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462A -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462A
KR20100125462A KR1020107024091A KR20107024091A KR20100125462A KR 20100125462 A KR20100125462 A KR 20100125462A KR 1020107024091 A KR1020107024091 A KR 1020107024091A KR 20107024091 A KR20107024091 A KR 20107024091A KR 20100125462 A KR20100125462 A KR 2010012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ayer
connection
terminal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579B1 (ko
Inventor
히로토 우치다
유코 타구치
마사시 우에다
미치히로 타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Publication of KR2010012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외부 접속 단자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과 접속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은, 절연성의 투명 기판 10과 태양전지 셀 51과 외부 접속 단자 52를 구비한다. 태양전지 셀 51은, 투명 전극층 11과 반도체층 13과 이면 전극층 12를 포함한다. 외부 접속 단자 52는, 투명 전극층 11의 표면에 형성되고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된 접속층 18과 접속층 18에 적층된 단자층 19을 포함하고, 태양전지 셀 51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해당 접속층 18이 반도체 재료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투명 전극층 11과 단자층 19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투명 전극층 11과 단자층 19 사이의 접촉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THIN FILM SOLAR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 접속 단자를 가지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막 태양전지 모듈은, 투광성 기판상에 제작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의 집적체이다. 태양전지 셀은, 투광성 기판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구성된 제1 전극층과 이 제1 전극층 위에 형성된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 등으로 된 반도체층과 이 반도체층 위에 형성된 금속 등으로 된 제2 전극층(이면 전극)에 의해서 구성된다(특허 문헌1, 2참조).
제1 전극층, 반도체층 및 제2 전극층은, CVD법이나 스패터링법 등의 기상 성장법에 의해 형성된다. 각 층의 형성 후에는, 소자를 복수의 셀로 분리하기 위해서 각 층을 투광성 기판의 면상에서 레이저 스크라이브 하고, 또한 서로 이웃이 되는 태양전지 셀을 직렬(또는 병렬)로 접속한다. 그 후, 각 층의 전체 면을 수지 충전(充塡)재 등으로 봉지(封止)하는 것으로써,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은, 투광성 기판상에, 태양전지 셀에서 발전된 전압을 외부에 꺼내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를 갖추고 있다. 외부 접속 단자는, 태양전지 셀내의 가장 전위차가 커지는 정부의 전극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 접속 단자는, 태양전지 셀의 형성 공정에 대해서 이용되는 박막 재료의 성막, 및 패터닝을 거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특허 문헌1, 2에는, 제1 전극층, 반도체층 및 제2 전극층의 형성 후,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제2 전극층 및 반도체층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하고 리드 접속홈을 간격을 두어 복수개 형성하는 공정과, 이들 복수개의 리드 접속홈을 넘어 땜납 범프를 형성하는 공정과, 리드 접속홈 위에 상기 땜납 범프를 통해 리드 선을 접합하는 공정을 거쳐, 외부 접속용 리드 설치 부분을 제작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개 2006-319215 호 공보 특개 2007-273908호 공보
특허 문헌1, 2 기재의 방법에서는, 리드 접속홈은 각각, 제1 전극층과 반도체층과 제2 전극층로 구성된 적층막에 대해서, 제2 전극층으로부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리드 접속홈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체는 어느 것이나 반도체층과 제2 전극층의 적층체가 된다.
