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410A -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410A
KR20100128410A KR1020090046788A KR20090046788A KR20100128410A KR 20100128410 A KR20100128410 A KR 20100128410A KR 1020090046788 A KR1020090046788 A KR 1020090046788A KR 20090046788 A KR20090046788 A KR 20090046788A KR 20100128410 A KR20100128410 A KR 20100128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abric
head
hat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진 filed Critical 신동진
Priority to KR102009004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410A/ko
Publication of KR2010012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 본체가 머리를 가압하지 않아 착용감이 개선되고, 머리가림막이 머리에 밀착하도록 착용되어 착용감 및 외관성이 우수하며, 망사의 작용으로 통풍성이 향상되어 위생적인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으로, 모자본체의 전방 테두리 하단에 햇빛 차단용 차양을 구비하고,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 테두리 하단에 머리가림막을 고정하며, 상기 모자본체의 테두리 상단에 가림막수용부를 봉제결합하되, 상기 가림막수용부는 하측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돌돌 말려진 머리가림막을 수용하고, 높이방향으로 탄력밴드가 재봉되어 수용된 머리가림막을 지지하도록 하는 차양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넘겨지고 머리의 상단과 후방을 덮어주는 중심원단과, 상기 중심원단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봉제 결합하여 얼굴의 옆면을 덮어주는 측면원단으로 구성되어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원단은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원단끼리 겹치고 봉제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봉제선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원단과 측면원단 사이에는 통풍성 향상을 위해 망사원단이 구비된 구성이다.
차양모자, 가림막, 오버로크, 봉제, 지퍼

Description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visor cap have sun blind}
본 발명은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 본체가 머리를 가압하지 않아 착용감이 개선되고, 머리가림막이 머리에 밀착하도록 착용되어 착용감 및 외관성이 우수하며, 망사의 작용으로 통풍성이 향상되어 위생적인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안면부를 가리기 위한 차양,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헤어밴드 구성되며, 이를 "썬캡"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양모자는 전면부에 형성된 차양을 통해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머리 쪽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강렬한 여름 햇빛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할 수는 없고, 또한 머리 뒷부분이나, 목덜미, 햇볕에 노출되는 어깨 등을 보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용모자 이외에 스카프나 수건 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이들을 모자 위에 덮어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스카프나 수건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뿐 아니라, 실제 그것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안정감있게 차양모자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는 그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는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지된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모자(등록번호:10-799081)의 경우, 헤어밴드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 및 그 봉제선과 꺾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에 의해 헤어밴드와 재봉 되며, 헤어밴드의 하부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이 수용부의 내면에는 1개 이상의 탄력밴드가 수용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재봉되며, 수용부재의 하부측 개방 영역에는 머리덮개가 말아져서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햇볕 등으로부터 안면부를 가리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머리 상부 및 후부(後部), 목 및 어깨 등도 가릴 수 있는 차양모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양모자는, 헤어밴드와 머리덮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머리덮개를 헤어밴드에 정리하여 자체 수납시키거나 펼쳐서 덮어쓰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과 휴대가 편리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양모자의 경우, 머리덮개가 입체적이지 않고 평평하게 구비됨에 따라 머리덮개를 머리에 쓰고 고정할 경우, 머리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발행하여 착용감이 저하되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수용부재에 탄력밴드를 재봉하여 머리덮개를 상기 탄력밴드로 고정할 경우, 격한 활동이나 장시간 사용에는 탄력밴드의 탄성이 저하되어 머리덮개가 수용부재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머리덮개의 사용이 불필요하거나, 착용자가 원치 않을 경우에도 머리덮개를 계속해서 모자에 수용하고 활동해야 함에 따라 모자의 무게가 증량되어 착 용자의 목부분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스틸 등으로 구성된 헤어밴드의 내장재는 착용자의 머리사이즈를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머리가 큰 착용자는 헤어밴드를 머리에 고정하 경우 머리부분에 심한 압박감을 느끼고, 머리가 작은 착용자의 경우 고정력이 미비하여 모자가 쉽게 흘러 내려와 활동성이 저하되고 심적인 고통을 호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가림막이 입체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머리가림막을 착용할 경우 머리에 밀착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외관상 미려하며, 가림막수용부가 모자본체의 테두리와 지퍼로 개폐되므로 격한 활동이나 장시간 사용에도 머리가림막이 가림막수용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머리가림막의 사용이 불필요하거나, 착용자가 원치 않을 경우 머리가림막을 모자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사이즈에 따라 모자 본체 테두리의 둘레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 아니라, 테두리의 외피를 망사직물로 구비함에 따라 통풍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자본체의 전방 테두리 하단에 햇빛 차단용 차양을 구비하고,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 테두리 하단에 머리가림막을 고정하며, 상기 모자본체의 테두리 상단에 가림막수용부를 봉제결합하되, 상기 가림막수용부는 하측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돌돌 말려진 머리가림막을 수용하고, 높이방향으로 탄력밴드가 