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393A - 슬로팅 커터를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 Google Patents

슬로팅 커터를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393A
KR20100125393A KR1020107022410A KR20107022410A KR20100125393A KR 20100125393 A KR20100125393 A KR 20100125393A KR 1020107022410 A KR1020107022410 A KR 1020107022410A KR 20107022410 A KR20107022410 A KR 20107022410A KR 20100125393 A KR20100125393 A KR 20100125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tool
cutter
adjust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몬 카도시
Original Assignee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카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스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0012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8Disc-typ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26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fitted on an intermediate carrier, e.g. shank fixed in the cutt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7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the adjusting means be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10T29/49902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by manipulating alig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2Tool adjustable relative to holder
    • Y10T407/1914Radially
    • Y10T407/1916And axially
    • Y10T407/1918Selec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로팅 커터의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제공한다. 조정 기구는 본체 회전축을 가지며, 본체 전방 표면과 본체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주연 표면을 포함한다. 본체에는 나사형 관통 보어가 제공되고, 각각의 나사형 관통 보어는 나사형 볼트의 나사부를 그 안에 수용한다. 조정 기구가 카트리지를 갖는 슬로팅 커터와 함께 공통 아버 상에 장착되면, 각각의 나사형 볼트는 관련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대향한다. 나사형 볼트의 헤드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카트리지는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각각의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는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로팅 커터를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CARTRIDGE ADJUSTMENT TOOL FOR A SLOTTING CUTTER}
본 발명은 슬로팅 커터의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를 가진 슬로팅 커터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슬로팅 커터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062,775호, 제6,488,456호 및 제6,971,823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한 종류의 일반적인 슬로팅 커터는 커터 회전축을 갖는 디스크 형상의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를 포함한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는 전방 표면과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주연 표면을 갖는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의 주연 표면을 따라서 복수의 카트리지 포켓이 형성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포켓에는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각각의 카트리지의 인서트 포켓 내에는 절삭 인서트가 보유된다.
기능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몇 가지 유형의 슬로팅 커터가 존재한다. 첫 번째 유형의 슬로팅 커터는 절삭 인서트가 예를 들어 슬롯을 형성하거나 또는 좁은 면을 밀링하기 위해 슬로팅 커터의 주연 방향으로 절삭하도록 인서트 포켓에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를 갖는 카트리지를 갖는다.
두 번째 유형의 슬로팅 커터는 절삭 인서트가 슬로팅 커터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즉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의 슬로팅 커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전방 표면 또는 후방 표면에 인접하여 절삭하도록 인서트 포켓에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를 갖는 카트리지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장착은 포켓 또는 공동의 측벽을 밀링하기 위해, 또는 슬로팅 커터의 회전축이 기계가공되는 가공물의 면에 직각으로 위치될 때 페이스 밀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세 번째 유형의 슬로팅 커터는 슬로팅 커터의 주연 표면 둘레에 번갈아 배열된 대응 카트리지의 인서트 포켓 내에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를 갖는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소정 카트리지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의 전방 표면에 인접하여 절삭하는 절삭 인서트를 보유하고, 후속 카트리지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의 후방 표면에 인접하여 절삭하는 절삭 인서트를 보유한다. 이러한 유형의 슬로팅 커터는 슬롯의 바닥뿐만 아니라 슬롯의 숄더를 모두 밀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슬롯은 특정 폭 치수로 밀링되어야 하기 때문에, 2개의 연속되는 절삭 인서트의 축방향 배향된 절삭 에지들 사이의 축방향 거리(도 5의 도면부호 "W" 참조)가 정밀하게 설정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상이한 폭의 슬롯들이 동일한 슬로팅 커터에 의해 절삭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유형이 카트리지들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또한 필수적이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는 "S형" 및 "F형" 어댑터로 지칭되는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어댑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S형" 어댑터는 스핀들에 연결되는 아버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슬로팅 커터의 회전축에 중심설정된 중심 개구이다. "F형" 어댑터는 스핀들에 연결되는 아버를 구성하는 슬로팅 커터의 중심 개구에 있는 대체로 원통형의 중심 돌출부이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카트리지를 조립하고 이들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는 조립 장치의 아버 상에 장착된다. 