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744A -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744A
KR20100127744A KR1020107014785A KR20107014785A KR20100127744A KR 20100127744 A KR20100127744 A KR 20100127744A KR 1020107014785 A KR1020107014785 A KR 1020107014785A KR 20107014785 A KR20107014785 A KR 20107014785A KR 20100127744 A KR20100127744 A KR 20100127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able
contact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680B1 (ko
Inventor
펑 리
노부유키 세마
Original Assignee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인 접속부에 있어서 유연성이 우수한 인류부 및 통전부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는 일단부측이 폐쇄된 원통형의 도체 삽입구(64)를 구비하는 내부 도체(6)와, 도체 삽입구(64)에 플러그 인 접속되는 케이블 도체 접속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도체 접속단부는 케이블 도체(32)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접속단자(7)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7)는 선단부에 튤립 컨택(8)의 일단부측에 삽입하고 만류하기 위한 원주상(columnar)의 인출부(71)를 구비하고, 후단부에 케이블 도체(32)의 축 방향을 따라 통전부(72) 및 압축부(7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A CONNECTION OF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 인(plug-in)접속부에 있어서 인류(引留: 한쪽당김, detention) 기능 및 통전 기능을 갖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종류의 플러그 인 접속부로서는, (1)튤립 컨택(tulip contact) 방식에 의한 것, (2)멀티 램 밴드(multilam band) 컨택 방식에 의한 것, (3)쐐기 체결 방식(wedge-tightening system)에 의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여기서, (1)의 튤립 컨택 방식은 케이블 도체에 고정된 접속단자를, 원형으로 배열한 복수개의 핑거(finger) 접촉자를 가터 스프링(garter spring)에 묶어 완성되는 링상(ring-shaped) 접촉자에 삽입하고 래치(latch)하는 것으로 도체 접속되고, (2)의 멀티 램 밴드 컨택 방식은 케이블 도체에 고정된 접속단자의 외주에 환상의(annular)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도전성의 용수철상(spring-shaped) 접촉자(예를 들면, 멀티 램 밴드)를 원주 방향에 따라 감착(嵌着, attaching)하는 것으로 도체 접속되며, 또한, (3)의 쐐기 체결 방식은 케이블 도체를 쐐기를 이용하여 도체 삽입구에 삽입하고 쐐기의 후단부에 배치된 쐐기 체결 금구(wedge-tightening metal fitting)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1)의 튤립 컨택 방식에 있어서는, 플러그 인 접속부에서의 인류부(detention part)가 유연성이 뛰어나 전력 케이블에 휨 응력(benging stress)이 걸려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나, 구조상 통전에 대하여는 웅측(male side)인 접속단자와 자측(female side)인 핑거 접촉자가 점 접촉이 되어 220kV 클래스의 전력 케이블의 단락 전류(예를 들면, 60kA, 3초 정도)에 대응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웅측과 자측의 점 접촉 부분을 증가시킨다면 튤립 컨택이 대경화(대지름화)되고, 결과적으로 내부 도체와 부싱(bushing)이 대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의 멀티 램 밴드의 컨택 방식에 있어서는, 통전 기능은 뛰어나나 인류 기능이 없으며, 큰 사이즈 케이블의 경우, 접속단자의 압축에 의하여 접속단자의 선단부가 구부러지고, 더 나아가서는 스트레스 콘과 부싱의 계면에서 절연 특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멀티 램 밴드,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후(thin)의 베릴륨-구리 판(beryllium copper plate)으로부터 펀칭과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멀티 램 밴드에 의한 컨택 방식으로는 통전부에서의 유연성(flexibility)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의 쐐기 체결 방식은, 케이블 도체와 쐐기 체결 금구 간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높아져 높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으며, 리지드 구조(rigid structure)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도체 접속에 쐐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플러그 인 접속부를 소경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쐐기 체결 금구를 나사로 조임으로써 쐐기를 체결하는 경우, 설치 공구의 삽입이나 작업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스트레스 완화 콘(stress-relief cone)을 크게 후퇴시켜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 케이블 시스(sheath)등을 떼어내는 거리도 연장하지 않을 수 없고, 또한 도체 접속에 쐐기를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쐐기 체결 금구를 나사로 조임으로써 쐐기를 체결하는 경우, 파편(chips)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파편이 부싱의 수용구와 스트레스 완화 콘과의 계면에 부착된다면 절연성능이 저하되어 절연파괴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이유들로 인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볼-록(ball-lock) 방식의 플러그 인 접속부가 고안되었다. 