재봉되어 수용된 머리가림막을 지지하도록 하는 차양모자에 있어서, 상기 머리가림막은 모자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넘겨지고 머리의 상단과 후방을 덮어주는 중심원단과, 상기 중심원단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봉제 결합하여 얼굴의 옆면을 덮어주는 측면원단으로 구성되어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원단은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원단끼리 겹치고 봉제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봉제선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원단과 측면원단 사이에는 통풍성 향상을 위해 망사원단이 구비된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에 따르면 머리가림막이 입체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머리가림막을 착용할 경우 머리에 밀착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외관상 미려하며, 가림막수용부가 모자본체의 테두리와 지퍼로 개폐되므로 격한 활동이나 장시간 사용에도 머리가림막이 가림막수용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머리가림막의 사용이 불필요하거나, 착용자가 원치 않을 경우 머리가림막을 모자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사이즈에 따라 모자 본체 테두리의 둘레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 아니라, 테두리의 외피를 망사직물로 구비함에 따라 통풍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가림막수용부에서 머리가림막을 분리하는 모습은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분리된 머리가림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머리가림막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시이고, 도 6은 머리가림막 이 씌워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가림막수용부와 테두리가 지퍼로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머리가림막과 테두리가 지퍼로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10)는 모자본체(100)의 전방 테두리(110) 하단에 햇빛 차단용 차양(200)을 구비하고, 상기 모자본체(100)의 전방 테두리(110) 하단에 머리가림막(300)을 고정하며,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상단에 가림막수용부(400)를 봉제결합하되, 상기 가림막수용부(400)는 하측에 개방부(410)를 형성하여 돌돌 말려진 머리가림막(300)을 수용하고, 높이방향으로 탄력밴드(420)가 재봉되어 수용된 머리가림막(3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머리가림막(300)은 모자본체(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넘겨지고 머리의 상단과 후방을 덮어주는 중심원단(310)과, 상기 중심원단(31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봉제 결합하여 얼굴의 옆면을 덮어주는 측면원단(320)으로 구성되어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원단(310)은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원단(310)끼리 겹치고 봉제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봉제선(312)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원단(310)과 측면원단(320) 사이에는 통풍성 향상을 위해 망사원단(330)이 구비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모자본체(100)는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따라 소저으이 높이를 구비하는 테두리(110)를 형성하고, 테두리(110)의 전방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200)을 형성한다.
상기 테두리(110)의 하단에는 착용자의 안면, 목, 뒷머리 부분을 차양하기 위해 머리가림막(300)이 고정되며, 이때, 상기 머리가림막(300)은 테두리(110)에 봉제 결합과 같은 다양한 방법 및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가림막(300)과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전방에 지퍼(600)를 봉제하여 머리가림막(300)을 테두리(110)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머리가림막(300)과 테두리(110)를 지퍼(600)로 고정할 경우 머리가림막(300)이 탈착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취향이나 필요성의 여부에 따라 머리가림막(300)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필요하면 머리가림막(300)을 지퍼(600)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퍼(600)는 가림막수용부(400)와 테두리(110)가 지퍼(500)로 고정되더라도 머리가림막(300)을 테두리(110)로 부터 탈착하도록 작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지퍼(500)가 지퍼(600)의 상단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머리가림막(300)은 모자본체(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넘겨지고 머리의 상단과 후방을 덮어주는 중심원단(310)과, 상기 중심원단(31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봉제 결합하여 얼굴의 옆면을 덮어주는 측면원단(320)으로 구성되어 아치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원단(310)은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원단(310)끼리 겹치고 봉제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봉제선(312)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원단(310)과 측면원단(320) 사이에는 통풍성 향상을 위해 망사원단(3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중심원단(310)은 테두리(110)의 전방 하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 앞부분 과 상부, 뒷부분, 뒷목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심원단(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원단(310)끼리 겹치고 봉제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봉제선(31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측면원단(320)은 상기 중심원단(31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봉제 결합하여 얼굴의 옆면을 덮어주도록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원단(320)은 중심원단(310)과 평행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봉제되므로, 머리가림막(300)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치형으로 구성된 머리가림막(300)은 구 형상을 갖는 착용자의 머리에 들뜨지 않고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원단(320)에는 각각 상호 대응하여 체결 및 분리되는 탈착수단(322)를 고정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머리가림막(300)을 착용할 때, 상기 탈착수단(322)이 착용자의 입부분이나 턱, 목부분에서 상호 결합하여 측면원단(320)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망사원단(330)은 상기 중심원단(310)과 측면원단(320) 사이에 통풍성 향상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망사원단(330)은 머리가림막(300)을 사용할 경우 착용자의 목부분의 양측에 구비되어 통기성을 확보함에 따라, 머리에 땀이 차지않아 위생적이며, 착용감 또한 향상될 수 있다.