그 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포켓들 중 하나에 장착된다. 카트리지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원하는 축방향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카트리지는 측정 공구에 의해 표시되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전방 또는 후방 축방향으로 해머에 의해 또는 다른 공구의 도움을 받아 직접 노킹(nocking)된다. 제1 카트리지의 위치 또는 교번하는 카트리지 슬로팅 커터의 경우에 있어서는 처음 2개의 카트리지의 위치에 도달한 후에, 나머지 카트리지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고 기준 카트리지의 역할을 하는 제1 조립된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조정 방법은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데, 그 이유는 해머 또는 다른 공구의 각각의 노킹에 의해 발생되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한 소정 카트리지의 축방향 변위가 정밀하게 판단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조정이 수행될 때에도,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에 가져가기 위해서는 대개 몇 개의 단계가 요구된다. 이것은 어려운 작업인데, 그 이유는 카트리지의 원하는 변위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0.005mm 내지 0.020mm의 범위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작은 변위가 요구됨으로써, 해머에 의한 약간의 노킹조차도 소정 축방향으로 원하는 변위를 초과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는 카트리지를 반대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야만 한다. 실질적으로, 후방 및 전방 조정은 몇 개의 단계를 요구하며, 엄격한 조립 공차가 요구될 때 이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귀찮은 작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현저히 감소시키거나 극복하는 슬로팅 커터의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그것이 장착되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기준 카트리지에 대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모든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형" 및 "S형" 어댑터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어댑터를 갖는 상이한 유형의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회전축을 가진 카트리지 조정 공구가 제공되며, 이것은
본체 전방 표면과 본체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주연 표면을 갖는 본체와,
본체 전방 표면에 대해 적어도 축방향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섹션을 각각 갖고 본체와 연관된 제1 결합 부재를 갖는 복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정 요소의 돌출 섹션의 축방향 변위는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정 요소들은 본체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유사하게 배치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각각의 조정 요소는 선행하는 조정 요소에 대해 각도적으로 유사하게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조정 요소는 본체 전방 표면과 본체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주연 개구와 연관된다.
원한다면, 각각의 본체 주연 개구는 본체 주연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롯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와 연관된 제1 결합 부재는 나사형 보어이며, 각각의 조정 요소는 본체 내의 관련 나사형 보어와 나사결합하는 나사형 볼트이다.
각각의 조정 요소의 돌출 섹션은 나사형 볼트의 전방 나사부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형 볼트는 후방 표면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돌출된다.
원한다면, 각각의 나사형 볼트는 볼트 헤드를 가지며, 볼트 헤드의 주연 표면은 널(knurl) 가공된다.
일반적으로, 본체에는 본체 중심 관통 보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함께 공통의 아버 상에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장착하는 단계와,
(b) 각각의 카트리지에서 힘 결합 영역에 대향하여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조정 요소를 축방향으로 정렬하여, 카트리지 조정 공구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사이의 올바른 각도 배향을 설정하는 단계와,
(c)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올바른 각도 배향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d) 대향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 상에 카트리지의 축방향 이동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소정 조정 요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카트리지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카트리지를 변위시키는 단계와,
(e)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에서 조이는 단계와,
(f) 후속 카트리지에서 단계 (d) 및 (e)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한다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방법은 2개의 연속하는 카트리지들 사이의 각도 변위에 대응하는 각도로 아버를 카트리지 조정 공구 및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함께 회전시키는 단계를 단계 (e)와 단계 (f) 사이에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가 제공되며, 이 카트리지 조정 공구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과,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프레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변위는 조정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변위는 프레임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 조정 공구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면,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축방향 변위는 카트리지의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가 제공되며, 이 카트리지 조정 공구는
슬로팅 커터 본체 상에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갖고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정 요소의 축방향 변위는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조정 요소는 프레임 내의 나사형 보어와 나사결합하는 나사형 볼트이다.
실질적으로, 프레임에는 슬로팅 커터 본체의 양 측면에 대해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조정 요소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상에 축방향 전방 힘 또는 축방향 후방 힘을 가한다.
