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854B1 -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 Google Patents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854B1
KR101540854B1 KR1020130121210A KR20130121210A KR101540854B1 KR 101540854 B1 KR101540854 B1 KR 101540854B1 KR 1020130121210 A KR1020130121210 A KR 1020130121210A KR 20130121210 A KR20130121210 A KR 20130121210A KR 101540854 B1 KR101540854 B1 KR 10154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asoning
catechin
content
peri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93A (ko
Inventor
남희섭
김인환
문승은
김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3012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8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26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easoning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은, 들기름과,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와, 채종유와, 올레산을 함유한 해바라기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은 상기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염류 환경에 강하고 김 색소의 변색을 막을 수 있으며 산패 속도가 빠른 들기름의 리놀렌산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의 유통기한을 현재 2개월 수준에서 17개월 이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An oil for a seasoned laver which comtaining perilla oil and a seasoned laver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에 관한 것이다.
김(lavers, Porphyra sp.)은 홍조류 보리털과에 속하는 해조류이다. 김에 함유된 비타민 A의 함량은 14,000IU이며, 이는 쇠고기의 1,400배, 돼지고기의 70배, 당근의 3.5배에 달하며 비타민 A의 항암효과가 크게 부각됨에 따라 김의 가치 또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칼슘 함량은 390㎎으로 쇠고기의 100배, 돼지고기의 80배, 우유의 4배에 달하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또한,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EPA(eisasa pentaenoic acid) 함량이 전체 지방질 중 54.1% 이상을 차지하며, PGI3(prostaglandin I3)의 생성을 촉진하여 혈전을 방지하는 등 김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은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잘 부합하는 식품소재이다.
김은 주로 먹기좋게 구워진 조미김 상태로 판매되는데, 김의 가공기술과 포장의 발달로 조미김의 권장 유통기간은 6개월이나, 산가(Acid Value)는 4.0 이하, 과산화물가(Peroxidase Value)는 60.0 이하로 보존되도록 권장되고 있다. 일반적인 조미김의 제조방법은 김 원료에 대두유, 참기름, 들기름 등의 식물성 기름을 단일 혹은 두 종류 이상 혼합하여 도포한 후, 소금을 뿌린 상태에서 김구이용 터널(200~400℃)을 통과시키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통과된 조미김은 용도에 따라 9절, 6절 또는 전장의 형태로, 김의 바삭거리는 식감유지를 위해 방습제(실리카겔)와 함께 포장된다. 조미김에 쓰이는 식물성 기름의 함량(중량%)과 종류는 제조회사마다 다르나, 보통 40~50%의 범위이며, 요즘엔 건강을 추구하는 웰빙(Welling-being) 트랜드에 맞춰 기능성을 강조한 올리브유, 현미유 등을 추가하고 기름의 고소한 관능을 강조하기 위해 기름함량을 높인 고급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조미김은 연중 생산 및 소비되고 있어 저장유통에 따른 품질 저하의 우려가 크다. 이러한 조미김의 품질 저하의 주요인은 지방산의 산화이며 더욱이 조미김은 약 40~50% 정도의 식용유를 도포하여 수 초간 200℃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처리되므로 여러 화학반응이 수반되어 산화가 더욱 촉진된다. 조미김에 사용되는 옥배유, 참기름, 들기름 등의 식물성 기름에는 필수지방산인 리놀렌산(C18:2) 등의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영양적 가치가 뛰어나지만 산소 및 가열에 의한 산화가 쉽고, 원료 김 역시 전술한 대로 EPA 등의 고도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50% 이상 함유되어 있고 산화촉진제로 작용할 수 있는 클로로필이 400~700㎎ 함유되어 있어 지방질 산화를 촉진시키는 주요 인자로 작용한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물을 섭취하는 것은 동물성 포화지방산의 섭취보다 더 해로울 수 있으며 동맥경화의 발현, 간의 손상, 장내 종양의 증식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산패가 심한 조미김의 경우, 지방질 산화로 인해 수분증가율이 높아져 조미김 내에서 수분이 흐르는 현상이 높아져 식감 또한 현저히 낮아진다.