가림막수용부(400)는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상단에 봉제결합하되, 상기 가림막수용부(400)는 하측에 개방부(410)를 형성하여 돌돌 말려진 머리가림막(300)을 수용하고, 높이방향으로 탄력밴드(420)가 재봉되어 수용된 머리가림막(3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림막수용부(400)는 머리가림막(3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돌돌 말아서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림막수용부(400)와 테두리(110)사이에 머리가림막(300)을 수용하고, 가림막수용부(400)에 재봉된 탄력밴드(420)가 구비한 탄성으로 머리가림막(3000을 지지하여 머리가림막(300)이 가림막수용부(400)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하단과, 가림막수용부(400)의 하단에는 지퍼(500)를 봉제하여 개방부(4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지퍼(500)의 작용으로 가림막수용부(400)에 수용된 머리가림막(3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탄력밴드(420)의 작용으로 머리가림막(300)이 고정될 수 있지만, 보다 견고하게 머리가림막(300)을 고정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퍼(500)를 구성하는 것이며, 착용자가 지퍼(500)를 해제하지 않는 한, 머리가림막(300)에 가림막수용부(400)에 지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도 벨크로, 스냅단추와 같은 다양한 체결수단이 지퍼(500)를 대신하여 개방부(41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는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망사직물로 구성된 외피(111)가 구비되고, 후방에 테두리(110)의 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1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망사직물은 통기성이 원활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테두리(110)부분은 쉽게 땀이 차는 부분이므로, 외피(111)를 망사직물로 구비할 경우, 머리속 까 지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져 얼굴에 땀이 흘러내리지 않고, 쾌적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112)은 벨크로, 스냅단추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체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따라 테두리(110)의 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머리가림막(300)은 중심원단(310), 측면원단(320), 망사원단(330)의 자유단부를 연속해서 오버로크(overlock)로 마감처리를 시행하여 오버로크봉제부(311, 321, 331)를 형성함으로써, 중심원단(310), 측면원단(320), 망사원단(330)을 일체화하도록 구성된다.
오버로크(overlock)는 휘갑치기로 불리우는 봉제방법으로 마름질한 옷감의 가장자리가 풀리지 아니하도록 꿰매는 작업을 의미하고, 실을 시접에 감아서 한 바늘씩 또는 두세 바늘을 섞어 가며 떠 가는 봉제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중심원단(310), 측면원단(320), 망사원단(330)의 자유단부를 오버로크(overlock)로 마감처리를 시행하여 오버로크봉제부(311, 321, 331)를 형성하여 마감할 경우, 올풀림 방지는 물론, 중심원단(310), 측면원단(320), 망사원단(33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10)의 작용을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머리가림막(300)을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림막수용부(400)에서 개방부(410)를 통해 머리가림막(300)을 꺼내야 한다.
이때, 가림막수용부(400)와 테두리(110)가 지퍼(500)로 고정될 경우,지퍼(500)를 해제하고 머리가림막(300)을 빼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머리가림막(300)이 빼내지면, 중심원단(310)을 머리 중앙에 오도록 착용하고, 중심원단(310)의 양측에 봉제된 측면원단(320)을 얼굴 양옆을 감싸고, 탈착수단(322)으로 고정하여, 얼굴과 목부분 전체를 차양하도록 한다.