원한다면, 프레임은 프레임 개구를 사이에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들을 가지며, 프레임은 프레임 개구가 원하는 값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장착하는 단계와,
(b) 축방향으로 정렬될 카트리지의 힘 결합 구역에 대향하여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프레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조정 요소를 정렬하는 단계와,
(c)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프레임을 고정 수단에 의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와,
(d) 카트리지의 원하는 이동 방향으로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힘을 가하기 위해 조정 요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카트리지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카트리지를 변위시키는 단계와,
(e) 카트리지 조임 수단에 의해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에서 조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정 위치에서 슬로팅 커터 상에 장착된 도 1의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트리지 조정 공구 및 슬로팅 커터의 단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카트리지 조정 공구 및 슬로팅 커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F형" 슬로팅 커터 상에 장착된 도 1의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조정 위치에서 도 6의 카트리지 조정 공구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의 부분 단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VIII-VIII를 따라 취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및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선 IX-IX를 따라 취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및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는 본체 전방 표면(14), 본체 후방 표면(16)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주연 표면(18)을 갖는 디스크형 본체(1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는 본체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다.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는 본체 중심 관통 보어(20)의 형태인 장착부를 가지며, 이것은 본체 전방 표면(14)과 본체 후방 표면(16)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회전축(A)에 대해 대칭이다.
본체에는 본체 전방 표면(14)으로부터 본체 후방 표면(16)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나사형 관통 보어(22)가 제공된다. 나사형 관통 보어는 본체와 연관된 제1 결합 부재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나사형 관통 보어(22)는 본체 회전축(A)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유사하게 배치된다. 즉, 이들은 본체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 놓인다. 또한, 각각의 나사형 관통 보어(22)는 일반적으로 선행 나사형 관통 보어(22)에 대해 각도적으로 유사하게 배치되고, 또는 환언하면, 나사형 관통 보어(22)는 상술한 가상 원을 따라 서로 고르게 이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형 관통 보어(22)는 본체 주연 표면(18)의 근처에 위치한다.
조정 요소를 구성하는 나사형 볼트(24)가 각각의 나사형 관통 보어(22) 내로 나사결합된다. 각각의 나사형 볼트(24)는 나사부(26)를 가지며, 이것은 전방 단부(28) 및 일반적으로 나사부(26)의 나사 직경(D2)보다 큰 헤드 직경(D1)을 갖는 헤드부(30)를 갖는다. 헤드부(30)는 필요에 따라 손으로 헤드부(30)를 편안하게 쥐고 그것을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널(knurl) 가공될 수 있는 헤드 주연 표면(32)을 갖는다.
나사형 볼트(24)는 본체 후방 표면(16)으로부터 관련 나사형 관통 보어(22) 안으로 삽입되어, 나사형 관통 보어(22)와 나사 결합되고, 본체 전방 표면(14)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한다. 나사형 볼트(24)의 헤드부(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체 전방 표면(14)에 대한 나사부(26)의 전방 단부(28)의 축방향 변위가 변한다. 따라서, 각각의 나사형 볼트(24)는 본체 주연 표면(18) 근처에서 본체(12)에 나사결합되고, 각각의 나사형 조정 볼트는 독립적으로 본체(12)에 대해 축방향 조정 가능하고 본체 전방 표면(14)에 대해 축방향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는 전방 단부(28)를 갖는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유형의 어댑터를 갖는 슬로팅 커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 주연 개구를 구성하는 슬롯(34)이 각각의 나사형 관통 보어(22) 근처에 형성된다. 각각의 슬롯(34)은 본체 전방 표면(14)과 본체 후방 표면(16)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각각의 슬롯(34)은 본체 주연 표면(18)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 상에 장착된 복수의 카트리지(36)를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방법이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되는 방법은 정확한 정렬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도구(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카트리지(36)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또는 다른 카트리지에 대해 정렬하는 방법을 교시한다. 