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887A -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887A
KR20100126887A KR1020090045292A KR20090045292A KR20100126887A KR 20100126887 A KR20100126887 A KR 20100126887A KR 1020090045292 A KR1020090045292 A KR 1020090045292A KR 20090045292 A KR20090045292 A KR 20090045292A KR 20100126887 A KR20100126887 A KR 2010012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nder
weight
parts
feed additive
jej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620B1 (ko
Inventor
김영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산 감귤농축액과 탐라(섬) 오갈피를 이용한 제주 광어(넙치)의 차별화된 생산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주산 감귤농축액,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손바닥 선인장 열매과립, 감초, 키토산올리고당, 생우유, 대두박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 및 물을 포함하는 양식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양식넙치의 저산소에 대한 내성 증대효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대효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면역 증대효과, 생리활성의 증대를 통한 활력 증대효과, 성장 증대효과, 베타카로틴에 의한 복부 부위의 색상 변화효과, 육질의 정미성분 및 기호도 상승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감귤농축액, 탐라(섬) 오갈피, 손바닥 선인장, 유효미생물, 베타카로틴,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제주 광어(넙치), 색상변화, 성장발육, 관능검사

Description

제주산 감귤농축액과 탐라(섬) 오갈피를 이용한 제주 광어(넙치)의 차별화된 생산기술 {DISTINCT CULTURE TECHNIQUE OF FLOUNDER BY USING ORANGE CONCENTRATE AND ACANTHOPANAX KOREANUM FROM JEJU }
본 발명은 제주산 감귤농축액과 탐라(섬) 오갈피를 이용한 제주 광어(넙치)의 차별화된 생산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감귤농축액, 손바닥 선인장 열매과립, 키토산 올리고당 액상, 생우유, 대두박, 유산균(Lactobacillus kefiri , Lactobacillus brevis , Lactobacillus hilgardii ),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supsp. subtilis ),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를 포함하는 유효미생물에 의한 복합발효액, 감귤농축액 및 탐라(섬) 오갈피 등의 한약재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사료첨가제와 이를 넙치가 섭취하였을 때 성장 및 체중 증가, 면역성 증가, 체색의 변화, 육질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세균성 질병은 병원성 세균에서부터 다른 원인에 의한 2차적인 감염으로 어류를 죽게 하는 조건적 병원체에 의해 발생한다. 양식장의 사육수에는 유기질이 많기 때문에 많은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임으로 어류가 건강하지 못하거나 방어력이 약해졌을 때 질병을 일으킨다. 발생빈도가 높고 전염성이 강하며 일단 감염이 되면 누적 폐사량이 많기 때문에 양식장에서는 경제적 손실이 크게 된다.
따라서 대체 항균활성 및 면역증강 물질을 함유한 보조사료의 개발은 기존의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지역이 갖고 있는 청정이미지를 더욱 확고히 할 것이며, 기존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서도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오갈피의 사포닌과 감귤의 베타카로틴,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유기산 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인간의 건강에 관련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본 발명에서는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로서 응용을 함으로써 건강하고, 제주 브랜드의 이미지에 맞는 웰빙 수산식품의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오갈피와 감귤의 성분에서 밝혀진 약리작용들은 어류의 면역체계를 보다 향상시켜주어, 건강하고 쉽게 병원성 세균에 감염되지 않는 건강한 어류의 생산이 가능하며, 어민들의 경제적으로 생산비의 절감효과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유산균은 항균작용 및 소화촉진 작용을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유산균을 이용한 면역증강물질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으로 응용이 되고 있다. 바실러스균은 강력한 병원균인 비브리오 하베이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병원성 미생물 및 대장균의 제거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사육수 내의 암모니아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수질정화에도 탁월하다. 이러한 유용미생물을 사료에 접목시킴으로써 친환경적인 양식어류 생산을 위한 어류사육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고, 새로운 형태의 상품화가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의 2차 대사산물을 이용한 발명이기에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기능을 갖는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다양한 사료첨가제가 계속해서 개발될 것이고, 또한 보다 세분화된 건강증진 사료개발에도 상당한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본 발명자가 2002년 8월 발명한 기술인 유용미생물과 한약재를 이용한 양식 해산어류의 생리활성 증대 및 성장발육 촉진 사료첨가제 개발 (한국발명특허 제0350093호)과 2007년 5월 산업자원부 기술개발연구과제로 선정된 기술인 탐라(섬) 오갈피 유래 사포닌 기질을 이용한 양식어류의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과제번호 70001233)를 어류양식 현장에 활용함으로써 양식어의 내성증대효과, 병원성 미생물의 감소효과, 체중 증대효과 등의 효과를 얻었으며, 또한 제주산 감귤을 착즙시킨 감귤농축액을 양식 광어(넙치) 사료에 첨가시켜 급여한 결과 감귤에 함유하고 있는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많은 영양물질들이 양식 광어(넙치)의 생산성 향상과 환경오염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토대로 제주산 감귤농축액과 탐라(섬) 오갈피 등을 이용한 액상 사료첨가제를 개발하여 양식 광어(넙치)에 활용할 경우 육질에 기능성이 우수하고, 폐사율 감소와 함께 면역력 향상, 성장 및 체중증가, 체색과 육질의 변화 등으로 