조미김 내의 유지의 산패를 지연시키기 위해 조미김에 항산화제의 첨가를 고려할 수도 있으나 항산화제 단가에 의한 원가상승과 고온의 김구이 온도(200~400℃)에서도 안정한 항산화제의 선택폭이 매우 좁아서 실제로 항산화제를 조미김에 적용하고 있는 제조업체는 전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조미김은 오일 함량이 48∼52% 정도이고, 나트륨의 비율이 2∼5% 함유되어 있어 오일과 염류가 만나게 되면 오일의 산패속도가 증진되며 특히 들기름이 20% 정도 함유된 조미김의 경우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 18:2) 비율이 60% 정도로 매우 높아 산패에 취약하다. 리놀렌산은 일반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에 비해 산패속도가 100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의 경우는 유통기한이 2-3개월만 되어도 산패취가 나거나 극성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여 수분흡습을 촉진하는 등 유통기한 관리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업체들은 조미김의 유통기한 관리를 함에 있어서 관능평가와 산가(Acid value),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 수치로 조미김의 품질평가를 진행하는데 모두 1차 산패지표로서 산패취 생성과 상관관계가 30∼40% 수준으로 매우 낮다. 그래서 조미김을 판매하는 회사에서 조미김의 품질수준 평가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통기한이 6개월인데도 불구하고 2개월 정도면 대부분의 시판 조미김에서 맛이 변하거나 산패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원인분석과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조미김의 유통기한 연장에 관한 업체의 연구가 거의 없었고 대부분 항산화제 종류와 처방량을 변경하는 단순한 방법만이 진행되어 왔다.
조미김은 수확시기에 따라서 chlorophyll, carotene 등 색소의 함량비 및 조성의 편차가 크고 이로인해 조미김의 유통품질 편차가 발생하며 해외 수출용 조미김의 경우는 여름철의 경우 50℃이상되는 컨테이너 박스에서 3일∼14일간 방치되어 품질이 변하게 된다.
조미김은 2∼5%의 정제염(NaCl, 99%) 또는 천일염(NaCl, 80%)이 첨가되는데 이런 염류는 지방산과 결합하여 지방산을 촉진하는 특성이 있어 염류에 대한 대안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조미김의 48%이상이 식용유지로서 맛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유통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맛과 향에 치중하여 2∼3종류의 오일을 배합하는 특성이 있어서 오일이 조미김에 최적화되었다고 볼 수 없고 상기의 문제점에 대한 대응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가끔 맛 변질과 유통기한 문제로 질소치환과 실리카겔 사용량 증량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조미김의 특성상 질소치환하여 포장이 불가능하고 실리카겔의 함량을 증량하여도 식용유지의 산패를 억제하는 효과가 거의 없어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기술 중에서 조미김에 적용된 기능성 소재로는 녹차(한국공개특허 제2005-24139호, 한국등록특허 제432532호), 인삼(한국등록특허 제412910호), 잣(한국등록특허 제448418호), 가시오가피(한국공개특허 제2005-74712호), 고추장(한국공개특허 제2005-64488호), 새우젓(한국공개특허 제2005-50271호), 다시마분말(한국등록특허 제477349호), 클로렐라(한국공개특허 제2003-55064호), 카레(한국등록특허 제346509호), 김치(한국등록특허 제346507호) 등이 있으나, 상기 소재들은 조미김의 풍미 또는 기능성 부여를 위한 것이 대부분이고 유통기한의 연장에 사용된 것들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미김의 색소 안정화, 염류 및 들기름의 리놀렌산에 의한 오일의 산패를 방지함으로써 조미김의 유통기한을 상온(25℃) 10개월 이상으로 연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은, 들기름과,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와, 채종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는, 카네킨 성분에 유기산을 혼합하여 지용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및 채종유의 함유량은 각각 0.2 ~ 0.3wt% 및 66.7 ~ 69.8w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에서 올레산을 함유한 고올레산해바라기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올레산해바라기유의 올레산 함량은 75%이상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해바라기유 및 채종유의 함유량은 각각 0.1 ~ 0.3wt%, 24.7 ~ 60wt% 및 9.7 ~ 45wt%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해바라기유 및 채종유의 함유량은 각각 0.25 ~ 0.30wt%, 24.7 ~ 30wt% 및 39.7 ~ 45w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은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에 적합한 지용성 항산화제를 개발하고 항산화제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 비율을 찾아내고 유기산을 지용화시켜 처방함과 동시에 염류에 강한 오일을 처방함으로써 유통기한을 향상시킨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온, 염류 환경에 강하고 김 색소의 변색을 막을 수 있으며 산패 속도가 빠른 들기름의 리놀렌산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의 유통기한을 현재 2개월 수준에서 17개월 이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델식의 통계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재현성 평가의 반복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은 재현성 평가결과에 기초한 공정능력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온환경에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항산화제를 개발하여 이를 조미김의 세균 및 색소 안정화를 위해 수용성인 유기산을 처방할 수 있는 것으로, 천일염 및 나트륨 등의 영향에 강한 지방산이 고농도로 함유된 식용유지를 선별하고 혼합비를 최적화함으로써, 최적의 조미김용 오일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조미김 용 오일이 처방된 