선택적으로, 카트리지(36)는 원하는 위치에 미리 설정된 기준 카트리지(36)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기준 카트리지(36)는 후술되는 상이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카트리지 조정 공구(10)의 본체 회전축(A)이 커터 회전축(B)과 일치하도록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그것의 본체 중심 관통 보어(20)를 통해 공통 아버(40)(도 4 및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됨) 상에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와 함께 장착된다. 이것은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와 동축으로 그리고 이격된 관계로 장착되게 하여, 본체 전방 표면(14)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를 대면하게 한다. 카트리지 정렬의 편리함을 위해, 아버(40)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되고 손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조정 공구(10)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 사이의 상대적인 방향 및 이들을 아버(40) 상에 조립하는 순서는 주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가 갖는 어댑터(42)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도 2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10)와 함께 공통 아버(40)(도 4 및 도 5에 도시됨) 상에 장착된 슬로팅 커터(44)를 도시한다. 슬로팅 커터(44)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 및 커터 회전축(B)을 포함한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는 커터 전방 표면(48)과 커터 후방 표면(50) 사이에서 연장되는 커터 주연 표면(46)을 갖는다. 복수의 카트리지 포켓(52)(도 7에 명확히 도시됨)이 커터 주연 표면(46)을 따라 형성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포켓(52)에는 카트리지(36)가 장착된다. 절삭 인서트(54)가 인서트 보유 스크루(58)에 의해 각각의 카트리지(36)의 인서트 포켓(56) 내에 견고하게 보유된다. 도 2의 슬로팅 커터(44)는 일면형(single sided)이다. 이것은 모든 절삭 인서트(54)의 측면 유효 절삭 에지(60)가 동일한 방향을 대면하며, 본 경우에는 커터 전방 표면(48)을 대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카트리지(36)는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에 의해 카트리지 포켓(52)에 보유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는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카트리지에 따르면,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카트리지(36)는 조정되기 전에 먼저 각각의 카트리지 포켓(52)에 대략 축방향 정렬되어 장착되고,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는 각각의 카트리지가 필요에 따라 약간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완전히 조여지지는 않는다.
제2 단계에서는, 나사형 볼트(24)의 나사부(26)의 전방 단부(28)가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64)에 대향할 때까지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본체 회전축(A)을 중심으로 슬로팅 커터(44)에 대해 회전된다.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64)은 카트리지(36)의 측면(66)에 있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표면이며, 이것은 축방향 힘을 받을 때 카트리지(36)의 용이하고 완만한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나사형 볼트(24)를 관련 힘 결합 영역(64)에 대향하게 정렬시킴으로써, 카트리지 조정 공구(10)와 슬로팅 커터(44) 사이의 올바른 각도 배향이 얻어진다.
제3 단계에서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공통 아버(40) 상에 그것의 개방 단부(70)로부터 장착되는, 예를 들어 클램핑 너트(68) 또는 부싱(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됨)에 의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고정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올바른 각도 배향으로 고정된다.
제4 단계에서는, 나사부(26)의 전방 단부(28)가 유효 나사형 볼트(24)에 대향하여 위치한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64)에 닿을 때까지 소정 나사형 볼트(24)의 헤드부(30)가 회전된다. 그 후, 헤드부(30)의 추가 회전이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64)에 힘을 가하고, 카트리지(36)를 축방향 변위시켜, 카트리지(36)를 원하는 위치를 향해 가압한다. 이 단계에서, 카트리지(36)의 변위는 적절한 측정 도구(도면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카트리지(36)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또는 더 구체적으로 카트리지(36) 내에 보유된 절삭 인서트(54)의 측면 유효 절삭 에지(60)가 커터 회전축(B)에 대해 직각인 기준 평면(P)으로 표시될 수 있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나사형 볼트(24)의 헤드부(30)의 회전이 정지된다.
제5 단계에서는, 카트리지(64)는 적절한 스크루드라이버(72)(도 5에 도시됨)에 의해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를 완전히 조여서 카트리지(36)를 최종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조여진다.