차별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가능성에 비추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감귤농축액과 탐라(섬) 오갈피 등의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미생물로서 발효하여 양식 넙치용 사료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양식넙치의 저산소에 대한 내성 증대효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대효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면역 증대효과, 생리활성의 증대를 통한 활력 증대효과, 성장 증대효과, 베타카로틴에 의한 복부 부위의 색상 변화효과, 육질의 정미성분 및 기호도 상승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감귤농축액; 탐라(섬) 오갈피; 손바닥 선인장 열매과립;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체당밀; 생우유; 대두박; 유효미생물 복합 발효액; 및 한약재 추출물과 감귤농축액을 포함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및 고상 사료첨가제를 제공하여 생산성, 면역성, 위생성, 기호성 면에서 모두 우수한 넙치 생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탐라(섬) 오갈피; 손바닥 선인장 열매과립;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체당밀; 생우유; 대두박을 열수 추출기에 넣어 추출한 후 그 추출액과 감귤농축액을 혼합 교반하고 물과 4%의 NaOH 용액을 혼합하여 적정 당도와 적정 pH로 조절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혼합액에 유효미생물 복합 발효액을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는 사료이용률을 높이고 일당 증체량 향상으로 넙치체중과 전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넙치의 면역성을 높여 폐사율을 줄이고 항생제 사용을 줄여 생산성, 면역성, 위생성, 기호성 면에서 기존 넙치양식과 차별화된 넙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감귤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 성분에 의한 넙치의 색상 변화로 기존 넙치와 차별화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의 넙치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주산 감귤농축액과 탐라(섬) 오갈피를 이용한 넙치양식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b)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c) 감초;
d) 키토산 올리고당;
e) 액상 당밀;
f) 생우유;
g) 대두박;
h) 물;
i) 제주산 감귤농축액;
j)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상 당밀, 생우유, 대두박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혼합액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추출액에 감귤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혼합액의 당도 및 pH를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혼합액에 유효미생물 복합 발효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혼합액을 발효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는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제주산 감귤농축액,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상 당밀, 생우유, 대두박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a)의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뿌리는 30 중량부, 줄기는 7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2.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b)의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과립상태로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c)의 감초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d)의 키토산 올리고당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06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e)의 액상 당밀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f)의 생우유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g)의 대두박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i)의 제주산 감귤농축액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함량은 상기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상 당밀, 생우유, 대두박, 물의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하기 미생물들은 이미 알려진 미생물들로 통산의 분리동정방법에 분리동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d)의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은 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에 의한 복합발효액이다.
상기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은 증류수에 5%의 생우유와 5%의 당밀 그리고 5%의 대두박을 첨가하고 80에서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살균한 배지에 순수배양된 유산균 배양액 0.4%, 바실러스 배양액 0.4%, 효모 배양액 0.2%를 접종하고 밀봉한 후, 30에서 150 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조된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생우유에 5%의 당밀을 첨가하고 80에서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살균한 액체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이미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케피리(Lactobacillus kefiri),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Lactobacillus hilgardi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유산균은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의 제조 시 살균 배지에 0.4%로 접종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실러스균 배양액은 증류수에 5%의 두부와 10%의 대두박과 10%의 현미식초를 넣고 3시간 동안 방치하고 끓인 후, 방냉 여과하여 1%의 당밀과 0.5%의 소금을 첨가하고 pH를 7.0 내지 7.4로 조정하여 살균한 액체배지에 바실러스균을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한다.