조미김은 유통기한이 10개월 더욱 좋게는 12개월이상 품질 보증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 따른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은, 참기름과, 들기름과, 허브 추출물과,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와, 채종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기름은 참깨 및/또는 참깨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는, 상기 카테킨 성분에 유기산을 지용화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카테킨 성분을 지용성 항산화제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는, 상기 수용성인 카테킨(EGCG 45%이상)을 지용화하여 지용성인 식용유에 잘 혼합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카테킨은 수용성이어서 카테킨 분말상태로 식용유에 배합할 경우 분산되지 않고 가라 앉아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식용유 또한 식품에 첨가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조미김의 세균 변성, 김색소 안정화, 항산화제 시너지효과, 식용유 열안정성 증가의 효과를 가지는 유기산 역시 수용성이어서 식용유에 첨가하면 바로 분리되어 가라앉는다. 특히 유기산은 식용유에 가라앉을 경우 식용유 사용 중 배관을 막아 생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카테킨과 유기산을 지용성인 식용유에 잘 용해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보통 항산화제 제조에는 주정을 잘 사용하지 않는데 주정(에탄올 95%)은 양쪽성 특성의 용매이어서 수용성인 카테킨과 유기산을 잘 용해하면서도 지용성인 식용유에 25% 이내에서 잘 용해되는 특성이 있다. 이점에 착안하여 주정을 15-20% 범위에서 카테킨과 유기산을 용해한 후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 지방산 에스테르와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두종의 유화제를 1:1 로 혼합하여 카테킨, 유기산, 주정을 지용화할 수 있다. 이때 두종류의 유화제는 1:1로 첨가하여야 유기산 및 카테킨의 침전없이 식용유에 잘 용해되어 조미김용 오일로 사용이 가능하다. 유기산은 100ppm 이상 식용유에 분산하면 유화시켜도 침전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기산의 첨가농도는 전체 식용유지 100% 기준으로 50-90ppm 되도록 처방할 수 있다.
특히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 지방산 에스테르의 순도가 낮거나 처방이 최적화 되지 않았을 경우 카테킨 항산화제를 식용유에 첨가하면 탁하게 분산되어 유화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유기산을 첨가시킴으로써, 상기 카테킨 성분이 상기 참기름, 들기름 및 채종유에 잘 녹아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일 예로 구연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를 첨부함에 따라서, 들기름에 함유되는 리놀렌산의 산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의 유통기한은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에는, 해바라기유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해바라기유는 염류에 강한 지방산에 해당하는 올레산이 풍부한 고올레산 해바라기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올레산 해바라기유는 올레산 함량이 75%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바라기유를 첨가함에 따라서, 조미김용 오일에 존재하는 지방산과 염류가 결합하여 지방산을 촉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의 유통기한은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의 각 성분들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유통기한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이하 각 성분들의 함량을 정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첨부한다. 본 실험은 Design Expert 8.0을 사용하여 혼합물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Rancimiat 892(swiss 제품)으로 유도기간을 측정하여 통계적 외삽법을 사용하여 유통기한을 예측한 것임을 밝혀둔다.
한편, 본 실험에 있어서 상기 참기름 및 들기름의 함량은 조미김 고유의 풍미를 보존하기 위해 고정 변수로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해바라기유 및 채종유는 실험 변수로 두고 실험하였다. 상기 고정 변수 및 실험 변수는 아래의 표 1 및 표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고정 변수
Factor 변수항목 함량[wt%]
A 참기름(참깨) 1.00
B 참기름(참깨분) 8.88
C 들기름 20.00
D 허브 추출물 0.12
합계 30.00 wt%
실험 변수
Factor 변수항목 최소값[wt%] 최대값[wt%]
E 카테킨 + 유기산 0 0.28
F 올레산 해바라기유 0 70.00
G 채종유 0 70.00
합계 70.00 wt%
상기 표 1 및 표 2에 따른 실험 결과의 일부를 제시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번호 A
[wt%]
B
[wt%]
C
[wt%]
D
[wt%]
E
[wt%]
F
[wt%]
G
[wt%]
AOM(110℃) [hr] 유통기한
[개월]
1 1.000 8.880 20.000 0.120 0.000 0.000 70.000 6.99 2.90
2 1.000 8.880 20.000 0.120 0.280 0.000 69.720 14.93 5.45
3 1.000 8.880 20.000 0.120 0.280 69.720 0.000 13.85 6.70
4 1.000 8.880 20.000 0.120 0.000 35.228 34.772 7.30 2.60
5 1.000 8.880 20.000 0.120 0.000 35.228 34.772 7.46 3.35
6 1.000 8.880 20.000 0.120 0.000 17.574 52.426 6.99 3.00
7 1.000 8.880 20.000 0.120 0.140 34.930 34.930 12.96 10.40
8 1.000 8.880 20.000 0.120 0.280 26.254 43.466 15.85 16.90
9 1.000 8.880 20.000 0.120 0.000 70.000 0.000 7.72 2.00
10 1.000 8.880 20.000 0.120 0.280 26.254 43.466 16.07 17.45
11 1.000 8.880 20.000 0.120 0.000 8.866 61.134 6.80 3.65