그렇지만, 반도체층은, 금속층이나 도전성 산화물층 등과의 밀착성이 비교적 낮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1, 2 기재의 구성에 있어서, 리드 접속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체가 반도체층과 제2 전극층의 적층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접속 단자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 어느 구조체에도 반도체층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접속 단자의 접속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접속 단자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과 접속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와 관련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은, 절연성의 투명 기판과 태양전지 셀과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된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된 접속층과, 상기 접속층에 적층된 단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형태와 관련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절연성의 투명 기판 위에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반도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에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제1 접속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속홈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층 위에 제2 전극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속홈에 충전(充塡)된 상기 제2 전극층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2 전극층에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한 쌍의 제2 접속홈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접속홈에 끼워진 상기 제2 전극층의 영역에 도전재료가 적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각 공정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A)에 나타낸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B) 및 (C)는 각각, (A)에 있어서의 [B]-[B]선 및 [C]-[C]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C)에 나타낸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B), (C) 및 (D)는, 각각, (A)에 있어서의 [B]-[B]선,[C]-[C]선 및 [D]-[D]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E)에 나타낸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B), (C), (D) 및 (E)는, 각각, (A)에 있어서의 [B]-[B]선,[C]-[C]선,[D]-[D]선 및 [E]-[E]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투명 기판의 장(長)변측 주변 영역에 각각 형성된 절연 분리홈(제2 분리홈)을 나타내는 평면도, (B), (C), (D) 및 (E)는, 각각, (A)에 있어서의 [B]-[B]선,[C]-[C]선,[D]-[D]선 및 [E]-[E]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1(F)의 평면도, (B) 및 (C)는, 각각, (A)에 있어서의 [B]-[B]선 및 [C]-[C]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G)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접속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접속 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은, 절연성의 투명 기판과 태양전지 셀과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된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된 접속층과 상기 접속층에 적층된 단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상기 접속층이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접속층이 반도체 재료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전극층과 단자층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제1 전극층과 단자층과의 사이의 접촉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과 접속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태양전지 셀 내의 양음의 전극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접속층의 형성 개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단수 또는 복수의 접속층으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접속층은, 상기 제2 전극층의 구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태양전지 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전극층의 성막 시에, 상기 접속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층을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하는 단자 접속홈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단자층이 직접적으로 접촉 할 수 있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접속 저항의 더욱 큰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층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접합 신뢰성의 더욱 큰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홈은, 상기 접속층을 사이에 두도록 한 쌍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접합 신뢰성의 향상 및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절연성의 투명 기판 위에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반도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에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제1 접속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속홈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층 위에 제2 전극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속홈에 충전(充塡)된 상기 제2 전극층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2 전극층에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한 쌍의 제2 접속홈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접속홈에 끼워진 상기 제2 전극층의 영역에 도전재료가 적층된다.
상기 제1 접속홈에 상기 제2 전극층이 충전(充塡)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층이 구성된다. 이 접속층은, 상기 제2 전극층의 구성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전극층의 구성 재료에 금속재료를 이용하면, 해당 접속층은 금속재료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과 접속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료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상기 영역을 넘도록, 상기 제2 접속홈에 충전(充塡)되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접합 신뢰성의 향상 및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더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각 공정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A)의 공정)
우선, 도 1(A)에 나타내듯이, 절연성의 투명 기판 10상에, 제1 전극층으로서 투명 전극층 11을 형성한다.
투명 기판 10은, 구형 모양을 갖고, 전형적으로는 유리 기판이다. 유리 기판 이외에도, 플라스틱 기판이나 세라믹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투명 전극층 11(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는, ITO(Indium Tin Oxide), SnO2, ZnO 등의 투명 도전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전극층 11은, CVD법, 스패터링법, 도포법 등에 의해서 투명 기판 10의 표면 전역에 소정의 막두께(膜厚)로 형성된다.
도 2(A)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투명 전극층 11의 형성 후, 투명 전극층 11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해 전극 분리홈 14, 영역 분리홈 21X, 21Y, 및 절연 분리홈 22a를 형성한다. 도 2(B) 및 (C)는 각각, 도 2(A)에 있어서의 [B]-[B]선 및 [C]-[C]선 방향 단면도이다. 영역 분리홈 21X는, 주변 영역의 가공 데미지의 모듈 특성에의 영향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영역 분리홈 21X의 형성 개수는, 기판 10의 각 장변 측에 각각 1개이어도 좋고, 2개 이상이라도 좋다. 개수를 늘리는 것이 주변 영역의 가공 데미지의 모듈 특성에의 영향의 저감의 효과는 있지만, 발전에 유효한 셀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전극 분리홈 14는, 투명 기판 10의 Y방향(투명 기판 10의 단(短)변 방향)을 따라서 임의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평행으로 형성된다.
한쪽의 영역 분리홈 21X는, 투명 기판 10의 각 장(長)변측의 주변 영역 30X와 이 주변 영역 30X보다 안쪽의 발전 영역 50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X방향(투명 기판 10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있다.
다른 한쪽의 영역 분리홈 21Y는, 투명 기판 10의 각 단변측의 주변 영역 30Y와 이 주변 영역 30Y보다 안쪽의 발전 영역 50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Y방향(투명 기판 10의 단변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있다.
