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792A - 타이밍 오프셋 및 블랭킹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 - Google Patents

타이밍 오프셋 및 블랭킹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792A
KR20100129792A KR1020107025047A KR20107025047A KR20100129792A KR 20100129792 A KR20100129792 A KR 20100129792A KR 1020107025047 A KR1020107025047 A KR 1020107025047A KR 20107025047 A KR20107025047 A KR 20107025047A KR 20100129792 A KR20100129792 A KR 2010012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ime interval
frame timing
wireless communication
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334B1 (ko
Inventor
팅팡 지
징 선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7Inter base stations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일양상에 있어서,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은 (i) 겹치지 않는 시간 간격들에서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함으로써 그리고 (ii) 그 오버헤드 채널들이 이웃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되는 그 시간 간격들 동안에 각각의 간섭성 기지국이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은 제 1 시간 간격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들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 및/또는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오프셋될 수 있는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들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상이한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밍 오프셋 및 블랭킹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본 출원은 2008년 4월 7일에 "RANGE EXTENSION WITH TIMING OFFSET"란 명칭으로 미국에서 가출원된 제 61/043,102호 및 2008년 5월 21일에 "LONG TERM INTERFERENCE AVOIDANCE WITH FORWARD LINK CONTROL BLANKING"란 명칭으로 미국에서 가출원된 제 61/055,130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그 두 가출원들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여기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반송파 FDMA(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UE들)을 위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UE들에 다양한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들은 이웃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으로 인한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그 간섭은 일부 UE들에게 강할 수 있어서 이러한 UE들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버헤드 채널들 상에서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해당 분야에서 요구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버헤드 채널들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여기서 설명된다. 기지국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UE들에 다양한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네트워크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채널 또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UE들에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오버헤드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채널, 제어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 등일 수 있다. 채널은 또한 신호, 전송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양상에서,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은 (i) 겹치지 않는 시간 간격들에서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함으로써 그리고 (ii) 그 오버헤드 채널들이 이웃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되는 시간 간격들 동안에 각각의 간섭성 기지국이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이는 UE들로 하여금 우세한(dominant) 간섭 시나리오들에서조차 기지국들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신뢰적으로 수신하도록 허용한다.
한 설계에 있어서, UE는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그 오버헤드 채널은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UE는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제 2 기지국은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타이밍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타이밍은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타이밍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 및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할 수 있거나, 동일한 시간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지국들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다른 방식들로도 정해질 수 있다.
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은 저-전력 기지국일 수 있고, 제 2 기지국은 고-전력 기지국일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은 비제한된 액세스를 가질 수 있고, 제 2 기지국은 제한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그 두 시나리오들에 있어서,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1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또한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기준 신호/파일럿들 및 어쩌면 데이터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2개의 기지국들에 의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심볼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6은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7은 시분할 다중화(TDM)를 갖는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8은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9는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11은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기지국 및 UE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이란 용어들은 종종 서로 바뀌어 사용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Figure pct00001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새로운 릴리즈(release)인데, 이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 상에서는 SC-FDMA를 사용한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란 명칭의 기관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3GPP2)"란 명칭의 기관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위에서 설명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서, 그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이 LTE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고, LTE 용어가 아래의 설명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도 1은 LTE 네트워크 또는 어떤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나타낸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eNB들(evolved Node 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으며,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 지리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셀"이란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eNB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B는 매크로(macro) 셀, 피코(pico) 셀, 펨토(femto)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매크로 셀은 비교적 큰 지리 영역(예컨대, 반경이 수 킬로미터인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을 통해 UE들에 의한 비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을 통해 UE들에 의한 비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 영역(예컨대, 홈(home))을 커버할 수 있으며, 펨토 셀과의 연관성을 갖는 UE들, 예컨대 CSG(closed subscriber group)에 속하는 UE들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을 위한 eNB는 매크로 eNB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을 위한 eNB는 피코 eNB로 지칭될 수 있다. 펨토 셀을 위한 eNB는 펨토 eNB 또는 홈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및 102c)을 위한 매크로 eNB들일 수 있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을 위한 피코 eNB일 수 있다. eNB(110y)는 펨토 셀(102y)을 위한 펨토 eNB일 수 있다.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이 상이한 전송 전력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매크로 eNB들은 높은 전송 전력 레벨(예컨대, 20 와트)을 가질 수 있는데 반해, 피코 및 펨토 eNB들은 낮은 전송 전력 레벨(예컨대, 1 와트)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이다. 업스트림 스테이션은 eNB, 다른 중계국 또는 UE일 수 있다.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은 UE, 다른 중계국 또는 eNB일 수 있다. 중계국은 또한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전송들을 중계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eNB들의 세트에 연결되어, 이러한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집합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backhaul)을 통해 eN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110)은 또한 예컨대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120)는 무선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흩어져 있을 수 있고, 각각의 UE는 고정적이거나 이동적일 수 있다. UE는 또한 이동국,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룰러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장치, 핸드헬드 장치, 랩톱 컴퓨터, 코들리스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서 eNB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eNB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eNB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도 1에서, 단일 화살표를 갖는 실선은 eNB로부터 UE로의 원하는 전송을 나타낸다. 단일 화살표를 갖는 점선은 eNB로부터 UE로의 간섭성 전송을 나타낸다. 업링크 전송들은 간략성을 위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LTE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다운링크에 대한 전송 타임라인이 무선 프레임들의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지속시간(예컨대, 10ms)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볼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정상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해서 L=7개의 심볼 기간들을 가질 수 있거나(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해서 L=6개의 심볼 기간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2L개의 심볼 기간들에는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LTE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동기 신호("PSC"로 표기됨) 및 2차 동기 신호("SSC"로 표기됨)가 정상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갖는 각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 각각(0 및 5)으로 심볼 기간들(6 및 5)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그 동기 신호들은 포착을 위해 UE들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은 4개의 연속적인 무선 프레임들의 슬롯 1의 4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 PBCH는 브로드캐스트 채널(BCH)을 전달할 수 있는데, 그 BCH는 자원 블록들의 수, 전송 안테나들의 수, 시스템 프레임 번호, 다른 시스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또한 전달할 수 있다.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물리 HARQ 표시자 채널(PHICH)이 각 서브프레임의 제 1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전송될 수 있는데, 여기서 1≤M≤3이다. 간략성을 위해서, 단지 PCFICH만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PCFICH는 PDCCH를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을 전달할 수 있다. PDCCH는 U들을 위한 그리고 다운링크 채널들을 위한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HARQ)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동기 신호들, PBCH, PCFICH, PDCCH 및 PHICH가 상이한 타입들의 오버헤드 채널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오버헤드 채널들이 또한 다운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LTE에서의 오버헤드 채널들은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Channel and Modulation"란 명칭으로 3GPP TS 36.211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공공연히 이용가능하다.