12 1.000 8.880 20.000 0.120 0.280 58.276 11.444 17.06 15.30
13 1.000 8.880 20.000 0.120 0.000 35.228 34.772 7.90 4.10
14 1.000 8.880 20.000 0.120 0.280 29.178 40.542 15.63 12.00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은,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 및 채종유(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된 조미김의 경우 약 5.45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가짐을 알 수 있다(실험 번호 2, 7, 8, 10, 12, 14의 결과 참조). 즉, 통상 유통기한이 2개월 채 안되는 들기름이 포함된 조미김에 비하여 높은 유통기한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에 올레산 해바라기유(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된 조미김의 경우 약 10.40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가짐을 알 수 있다(실험번호 7, 8, 10, 12, 14 참조).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에 포함되는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 올레산 해바라기유(F) 및 채종유(G)의 함유량은 각각 0.1 ~ 0.3wt%, 24.7 ~ 60wt%, 9.7 ~ 45wt%일 수 있다. 상기 함유량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된 조미김의 유통기한은 상기 표 3으로부터 약 10개월 이상임을 알 수 있다(실험 번호 7, 8, 10, 12, 14의 결과 참조).
특히,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을 구성하는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 올레산 해바라기유(F) 및 채종유(G)의 함유량이 각각 0.280wt%, 29.178wt% 및 40.542wt%인 경우, 조미김의 유통기한이 약 12개월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실험 번호 14의 결과 참조).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을 구성하는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 올레산 해바라기유(F) 및 채종유(G)의 함유량이 각각 0.280wt%, 26.254wt% 및 43.466wt%인 경우, 조미김의 유통기한이 약 17.45개월에 육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 번호 10의 결과 참조).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에 포함되는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 올레산 해바라기유(F) 및 채종유(G)의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각각 0.25 ~ 0.30wt%, 24.7 ~ 30wt%, 39.7 ~ 45wt%일 수 있다. 상기 함유량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된 조미김의 유통기한은 상기 표 3으로부터 약 12개월 이상임을 알 수 있다(실험 번호 8, 10, 14의 결과 참조).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에 포함되는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 및 채종유(G)의 함유량을 변경하여 수행한 추가 실험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표 4에서 나머지 배합비는 참기름 및 들기름을 첨가하여 총 100%가 되도록 하였음을 밝혀둔다.
항산화제(카테킨+유기산) 채종유 AOM(110℃)
0 70% 6.7 hr
0.1 69.9% 8.8 hr
0.2 69.8% 14.3 hr
0.3 69.7% 15.8 hr
0.4 69.6% 16.1 hr
0.5 69.5% 16.9 hr
1.0 69.0% 15.9 hr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의 함유량이 0.2wt% 미만인 경우, 항산화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다. 0.5wt%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산패촉진효과로 인해 항산화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에 포함되는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의 함유량은 0.2wt%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E)의 함유량은 0.2wt% ~ 0.5wt%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델식의 통계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계 처리 결과,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의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모델식(Model)은 p-value가 0.0055로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적합성 결여(Lack of Fit) 부분은 p-value가 0.3081로서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없게 나타나므로 오차의 문제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재현성 평가의 반복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조미김의 유통시 유통기한 12개월을 목표로 하여 설정된 하나의 실험 모델을 기준으로 총 8회의 반복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험 모델은, 참기름 10%, 들기름 20%, 허브추출물 0.12%,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0.28%,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29.14%, 채종유 40.46%로 실험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8회의 재현성 평가 결과, 유통기한을 12개월로 표시하기 위하여는, 110℃에서 15시간 이상 나와야 되는데 모두 15시간 이상을 나타냈으며, I-MR 관리도에서도 이상점이나 특이점 없이 모두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조미김용 오일의 유통기한 연장 효과는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재현성 평가결과에 기초한 공정능력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한 결과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 5와 같다.