제6 단계에서는, 아버가 2개의 연속하는 카트리지(36)들 사이의 각도 변위(74)(도 3에 도시됨)에 대응하는 각도로 카트리지 조정 공구 및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함께 회전된다. 이제, 제4 및 제5 단계가 후속 카트리지(36)에서 반복된다. 즉, 카트리지(36)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카트리지(36)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를 완전히 조여서 카트리지(36)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다. 이 단계는 모든 카트리지(36)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카트리지(36)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단일 카트리지(36)의 축방향 변위가 용이하고 정밀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고, 따라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장착되는 카트리지(36)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숙련자는 헤드부(30)의 각도 회전량과 이 각도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카트리지(36)의 축방향 변위 사이의 소위 변환율에 익숙하다. 따라서, 카트리지(36)의 원하는 변위를 위해, 조정을 행하는 사람은 헤드부(30)의 각도 회전이 얼마나 적용되어야 하는지 알고 있으며, 따라서 카트리지(36)의 초과 변위를 방지한다. 카트리지의 초과 변위는 카트리지(36)를 반대방향으로 다시 변위시킬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간 낭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조정 공구(10)의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장점은 카트리지(36)의 위치에 있어서의 향상된 정밀함이다. 이것은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체 아버(40) 및 측정 시스템의 흔들림 및 진동뿐만 아니라 카트리지(36) 상의 해머 노킹이 방지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F형" 어댑터가 제공되면,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는 "F형" 어댑터를 갖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S형" 어댑터가 제공되면, 카트리지 조정 공구(10)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는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를 조이는데 사용될 스크루드라이버(72)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카트리지(36)의 측면(66)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36)의 방향이 교대로 배열되면,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는 일반적으로 카트리지(36)의 용이한 조정 및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의 용이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측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가 놓인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장착되면,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에 스크루드라이버(72)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4에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장착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는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 없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가 놓이는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서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장착되면, 본체 주연 표면(18)에 제공된 슬롯(34)을 통해 스크루드라이버(72)가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에 접근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단일 카트리지(36)의 축방향 위치의 조정이 요구될 때, 다른 조정 기구가 사용되며 이것은 이하에서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로 지칭될 것이다.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는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U자형 프레임(78)을 포함한다. 프레임(78)은 측면 플레이트(80)의 제1 부분(84)에서 프레임 중심부(82)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 플레이트(80)들을 갖는다. 프레임 중심부(82)의 두께는 프레임 개구(86)를 결정한다(도 6 및 도 8 참조).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에는 측면 플레이트(80)의 제2 부분(88)의 형태로 장착부가 제공되며, 제2 부분(88)은 각각의 제1 부분(84)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2 부분(88)에는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 상에 장착될 때 커터 전방 표면(48) 및 커터 후방 표면(50)에 대해 프레임(7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고정 수단은 고정 스크루(90)이다. 각각의 고정 스크루(90)는 알렌(Allen) 타입 헤드(94)와 고정 스크루(90)의 전방 단부(96) 사이에서 연장되는 나사부(92)를 갖는 그루브(grub) 스크루일 수 있다.
고정 스크루(90)는 프레임(78)의 측면 플레이트(80)에 제공되는 고정 나사형 보어(98) 내에 나사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8)의 선단부(100)에는 고정 스크루(90)의 선단 쌍(102)이 제공되고, 각각의 고정 스크루(90)는 다른 고정 스크루(90)와 대향하며 상이한 측면 플레이트(80)의 고정 나사형 보어(98)와 나사결합된다. 유사하게, 프레임(78)의 후단부(104)에는 고정 스크루(90)의 후단 쌍(106)이 제공된다.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의 조정 요소인 나사형 조정 볼트(108)가 프레임(78)의 중간부(110)에 위치하고 조정 나사형 보어(112) 내에 나사결합된다. 각각의 조정 나사형 보어(112)는 다른 조정 나사형 보어(112)에 대향하여 상이한 측면 플레이트(80)에 형성된다.
각각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는 프레임(78)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전방 단부(116)에서 종결되는 나사부(114) 및 나사부(114)의 나사 직경(D4)보다 큰 헤드 직경(D3)을 일반적으로 갖는 헤드부(118)를 갖는다. 헤드부(118)는 필요에 따라 손으로 쥐고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널 가공될 수 있는 헤드 주연 표면(120)을 갖는다.
따라서,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78)의 이격된 제2 부분(88)들은 그들 사이에 프레임 개구(86)를 형성한다. 또한, 이들 이격부(88)들은 프레임(78)이 커터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을 때 고정 스크루(90)에 의해 커터 전방 표면(48) 및 커터 후방 표면(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나사형 조정 볼트(108)는 프레임(78)에 나사결합되고, 양방향으로부터 프레임 개구(86) 안으로 돌출하며, 이격부(88)들 사이에서 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장착된 후에 카트리지(36)를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에 의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제1 단계에서,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는 프레임(78)의 측면 플레이트(80)들 중 하나가 커터 전방 표면(48)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다른 측면 플레이트(80)가 커터 후방 표면(50)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 상에 장착된 제1 카트리지(36) 위에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8)의 일부는 이 제1 단계에서 커터 본체의 주연부에 걸쳐진다.