상기의 볼-록 방식의 플러그 인 접속부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100)의 도체(100a)의 선단부에 압축에 의하여 고정되는 내부플러그(200)와 상기 내부플러그(200)의 외주에 삽입되고, 부싱 내에 위치하는 내부 도체(300)와 내부플러그(200)의 사이에서 전기를 통하는 외부플러그(400)를 구비하며, 외부 플러그(400)의 내측 하부에는 외부플러그(400)의 축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게 배치되는 환상의 압박 금구(500)와, 상기 압박 금구(500)에 의하여 압박되고, 내부 도체(300)의 위치 결정 홈(500a) 안으로 돌출되며 외부플러그(400)와 내부 도체(300)의 사이를 로크(lock)하는 금속제의 볼(600)이 배치되고, 외부플러그(400)와 압박 금구(500)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플러그 인 접속부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완화 콘(800)을 선단부측으로 압박하고 전진시킴으로써, 내부 도체(300)와 외부플러그(400)가 로크되어 케이블(100)의 인발이 방지되며,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완화 콘(800)을 후퇴시킴으로써, 내부 도체(300)와 외부플러그(400)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케이블(100)의 인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플러그 인 접속부에 의하면, 케이블의 인발 가능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인류 기능을 갖는다), 외부플러그(400)가 내부플러그(200)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플러그 인 접속부의 외부 둘레가 커진다는(외경이 대경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평 7-163041호 공보(도 1, 도 3) 특허문헌 2 : 일본 특개평 7-212953호 공보(도 1) 특허문헌 3 : 일본 특개평 10-126946호 공보(도 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러그 인 접속부에 있어서 유연성이 우수한 인류부 및 통전부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는, 일단부측이 폐쇄된 원통형의 도체 삽입구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도체 삽입구에 플러그 인 접속되는 케이블 도체 접속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블 도체 접속단부는 케이블 도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선단부에 튤립 컨택의 일단부측에 삽입하고 만류(detaining)하기 위한 원주상(columnar)의 인출부를 가지며, 후단부에 상기 케이블 도체의 축 방향을 따라 통전부 및 압축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있어서, 내부 도체의 폐쇄부의 중심부에 인출부와 대향하도록 원주상의 보스(boss)가 도체 삽입구와 동심상으로 돌설되며, 상기 보스에는 튤립 컨택의 다른 일단부(타단부)측이 삽입되고 만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있어서, 통전부는 접속단자의 외주에 설치된 환상의 홈과, 홈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감착되어 도체 삽입구의 내주벽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 또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제 3 태양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있어서, 용수철상 접촉자는 용수철상 접촉자의 폭 방향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도체 삽입구의 지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개의 접촉편을 구비하며, 각 접촉편은 접촉편의 신축 영역에서 V자형을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제 1 태양 내지 제 4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있어서, 통전부와 압축부의 연속 설치부에는 환상의 함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은, 제 1 태양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인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에 있어서, 통전부의 외경은 도체 삽입구의 내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되고, 인출부 및 압축부의 외경은 통전부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케이블 도체에 고정된 접속단자의 선단부에, 튤립 컨택으로 링상 접촉자의 일단부 측에 삽입하고, 만류하기 위한 원주상의 인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한 인류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케이블에 휨 