여기서 바실러스균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이미 알려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모 배양액은 증류수에 10%의 당밀과 10%의 맥주를 첨가하여 살균한 액체배지에 효모를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여기서 효모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이미 알려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칸디다 세이크(Candida sak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효모 배양액은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의 제조 시 살균 배지에 0.1%로 접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 상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양식 넙치용 액상 발효액은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상 당밀, 생우유, 대두박, 및 물을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추출액에 제주산 감귤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의 당도 및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발효숙성시키는 단계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1.50 내지 2.50,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1.30 내지 1.50, 감초 2, 키토산 올리고당 0.001 내지 0.01, 액상 당밀 0.1 내지 1.0, 생우유 0.1 내지 1.0, 대두박 1.0 내지 2.0을 열수 추출기에 넣어 열수 추출하여 교반기로 옮겨 균일하게 교반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그 다음, 상기 제조한 추출액에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주산 감귤농축액 10 내지 20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어 균일하게 교반하여 혼합한다.
그 다음, 상기 제조한 혼합액에 물과 4% NaOH를 넣어 당도는 9 brix로, pH는 7.0 내지 7.4 로 조정한다.
그 다음, 상기 당도와 pH 조정액에 당도와 pH 조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을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한다.
그 다음, 상기 혼합액은 이후 발효숙성시키는 단계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발효숙성은 30에서 매일 1시간씩 교반 및 혼합하여 주면서 20~30일 동안 배양하면서 한약재 고유의 냄새와 상큼하고 시큼하면서도 약간의 된장 발효 냄새가 나 며, 색상이 짙은 노란색을 띄는 상태가 되도록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는 밀폐된 용기에 넣어 직사광선을 피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보관된 본 발명의 액상 효소제는 약 12 개월간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나, 보관용기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빠른 시일 안에 사용하는 것이 좋고, 사용 후 남은 액상 효소제는 반드시 밀봉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1.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제조
증류수에 5%의 생우유와 5%의 당밀 그리고 5%의 대두박을 첨가하고 80에서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살균한 배지에 우유에 5%의 당밀을 첨가하고 80에서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살균한 액체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케피리,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를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 0.4%, 증류수에 5%의 두부와 10%의 대두박과 10%의 현미식초를 넣고 3시간 동안 방치하고 끓인 후, 방냉 여과하여 1%의 당밀과 0.5%의 소금을 첨가하고 pH를 7.0 내지 7.4로 조정하여 살균한 액체배지에 고초균 또는 납두균을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96시간 동안 미호기 교반 배양한 바실러스균 배양액 0.4%, 및 증류수에 10%의 당밀과 10%의 맥주를 첨가하여 살균한 액체배지에 사카로카이세스 세레비지에 또는 칸디다 세이크를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유효미생물 복합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2000L 한약재추출기에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37.5 kg,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22.5 kg, 감초 30 kg, 키토산 올리고당 90 mL, 액상 당밀 15 L, 생우유 15 L, 대두박 30 kg를 넣고 물 1500L를 넣어 1650 L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조한 추출액을 2000 L의 균질교반기로 이송하여 감귤농축액 33 L를 첨가하고 균질 교반하여 1688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조한 혼합액을 물 또는 액체 당밀을 첨가하여 당도를 9 brix로 조절하였고, 4% NaOH를 첨가하여 pH를 7.0 내지 7.4로 조절하였다.
그 다음, 상기 당도와 pH를 조절한 혼합액에 유산균(2.3×106 cfu/g), 바실러스균(1.2×106 cfu/g) 및 효모(2.0×105 cfu/g)의 상기 미리 제조한 유효미생물 복합 발효액 42.2 L를 혼합 및 교반한다.