Y DPMO Yield 종합수율 시그마 수준
Induction
Period
(IP)

977.49

99.91

99.91%

4.6σ
상기 표 5에서, IP는 식용유지가 산패되는 걸리는 시간(유도기간), Y는 설정 목표, DPMO(Defect Per Milion Oppertunity)는 백만 횟수당 결점수, Yield는 제조된 식용유가 양품(유통기한 10개월이상)일 확률(수율)을 나타낸다.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공정능력분석결과 불량률이 0.09%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조미김용 오일의 유통기한 연장 효과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들기름;
    에탄올 95%이상의 주정의 15~20% 범위에서 카테킨 및 유기산을 용해시켜, 상기 카테킨 성분에 상기 유기산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용액에 1:1 비율의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 지방산 에스테르 및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두 종의 유화제를 첨가하여 지용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채종유; 및
    올레산 함량이 75% 이상인 해바라기유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의 함유량은 0.2 ~ 1wt% 인 조미김용 오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해바라기유 및 채종유의 함유량은 각각 0.2 ~ 0.3wt%, 24.7 ~ 60wt% 및 9.7 ~ 45wt%인 조미김용 오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기반의 항산화제, 해바라기유 및 채종유의 함유량은 각각 0.25 ~ 0.30wt%, 24.7 ~ 30wt% 및 39.7 ~ 45wt%인 조미김용 오일
  8.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미김용 오일로 조미된 조미김.
KR1020130121210A 2013-10-11 2013-10-11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KR10154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10A KR101540854B1 (ko) 2013-10-11 2013-10-11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10A KR101540854B1 (ko) 2013-10-11 2013-10-11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93A KR20150042493A (ko) 2015-04-21
KR101540854B1 true KR101540854B1 (ko) 2015-07-30

Family

ID=5303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210A KR101540854B1 (ko) 2013-10-11 2013-10-11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161A (ko) 2022-09-28 2024-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들깨 고유 풍미와 고소함이 조화된 들기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45B1 (ko) * 2009-05-29 2011-10-14 전병균 달콤한 비타 조미유 조성물
KR101153596B1 (ko) * 2009-06-02 2012-06-11 전현철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45B1 (ko) * 2009-05-29 2011-10-14 전병균 달콤한 비타 조미유 조성물
KR101153596B1 (ko) * 2009-06-02 2012-06-11 전현철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93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Oliveira et al. Use of natural antioxidants in the inhibi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A review
Shirahigue et al. Agro-industrial wastes as sources of bioactive compounds for food and fermentation industries
Das et al. Application of nanoemulsion‐based approaches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muscle foods: A comprehensive review
Mishra et al. Use of antioxidants for enhancing oxidative stability of bulk edible oils: A review
Hygreeva et al. Potential applications of plant based derivatives as fat replacers,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s in fresh and processed meat products
Senanayake Green tea extract: Chemistry, antioxidant properties and food applications–A review
Aladedunye Natural antioxidants as stabilizers of frying oils
Naveena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pomegranate rind powder extract in cooked chicken patties
McBride et al. Comparative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and additives on sens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etail packaged beef
Prakash et al. Essential oils: a traditionally realized natural resource for food preservation
WO2009013757A1 (en) Composition for protecting oils and fat
KR101843423B1 (ko) 유지의 항산화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식용유 및 상기 식용유의 제조 방법
Madhujith et al.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plants oils
Machado et al. Vegetable oils oxidation: mechanisms, consequences and protective strategies
CN109022148B (zh) 四元复配抗氧化剂、其制备方法及用途
US20140248361A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and a process thereof
Bolognesi et al. Annatto carotenoids as additives replacers in meat products
Boskou Non-nutrient antioxidants and stability of frying oils
Al-Rimawi et al. Olive leaf extract as natural antioxidant additive of fresh hamburger stored at 4 C running title: antioxidants from olive leaves in hamburger
Chirinos et al. Antioxidants from Mashua (T ropaeolum tuberosum) Control Lipid Oxidation in Sacha Inchi (P lukenetia volubilis L.) Oil and Raw Ground Pork Meat
US9579301B2 (en) Organic emulsion comprising DHA and EPA
de Jorge Gouvêa et al. Natural antioxidants as strategy to minimize the presence of lipid oxidation products in canned fish: Research progress, current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Elama et al. Oleuropein from olive leaf extract as natural antioxidant of frozen hamburger
KR101540854B1 (ko) 들기름이 함유된 조미김용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미김
Ikhlas et al. Effect of cosmos caudatus, polygonum minus and bht on physical properties, oxidative process, and microbiology growth of quail meatball during refrigeration sto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