이 단계에서,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 상에 자유롭고 원활하게 장착하기 위해, 모든 고정 스크루(90) 및 나사형 조정 볼트(108)는 완전히 풀린다. 실질적으로, 각각의 고정 스크루(90)의 전방 단부(96) 및 각각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전방 단부(116)는 관련 측면 플레이트(80)의 내측 벽(122)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 있을 수 있다.
고정 스크루(90)의 선단 쌍(102)이 카트리지(36)의 선단 측면(124)에 장착되고 고정 스크루(90)의 후단 쌍(106)이 카트리지(36)의 후단 측면(126)에 장착되도록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다.
제2 단계에서는,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가 카트리지(36)의 조정을 위해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전방 단부(116)가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128)[도 2, 도 4 및 도 5의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64)과 유사함]에 대향하여 위치되어야 한다(도 9 참조). 카트리지(36)에 대한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의 정확한 위치를 관찰하기 위해, 프레임(78)에는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근처에 프레임 구멍(130)이 제공된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의 반경방향(132)에 대한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의 배향은 2개의 안내선을 따를 수 있다. 제1 안내선은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전방 단부(116)가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128)에 대향하여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제2 안내선은 고정 스크루(90)의 선단 쌍(102) 및 고정 스크루(90)의 후단 쌍(106)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의 고정 영역(134)에 대향하여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의 고정 영역(134)은 커터 전방 표면(48) 및 커터 후방 표면(50)에서 2개의 인접 카트리지 포켓(52) 사이에 위치한 영역이며, 고정 스크루(90)의 전방 단부(96)를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고정 영역이 다수 존재한다. 도 7에서는, 하나의 고정 영역(134)(점선으로 지시됨)이 프레임(78)에 의해 가려져 있고, 따라서 단지 도시를 목적으로 다른 고정 영역(134)이 후속 커터 본체부(136)에 도시되어 있다. 커터 본체부(136)는 2개의 인접한 카트리지 포켓(52) 사이에 위치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의 반경방향 극단부이다.
제3 단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고정 스크루(90)가 커터 전방 표면(48) 및 커터 후방 표면(50) 상의 관련 고정 영역(134)에 대해 완전히 조여진다. 이 위치에서, 고정 스크루(90)의 선단 쌍(102)은 카트리지(36)에 선행하는 커터 본체부(136)에 대해 조여지고, 고정 스크루(90)의 후단 쌍(106)은 카트리지(36)에 후속하는 커터 본체부(136)에 대해 조여진다.
조정의 편리함을 위해,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프레임 개구(86)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4 단계에서는, 카트리지(36)의 원하는 변위 방향에 따라서, 첫 번째(138)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도 9 참조)가 그것의 전방 단부(116)가 카트리지(36)의 힘 결합 영역(128)과 접촉할 때까지 프레임(78)의 내측 방향(140)으로 회전된다. 동시에, 첫 번째(138)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에 대향하는 두 번째(142)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는 회전되지 않으며, 카트리지(36)의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카트리지(36)의 인접 힘 결합 영역(128)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단계에서, 첫 번째(138)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카트리지(36)가 원하는 방향(F)으로 축방향 변위된다. 적절한 측정 공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카트리지(36)가 원하는 축방향 위치에 도달하면, 첫 번째(138)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회전이 정지된다.
카트리지(36)가 초과 변위된 경우에, 카트리지 변위 공정은 반대의 방향으로 역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첫 번째(138)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는 일정량만큼 느슨해져 카트리지(36)가 그것을 향해 변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후, 두 번째(142)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는 카트리지(36)의 인접 힘 결합 영역(128)에 접촉할 때까지 프레임(78)의 내측 방향(140)으로 회전된다. 두 번째(142)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추가 회전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36)의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킨다.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카트리지(36)가 원하는 축방향 위치에 도달하면, 두 번째(142)의 나사형 조정 볼트(108)의 회전이 정지된다.