도 3은 동기 네트워크에서 2개의 eNB들(A 및 B)에 의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eNB들은 동기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서브프레임 0은 그 두 eNB들에 대해 대략 동일한 시간(T0)에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 eNB들의 PSC, SSC, PBCH 및 PCFICH는 시간적으로 정렬될 것이고(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들에서 서로 간섭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 예컨대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등을 갖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일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은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전송할 수 있고,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에 대한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UE는 다수의 eN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eNB들 중 하나는 UE를 서빙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B는 신호-대-잡음 비율(SNR), 경로손실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UE는 자신이 하나 이상의 간섭성 eNB들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는 우세한 간섭 시나리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우세한 간섭 시나리오는 범위 연장(range extension)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UE가 낮은 경로 손실 및 낮은 SNR을 갖는 eNB에 접속하는 시나리오이다. UE는 2개의 eNB들(X 및 Y)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eNB Y보다는 eNB X에 대해 더 낮은 수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NB X에 대한 경로손실이 eNB Y에 대한 경로손실보다 낮은 경우에는 UE가 eNB X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eNB X(피코 eNB일 수 있음)가 eNB Y(매크로 eNB 일 수 있음)와 비교해서 훨씬 낮은 전송 전력을 갖는 경우에 그러할 수 있다. UE가 낮은 경로손실을 갖는 eNB X에 접속함으로써, 정해진 데이터 레이트를 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대해서 더 적은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우세한 간섭 시나리오는 제한된 연관성으로 인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UE는 eNB Y에 가까울 수 있으며, eNB Y에 대해 높은 수신 전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eNB Y는 제한된 액세스를 가질 수 있고, UE는 eNB Y에 접속하도록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UE는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비제한된 eNB X에 접속할 수 있고, eNB Y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일양상에 있어서,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은 (i) 겹치지 않은 시간 간격들에서 상이한 eNB들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함으로써 그리고 (ii) 오버헤드 채널들이 이웃 eNB들에 의해 전송되는 시간 간격들 동안에 각각의 간섭성 eNB들이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이는 UE들로 하여금 우세한 간섭 시나리오들에서조차 eNB들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신뢰적으로 수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들 중 단지 일부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 오프셋이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통해, eNB의 프레임 타이밍이 다른 eNB의 프레임 타이밍에 대해서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오프셋은 각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0 및 5)으로 전송되는 PSC, SSC, PCFICH 및 다른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범위 연장 시나리오에서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에 대한 설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는, 고-전력 eNB(예컨대, 매크로 eNB)가 시간 T1에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저-전력 eNB(예컨대, 피코 또는 펨토 eNB)는 시간 T2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프레임 타이밍은 TSF _ OS의 오프셋만큼 제 1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는데, 그 TSF _ OS은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한 서브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은 고-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한 서브프레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예컨대, 저-전력 eNB의 서브프레임 0은 고-전력 eNB의 서브프레임 1과 시간 정렬될 수 있고, 저-전력 eNB의 서브프레임 1은 고-전력 eNB의 서브프레임 2와 시간 정렬될 수 있으며, 이후로 계속 이러한 방식으로 따른다.
고-전력 eNB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eNB는 훨씬 낮은 전송 전력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전력 eNB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해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저-전력 eNB는 고-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0 및 5)과 겹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9 및 4)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eNB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0 및 5)은 고-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1 및 6)과 겹칠 수 있다. 고-전력 eNB는 저-전력 eNB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해 높은 간섭들 야기할 수 있고, 따라서 서브프레임들(1 및 6)에서의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저-전력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수신하는 UE들은 고-전력 eNB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도 4b는 제한된 연관성 시나리오에서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에 대한 설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비제한된 eNB(예컨대, 매크로 eNB)는 시간 T1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예컨대, 펨토 eNB)는 시간 T2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예컨대, 다른 펨토 eNB)는 시간 T3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3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프레임 타이밍은 TSF _ OS의 오프셋만큼 제 1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는데, 그 TSF _ OS는 한 서브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 제 3 프레임 타이밍은 TSF _ OS의 오프셋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은 비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한 서브프레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제 1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한 서브프레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비제한된 eNB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을 통해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제한된 eNB들은 자신들의 근처에 가까이 있지만 자신들을 액세스할 수는 없는 UE들에 대해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UE들은 비제한된 eNB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제한된 eNB들로부터의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는 따라서 자신의 서브프레임들(9 및 4)에서의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서브프레임들(9 및 4)은 비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0 및 5)과 겹칠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자신의 서브프레임들(8 및 3)에서의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서브프레임들(8 및 3)은 비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0 및 5)과 겹칠 수 있다. 이어서, 비제한된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수신하는 UE들은 제한된 eNB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비제한된 eNB는 제 1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해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서브프레임들(1 및 6)로 전송할 수 있을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들(1 및 6)은 제 1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0 및 5)과 겹칠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제 1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해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서브프레임들(9 및 4)에서의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서브프레임들(9 및 4)은 제 1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0 및 5)과 겹칠 수 있다. 