이들 영역 분리홈 21X, 21Y는,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고 있다.
절연 분리홈 22a는, 영역 분리홈 21Y보다 주변 영역 30Y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절연 분리홈 22a는,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고 있다. 절연 분리홈 22a의 형성 위치는, 주변 영역 30Y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저 스크라이빙은, 투명 기판 10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부터 광 빔을 조사(照射)하고, 투명 전극층 11의 소정 영역을 제거하는 것으로, 레이저 파장이나 발진 출력은, 제거 대상 재료의 종류 등에 의해서 적당히 설정된다. 레이저광은 연속 레이저광이라도 좋고, 소자에의 열적 데미지가 적은 펄스 레이저광이라도 좋다. 덧붙여 이상의 설명은, 후술하는 반도체층 13 및 이면 전극층 12의 레이저 스크라이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B)의 공정)
다음에, 도 1(B)에 나타내듯이, 투명 전극층 11가 형성된 투명 기판 10의 표면 전역에 반도체층 13을 형성한다. 반도체층 13은, 투명 전극층 11에 형성된 전극 분리홈 14의 내부에도 파묻힌다.
반도체층 13은, p형 반도체막, i형 반도체막 및 n형 반도체막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형 반도체막은, p형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막, i형 반도체막은, i형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막, n형 반도체막은, n형 미결정 실리콘막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예에 있어서,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막은 미결정 실리콘막으로, 또, 미결정 실리콘막은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막으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반도체층 13은, 복수의 발전층의 단위(pin, pinp, npin,… 등)를 복수 적층시킨, 텐덤형, 트리플형이어도 좋고, 그 때에 발전층간에 중간층을 마련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반도체막은, 플라스마 CVD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각 반도체막의 막두께(膜厚)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사양에 따라 적당히 설정된다.
(도 1(C)의 공정)
계속하여, 도 1(C)에 나타내듯이, 반도체층 13의 소정 영역에 하지(下地)인 투명 전극층 11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접속홈 15를 형성한다. 덧붙여 접속홈 1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접속홈」에 대응한다.
도 3(A)는, 도 1(C)의 평면도이다. 접속홈 15는, 반도체층 13의 형성 후, 반도체층 13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해 형성된다. 도 3(B), (C) 및 (D)는 각각, 도 3(A)에 있어서의 [B]-[B]선,[C]-[C]선 및 [D]-[D]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1(D)의 공정)
다음으로 도 1(D)에 나타내듯이, 투명 전극층 11 및 반도체층 13이 형성된 투명 기판 10의 표면 전역에, 제2 전극층으로서 이면 전극층 12을 형성한다. 이면 전극층 12는, 반도체층 13에 형성된 접속홈 15의 내부에도 파묻힌다.
이면 전극층 1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ZnO층과 광반사 특성이 좋은 Ag층으로 구성되지만, Ag층 대신에, Al、Cr、Mo、W、Ti 등의 다른 금속 내지는 합금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투명 전극층 11은, CVD법, 스패터링법, 도포법 등에 의해서 투명 기판 10의 표면 전역에 소정의 막두께(膜厚)로 형성된다.
(도 1(E)의 공정)
계속하여 도 1(E)에 나타내듯이, 이면 전극층 12의 소정 영역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하고, 소자 분리홈 16, 단자 접속홈 17, 절연 분리홈 22Y 및 경계 분리홈 23을 각각 형성한다.
소자 분리홈 16은, 투명 전극층 11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된다. 도 4(A)는, 도 1(E)의 평면도이다. 도 4(B), (C), (D) 및 (E)는 각각, 도 4(A)에 있어서의 [B]-[B]선,[C]-[C]선,[D]-[D]선 및 [E]-[E]선 방향 단면도이다.
단자 접속홈 17은, 발전 영역 50 중 투명 기판 10의 주변 영역 30Y에 면한 소정 위치에 형성된, 후술하는 단자층 19를 투명전극층 11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홈이다. 이 단자 접속홈 17은, 반도체층 13에 형성되어 이면 전극 재료가 파묻힌 접속홈 15를 사이에 두도록, 이면 전극층 12 및 반도체층 13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하고, 투명전극층 11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한 쌍 형성된다. 단자 접속홈 17은, 도시하는 한쪽의 주변 영역 30Y측 뿐만이 아니라, 도시하지 않는 다른 한쪽의 주변 영역 측에도 이와 같이 형성된다. 덧붙여 단자 접속홈 1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2 접속홈」에 대응한다.