등이 부여되어도 적절한 인류 기능을 가지는 플러그 인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접속단자의 후단부에 케이블 도체의 축 방향을 따라 통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통전부에 전류 통전 성능이 우수한 용수철상 접촉자, 예를 들면 멀티 램 밴드를 배치하고, 상기 멀티 램 밴드를 통하여 큰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큰 사이즈, 큰 전류에 대응 가능하고,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로 매우 적합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통전부의 외주에 구비된 환상의 홈에, 신축 높이가 큰 접촉편을 가지는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 예를 들면 용수철상 접촉자의 폭방향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도체 삽입구의 지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수개의 접촉편을 구비하고, 각 접촉편이 접촉편의 신축 영역에 있어 V자 모양을 나타내는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를 원주 방향을 따라 감착한 경우에는, 유연성이 우수한 통전부를 형성할 수 있고, 나아가 압축에 의한 접속 도체의 선단부에 휨(밴딩, bending)이 있는 경우나 케이블의 휨력(bending force) 등이 부여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적정한 통전 기능을 가지는 플러그 인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큰 사이즈, 큰 전류에 대응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 도체의 외경이나 부싱의 외경을 소경화할 수 있고, 나아가 부싱의 경량화,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넷째, 통전부와 압축부의 연속 설치부에 환상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도체에 접속단자를 압축 접속할 때 접속단자의 신장이나 변형을 상기 함몰부에서 흡수할 수 있고, 나아가 통전부에 있어서 용수철상 접촉자와 내부 도체 사이에 유효한 전기적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플러그 인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나는 접속단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용수철상 접촉자(멀티 램 밴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를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 있어, 부싱, 내부 도체 및 접속 단자(인출부, 통전부, 압축부)의 「선단부」는 각 도면에서 윗 방향을 가리키며, 부싱, 내부 도체 및 접속 단자(인출부, 통전부, 압축부)의 「후단부」는 선단부와 반대측의 단부를 가리키며 도면에서는 아래 방향에 해당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를 적용한 220kV급 큰 사이즈(예를 들면, 2000mm2) CV 케이블의 가스(gas)중 종단 접속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같은 가스중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 플러그 인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같은 플러그 인 접속부에 있어서 접속 단자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스중 종단 접속부는 개폐기(switchgear) 또는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미도시)를 기밀하게 수용하는 기기 케이스(1)와, 선단부가 기기 케이스(1) 내에 위치하고 후단부가 기기 케이스(1)의 개구부(11)를 폐색(閉塞)하도록 기밀하게 장착되는 부싱(2)과, 부싱(2) 내에 장착되는 케이블 단말(3)과, 케이블 단말(3)에 삽입되는 스트레스 완화 콘(4)이 부싱(2)의 선단부측을 향하며,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환상(annular)의 압박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부싱(2)은 선단부에 구비된 원통상의 두부(cylindrical head)(21)와, 두부(21)의 후단부측에 전계 완화부(22)를 통하여 연속 장착되는 플랜지부(23)를 구비하고 있으며, 부싱(2)의 후단부측에는 플랜지부(23)로부터 두부(21)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축경하는 테이퍼 형태의 수용구(24)가 후술하는 내부 도체(6)의 도체 삽입구(64)와 동심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부싱(2)은 에폭시 수지 등의 절연체로 구성되며, 내부 도체(6)와 함께 일체로 몰드(mold) 되어 있다. 또한, 부싱(2)의 플랜지부(23)의 외경은 기기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구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계 완화부(22)의 외표면에는 도전성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내부 도체(6)는 부싱(2)의 두부(21)의 상부(21a)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인출부(61)와, 도체 인출부(61)의 후단부측에 목(neck) 부위(62)를 통하여 연접되고 부싱(2)의 두부(21) 내에 부싱(2)과 동심상에 매설되는 원통상부(cylindrical part, 6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원통상부(63) 내에는 원통상부(63)의 하단부에서 목(neck) 부위(62) 부근에 이르기까지 횡단면이 원형인 도체 삽입구(64)가 구비되어 있다.