이어서, 제 1 제한된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수신하는 UE들은 제 2 제한된 eNB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비제한된 eNB는 제 2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해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서브프레임들(2 및 7)로 전송할 수 있을 수 있는데, 그 서브프레임들(2 및 7)은 제 2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0 및 5)과 겹칠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는 제 2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해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서브프레임들(1 및 6)에서의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서브프레임들(1 및 6)은 제 2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0 및 5)과 겹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제한된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을 수신하는 UE들은 제 1 제한된 eNB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이한 eNB들의 프레임 타이밍이 서로로부터 한 서브프레임만큼 오프셋되는 설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eNB들의 프레임 타이밍은 임의의 적절한 양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타이밍은 다수의 서브프레임들 또는 서브프레임의 프랙션(fraction)(예컨대, 슬롯)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으로 심볼 기간들 중 단지 일부 기간들에서 전송되는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심볼 오프셋이 사용될 수 있다. 심볼 오프셋을 통해, eNB의 프레임 타이밍은 다른 eNB의 프레임 타이밍에 대해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들(0 내지 M-1)에서 전송되는 오버헤드 채널들(예컨대, PCFICH, PHICH 및 PDCCH)의 충돌을 막기 위해서 심볼 오프셋이 사용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들(MBMS) 신호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들을 제외하고 각 서브프레임의 일부 지정된 심볼 기간들에서 전송될 수 있는 셀-특정 기준 신호 상의 간섭을 막거나 완화시키기 위해 심볼 오프셋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범위 연장 시나리오에서 심볼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에 대한 설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고-전력 eNB는 시간 T1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저-전력 eNB는 시간 T2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프레임 타이밍은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심볼 기간과 동일할 수 있는 TSYM _ OS의 오프셋만큼 제 1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 또는 지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프레임 타이밍은 TSYM _ OS만큼 제 1 프레임 타이밍에 비해 전진될 수 있다. 여하튼, 저-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은 고-전력 eNB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하나의 심볼 기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 고-전력 eNB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예컨대, PCFICH)을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eNB는 고-전력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3에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고-전력 eNB의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과 겹칠 수 있다.
저-전력 eNB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데, 그 심볼 기간 0은 고-전력 eNB의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과 겹칠 수 있다. 고-전력 eNB는 저-전력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전력 eNB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저-전력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는 UE들은 고-전력 eNB로부터 더 작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고-전력 eNB는 각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 정상 전력 레벨을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전력 eNB는 저-전력 eNB로부터의 데이터 채널 및/또는 간섭 신호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나머지 서브프레임에 대한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b는 제한된 연관성 시나리오에서 심볼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에 대한 설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비제한된 eNB는 시간 T1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는 시간 T2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시간 T3에서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3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프레임 타이밍은 TSYM _ OS의 오프셋만큼 제 1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는데, 그 TSYM _ OS은 하나의 심볼 기간과 동일할 수 있다. 제 3 프레임 타이밍은 TSYM _ OS의 오프셋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은 제 1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하나의 심볼 기간만큼 시프트될 수 있는데, 그 제 1 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은 비제한된 eNB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하나의 심볼 기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비제한된 eNB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제한된 eNB들은 자신들의 근처 가까이에 있지만 제한된 eNB들에 대한 액세스 불능(inability)으로 인해서 비제한된 eNB에 접속할 수 없는 UE들에 큰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한된 eNB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3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2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비제한된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는 UE는 제한된 eNB들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비제한된 eNB는 제 1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에 전송할 수 있을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제 1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3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 1 제한된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는 UE들은 제 2 제한된 eNB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제 2 제한된 eNB는 제 3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비제한된 eNB는 제 2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2에 전송할 수 있을 수 있다. 제 1 제한된 eNB는 제 2 제한된 eNB의 오버헤드 채널에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고, 따라서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 2 제한된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는 UE들이 제 1 제한된 eNB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상이한 eNB들의 프레임 타이밍이 서로로부터 하나의 심볼 기간만큼 오프셋되는 설계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eNB들의 프레임 타이밍은 오버헤드 채널(들) 상에서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임의의 적절한 양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타이밍은 만약 오버헤드 채널(들)이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전송된다면 M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의 결합이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오프셋이 특정 서브프레임들로 전송되는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볼 기간들에 전송되는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볼 오프셋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의 전송에 대한 설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고-전력 또는 제한된 eNB Y(예컨대, 매크로 eNB 또는 펨토 eNB)는 시간 T1에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저-전력 또는 비제한된 eNB X(예컨대, 피코 eNB)는 T2에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0의 시작을 갖는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프레임 타이밍은 TOS의 오프셋만큼 제 1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는데, 그 TOS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과 하나의 심볼 기간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eNB Y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예컨대, PCFICH)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다른 오버헤드 채널들(예컨대, PSC, SSC 및 PBCH)을 전송할 수 있다. eNB X는 eNB Y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eNB Y가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들 동안에 전송할 수 있다.