또, 단자 접속홈 17의 형성과 동시에, 단자 접속홈 17에 끼워지는 이면 전극 재료로 구성된 단자 접속층 18이 형성된다. 단자 접속층 18은, 투명 기판 10의 단변 방향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형성된 구조체로 구성된다. 단자 접속층 18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또, 단자 접속층 18의 형성 개수도 도시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도 9 참조)이어도 상관없다.
절연 분리홈 22Y는, 투명 전극층 11에 형성한 주변 영역 30Y내의 절연 분리홈 22a(도 1(A))와 동일위치에, 이면 전극층 12 및 반도체층 13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해 형성된다. 절연 분리홈 22Y는,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투명 기판 10의 단변측 주변 영역 30Y의 각각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절연 분리홈은, 투명 기판 10의 단변측 주변 영역 30Y 뿐만이 아니라, 그 장변측 주변 영역 30X의 각각에도 각각 형성된다. 도 5(A)는, 투명 기판 10의 장변측 주변 영역 30X에 각각 형성된 절연 분리홈 22X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B), (C), (D) 및 (E)는 각각, 도 5(A)에 있어서의[B]-[B]선, [C]-[C]선, [D]-[D]선 및 [E]-[E]선 방향 단면도이다. 절연 분리홈 22X는,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된다.
경계 분리홈 23은, 투명 기판 10의 주변 영역 30Y에 있어서, 절연 분리홈 22Y보다 안쪽의 소정 위치의 이면 전극층 12 및 반도체층 13을 레이저 스크라이브 해 형성된다. 경계 분리홈 23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전극층 11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고 있어도 괜찮다. 경계 분리홈 23은, 후술하는 블라스트(blast) 처리공정에 있어서, 블라스트(blast) 영역과 비블라스트 영역과의 경계선을 형성한다.
이상의 절연 분리홈 22X, 22Y의 형성 공정에 의해서, 발전 영역 50에 복수의 태양전지 셀 51이 구성된다. 각각의 태양전지 셀 51은, 이면 전극층 12가 접속홈 15를 통해 인접하는 다른 셀의 투명 전극층 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태양전지 셀 51이 서로 직렬 접속된 모듈 구성은, 발생 전류는 충분하지만 발생 전압이 비교적 낮은 발전 모듈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각 태양전지 셀을 병렬 접속한 모듈 구성은, 발생 전압은 충분하지만 발생 전류가 비교적 낮은 발전 모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F)의 공정)
다음에 도 1(F)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투명기판 10의 주변 영역 30X, 30Y를 블라스트(blast) 처리한다. 이것에 의해, 주변영역30X, 30Y상의 투명 전극층 11, 반도체층 13 및 이면 전극층 12가 제거된다. 도 6(A)는, 도 1(F)의 평면도이며, 도 6(B) 및 (C)은 각각, 도 2(A)에 있어서의[B]-[B]선 및 [C]-[C]선 방향 단면도이다.
블라스트 처리 조건은, 주변 영역 30X, 30Y상의 투명 전극층 11, 반도체층 13 및 이면 전극층 12을 적절히 제거할 수 있는 한도에 있어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블라스트 입자는, 알루미나 입자나 실리카 입자 등의 세라믹 입자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계 입자나 식물계 입자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 블라스트 처리에 즈음해서는, 발전 영역 50에 블라스트 입자가 살포되지 않게,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마스킹을 실시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변 영역 30Y와 발전 영역 50과의 사이를 분리하는 영역 분리홈 21X, 21Y에 파묻힌 반도체층 13은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도 1(F)에 나타내듯이 투명 전극층 11의 둘레를 피복하도록 잔존시킨다. 이것에 의해, 해당 투명 전극층 11의 둘레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G)의 공정)
계속하여 도 1(G)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도전재료를 단자 접속홈 17에 묻어 단자층 19를 형성한다. 단자층 19는, 단자 접속층 18을 넘도록 하여 단자 접속층 18 위에 적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층 19는, 도 7에 나타내듯이, 단자 접속층 18의 연재(延在)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간격을 두어 형성된다. 단자층 19는, 투명 기판 10의 단변측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덧붙여 단자층 19는, 단자 접속층 18의 형성 영역 전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상관없다.