상기 제조한 유효미생물 함유 혼합액 1730.2 L를 스테인리스 재질의 2000L 배양기로 이송하고 30에서 매일 1시간씩 교반 및 혼합하여 주면서 20~30일 동안 보관하여 한약재 고유의 냄새와 상큼하고 시큼하면서도 약간의 된장 발효 냄새가 나고 색상이 짙은 노란색을 띄는 상태가 되도록 발효 숙성시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물질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에 포함된 주요 성분과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고, 표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주요 성분과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국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미생물실험실과 국가 공인시험검사기관인 (주)과학기술분석센터에 의뢰하였다.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비타민 함량
구분 함량
비타민A (Retinol) 1,959 IU/L
비타민B2 (Rivoflavin) 300 ppm
비타민C (Ascorbate) 3,290ppm
비타민D (Calciferol) 0.44 ppm
비타민E (Tocopherol) 7.05 ppm
비타민K (Coagulering vitamin) 0.72 ppm
비오틴 (Biotin) 890 ppm
양식 넙치용 사료첨가제의 비타민 함량은 표 1과 같다. 비타민은 생명체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영양소로 시력, 골격형성, 번식 등의 생리작용에 관여하며, 영양소 이용률을 향상시켜 성장과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비타민들은 넙치의 정상적인 성장에 매우 미량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사료를 제조할 때 비타민 혼합물을 별도로 배합하여 첨가하고 있다. 사료에 각종 비타민의 결핍증은 성장 저하, 질병에 대한 내성 저하, 폐사율이 증가, 지방간, 근위축증, 탈색, 세로이드 침착, 빈혈 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결핍증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미네랄 성분
구분 함량 (ppm)
철 (Iron) 33.60
아연 (Zinc) 2.41
구리 (Copper) 0.58
망간 (Manganase) 0.22
상기 표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는 철, 아연, 구리, 망간의 미네랄 성분을 함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밀도 양식이 이루어지는 넙치에 대해서는 그들이 천연적인 먹이로부터 필요한 미네랄을 모두 섭취할 수 없으므로 성장을 최대로 유지하고 사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합사료에 부족한 미네랄의 첨가는 필수적이다.
철의 결핍증은 성장 및 사료효율 감소, 빈혈, 간의 퇴색, haematocrit와 hemoglobin 값의 감소, 혈장의 Fe 감소 등이다.
아연은 체내의 대사에 관여하는 많은 중요한 효소들의 보조인자이며 탄수화물 대사에 중요한 호르몬인 인슐린의 구조형성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아연이 결핍증은 성장 및 생존율 저하, 식욕 감소, 백내장, 피부와 지느러미의 부식, 뼈의 칼슘과 아연 감소 등이다.
구리는 cytochrome oxidase의 촉매활성에 관여하며, 철의 흡수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골격 형성에 필수적이며, 헤모글로빈 형성과 여러 효소 체계에 관여한다. 구리의 결핍증은 성장저하, 백내장, superoxidase, cytochrome c oxidase 활성 감소이다.
망간의 결핍증은 사료효율 및 영양소 이용률 저하, 성장부진 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결핍증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효소제 함량
구분 함량 (unit/g)
단백질분해효소 (Protease acid) 0.46
지방분해효소 (Lipase acid) 5.00
섬유소분해효소 (Cellulase acid) 0.11
Gluco-당화효소 (Gluco-amylase) 0.013
β-당화효소 (β-amylase) 0.09
상기 표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에는 단백질분해효소, 지방분해효소, 섬유소분해효소, Gluco-당화효소, β-당화효소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색소성분 함량
구분 함량(ppm)
카로티노이드 (Carotenoid) 2.50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8.80
상기 표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사료첨가제의 색소성분으로 감귤 유래의 카로티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로티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작용,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 항염증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암 작용,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지질저하 작용, 면역증강 작용, 모세혈관 강화 작용 등이 효과가 있다.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Eleutheroside B, E 와 Acanthoic acid 분석 (단위 : ppm)
구분 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 Acanthoic acid
오갈피 497 3925 194.45
사료첨가제 117.8 685.2 불검출
상기 표 5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에는 Eleutheroside B, E가 함유되어 있고 Acanthoic acid가 함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탐라오갈피의 주요 성분인 eleutheroside, 리그난 배당체, 면역성 다당류, 사포닌(saponin), 플라보노이드, chlorogenic acid, sesamin, terpenoid, cumarin 유도체 등은 항피로, 항스트레스, 항염증 작용, 간기능 보전과 해독작용 면역기능 및 생체 저항력 강화, 근육강화 등 생체기관의 전반적인 기능을 증진시키는 생리활성이 있다. 특히 탐라(섬) 오갈피로부터 분리된 물질 중에 acanthoic acid 성분은 현재까지 탐라(섬) 오갈피 뿌리에서만 대량으로 분리되며, 패혈증, 관절염, 염증, 간경변, 규폐증 간기능 보전, 진통소염작용 등 면역기능 항진에 뛰어난 약리작용이 있고 Interleukin-1과 TNF-a의 생성억제, TNF-a 유전자 발현억제, collagen 합성의 억제, 간독성의 억제 작용이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가 본 발명에 사용된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에 비해 Eleutheroside B 함량이 약 4배 적으며, Eleutheroside E의 함량이 약 6배가 적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Acanthoic acid는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에서는 검출이 되었으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Ginsenosides 분석 (단위 : ppm)
구분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g1 Rg3 함계
오갈피 3.12 15.86 5.76 5.00 167.09 115.06 - 311.89
사료첨가제 20.35 9.36 5.17 7.83 256.96 103.13 - 402.80
상기 표 6과 도 5,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에는 Ginsenosides의 함량이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갈피와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Re는 Rb2, Rg1에 더불어 골수 세포의 DNA 생합성, 단백질 생합성, 지질 생합성을 촉진시킨다.