도체 삽입구(64)는 후술하는 접속단자(7)의 인출부(71), 통전부(72) 및 압축부(73)를 삽입하기 위하여 횡단면이 원형인 도체 삽입구(이하 「제 1 도체 삽입구」로 칭함)(64a)와, 제 1 도체 삽입구(64a)의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그 내경이 제 1 도체 삽입구(64a)의 내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횡단면이 원형인 도체 삽입구(이하 「제 2 도체삽입구」로 칭함)(64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의 제 1 도체 삽입구(64a)와 제 2 도체 삽입구(64b)는 수용구(24)와 동심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원통상부(63)의 선단부와 목 부위(62)의 연속 설치 부분(이하 「폐쇄부」라 칭함)(65)의 도체 삽입구(64) 측의 중심부에는 접속단자(7)의 인출부(71)와 대향하도록 원주상의(columnar) 보스(boss, 66)가 도체 삽입구(64)와 동심상에 돌설되며(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보스(66)의 외주에는 환상의 홈(이하 「내부 도체측 홈」이라 칭함)(66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내부 도체(6)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통전에 적합한 금속제의 바(bar)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목 부위(62)는 부싱(2)의 윗부분(21a)과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목 부위(62)의 외경은 원통상부(63)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형성되며, 또한, 도체 인출부(61)의 외경은 두부(21)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단말(3)은 CV 케이블의 단말을 단박 처리(step-stripped process)하여 노출시킨 케이블 절연체(31) 및 케이블 도체(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케이블 절연체(31)의 외주에는 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semi-conducting layer)(미도시)에 걸쳐 방추 형상(spindle-shaped)의 스트레스 완화 콘(4)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레스 완화 콘(4)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 고무)와 같이 고무 모양 탄성을 가지는 절연부(미도시)와 반도전부(미도시)로 구성되며, 절연부의 외주에는 수용구(24)의 내주벽과 대응하며 끝이 가늘어지는(shrinking) 형상의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부호 7은 케이블 도체(32)의 선단부에 압축에 의하여 고정되는 접속단자를 나타내며, 상기 접속단자(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후술하는 튤립 컨택(8)으로 링상 접촉자(81)의 일단부측에 삽입하고 래치(latch)하기 위한 원주형의 인출부(71)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단부에 케이블 도체(32)의 축 방향을 따라 통전부(72) 및 압축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인출부(71)의 두부(보스(66)와 대향하는 측)(71a)는 탄환상(bullet-shape)을 나타내며, 인출부(71)의 두부(71a)와 통전부(72)의 연속 설치 부분의 외주에는 환상의 홈(이하 「케이블 도체측 홈」으로 칭함)(71b)가 구비되어 있다.