단자층 19는, 용융 땜남을 도포하는 방법이나 땜납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리플로우 하는 방법외, 도전성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동(銅) 등의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 금속 블록을 기판상에 압접하는 방법 등, 적당한 방법을 이용해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투명 기판 10의 표면에, 태양전지 셀 51에서 발전된 전압을 외부에 꺼내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 52가 제작된다. 외부 접속 단자 52는, 집적화 된 태양전지 셀내의 가장 전위차가 커지는 2개의 위치에, 양음의 전극 부분으로서 각각 제작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외부 접속 단자 52는, 투명 기판 10의 단변측의 양측부에 태양전지 셀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어,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축전기 등의 외부 기기의 전극 부분에 각각 접속된다.
마지막으로, 투명 기판 10의 표면 전역을 피복 하는 절연성 수지로 된 봉지층 25(도 1(G))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투명 기판 10상의 태양전지 셀 51을 봉지(封止)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투명 기판 10의 둘레의 각부(角部)를 모따기 한다. 이 모따기 공정은, 공정간에 있어서의 핸들링시나 처리시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 10의 파손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모따기 공정은, 최종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 전극층 11의 형성 공정전이나, 임의의 공정간에 있어 행해져도 괜찮다.
덧붙여 외부 접속 단자 52를 외부에 접속하기 위해서, 외부 접속 단자 52의 표면을 봉지층 25의 표면으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또, 외부 접속 단자 52에 본딩 와이어를 접속한 후, 해당 본딩 와이어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봉지층 25를 형성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하여, 투명 기판 10상에 복수의 태양전지 셀 51을 집적화 시킨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이 제조된다.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은, 투명 기판 10측을 빛의 입사면으로서 설치된다. 투명 기판 10으로부터 입사 한 태양광은, 투명 전극층 11을 통해 반도체층 13에 입사하고, 반도체층 13은, 입사빛에 응한 광전 변환 작용이 이루어진다. 반도체층 13에서 발생한 전압은, 투명 전극층 11과 이면 전극층 12에 의해 꺼내져 외부 접속 단자 52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축전기에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 52를 구성하는 단자 접속층 18이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자 접속층 18이 반도체 재료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투명 전극층 11과 단자 접속층 18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투명 전극층 11과 단자 접속층 18 사이의 접촉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 52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과 접속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에 있어서, 단자 접속층 18은, 이면 전극층 12의 구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태양전지 셀 51의 제조 공정에서이면 전극층 12의 성막 시에, 단자 접속층 18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 52는, 단자층 19를 투명 전극층 11에 접속하는 단자 접속홈 17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투명 전극층 11과 단자층 19가 직접적으로 접촉 할 수 있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접속 저항의 더욱 큰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단자층 19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외부 접속 단자 52의 접합 신뢰성의 더욱 큰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에 있어서, 단자 접속홈 17은, 단자 접속층 18을 사이에 두도록 한 쌍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 52의 접합 신뢰성의 향상 및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단자층 19는 이들 단자 접속층 18을 넘도록 하여 형성되고 있으므로, 단자층 19와 투명 전극층 11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취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접촉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직렬 접속형의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에 대해서는, 발전 전압의 로스를 크게 저감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영역 분리홈 21X, 21Y의 외측(주변 영역 30X, 30Y측)에, 한층 더 절연 분리홈 22X, 22Y를 형성한 후, 이 절연 분리홈 22X, 22Y를 포함한 주변 영역 30X, 30Y를 블라스트 처리해 해당 주변 영역상의 투명 전극층 11, 반도체층 13 및 이면 전극층 12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절연 분리홈 22X, 22Y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절연 분리홈 22X, 22Y내에 도전재료의 찌꺼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서도, 이후의 블라스트 처리 공정에 대해 둘레 영역 30X, 30Y와 발전 영역 50 사이의 절연 내압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의 주변 영역 30X, 30Y와 발전 영역 5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확실히 취할 수 있으므로, 투명 기판 10과 봉지층 25의 