시험예 2.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In vitro 활성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In vitro 활성도를분석하고,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In vitro 활성도 분석은 국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미생물실험실에 의뢰하였다.
1.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DPPH법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환원됨으로써 짙은 자색이 탈색이 되는 정도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전자 공여능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한약재 추출액과 감귤농축액의 혼합액 (4, 9 brix)과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로서 유용미생물이 포함된 추출물(5 strains mixed extract)의 수율을 측정하여 희석한 후 DPPH에 의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시료가 1 mg/ml와 0.5 mg/ml의 농도에서 80%가 넘는 활성을 보였으며, 0.1 mg/ml의 농도에서는 4 brix의 한약재 추출물과 감귤농축액 혼합액만 80%가 넘는 활성을 보였다.
2.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mg/ml의 농도에서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로서 유용미생물이 포함된 추출물이 가장 높은 반면에 9 brix의 한약재 추출액과 감귤농축액의 혼합액은 낮은 활성을 보였다. 5 mg/ml의 농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장 낮은 농도인 2 mg/ml의 농도에서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로서 유용미생물이 포함된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로서 유용미생물이 포함된 추출물이 좀 더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측정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mg/ml의 농도에서는 90%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을 보였지만, 농도가 낮아지면서 활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중에서 4brix 한약재 추출물이 모든 농도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어병세균에 의한 항균 활성 측정결과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첨가구의 어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구분
mg
/ml
어병 세균 (clear zone on plate (mm))
A B C D E F G H I

9 brix
extracts
1 - - - - - - - - -
2 - - - - - - - - -
5 - - - - - - - - -
10 - - - - - - - - -
20 - - 9 - - - - 12 -

4 brix
extracts
1 - - - - - - - - -
2 - - - - - - - - -
5 8 - - - - - - - -
10 9 11.5 11 - - 11 - 13 12
20 13 18 19 10 12 14 - 21 18

5 strains
mixed
extract
1 - - - - - - - - -
2 - - - - - - - - -
5 13 11 12 - - 15 - 12 -
10 17 17 19.5 12 12 18.5 9 17 18.5
20 19 19 27.5 16 15 21 11.5 20 20
상기 표 7를 통하여, 9 brix 한약재 추출물 과 감귤농축액 혼합액은 모든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4 brix 한약재 추출물과 감귤농축액 혼합액은 높은 농도에서 Vibrio anguillarumV. harvey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넙치의 복수증을 일으키는 유발균인 Edwardsiella tarda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로서 유용미생물이 포함된 추출물은 두 개의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첨가시킨 미생물에 의하여 한약재 추출물 및 감귤농축액의 유용성분들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그 기능성이 증가하여 어병세균에 대하여 저해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생물접촉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생물접촉실험을 시행하고,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생물접촉실험은 국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미생물실험실에 의뢰하였다.