eNB X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0에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다른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eNB Y는 eNB X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eNB X가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는 시간 간격들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eNB X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는 UE들은 eNB Y로부터 더 적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eNB들은 단지 서브프레임 오프셋만을 활용하거나(예컨대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심볼 오프셋만을 활용하거나(예컨대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 양쪽 모두를 활용하거나(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다른 프레임 타이밍 오프셋을 활용할 수 있다. 상이한 eNB들 간의 프레임 타이밍 오프셋은 오버헤드 채널들이 전송되는 시간 간격들(예컨대, 심볼 기간들 및 서브프레임들), 높은 간섭이 관측되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 타이밍 오프셋은 임의의 지속시간 동안에 적용가능할 수 있으며, 영향을 받는 eNB에 예컨대 백홀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6의 설계들은 LTE 표준들을 변경하지 않고도 서브프레임들(0 및 5)로 각각의 eNB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예컨대, PSC, SSC 및 PBCH)의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6의 설계들은 LTE 표준들을 변경하지 않고도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0 내지 M-1)에 각 eNB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예컨대, PCFICH)의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a, 도 5a 및 도 6의 설계들은 또한 UE로 하여금 높은 간섭을 야기하는 고-전력 eNB의 존재 시에도 낮은 SNR을 갖는 저-전력 eNB에 접속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4b, 도 5b 및 도 6의 설계들은 제한된 eNB에 가까이에 위치한 UE로 하여금 비제한된 eNB 및 다른 제한된 eNB들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예컨대, PSC, SSC, PBCH 및 PCFICH)를 획득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상이한 eNB들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지만,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시분할 다중화(TDM)를 통해 상이한 심볼 기간들에서 자신들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간섭성 eNB는 또한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TDM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을 나타낸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고-전력 또는 제한된 eNB Y는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들(0 및 1)에서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또는 비제한된 eNB X는 (i) 심볼 기간들(0 및 1)에서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ii) eNB Y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다면 심볼 기간들(0 및 1) 동안에 전송할 수 있다. eNB X는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2에서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eNB Y는 eNB X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높은 간섭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심볼 기간 2에서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UE들은 eNB들(X 및 Y)의 오버헤드 채널을 더 적은 간섭을 통해 수신할 수 있을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은 eNB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의 양에 따라, eNB X 및/또는 eNB Y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eNB는 자신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임의의 수의 심볼 기간들이 할당될 수 있다. 심볼 기간들의 수는 오버헤드 채널들을 통해 전송할 정보의 양, 시스템 대역폭, 원하는 커버리지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eNB들은 자신들의 오버헤드 채널들이 시간적으로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이한 심볼 기간들이 할당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eNB들에 할당되는 심볼 기간들은 제어 포맷 표시자(CFI)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들을 위해 사용할 상이한 세트들의 심볼 기간들에 대해서 상이한 CFI 값들이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CFI 값은 시작 심볼 기간뿐만 아니라 eNB에 의해서 오버헤드 채널들을 위해 사용할 심볼 기간들의 수를 규정할 수 있다. 상이한 eNB들에 대한 할당되는 심볼 기간들(또는 CFI 값들)은 예컨대 백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들의 관점에서,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해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 및 상이한 심볼 기간들을 갖는 도 7의 설계는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해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 및 동일한 심볼 기간들을 갖는 도 5a 및 도 5b의 설계들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eNB XDML 프레임 타이밍은 도 7에서 eNB Y의 프레임 타이밍보다 2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나중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동작의 다른 양상들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이 eNB들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전송들이 서브프레임 0의 시작에 관련하여 제공되는 특정 시간 간격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들은 상이한 시간들에 전송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이 eNB들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겹칠 수 있거나 또는 겹치지 않을 수 있다. TDM을 통해, eNB X의 오버헤드 채널들(예컨대, PCFICH)은 서브프레임들(0 및 5)에서 eNB Y의 오버헤드 채널들(예컨대, PSC, SSC 및/또는 PBCH)과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eNB Y를 위해서 서브프레임들(0 및 5)이 예약될 수 있고, eNB Y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해 간섭을 야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러한 서브프레임들로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하는 것을 eNB X는 생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활용할 수 있다. O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개(K)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는데, 그 부반송파들은 톤들(tones), 빈들(bins) 등으로 일반적으로 또한 지칭된다. 각각의 부반송파는 데이터를 통해 변조될 수 있다. 인접한 부반송파들 간의 이격거리는 고정될 수 있고, 부반송파들의 총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1.25, 2.5, 5, 10 또는 20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 K는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일 수 있다.
eNB는 OFDM을 사용하여 심볼 기간에 K개의 총 부반송파들 모두나 혹은 이들의 서브세트 상에서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오버헤드 채널(들)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부반송파들로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거나 혹은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이한 eNB들은 (i) 겹치지 않는 시간 간격들에서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고, (ii) 다른 시간 간격들에서 다른 전송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eNB들은 TDMA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전송을 송신할 수 있는데, 이는 위의 파트 (i)는 수행할 수 있지만 파트 (ii)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7은 오버헤드 채널들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설계들을 나타낸다. 간섭 완화는 다른 방식들로도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이웃 eNB들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들로 인한 eNB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 상의 간섭인 제어-온-제어 간섭(control-on-control interference)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온-제어 간섭은 인접 eNB들의 오버헤드 채널들이 겹치지 않는 시간 간격들에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각 eNB의 프레임 타이밍을 오프셋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이한 eNB들의 오버헤드 채널들의 겹치지 않음은 도 4a 및 도 4b에서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도 5a 및 도 5b에서의 심볼 오프셋, 도 6에서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 또는 도 7에서의 TDM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들의 겹치지 않음은 다른 방식들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또한 이웃 eNB들로부터의 데이터로 인한 eNB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 상의 간섭인 데이터-온-제어 간섭(data-on-control interference)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도 4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 eNB들이 자신들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전송하는 시간 간격들에 각각의 간섭성 eNB가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온-제어 간섭이 완화될 수 있다. 높은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 eNB들은 자신들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간섭성 eNB는 다양한 방식들로 정해진 시간 간격에 데이터-온-제어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설계에 있어서, eNB는 시간 간격 동안의 자신의 전송 전력을 더 낮은 레벨 또는 어쩌면 제로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설계에 있어서, eNB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지정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eNB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작은 부분(예컨대, 심볼 기간 0)으로 제어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으며, MBSFN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에서 데이터 및 기준 신호들의 전송을 막을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식별할 수 있거나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설계에 있어서, eNB는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준 신호들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시간 간격 동안에 더 낮은 전력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4 설계에 있어서, eNB는 상기 eNB로부터의 높은 간섭을 관측하는 하나 이상의 UE들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을 공간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 예컨대, eNB는 영향을 받는 UE(들)의 방향으로 공간 널(spatial null)을 배치하기 위해서 사전코딩(pr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온-제어 간섭은 또한 다른 방식들로도 완화될 수 있다. 시간 간격은 PSC, SSC, PBCH, PCFICH 및/또는 다른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 시간을 커버할 수 있다.