통전부(72)는 도체 삽입구(64)의 내경보다 소경의 외경을 가지는 대경부(72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대경부(72a)의 외주에는 후술한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9)를 감착하기 위한 환상의 홈(72b)(도 3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용수철상(spring-shaped) 접촉자(9)는 다면 접촉 방식의 컨택으로 알려져 있는 멀티 램 밴드「Multi-Contact AG 사에서 제조한 La-CUT/0.25/0(제품번호)」가 매우 적합하다. 상기 멀티 램 밴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상 접촉자(9)의 폭 방향 Y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도체 삽입구(64)의 지름 방향 X으로 신축 가능한 다수의 접촉편(91)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접촉편(91)은 해당 접촉편(91)의 신축 영역 Z에서 V자형을 이룬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멀티 램 밴드에 의하면, 박후(예를 들면 0.25mm)로 베릴륨 구리의 용수철 특성을 이용하여 접촉 압력을 장기간 안정화하고, 접촉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편(91)의 신축 높이가 크기 때문에 유연성이 우수한 플러그 인 접속부의 통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압축부(73)는 통전부(72)의 외경보다 소경의 외경을 가지는 소경부(73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소경부(73a)에는 케이블 도체(32)를 삽입하고 압축 접속하기 위한 도체 삽입구(73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압축부(73)와 통전부(72)의 연속 설치부에는 환상의 함몰부(7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접속단자(7)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통전에 적합한 금속제의 바(bar)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6)에 접속단자(7)를 만류(detaining)하기 위한 튤립 컨택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튤립 컨택(8)은 원형으로 배열한 복수개의 핑거 접촉자(81a)를 가지는 링상 접촉자(81)와 상기 링상 접촉자(81)의 상하 외주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가터 스프링(82a, 8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링상 접촉자(81)의 일단부측의 내주에는 내부 도체측 홈(66a)에 래치하기 위한 환상의 볼록부(이하 「내부 도체측 환상 볼록부」라 칭함)(83a)가 구비되며, 링상 접촉자(81)의 다른 일단부측의 내주에는 케이블 도체측 홈(71b)에 래치시키기 위한 환상의 볼록부(이하,「접속 단자측 환상 볼록부」라 칭함)(83b)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중 종단 접속부의 조립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싱(2)를 구성하는 내부 도체(6)의 보스(66)에, 튤립 컨택(8)을 구성하는 링상 접촉자(81)에 일단부측을 삽입함으로써, 내부 도체측 환상 볼록부(83a)가 내부 도체측 홈(66a)에 래치된다. 또한, 케이블 도체(32)는 접속 단자(7)를 구성하는 압축부(73)의 도체 삽입구(73b)에 삽입하여 압축함으로써, 접속단자(7)가 케이블 도체(32)에 고정된다. 또한, 절연체(31)의 외주에는 스트레스 완화 콘(4)이 사전에(압축전에) 장착된다. 또한, CV 케이블에는 스트레스 완화 콘(4)의 장착에 앞서,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보호 금구 또는 스트레스 완화 콘(4)의 압박 장치(5)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된 CV 케이블의 단말부(3)는 선단부가 부싱(2) 내부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 케이블 도체 접속 단부를 구성하는 도체 단자(7)를 내부 도체(6)의 도체 삽입구(64) 내부로 향하여 압입함으로써, 인출부(71)의 탄환상의 선단부가 튤립 컨택(8)을 구성하는 링상 접촉자(81)의 접속 단자측 환상 볼록부(83b)에 접합하며, 또한, 인출부(71)를 도체 삽입구(64) 내부로 압입함으로써, 인출부(71)가 가터 스프링(82a, 82b)의 용수철 힘에 대항하여 링상 접촉자(81)를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확개(expanding)시키면서, 내부 도체(6)의 보스(66)를 향하여 압입된다.
또한, 인출부(71)를 도체 삽입구(64) 내부로 압입할 때, 튤립 컨택(8)을 구성하는 링상 접촉자(81)의 다른 일단부측 환상 볼록부(83b)가 접속단자(7)의 인출부(71)를 구성하는 케이블 도체측 홈(71b)에 삽입된다.