1. 성장도 조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와 같이 섭취한 넙치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6개월 후부터 성장의 차이를 나타내어 7개월 후에는 0.6% 첨가군이 31.3cm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가 29.6cm로 가장 낮은 성장을 보여, 0.6%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6%의 전장 증가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에서는 0.3%의 첨가군이 가장 높은 375.8g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0.6% 첨가군, 0.9% 첨가군, 대조군 순으로 나타나, 0.3% 첨가군 대조군의 약 15%의 체중 증가를 보였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만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이 큰 차이는 없었으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비만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넙치의 성장과 체중증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혈액학적 분석
실험구와 대조구의 혈액학적 분석
주(week) Group GOT (U/L) GPT (U/L)
0 Con. 45±33 12±3
Tre. 4±1 21.5±12.5
2 Con. 17±7 3.5±0.5
Tre. 32.5±15.5 29±11
4 Con. 18±7 20.5±2.5
Tre. 22.5±1.5 33±4
6 Con. 12.5±1.5 31±15
Tre. 19±2 32.5±3.5
8 Con. 14.5±0.5 15±13
Tre. 12.5±0.5 11±9
10 Con. 37±0 20±2
Tre. 11.5±1.5 1.5±0.5
12 Con. 8.5±3.5 17.5±0.5
Tre. 8±0 8±2
주(week) Group TP (g/dL) GLU (mg/dL)
0 Con. 4.4±0.1 23.5±0.5
Tre. 5.75±0.15 51±3
2 Con. 5.1±0.8 84.5±2.5
Tre. 3.8±0.1 83.5±7.5
4 Con. 5±0.2 92±4
Tre. 4.2±0.2 94±5
6 Con. 6.95±3.35 65±35
Tre. 4.6±0.4 30±7
8 Con. 4.0±0.1 28.5±2.5
Tre. 3.45±0.05 21.5±1.5
10 Con. 3.6±0.2 18±0
Tre. 4.05±0.05 14±0
12 Con. 4.25±0.05 22±1
Tre. 4.1±0.1 39±14
상기 표 8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상기 실시예 1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섭취한 실험군과 배합사료만을 섭취한 대조군 사이에 GOT와 GPT의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0~2주에 측정된 결과 값이 2~8주 사이에 증가하면서 비교적 높은 수치를 유지하다가 시험이 종료되는 12주의 측정값이 0~2주와 비슷한 측정결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GOT, GPT, TP, GLU 4개의 항목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상기 실시예 1의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가 간세포의 손상과 독성물질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3. 어병세균에 의한 공격실험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투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어병세균에 대한 공격실험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V. anguillarum을 접종하였을 때 대조군은 8일째에 77%의 폐사율을 보였으며, 실험군은 59%의 폐사율을 나타내었고 S. iniae 접종 결과는 대조군이 63%를 나타내었으며, 실험군은 40%의 폐사율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약 20% 높은 생존율을 보여 양식넙치에 대한 사료 첨가제로서 질병 저항성을 높여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6개월 이상 섭취한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표 9 내지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섭취한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는 국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미생물실험실에 의뢰하였다.
1. 넙치의 일반성분
넙치의 일반성분
구 분 실험군 대조군
수분(%) 74.70±1.95 74.79±1.66
조단백질(%) 20.59±0.88 20.56±1.58
조지방질 0.82±0.20 0.75±0.21
상기 표 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사료와 함께 섭취한 실험군와 대조군의 수분, 지질, 조단백질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관능검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와 함께 혼합한 사료를 6개월 동안 섭취시킨 후 넙치의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4와 도 15에 나타내었다. 이때, 일반 배합사료만을 섭취한 넙치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을 기준(0)으로 했을 때의 실험군의 기호도는 생육의 경우 texture, 맛,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선호되었고, 가열육은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열육은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선호되었으며, 식별검사에서는 texture와 맛에 대하여 유의하게 식별되었고 질감에 대한 항목 중 생육은 특히 경도, 탄력성이 유의하게 낮아 대조군은 실험군보다 육질이 단단하지 않고 탄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열육은 매우 단단하고 건조한 것으로 나타나 이런 특성이 생육과 가열육의 texture 기호도에서 크게 선호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맛에 대해서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생육, 가열육 모두 감칠맛의 정도가 유의하게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도에서도 유의적으로 선호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투명감, 광택의 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생육과 가열육 모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린내의 정도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육에서 대조군의 외관이 유의적으로 선호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와 함께 혼합한 사료를 6개월 동안 섭취시킨 넙치는 은 대조군에 비해 생육, 가열육 모두 texture와 맛에서 우수하여 양식어의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3. 물성측정
표 10
실험구와 대조구의 물성
구분 생육 (raw meat) 가열육 (cooked meat)
실험구 대조구 실험구 대조구
경도 (dyne/cm2) 54.36±9.64 47.25±8.43 56.10±10.65 66.28±10.07
탄력성 0.58±0.09 0.53±0.14 0.45±0.16 0.44±0.32
응집성 0.43±0.54 0.41±0.36 0.35±0.05 0.39±0.03
상기 표 1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사료와 함께 섭취한 실험군이 생육인 경우 대조군보다 경도와 탄력성이 좋았으며, 가열육에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나타나 관능검사의 결과와 일치되는 경향을 보였고 응집성은 생육, 가열육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와 함께 혼합한 사료를 6개월 동안 섭취시킨 넙치는 생육으로 섭취할 경우 대조군보다 씹히는 감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4. 정미성분의 측정