이웃 eNB들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로 인한 eNB로부터의 데이터 상의 간섭인 제어-온-데이터 간섭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서, UE는 심볼 기간 13에 저-전력 eN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고-전력 eNB의 오버헤드 채널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제어-온-데이터 간섭은 다양한 방식들로 완화될 수 있다. 제 1 설계에 있어서, UE는 이웃 eNB들의 오버헤드 채널들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하는 데이터 심볼들을 버릴 수 있다. UE는 디코딩 처리에 있어 그 버려진 데이터 심볼들에 대한 소거(erasure)를 삽입할 수 있다. 소거는 '0' 또는 '1'일 동일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삽입된 소거들은 버려지는 데이터 심볼들이 디코딩 처리에 있어 어떠한 가중치도 제공되지 않게 할 수 있다. UE는 각각의 심볼 기간에 간섭을 추정할 수 있으며, 만약 추정되는 간섭이 충분히 높다면(예컨대, 높은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그 심볼 기간에 수신되는 데이터 심볼들을 버릴 수 있다. 제 2 설계에 있어서, eNB는 이웃 eNB들의 오버헤드 채널들로부터 높은 간섭을 갖는 심볼 기간들 내의 데이터 전송을 막을 수 있다. 도 5a의 예에서, 저-전력 eNB는 각 서브프레임의 심볼 기간 13에 데이터 전송을 막을 수 있다.
이웃 eNB들로부터의 데이터로 인한 eNB로부터의 데이터 상의 간섭인 데이터-온-데이터 간섭이 또한 발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들로 완화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서빙 eNB는 이웃 eNB들의 데이터로부터의 낮은 간섭을 가질 수 있는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자신의 UE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빙 eNB는 저-전력 eNB일 수 있고, 간섭성 eNB들은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력 eNB들일 수 있다. 서빙 eNB는 또한 비제한된 eNB일 수 있고, 간섭성 eNB들은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eNB들일 수 있다. 여하튼, 각각의 간섭성 eNB는 (i)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을 MBSFN 서브프레임들로 설정함으로써, (ⅱ)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전력을 충분히 낮은 레벨 또는 어쩌면 제로까지 감소시킴으로써, (ⅲ) 상기 서브프레임들에서 공간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및/또는 (ⅳ) 상기 서브프레임들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조치들을 수행함으로써, 그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은 eNB들 간의 협상에 기초하거나 혹은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각 eNB에서의 부하(loading), eNB들 간의 원하는 핸드오프 경계, eNB들에 의해 서빙되는 데이터 및/또는 UE들의 서비스 품질(QoS) 요건들 및/또는 우선순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은 영향을 받는 eNB들에 예컨대 백홀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는, 오버헤드 채널들 및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간섭 완화가 수행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한 간섭 완화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며, 오버헤드 채널들이 전송되는 시간 간격들만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간격들은 각각의 영향을 받는 서브프레임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을 상이한 eNB들에 할당함으로써 및/또는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간섭 완화가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eNB는 자신의 할당된 서브프레임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신의 UE들을 독립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갖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을 위해 전송될 수 있으며, 오버헤드 채널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처리(8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처리(80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또는 어떤 다른 엔티티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UE는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예컨대, eNB, 중계국 등)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812). 오버헤드 채널은 1차 동기 신호, 2차 동기 신호, PBCH, PCFICH, PDCCH, PHICH 및/또는 다른 채널들이나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또한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예컨대, eNB, 중계국 등)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OFDM 또는 어떤 다른 다중화 방식을 통해서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UE는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블록 814). 제 1 기지국은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제 2 기지국은 제 2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 오프셋에 대해, 제 1 프레임 타이밍이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예컨대, 도 4a에서의 서브프레임 0)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는, 심볼 오프셋의 경우, 제 1 프레임 타이밍은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예컨대, 도 5a에서의 심볼 기간 0)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의 경우, 제 1 프레임 타이밍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 및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예컨대, 도 6에서의 심볼 기간 0)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또한 제 1 및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예컨대, 도 6에서의 서브프레임 0)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TDM의 경우, 제 1 및 제 2 기지국들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시간 간격은 심볼 기간들(0 및 1)을 커버할 수 있고, 제 2 시간 간격들은 도 7에서 심볼 기간 2를 커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또한 상이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예컨대 각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0 및 5)과 같은 각 프레임의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로 제 1 및 제 2 기지국들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또한 각 서브프레임의 다수의 심볼 기간들의 서브세트로 제 1 및 제 2 기지국들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채널은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프레임들로 하나 이상의 특정 심볼 기간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의 제 2 전송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1 전송 전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은 비제한된 액세스를 가질 수 있고, 제 2 기지국은 제한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그 두 시나리오들에 있어서,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1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자신의 전송 전력을 낮춤으로써(어쩌면 제로까지), UE로부터 멀어지게 자신의 전송을 공간적으로 조종함으로써, 또는 오버헤드 채널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시간 간격을 커버하는 서브프레임을 설정함으로써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UE는 또한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그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정보의 타입은 오버헤드 채널의 타입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오버헤드 채널은 1차 및 2차 동기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그 각각의 기지국에 대해 검출할 수 있다. 오버헤드 채널은 또한 PBCH, PCFICH, PDCCH, PHI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오버헤드 채널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정보, 제어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UE는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과 겹치지 않을 수 있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816).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UE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신호는 제 3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4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UE는 제 1 기지국에 대한 채널 정보(예컨대, 채널 응답 추정, 채널 품질 추정 등)를 획득하기 위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9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900)는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912) -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914), 및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916) -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 -을 포함한다.