제5 단계에서는, 카트리지 조임 수단인 카트리지 보유 스크루(62)(도 2 및 도 3에 도시됨)가 완전히 조여져서,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38)에 대해 카트리지(36)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상이한 두께를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의 단일 카트리지(36)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프레임 개구(86)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이것은 프레임 중심부(82)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중심부(82)는 2개의 분리된 중심부 구성요소, 즉 제1 중심부 구성요소(144) 및 제2 중심부 구성요소(146)로 만들어진다. 제1 중심부 구성요소(144)에는 제1 구성요소 관통 보어(148)가 제공된다. 제2 중심부 구성요소(146)에는 제1 구성요소 관통 보어(148)와 정렬되는 제2 구성요소 나사형 보어(150)가 제공된다. 제1 중심부 구성요소(144)를 제2 중심부 구성요소(146)에 부착하기 위해, 중심 부착 스크루(152)가 제1 구성요소 관통 보어(148) 내에 삽입되어 제2 구성요소 나사형 보어(150)와 나사결합된다.
프레임 개구(86)를 증가시키기를 원한다면, 중심 부착 스크루(152)는 제2 구성요소 나사형 보어(150)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제1 구성요소 관통 보어(148)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제1 중심부 구성요소(144)와 제2 중심부 구성요소(146)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일치하는 보어가 제공된 상보적인 중심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제1 중심부 구성요소(144)와 제2 중심부 구성요소(146)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 다른 중심 부착 스크루가 제1 구성요소 관통 보어(148) 및 일치하는 보어를 통해 삽입되어 제2 구성요소 나사형 보어(150)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더 큰 프레임 개구를 가진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가 수용된다.
이상으로부터, 단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된 카트리지들을 정렬하기 위해 두 개의 공구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76)가 먼저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를 축방향으로 위치설정하여 하나 이상의 그러한 "기준"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다른 카트리지들을 고정된 기준 카트리지와 축방향향으로 정렬하기 위해 카트리지 조정 공구(10)가 커터 본체의 일 측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성을 갖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하의 청구된 것과 같은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크형 카트리지 조정 공구에는 관통 보어 또는 심지어 회전축과 동축인 보어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디스크형 카트리지 조정 공구에 중심 보어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이것은 클램 또는 자성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슬로팅 커터에 부착될 수 있다.
조정 요소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에 나사결합될 필요가 없으며, 슬라이딩 웨지 또는 기타 조정가능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개별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조정 요소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프레임에 나사결합될 필요가 없으며, 슬라이딩 웨지 또는 기타 조정가능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카트리지 조정 공구는 스크루에 의해 슬로팅 커터의 양 측면에 부착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카트리지 조정 공구는 예를 들어 자성 수단에 의해 슬로팅 커터의 일 측면에만 부착될 수 있다.

Claims (24)

  1. 카트리지 조정 공구이며,
    본체 회전축 및 본체 전방 표면과 본체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주연 표면을 갖는 본체와,
    본체 주연 표면의 근처에서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정 요소는 독립적으로 본체의 대응 제1 결합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조정 요소들은 본체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유사하게 배치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 요소는 선행하는 조정 요소에 대해 각도적으로 유사하게 배치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 요소는 본체 전방 표면과 본체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응 본체 주연 개구와 연관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본체 주연 개구는 본체 주연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나사형 조정 요소는 나사형 볼트이고,
    각각의 제1 결합 부재는 본체에 형성된 나사형 보어이고,
    각각의 나사형 볼트는 대응 나사형 보어와 나사결합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 요소의 전방 돌출 섹션은 나사형 볼트의 전방 나사부인
    카트리지 조정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나사형 볼트는 본체 후방 표면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돌출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나사형 볼트는 볼트 헤드를 가지며,
    볼트 헤드의 주연 표면은 널(knurl) 가공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10.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본체 축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 중심 관통 보어가 제공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11.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각각을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방법이며,
    (a)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동축으로 장착하는 단계와,
    (b) 카트리지 조정 공구의 본체에 결합된 복수의 조정 요소 각각이 대응 카트리지에 속하는 힘 결합 영역에 대향하도록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대해 배치하는 단계와,
    (c) 대응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힘을 가하여 상기 대응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소정 조정 요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d) 상기 하나의 대응 카트리지가 상기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대응 카트리지를 조이는 단계와,
    (e) 나머지 카트리지에 대해 단계 (c) 및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d)와 단계 (e) 사이에, 2개의 연속하는 카트리지들 사이의 각도 변위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함께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렬 방법.