표 11
어육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의 함량
구분 성분 실험군 대조군







유리아미노산
(mg%)
Asparagine 0.4 0.7
Threonine 1.9 2.3
Serine 2.5 2.3
Glutamine 2.6 3.4
Proline 1.8 2.1
Glycine 1.2 0.3
Alanine 7.4 7.0
Cystein 불검출 불검출
Valine 1.2 1.4
Methionine 1.1 0.8
Leucine 1.3 1.6
Tyrosine 0.5 0.8
Phenylalanine 1.0 0.5
Lysine 6.2 9.2
Histidine 2.1 2.0
Arginine 2.4 2.8


핵산관련물질
(μmole/g)
ATP 6.2 3.4
ADP 1.4 1.3
AMP 0.4 0.4
IMP 1.5 1.6
HxP 0.5 0.6
Hx 0.4 0.4
상기 표 11을 통하여, 육의 감칠맛과 관련있는 유리아미노산인 Glutamine, Proline, Glycine, Alanine, Methionine 등은 실험구와 대조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고 핵산관련물질은 실험군에 ATP의 양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실험군이 6.6 μmole/g으로 3.5 μmole/g인 대조군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와 함께 혼합한 사료를 6개월 동안 섭취시킨 넙치는 대조군에 비해 감칠맛이 많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5. 넙치 외관 색상의 변화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투여한 6개월부터 실험군에서는 복부 부위가 흰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실험군의 복부 부위의 색상 변화는 감귤의 주성분인 β-carotene에 의한 것이라 알 수 있었고 이를 넙치 양식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일반 넙치와 색상으로서 확연히 구별되어 차별화된 넙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제주도는 바다로 둘러싸인 섬으로서 연안 해안의 환경관리와 더불어 수산업의 활성화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양식 광어(넙치)산업은 전국 생산량의 51%를 차지하여 년간 2,200억원 이상의 조수입으로 감귤 다음의 주민들의 소득원으로 제주의 기간산업으로서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어류양식으로 인하여 심화되고 있는 해양환경오염, 연안자원의 고갈, 양식어류의 질병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면역증강과 사료이용률 증대 뿐만아니라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본 발명품을 적용함으로써 광어(넙치) 양식산업의 활성화 등 우리나라 어류양식산업의 토대를 확립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탐라(섬)오갈피로부터 분리된 Eleutheroside B ,E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로부터 분리된 Eleutheroside B ,E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탐라(섬)오갈피로부터 분리된 Acanthoic acid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로부터 분리된 Acanthoic acid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탐라(섬)오갈피로부터 분리된 Ginsenoside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로부터 분리된 Ginsenoside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에 의한 Hydrogen peroxide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넙치의 전장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넙치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넙치의 비만도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넙치의 어병세균에 대한 누적 폐사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넙치의 기호도 평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넙치의 차이식별검사 평가를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6)

  1. 넙치양식용 액상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제주산 탐라(섬)오갈피;
    b)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c) 감초;
    d) 키토산 올리고당;
    e) 액상 당밀;
    f) 생우유;
    g) 대두박;
    h) 물;
    i) 제주산 감귤농축액;
    j)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a)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1.50 내지 2.50 중량부;
    b)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1.30 내지 1.50 중량부;
    c) 감초 2 중량부;
    d) 키토산 올리고당 0.001 내지 0.01 중량부;
    e) 액상 당밀 0.1 내지 1.0 중량부;
    f) 생우유 0.1 내지 1.0 중량부;
    g) 대두박 1.0 내지 2.0 중량부;
    h) 물 100 중량부;
    i) 제주산 감귤농축액 10 내지 20 중량부;
    j)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 1.5 내지 2.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의 유효미생물 복합발효액이 증류수에 5%의 생우유와 5%의 당밀 그리고 5%의 대두박을 첨가하고 80에서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살균한 배지에 생우유에 5%의 당밀을 첨가하고 80에서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살균한 액체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 0.4%, 증류수에 5%의 두부와 10%의 대두박과 10%의 현미식초를 넣고 3시간 동안 방치하고 끓인 후, 방냉 여과하여 1%의 당밀과 0.5%의 소금을 첨가하고 pH를 7.0 내지 7.4로 조정하여 살균한 액체배지에 바실러스균을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한 바실러스 배양액 0.4%, 증류수에 10%의 당밀과 10%의 맥주를 첨가하여 살균한 액체배지에 효모를 접종하고 밀봉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효모를 접종하고 밀봉한 후, 30에서 150 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4. 제3항에 있어서,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케피리(Lactobacillus kefiri),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Lactobacillus hilgardi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이며, 바실러스균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이며, 효모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칸디다 세이크(Candida sak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5.