도 1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10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처리(100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또는 어떤 다른 엔티티에 의해서, 제 1 기지국(예컨대, eNB, 중계국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블록 1012). 그 오버헤드 채널은 위에서 설명된 채널들 및 신호들 중 임의의 채널 및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1 시간 간격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블록 1014). 그 오버헤드 채널은 또한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을 수 있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예컨대, eNB, 중계국 등)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오프셋의 경우,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그 두 기지국들에 대한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와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할 수 있다. 심볼 오프셋의 경우,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와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심볼 오프셋의 경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와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할 수 있거나,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와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TDM의 경우,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과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블록 1016). 제 1 기지국은 자신의 전송 전력을 더욱 낮게 할 수 있거나(어쩌면 제로까지), 하나 이상의 UE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자신의 전송을 공간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2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설정할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으로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그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으로는 전송하지 않는다.
제 1 기지국은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과 겹치지 않을 수 있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UE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블록 1018).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자신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11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1100)는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모듈(1112),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모듈(1114) -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제 1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듈(1116), 및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듈(1118) -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 -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1의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장치들, 하드웨어 장치들, 전자 컴포넌트들, 논리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이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기지국들/eNB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eNB(110) 및 UE(120)의 설계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기지국(110)에는 T개의 안테나들(1234a 내지 1234t)이 장착될 수 있고, UE(120)에는 R개의 안테나들(1252a 내지 1252r)이 장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일반적으로 T≥1 및 R≥1이다.
기지국(110)에서는, 전송 프로세서(1220)가 데이터 소스(1212)로부터 하나 이상의 UE들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며(예컨대,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1220)는 또한 제어기/프로세서(1240)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처리하며, 오버헤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TX)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프로세서(1230)는 데이터 심볼들, 오버헤드 심볼들, 및/또는 파일럿 심볼들(적용가능하다면)에 대해 공간 처리(예컨대, 사전코딩)를 수행할 수 있으며, T개의 변조기들(MOD들)(1232a 내지 1232t)에 T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2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서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다(예컨대, OFDM 등의 경우). 각각의 변조기(1232)는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예컨대, 아날로그로의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변조기들(1232a 내지 12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이 T개의 안테나들(1234a 내지 1234t)을 통해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UE(120)에서는, 안테나들(1252a 내지 1252r)이 기지국(11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수신된 신호들이 복조기들(DEMOD들)(1254a 내지1254r)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1254)는 수신된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할 수 있다(예컨대,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각각의 복조기(1254)는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그 수신된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예컨대, OFDM 등의 경우). MIMO 검출기(1256)는 모든 R개의 복조기들(1254a 내지 1254r)로부터 수신되는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그 수신된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며,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1258)는 검출된 심볼들을 처리하고(예컨대,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1260)에 제공하며, 오버헤드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된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12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를 통해, UE(120)에서는, 전송 프로세서(1264)가 데이터 소스(126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128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12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1266)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들(1254a 내지 1254r)에 의해서 추가로 처리되며, 기지국(110)에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는,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이 안테나들(1234)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1232)에 의해 처리되며,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1236)에 의해 검출되며, 또한 UE(120)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수신 프로세서(12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1240 및 1280)은 기지국(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한다. 기지국(110)에 있는 프로세서(12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도 10의 프로세스(1000)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다른 처리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지시할 수 있다. UE(120)에 있는 프로세서(12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도 8의 처리(800)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다른 처리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1242 및 1282)은 기지국(110) 및 UE(120)를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1244)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스케줄링된 UE들에 대한 자원 승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여러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기술 및 기법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체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여기서 설명된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여기서 설명된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이러한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결합에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따라서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내에 존재할 수 있다. ASIC 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에 이산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을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일예일뿐 비제한적으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러한 것들의 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앞선 설명은 어떤 당업자라도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된 예들 및 설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여기서 설명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로 제공될 것이다.

Claims (39)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시간 간격(interval)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및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 및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들(MBMS)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서브프레임으로 전송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으로는 전송하지 않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1차 동기 신호, 2차 동기 신호,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물리 HARQ 표시자 채널(PH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각 프레임의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각 서브프레임의 다수의 심볼 기간들의 서브세트에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1차 동기 신호 및 2차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1차 동기 신호 및 상기 2차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1차 동기 신호 및 상기 2차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제 3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제 3 시간 간격에 겹치지 않는 제 4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및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전송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1 전송 전력 레벨을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비제한된(unrestricted) 액세스를 갖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제한된 액세스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8.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및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고 ―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시간 간격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을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9.