또한, 사전에 케이블 단말(3)측에 삽입해 놓은 압박 장치(5)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완화 콘(4)을 선단부측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콘(4)의 테이퍼 모양의 외주부가 부싱(2) 수용구(24)의 내벽면에 꽉 눌리고, 나아가 수용구(24)의 내벽면과 스트레스 콘(4) 절연부의 외주면 간에 있어서 계면의 절연성능이 확보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접속부에 의하면, 첫째, 케이블 도체(32)에 고정되는 접속단자(7)의 선단부에 튤립 컨택(8)으로 링상 접촉자(81)의 일단부측에 삽입하여 만류하기 위한 원주형의 인출부(71)가 구비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한 인류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케이블에 휨(bend) 등이 부여되어도 적정한 인류 기능을 갖는 플러그 인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접속단자(7)의 후단부에 케이블 도체(32)의 축 방향을 따라 통전부(72)를 구비하고, 상기 통전부(72)에 전류 통전 성능이 우수한 용수철상 접촉자(9), 예를 들면 멀티 램 밴드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멀티 램 밴드를 통해 대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큰 사이즈, 대전류에 대응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로서 매우 적합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통전부(72)의 외주에 설치되는 환상의 홈(72b)에 신축 높이가 큰 접촉편(91)을 갖는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9), 예를 들면 용수철상 접촉자(9)의 폭방향 Y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도체 삽입구(64)의 지름 방향 X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개의 접촉편(91)을 구비하고, 각 접촉편(91)이 접촉편(91)의 신축 영역 Z에서 V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9)를 원주 방향에 따라 감착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우수한 통전부(72)를 형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압축에 의한 접속 도체 선단부에 구부러진 부분(bend)이 있는 경우 또는 케이블의 휨력 등이 부여된 경우에도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적정한 통전 기능을 가지는 플러그 인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큰 사이즈, 대전류에 대응 가능한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체의 외경이나 부싱의 외경을 소경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부싱의 경량화,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넷째, 통전부(72)와 압축부(73)의 연속 설치부에 환상의 함몰부(7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도체(32)에 접속단자(7)를 압축하여 접속할 때 접속단자(7)의 신장이나 변형을 상기 함몰부(74)로 흡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통전부(72)에 있어서 용수철상 접촉자(9)와 내부 도체(6)의 유효한 전기적 접촉을 얻을 수 있다.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난 특정한 실시의 형태로써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하는 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첫째,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통전부(72)를 구성하는 환상의 홈(72b)에 용수철상 접촉자(9)를 감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용수철상 접촉자(9)를 대신하여 도전성의 코일 스프링을 감착할 수 있다.
둘째,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통전부(72)를 인출부(71)와 압축부(73)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통전부(72)는 압축부(73)의 후단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셋째,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가스중 종단 접속부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유중 종단 접속부(oil immersed sealing end) 또는 기중 종단 접속부(indoor/outdoor termination)에 적용할 수 있다.
넷째, 부싱(2)에 장착되는 케이블 도체(32)의 사이즈는 2000mm2 에 한정되지 않으며, 2000mm2 를 넘거나, 또는 2000mm2 미만일 수 있다.
다섯째, 부싱(2)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블은 220kV의 규격 전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220kV 미만의 규격 전압 또는 220kV를 넘는 규격 전압을 적용할 수 있다.
2 : 부싱
24: 수용구
3 : 케이블 단말
6 : 내부 도체
64 : 도체 삽입구
7 : 접속단자
71 : 인출부
72 : 통전부
72b: 홈
73 : 압축부
74 : 함몰부
8 : 튤립 컨택
9 : 용수철상 접촉자
91 : 접촉편

Claims (6)

  1. 일단부측이 폐쇄된 원통형의 도체 삽입구를 갖는 내부 도체와,
    상기 도체 삽입구에 플러그 인 접속되는 케이블 도체 접속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블 도체 접속단부는 케이블 도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선단부에 튤립 컨택의 일단부측에 삽입하고 만류하기 위한 원주형의 인출부를 가지며, 후단부에 상기 케이블 도체의 축 방향을 따라 통전부 및 압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의 폐쇄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인출부와 대향하도록 원주형의 보스가 상기 도체 삽입구와 동심상으로 돌설되며,
    상기 보스에는 상기 튤립 컨택의 다른 일단부측이 삽입되고 만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상기 접속단자의 외주에 설치된 환상의 홈과,