사이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수분 등의 침입에 대해서, 신뢰성이 높은 절연 내압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주변 영역 30X, 30Y와 발전 영역 50 사이의 전기적 분리 처리를, 해당 주변 영역에 대한 절연 분리홈 22X, 22Y의 형성 공정과 블라스트 처리 공정의 2단계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처리가 불완전한 경우에도, 다른 한쪽의 처리로 그 불완전성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양쪽 처리의 공정관리 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분리홈 22X의 형성에 임하여, 미리 투명 전극층 11의 대응 위치에 분리홈 22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층 13에 비해 레이저 스크라이브로 제거하기 어려운 투명 전극층 11을 절연 분리홈 22Y의 형성시에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신뢰성이 높은 절연 분리홈 22X를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 분리홈 21Y와 절연 분리홈 22Y의 사이에, 경계 분리홈 23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블라스트 처리시에 있어 주변 영역 30Y와 발전 영역 50 사이의 절연 분리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블라스트 처리 후에 있어서의 블라스트 처리 영역과 비블라스트 영역의 경계부의 형상 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변 영역 30Y와 발전 영역 50 사이를 분리하는 영역 분리홈 21Y에 파묻힌 반도체층 13은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도 1(F)에 나타내듯이 투명 전극층 11의 둘레를 피복 하도록 잔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해당 투명 전극층 11의 둘레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반도체층 13이 투명 전극층 11보다 고저항인 것으로 인해, 해당 투명 전극층 11의 둘레와 주변 영역 30Y 사이의 절연 내압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접속 단자 53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외부 접속 단자 53은, 단자 접속층 18의 형성 후, 단자 접속홈 17을 형성하지 않고, 단자 접속층 18 위에 단자층 19를 적층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단자층 19는,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된 단자 접속층 18을 통해 투명 전극층 11과 접속되고 있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접속 신뢰성이 뛰어난 한편, 저 전기저항 특성을 가지는 외부 접속 단자 53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단자 접속홈 17의 형성 공정을 생략 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접속 단자 53의 제조 공정수 및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접속 단자 5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외부 접속 단자 54는, 단자 접속층 18이 간격을 두어 2개 존재한다. 단자 접속층 18의 형성 개수는, 단자 접속홈 17의 형성 개수를 바꾸는 것만으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단자층 19는,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된 단자 접속층 18을 통해 투명 전극층 11과 접속되고 있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접속 신뢰성이 뛰어난 한편, 저 전기저항 특성을 가지는 외부 접속 단자 53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단자 접속층 18이 복수개 형성되고 있으므로, 도 1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단자층 19와 투명 전극층 11 사이의 접속 저항을 저감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 54의 저 저항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분리홈 14, 접속홈 15, 소자 분리홈 16, 단자 접속홈 17, 영역 분리홈 21X, 21Y, 절연 분리홈 22a, 22X, 22Y 및 경계 분리홈 23의 각각의 형성폭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홈의 폭은,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의 사양이나 레이저 스크라이브의 레이저 발진 조건 등에 의해 적당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태양전지 셀 51이 서로 직렬적으로 접속된 박막 태양전지 모듈 1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전지 셀이 서로 병렬적으로 접속된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 박막 태양전지 모듈
10 투명 기판
11 투명 전극층(제1 전극층)
12 이면 전극층(제2 전극층)
13 반도체층
14 전극 분리홈
15 접속홈
16 소자 분리홈
17 단자 접속홈
18 단자 접속층
19 단자층
21X, 21Y 영역 분리홈(제1 분리홈)
22a, 22X, 22Y 절연 분리홈(제2 분리홈)
23 경계 분리홈
30X, 30Y 주변 영역
50 발전 영역
51 태양전지 셀
52, 53, 54 외부 접속 단자

Claims (7)

  1. 절연성의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된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셀과,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단일의 금속재료층으로 된 접속층과, 상기 접속층에 적층된 단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인접해서 배치된 외부 접속 단자
    를 구비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층은, 상기 제2 전극의 구성 재료로 된
    박막 태양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층을 상기 제1 전극층에 접속하는 단자 접속홈을 갖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홈은, 상기 접속층을 사이에 두도록 한 쌍 형성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층은, 땜납 재료 또는 도전성 접착제로 된
    박막 태양전지 모듈.
