~ 5중량%를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분말혼합기에 넣고, 혼합량에 따라 시간을 선택하여 10 ~ 60분간 혼합하여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6공정은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비타녹차혼합식용유을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20℃ 이하의 서늘한 저장고에서 용기 있는 비타녹차혼합식용을 일일 2회 팬이 있는 막대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하를 뒤집고, 1 ~ 10일간 저온 숙성하여,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7공정은 착유하고 여과하여 조미유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숙성 비타녹차혼합식용유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디지털방식의 자동 유압 착유기에 74μ이하의 입자를 가진 여과 천을 넣고 1차 500㎏/㎠로 압력을 가하여 10 ~ 14분간 착유하고, 유압을 풀고, 1차 착유한 유 박을 상하로 뒤집고, 2차로 580㎏/㎠로 압력으로 12 ~ 15분간 다시 착유하는 것으로 압력계기의 압력이 60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착유하고, 1차와 2차의 수득 물을 동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액상혼합기에 넣고 5 ~ 10분간 혼합하여 비타 녹차 조미유를 조성하는 단계와; 제8공정은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로 제1공정에서 선정하고 선별한 마른 김을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마른 김을 30℃ 이하의 2.5m의 전송 대 굴속을 5 ~ 6초간 지나면서 미열로 마른 김을 넓게 펼치도록 하고, 계속하여 전송대로 이송하면서 전송 대 위에 설치된 오일도포장치의 개폐손잡이로 량을 조절하는 기계에서 자연낙하로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비타 녹차 조미유를 회전하는 롤에 낙하시키어 비타 녹차 조미유를 마른 김에 5초 동안에 균일하게 바르고, 소금살포기에 의하여 제2공정의 조성물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달콤한 소금가루를 균일하게 흩뿌림하고, 4m의 가열 전송 대의 1구간에서 400 ~ 420℃로, 2구간에서 380 ~ 400℃로, 3구간에서 360 ~ 380℃로 이송하면 서 굽는 소요시간 10 ~ 15초로 굽고 조미하여 새로운 조미 김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9공정은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전송 대를 다고 온 조미 김을 5 ~ 10매를 모아 절단기로 이송하고 용도에 따라 4 ~ 9절로 절단하는 것과 전장으로 알루미늄 호일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으로 조미 김을 계수하고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48812A 2009-06-02 2009-06-02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10115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12A KR101153596B1 (ko) 2009-06-02 2009-06-02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12A KR101153596B1 (ko) 2009-06-02 2009-06-02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26A true KR20100130126A (ko) 2010-12-10
KR101153596B1 KR101153596B1 (ko) 2012-06-11

Family

ID=4350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812A KR101153596B1 (ko) 2009-06-02 2009-06-02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983A (ko) * 2013-07-02 2015-01-12 김태윤 팜 오일코팅을 이용한 김 제조법
KR20160019667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다인소재 조미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혼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조미김용 식용유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854B1 (ko) * 2013-10-11 2015-07-30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KR101919461B1 (ko) * 2014-01-17 2018-11-19 주식회사 제이솔 김 조미용 마이크로 분쇄 소금 입자 함유 식용유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1676358B1 (ko) 2014-12-30 2016-11-15 김영창 굴 김의 제조방법
KR101869862B1 (ko) * 2015-04-17 2018-06-21 김지근 조미김용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6226B1 (ko) * 2018-11-01 2019-06-05 정완시 기능성 조미 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미 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177A (ko) * 2002-09-30 2002-11-30 손옥태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 성분이 함유된 저염도 기능성소금의 제조방법
KR20050024139A (ko) * 2003-09-05 2005-03-10 배병대 녹차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그 조미김
KR100812662B1 (ko) 2006-02-20 2008-03-11 주식회사 해맛 코팅 소금,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조미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983A (ko) * 2013-07-02 2015-01-12 김태윤 팜 오일코팅을 이용한 김 제조법
KR20160019667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다인소재 조미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혼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조미김용 식용유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596B1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596B1 (ko)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101139064B1 (ko) 달콤한 소금과 비타녹차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20100084594A (ko) 콜라겐 월드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KR101136576B1 (ko)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 콜라겐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새콤달콤한 소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82039B1 (ko) 천연 초와 천연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20110080686A (ko) 달콤한 향미의 미세(微細)한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마른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253342B1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7666B1 (ko)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072245B1 (ko) 달콤한 비타 조미유 조성물
KR101213322B1 (ko) 고소하고 달콤한 유황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6706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감귤(柑橘) 홍차(과일침출 차)
KR101253096B1 (ko) 야콘과 콜라겐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乾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6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복분자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3855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복숭아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KR2006006940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홍차(과일 침출차)
KR20080033829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망고 과일 침출 차
KR2006006385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살구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KR20060079781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멜론 녹차(과일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