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 1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속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정수개의 심볼 기간들만큼 상기 제 2 기지국의 제 2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타이밍 및 상기 제 2 프레임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일한 심볼 기간 인덱스를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갖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은 상이한 심볼 기간 인덱스들을 갖는 겹치지 않는 심볼 기간들을 커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제 1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들(MBMS)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서브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으로는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1차 동기 신호, 2차 동기 신호,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물리 HARQ 표시자 채널(PH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6.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오버헤드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헤드 채널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2 시간 간격에서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2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제 1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및 상기 제 2 시간 간격과 겹치지 않는 제 3 시간 간격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3 시간 간격 동안에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07025047A 2008-04-07 2009-04-07 타이밍 오프셋 및 블랭킹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 KR101236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10208P 2008-04-07 2008-04-07
US61/043,102 2008-04-07
US5513008P 2008-05-21 2008-05-21
US61/055,130 2008-05-21
US12/410,355 US8335176B2 (en) 2008-04-07 2009-03-24 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US12/410,355 2009-03-24
PCT/US2009/039818 WO2009126658A1 (en) 2008-04-07 2009-04-07 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792A true KR20100129792A (ko) 2010-12-09
KR101236334B1 KR101236334B1 (ko) 2013-02-22

Family

ID=4113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047A KR101236334B1 (ko) 2008-04-07 2009-04-07 타이밍 오프셋 및 블랭킹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335176B2 (ko)
EP (1) EP2292046A1 (ko)
JP (3) JP2011518507A (ko)
KR (1) KR101236334B1 (ko)
CN (1) CN102047728B (ko)
AU (1) AU2009233848B2 (ko)
BR (1) BRPI0911166B1 (ko)
CA (1) CA2720566C (ko)
HK (1) HK1157566A1 (ko)
IL (1) IL208430A (ko)
MX (1) MX2010010997A (ko)
MY (1) MY154851A (ko)
RU (1) RU2467515C2 (ko)
TW (1) TWI388229B (ko)
WO (1) WO20091266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131A (ko) * 2012-09-28 2015-06-0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e-pdcch를 위한 pucch 자원 할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6541B2 (en) 2008-02-01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UTRAN enhancements for the support of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335176B2 (en) * 2008-04-07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KR101527978B1 (ko) *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547954B2 (en) * 2008-08-28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adapting number of advertised transmit antenna ports
US8059622B2 (en) * 2008-09-04 2011-11-15 Intel Corporation Multi-radio platfor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ctivities betwee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transceiver and co-located transceiver
US8170592B2 (en) 2008-09-12 2012-05-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timing acquisition i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KR101539777B1 (ko) * 2009-01-14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신호 전송 방법
WO2010087172A1 (ja) 2009-02-02 2010-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1313357B1 (ko) 2009-03-12 2013-10-0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요소 반송파 특유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00238888A1 (en) * 2009-03-19 2010-09-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8929303B2 (en) * 2009-04-06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and data channels for advanced relay operation
US9253651B2 (en) * 2009-05-01 2016-02-02 Qualco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detection of overhead channels and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JP4660609B2 (ja) * 2009-06-22 2011-03-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リレーノード
JP4749480B2 (ja) * 2009-06-22 2011-08-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リレーノード
CN101931599B (zh) * 2009-06-23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单频多播网络子帧及用户数据信道的发送装置及方法
CA2767214C (en) * 2009-07-06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additional broadca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08018A2 (ko) * 2009-07-14 201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링크를 위한 제어 포맷 지시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173810B1 (en) 2009-08-13 2019-1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sitioning measurements
WO2011031200A1 (en) * 2009-09-14 2011-03-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ing a subframe time offset when scheduling downlink data transmissions
US8457079B2 (en) 2009-10-05 2013-06-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JP5187909B2 (ja) * 2009-10-05 2013-04-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US9232462B2 (en) * 2009-10-15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ross-cell coordination and signaling
JP2011129976A (ja) * 2009-12-15 2011-06-30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9048993B2 (en) * 2009-12-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lanking
CN102792717B (zh) * 2010-01-11 2016-08-03 黑莓有限公司 针对异构网络的控制信道干扰管理
US8804586B2 (en) * 2010-01-1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extended PDCCH for heterogeneous network
EP2524464A1 (en) * 2010-01-12 2012-11-21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carrier aggregated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a transmit-receive-frequency gap band
US20130021999A1 (en) * 2010-02-03 2013-01-24 China Mobile Communications Corporation Networking method and device for frequency reuse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20110243056A1 (en) * 2010-03-31 2011-10-06 Yu-Chih Jen Method for realizing MBMS under bandwidth aggregation, CoMP and relay operation
JP5411782B2 (ja) * 2010-04-0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8489100B2 (en) * 2010-04-13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WO2011135719A1 (ja) * 2010-04-30 2011-11-0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移動局および通信方法
US8582505B2 (en) * 2010-05-2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decoding for multiple cells
US20110310858A1 (en) * 2010-06-16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US10375689B2 (en) * 2010-06-18 2019-08-06 Kyocera Corporation Control channel architecture with control information distributed over multiple subframes on different carriers
EP3226640B1 (en) * 2010-06-18 2018-12-12 MediaTek Inc. Method for coordinating transmission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US8824383B2 (en) * 2010-06-22 2014-09-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wnlink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20120026972A1 (en) * 2010-08-02 2012-02-02 Guowang Miao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ange expansion in a wireless network
US8483692B2 (en) 2010-08-06 2013-07-09 Kyocer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of common control information from multiple base stations
CN102378116B (zh) * 2010-08-17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节能小区的配置方法、装置及系统
US8768359B2 (en) 2010-08-20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Sample selection for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detection
WO2012041393A1 (en) * 2010-10-01 2012-04-05 Nokia Siemens Networks Oy Muting data transmissions
JP5473866B2 (ja) * 2010-11-08 2014-04-16 株式会社Nttドコモ 通知方法、ユーザ端末及び無線基地局
WO2012061982A1 (en) * 2010-11-10 2012-05-18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measurement signalling
WO2012081063A1 (en) * 2010-12-17 2012-06-21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configuration method of radio resources
US9635666B2 (en) * 2010-12-22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quiring sequenti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8724758B2 (en) 2011-01-06 2014-05-13 Marvell World Trade Ltd. Power-efficient variable-clock-rate DIGRF interface