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주산 탐라(섬) 오갈피,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열매, 감초, 키토산 올리고당, 액상 당밀, 생우유, 대두박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혼합액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추출액에 감귤농축액을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혼합액의 당도 및 pH를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혼합액에 유효미생물 복합 발효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혼합액을 발효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숙성이 30에서 매일 1시간씩 교반 및 혼합하여 주면서 20~30일 동 안 배양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45292A 2009-05-25 2009-05-25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KR10103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92A KR101039620B1 (ko) 2009-05-25 2009-05-25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92A KR101039620B1 (ko) 2009-05-25 2009-05-25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87A true KR20100126887A (ko) 2010-12-03
KR101039620B1 KR101039620B1 (ko) 2011-06-09

Family

ID=4350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292A KR101039620B1 (ko) 2009-05-25 2009-05-25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6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37B1 (ko) * 2011-02-01 2013-08-14 경남낙농 영농조합법인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20160007877A (ko) * 2014-07-07 2016-01-2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KR102216577B1 (ko) * 2020-08-25 2021-02-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유산균을 이용하여 어류용 팰렛사료에 흡착 발효시켜 면역활성, 성장촉진효과를 갖는 어류용 압축 건 부상 발효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262B1 (ko) * 2019-11-07 2021-04-09 대한민국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WO2021112266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건풍바이오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동물 사료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84B1 (ko) * 2020-06-26 2021-03-04 김진우 몰약과 황금을 이용한 항균성 면역강화 가축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성 면역강화 가축사료 첨가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26B1 (ko) * 2000-11-29 2003-05-01 이영돈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서의 감귤발효액
KR100350093B1 (en) * 2002-03-29 2002-08-24 Jewoo Corp Feed additive for increas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red fish and promotion of the growth thereof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medicinal herb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50123002A (ko) * 2004-06-26 2005-12-29 김병기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첨가된 어류양식용 사료
KR100660642B1 (ko) *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37B1 (ko) * 2011-02-01 2013-08-14 경남낙농 영농조합법인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20160007877A (ko) * 2014-07-07 2016-01-2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KR102230262B1 (ko) * 2019-11-07 2021-04-09 대한민국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WO2021112266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건풍바이오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동물 사료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6577B1 (ko) * 2020-08-25 2021-02-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유산균을 이용하여 어류용 팰렛사료에 흡착 발효시켜 면역활성, 성장촉진효과를 갖는 어류용 압축 건 부상 발효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620B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60B1 (ko) 과채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5265811B (zh) 一种增加猪肉瘦肉率及风味的添加剂
NO342031B1 (no) Fremgangsmåte for fermentering og dyrking, fermentert planteekstrakt, fermentert planteekstraktpulver og blanding inneholdende det fermenterte planteekstraktet
AU2020104245A4 (en) A Biological Fermentation Preparation and Its Preparation Method
EP393303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or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leuconostoc citreum wikim0104
KR101039620B1 (ko)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KR20160058389A (ko)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CN105795387A (zh) 以果汁为培养基的扩培式发酵制备水果酵素的方法
CN104997120A (zh) 一种混菌异步发酵制备浒苔发酵饮料的生产工艺
KR10109183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833043B1 (ko) 미역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1865623B1 (ko) 영여자를 포함하는 알코올 발효 촉진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영여자 발효주
CN107865267A (zh) 一种南美白对虾饲料添加剂的制备方法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91065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츠네리 및 이의 용도
Michalak et al. Functional fermented food and feed from seaweed
KR20170079910A (ko) 발효 모자반 추출물과 발효식물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 사료첨가제
KR102160918B1 (ko) 미생물 기반의 사료용 생균제
KR20120058116A (ko) 옻을 함유하는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04273611A (zh) 一种番茄茶菌饮料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37312A (ko) 유산균을 이용한 분말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5684989B2 (ja) トゲドコロ根茎の酵素処理物及び麹菌発酵処理物
KR20100037309A (ko)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