  6. 절연성의 투명 기판 위에 제1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층에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제1 접속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속홈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층 위에 제2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속홈에 충전(充塡)된 상기 제2 전극층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2 전극층에 상기 제1 전극층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의 한 쌍의 제2 접속홈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접속홈에 끼워진 상기 제2 전극층의 영역에 도전재료를 적층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료는, 상기 제2 전극층의 상기 영역을 넘도록, 상기 제2 접속홈에 충전(充塡)되는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07024091A 2008-05-15 2009-05-12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1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8188 2008-05-15
JP2008128188 2008-05-15
PCT/JP2009/058855 WO2009139390A1 (ja) 2008-05-15 2009-05-12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462A true KR20100125462A (ko) 2010-11-30
KR101171579B1 KR101171579B1 (ko) 2012-08-06

Family

ID=4131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091A KR101171579B1 (ko) 2008-05-15 2009-05-12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08107A1 (ko)
JP (1) JPWO2009139390A1 (ko)
KR (1) KR101171579B1 (ko)
CN (1) CN102017173B (ko)
DE (1) DE112009001175T5 (ko)
TW (1) TWI436486B (ko)
WO (1) WO2009139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089B1 (ko) 2009-09-30 2011-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5521055B2 (ja) * 2010-10-29 2014-06-11 株式会社アルバック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CN102299202A (zh) * 2011-08-25 2011-12-28 浙江正泰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电池引线连接方法
KR101779955B1 (ko) * 2011-10-13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막 태양 전지 모듈
JP6192930B2 (ja) * 2012-12-19 2017-09-06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窓
EP3000131B1 (fr) * 2013-05-23 2020-09-09 Garmin Switzerland GmbH Mono cellule photovoltaïque semi-transparente en couches minces
CN105553417A (zh) * 2014-10-30 2016-05-04 鑫邦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具固态电池的太阳能电池模块
CN106601873B (zh) * 2016-12-16 2018-06-29 苏州腾晖光伏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czts薄膜的旋涂装置及制备czts电池的方法
TWI661668B (zh) * 2017-07-25 2019-06-01 海力雅集成股份有限公司 太陽能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851B2 (ja) * 1995-09-14 2005-01-26 株式会社カネカ 集積化薄膜太陽電池
JP3243232B2 (ja) * 1999-06-04 2002-01-07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AU731869B2 (en) * 1998-11-12 2001-04-05 Kaneka Corporation Solar cell module
JP4984431B2 (ja) 2005-05-13 2012-07-25 株式会社カネカ 集積型薄膜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91098B2 (ja) * 2005-07-22 2011-10-12 株式会社カネカ 集積型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219227B1 (en) * 2005-11-28 201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olar cell
JP4703433B2 (ja) * 2006-02-27 2011-06-15 三洋電機株式会社 光起電力装置
JP5016835B2 (ja) 2006-03-31 2012-09-05 株式会社カネカ 光電変換装置及び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4485506B2 (ja) 2006-10-27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太陽電池および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
WO2009129030A2 (en) * 2008-04-14 2009-10-22 Applied Materials, Inc. Solar parametric testing module and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5968A (en) 2010-02-01
KR101171579B1 (ko) 2012-08-06
JPWO2009139390A1 (ja) 2011-09-22
US20110108107A1 (en) 2011-05-12
CN102017173A (zh) 2011-04-13
DE112009001175T5 (de) 2011-03-03
WO2009139390A1 (ja) 2009-11-19
TWI436486B (zh) 2014-05-01
CN102017173B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579B1 (ko) 박막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8811B1 (ko)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전지 모듈
US10056504B2 (en) Photovoltaic module
JP3613851B2 (ja) 集積化薄膜太陽電池
JP5702472B2 (ja) 合わせガラス構造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3449155B2 (ja)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87333A1 (ja) 光電変換セル、光電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光電変換セルの製造方法
JPH0932649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9918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0150675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527878B1 (ko) 박막형 태양전지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2084854B1 (ko) 2이상의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셀 스트링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30154047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CN113488593B (zh) 薄膜光伏结构
JP2013149699A (ja) 集積化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01053304A (ja) 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4986087B2 (ja) 薄膜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8704A (ja) 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2002043599A (ja) 光起電力装置
JPH03124066A (ja) 光起電力装置
JP201302117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