US8787471B1 (en) * 2011-02-15 2014-07-22 Marvell International Ltd. Alignment of DigRF4 lane
JP5586513B2 (ja) * 2011-03-29 2014-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基地局間協調通信システム
US9226248B2 (en) * 2011-05-05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reserved cells and user equipments in an MBSFN environme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33364B2 (ja) * 2011-07-08 2015-12-1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US9185669B2 (en) * 2011-09-08 2015-11-10 Lg Electronics Inc. Synchronization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3056138A1 (en) * 2011-10-13 2013-04-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ata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5735127B2 (ja) 2011-11-03 2015-06-1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13067430A1 (en) 2011-11-04 2013-05-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wireless transmissions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ssociated with multiple timing advances
US20130114571A1 (en) * 2011-11-07 2013-05-09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forward link blanking and power boosting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CN103297979B (zh) * 2012-02-29 2016-08-03 国际商业机器公司 实现干扰协调的方法和基站
CN103313376A (zh) * 2012-03-14 2013-09-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US9668167B2 (en) * 2012-03-16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block size limitation for enhanced control channel operation in LTE
EP2856811B1 (en) * 2012-05-16 2018-09-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layer interference hand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8744468B2 (en) 2012-05-16 2014-06-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oft cell inter-layer interference handling
US9480059B2 (en) * 2012-06-15 2016-10-2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dica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807747B2 (en) 2012-06-15 2017-10-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445410B2 (en) * 2012-08-03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with an enhanced new carrier type
US9655103B2 (en) * 2012-11-02 2017-05-16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9167603B2 (en) * 2012-12-19 2015-10-20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ccess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374189B2 (en) 2012-12-21 2016-06-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US9768929B2 (en) 2012-12-21 2017-09-1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terference type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EP2936740B1 (en) * 2012-12-21 2018-02-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evolved node b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US9084264B2 (en) * 2013-02-26 2015-07-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US9392577B2 (en) 2013-03-01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Small cell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S8982853B2 (en) * 2013-03-05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interference
JP6006741B2 (ja) * 2014-03-12 2016-10-12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NO2710652T3 (ko) 2014-03-18 2018-03-17
RU2666267C2 (ru) * 2014-06-24 2018-09-06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Беспро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тевой узел и способы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остоянии канала (csi) в сети радио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9843424B2 (en) * 2015-04-27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the impact of transmit blanking during uplink communications
US11283536B2 (en) 2015-09-25 2022-03-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US10292093B2 (en) * 2015-11-10 2019-05-1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subframe timing of an access point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WO2017190275A1 (zh) 2016-05-03 2017-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装置和系统
US10455570B2 (en) 2016-09-26 2019-10-22 Ofinno, Llc Selection of DCI based upon TTI
US10681708B2 (en) * 2016-12-16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Subslot bundling and acknowledgement
KR102423144B1 (ko) * 2017-12-13 2022-07-2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US10554470B2 (en) * 2017-12-21 2020-02-0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monitoring and power control for multi-link deployments
US11304151B2 (en) * 2019-05-01 2022-04-12 Jio Platform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on of interference
WO2023185855A1 (zh) * 2022-03-30 2023-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9182C (fi) * 1994-05-26 1997-10-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tukiaseman yleislähetyskanavan kuuluvuuden parantamiseksi, sekä solukkoradiojärjestelmä
JP3389503B2 (ja) * 1998-07-01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基地局装置
KR100306286B1 (ko) * 1998-08-04 2001-09-29 윤종용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429540B1 (ko) 1998-08-26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패킷데이터통신장치및방법
MXPA01008595A (es) * 1999-02-26 2002-03-14 Qualcomm Inc Metodo y sistema para conexion entre una estacion base cdma de asincronia y una estacion base cdma de sincronia.
FR2809554B1 (fr) * 2000-05-23 2002-08-16 Mitsubishi Electric Telecom Eu Procede de synchronisation d'au moins une station mobile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mobile ayant une structure de canal de synchronisation modifiee
US6697642B1 (en) * 2000-07-19 2004-02-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US7630691B2 (en) * 2002-01-23 2009-12-08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combining of multiple non-synchronous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77658B2 (en) 2002-05-06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GB2396523B (en) * 2002-12-17 2006-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a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4601625B2 (ja) * 2003-12-19 2010-12-22 アイビス・テレ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イムスロットリソース管理による基地局の干渉制御
US8170063B2 (en) * 2005-05-31 2012-05-01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WO2007044281A1 (en) 2005-10-06 2007-04-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for ofdma based evolved utra
EP2030350A4 (en) 2006-04-19 2013-03-13 Telsima Corp TDD SECTOR CONTROL SYSTEMS AND METHOD
US8477673B2 (en) * 2006-06-09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Cell specific retransmission of single frequency network MBMS data
US9072102B2 (en) 2007-11-27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path loss adjustment
US8335176B2 (en) * 2008-04-07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131A (ko) * 2012-09-28 2015-06-0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e-pdcch를 위한 pucch 자원 할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08430A (en) 2015-04-30
US20090252075A1 (en) 2009-10-08
JP5996614B2 (ja) 2016-09-21
US8335176B2 (en) 2012-12-18
CN102047728B (zh) 2015-01-14
JP2011518507A (ja) 2011-06-23
CA2720566C (en) 2014-06-10
HK1157566A1 (en) 2012-06-29
BRPI0911166B1 (pt) 2020-10-20
BRPI0911166A2 (pt) 2018-03-20
JP2015073294A (ja) 2015-04-16
MX2010010997A (es) 2010-11-01
AU2009233848A1 (en) 2009-10-15
JP6345718B2 (ja) 2018-06-20
JP2016136748A (ja) 2016-07-28
CA2720566A1 (en) 2009-10-15
TW200952520A (en) 2009-12-16
RU2467515C2 (ru) 2012-11-20
CN102047728A (zh) 2011-05-04
KR101236334B1 (ko) 2013-02-22
IL208430A0 (en) 2010-12-30
MY154851A (en) 2015-08-14
AU2009233848B2 (en) 2013-08-22
RU2010145188A (ru) 2012-05-20
EP2292046A1 (en) 2011-03-09
TWI388229B (zh) 2013-03-01
WO2009126658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334B1 (ko) 타이밍 오프셋 및 블랭킹을 통한 오버헤드 채널들의 전송
CA2826361C (en) Synchronous tdm-based communication in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s
KR101719890B1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EP2572528B1 (en) Enhancing uplink coverage in interference scenarios
US8886205B2 (en) Timing adjustment for synchronous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564154B1 (ko) 이볼브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단일 캐리어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03782A1 (en) Techniques for enabl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s using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US20130195086A1 (en) Timing management in uplink (ul)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AU2013219245B2 (en) Synchronous tdm-based communication in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