    상기 홈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착되어, 상기 도체 삽입구의 내주벽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도전성의 용수철상 접촉자 또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상 접촉자는 상기 용수철상 접촉자의 폭 방향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체 삽입구의 지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개의 접촉편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접촉편은 상기 접촉편의 신축 영역에서 V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와 상기 압축부의 연속 설치부에는 환상의 함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의 외경은 상기 도체 삽입구의 내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부 및 상기 압축부의 외경은 상기 통전부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KR1020107014785A 2008-01-09 2008-12-18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KR101231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2286 2008-01-09
JP2008002286A JP4667472B2 (ja) 2008-01-09 2008-01-09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PCT/JP2008/003842 WO2009087727A1 (ja) 2008-01-09 2008-12-18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744A true KR20100127744A (ko) 2010-12-06
KR101231680B1 KR101231680B1 (ko) 2013-02-08

Family

ID=4085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785A KR101231680B1 (ko) 2008-01-09 2008-12-18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67472B2 (ko)
KR (1) KR101231680B1 (ko)
CN (1) CN101911415A (ko)
TW (1) TWI455430B (ko)
WO (1) WO2009087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70B1 (ko) * 2009-11-04 2013-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용량 변압기의 단자접속장치
AU2011368031B2 (en) * 2011-05-19 2016-04-21 Prysmian S.P.A. Termination for electrical cab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termination
DE102013102860A1 (de) * 2013-03-20 2014-09-25 R. Stahl Schaltgeräte GmbH Gerät zur Befehls- und/oder Signalgabe mit einer Steckkupplung
PL2997626T3 (pl) * 2014-07-31 2020-02-28 Abb Schweiz Ag Wieloprzewodowe złącze gniazdowe
CN106786137B (zh) * 2016-12-06 2018-12-04 国网四川省电力公司技能培训中心 一种自锁式绝缘子更换卡具
GB2561259B (en) 2017-06-21 2019-05-08 C Ling Ltd Pull-in head assembly
GB2561260B (en) * 2017-06-21 2019-05-08 C Ling Ltd Pull-in head assembly
GB2561261B (en) 2017-06-21 2019-05-08 C Ling Ltd Pull-in head assembly
CN108173015B (zh) * 2018-01-15 2023-1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接线组件及接线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425Y2 (ja) * 1989-09-28 1997-10-22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ケーブル終端接続装置
JPH06165363A (ja) * 1992-11-25 1994-06-10 Asahi Denki Kk ケーブル導体の接続構造
JP3352529B2 (ja) * 1994-04-26 2002-12-03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接続箱用ケーブル端末構造およびその外方プラグ
TW288219B (en) * 1994-07-11 1996-10-11 Raychem Ltd Electrical interconnections
JP2000050482A (ja) * 1998-07-31 2000-02-18 Hitachi Cable Ltd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3659A (en) 2009-10-16
TWI455430B (zh) 2014-10-01
CN101911415A (zh) 2010-12-08
JP2009165307A (ja) 2009-07-23
KR101231680B1 (ko) 2013-02-08
JP4667472B2 (ja) 2011-04-13
WO2009087727A1 (ja)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680B1 (ko)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
US20110104929A1 (en) Connector
EP3408899A1 (en) Shielded cable terminal assembly
JP5054208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JP2018038135A (ja) 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電力ケーブル
KR20110022561A (ko) 케이블 터미널 접속부
JP4659773B2 (ja) 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2012125009A (ja) シールドケーブル
JP2012135167A (ja) シールドケーブル
JP2017010827A (ja) 電気コネクタ
US6685513B2 (en) Elastic electrical contact with axial pressure, comprising adjustable connection terminal
JP6084197B2 (ja) プラグイン構造の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ケーブル端末
JP201922106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6611654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ケーブル接続部
JP2019193416A (ja) ケーブル接続部
CN110890176A (zh) 同轴电缆及其端部连接方法
JP6628245B2 (ja) 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JP3326389B2 (ja) 接続端子並びに該接続端子を具えた接続機器及び電気機器
US20220255267A1 (en) Shielding Spring Contact, Plug-in Connector Comprising a Shielding Spring Contact, and Plug-in Connector System Comprising a Shielding Spring Contact
KR20140087424A (ko) 고전압용 와이어 접지장치
JP5238016B2 (ja) 接続母線
CN220822090U (zh) 一种高压连接器及一种高压连接器用屏蔽结构
CN211295623U (zh) 一种毫米波同轴连接器
US11075484B2 (en) Protection sheath structure for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JP5878099B2 (ja) 電力用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