이때, 중심원단(310)과 측면원단(320) 사이에 봉제된 망사원단(330)의 구성으로, 통기성이 확보되어 땀을 식힐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머리가림막(3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머리가림막(300)을 돌돌 말아서 개방부(410)를 통해 가림막수용부(400)로 머리가림막(300)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가림막수용부(400)와 테두리(110)에 지퍼(500)가 구비된 경우 지퍼(500)를 잠궈 머리가림막(300)을 수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머리가림막(300)과 테두리(110)에 지퍼(600)가 구비된 경우에는 지퍼(600)를 해제하여 머리가림막(300)을 테두리(110)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10)에 따르면 머리가림막(300)이 입체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머리가림막(300)을 착용할 경우 머리에 밀착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외관상 미려하며, 가림막수용부(400)가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와 지퍼(500)로 개폐되므로 격한 활동이나 장시간 사용에도 머리가림막(300)이 가림막수용부(4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머리가림막(300)의 사용이 불필요하거나, 착용자가 원치 않을 경우 머 리가림막(300)을 모자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사이즈에 따라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둘레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 아니라, 테두리(110)의 외피(111)를 망사직물로 구비함에 따라 통풍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가림막수용부에서 머리가림막을 분리하는 모습은 보인 사시도,
도 4는 분리된 머리가림막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머리가림막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머리가림막이 씌워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가림막수용부와 테두리가 지퍼로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머리가림막과 테두리가 지퍼로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100 : 모자본체
110 : 테두리 111 : 외피
112 : 길이조절수단 200 : 차양
300 : 머리가림막 310 : 중심원단
311, 321, 331 : 오버로크봉제부 312 : 봉제선
320 : 측면원단 322 : 탈착수단
330 : 망사원단 400 : 가림막수용부
410 : 개방부 420 : 탄력밴드
500, 600 : 지퍼

Claims (5)

  1. 모자본체(100)의 전방 테두리(110) 하단에 햇빛 차단용 차양(200)을 구비하고, 상기 모자본체(100)의 전방 테두리(110) 하단에 머리가림막(300)을 고정하며,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상단에 가림막수용부(400)를 봉제결합하되, 상기 가림막수용부(400)는 하측에 개방부(410)를 형성하여 돌돌 말려진 머리가림막(300)을 수용하고, 높이방향으로 탄력밴드(420)가 재봉되어 수용된 머리가림막(300)을 지지하도록 하는 차양모자에 있어서,
    상기 머리가림막(300)은 모자본체(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넘겨지고 머리의 상단과 후방을 덮어주는 중심원단(310)과, 상기 중심원단(31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봉제 결합하여 얼굴의 옆면을 덮어주는 측면원단(320)으로 구성되어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원단(310)은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원단(310)끼리 겹치고 봉제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한 봉제선(312)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원단(310)과 측면원단(320) 사이에는 통풍성 향상을 위해 망사원단(3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는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망사직물로 구성된 외피(111)가 구비되고, 후방에 테두리(110)의 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가림막(300)은 중심원단(310), 측면원단(320), 망사원단(330)의 자유단부를 오버로크(overlock)로 마감처리를 시행하여 오버로크봉제부(311, 321, 331)를 형성함으로써 중심원단(310), 측면원단(320), 망사원단(330)을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하단과, 가림막수용부(400)의 하단에는 지퍼(500)를 봉제하여 개방부(4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지퍼(500)의 작용으로 가림막수용부(400)에 수용된 머리가림막(3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가림막(300)과 모자본체(100)의 테두리(110) 전방에는 지퍼(600)를 봉제하여 머리가림막(300)을 모자본체(110)로부터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KR1020090046788A 2009-05-28 2009-05-28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KR20100128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788A KR20100128410A (ko) 2009-05-28 2009-05-28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788A KR20100128410A (ko) 2009-05-28 2009-05-28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10A true KR20100128410A (ko) 2010-12-08

Family

ID=4350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788A KR20100128410A (ko) 2009-05-28 2009-05-28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4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58A1 (ko) * 2019-11-14 2021-05-20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58A1 (ko) * 2019-11-14 2021-05-20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US11957198B2 (en) 2019-11-14 2024-04-16 Min Sok Kim Convertible h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US20150208787A1 (en) Hairdressing cape
JP3110940U (ja) 帽子
JP3219279U (ja) 日除け帽子
KR20100128410A (ko) 가림막을 구비한 차양모자
JP3136084U (ja) 顔面遮光布
KR102265720B1 (ko) 얼굴 햇빛 차단용 후드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440784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KR200390351Y1 (ko) 두건겸용 모자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KR20180097061A (ko) 황사주름마스크
JP6582168B1 (ja) 日よけシェード
KR200488491Y1 (ko) 착탈형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045490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JP3219254U (ja) 日よけシェード
KR200463546Y1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20049137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JP3161483U (ja) 帽子
JP2017014640A (ja) 日除け帽子
JP3115960U (ja) ベール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