  13. 커터 회전축, 커터 주연부,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을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이며,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프레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축방향 변위는 카트리지의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15. 제13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프레임 개구를 사이에 형성하는 이격부들을 갖고, 이격부들은 프레임이 커터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있을 때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개구 안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이격부들 사이에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나사형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나사형 조정 요소는 상기 이격부 중 제1 이격부에 나사결합되고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안으로 돌출하며,
    제2 나사형 조정 요소는 상기 이격부 중 제2 이격부에 나사결합되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안으로 돌출하며,
    제1 나사형 조정 요소와 제2 나사형 조정 요소는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17.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 요소는 프레임 내의 나사형 보어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형 볼트인
    카트리지 조정 공구.
  18.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격부들에는 한 쌍의 이격된 고정 스크루가 제공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19. 제15항에 있어서, 프레임 개구의 폭이 원하는 값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이격부들이 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이격부들은 하나 이상의 부착 스크루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부착 스크루의 결합해제에 의한 프레임의 분해시에, 상보적인 중심부가 이격부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 개구의 폭이 변경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21. 커터 회전축, 커터 주연부,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을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축방향으로 위치설정하는 방법이며,
    (a) 프레임 개구를 사이에 형성하는 이격부들을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개구 안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b) 프레임이 커터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지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가 축방향으로 위치설정될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대향하도록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이격부들 상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스크루를 조임으로써 카트리지 조정 공구 프레임을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에 고정하는 단계와,
    (d) 카트리지의 힘 결합 영역에 힘을 가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원하는 위치를 향해 가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카트리지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설정 방법.
  22. 커터 회전축, 커터 주연부,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을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각각을 축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방법이며,
    사용중에 커터 주연부의 적어도 주연 부분에 걸쳐지는 제1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축방향으로 위치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중에 커터 공구 본체의 제1 측면 상에 장착되는 제2 카트리지 조정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중 다른 카트리지를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렬 방법.
  23. 커터 회전축, 커터 주연부,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을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조합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이며,
    본체 회전축 및 본체 전방 표면과 본체 후방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 주연 표면을 갖는 본체와,
    본체를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와,
    본체 주연 표면의 근처에서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나사형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나사형 조정 요소는 독립적으로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본체 전방 표면에 대해 축방향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는 전방 단부를 가지며,
    카트리지 조정 공구와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는 본체 전방 표면이 상기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를 대면하는 상태로 아버 상에 동축으로 장착되고,
    카트리지 조정 공구는 보어를 통해 아버 상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24. 커터 회전축, 커터 주연부,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을 갖는 슬로팅 커터 공구 본체와 조합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이며,
    프레임 개구를 사이에 형성하는 이격부들을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개구 안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조정 요소는 이격부들 사이에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프레임은 커터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지고,
    이격부들은 커터 전방 표면 및 커터 후방 표면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조정 공구.

KR1020107022410A 2008-04-08 2009-03-12 슬로팅 커터를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KR20100125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90734A IL190734A (en) 2008-04-08 2008-04-08 Tuning mechanism
IL190734 2008-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393A true KR20100125393A (ko) 2010-11-30

Family

ID=4086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410A KR20100125393A (ko) 2008-04-08 2009-03-12 슬로팅 커터를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91205B2 (ko)
EP (1) EP2276608A2 (ko)
JP (1) JP2011516288A (ko)
KR (1) KR20100125393A (ko)
CN (1) CN101990482A (ko)
BR (1) BRPI0909418A2 (ko)
CA (1) CA2715629A1 (ko)
IL (1) IL190734A (ko)
RU (1) RU2010145111A (ko)
TW (1) TW200944312A (ko)
WO (1) WO200912538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553A (ko) * 2013-12-19 2016-08-22 이스카 엘티디. 지지 패드를 구비한 디스크형 커터 본체를 가진 회전식 절삭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6461B2 (en) * 2011-07-19 2015-12-22 Iscar, Ltd. Cutting body configured for fine-tuning and metal-working machine tool comprising a plurality thereof
EP2881202A4 (en) 2012-08-06 2016-03-09 Tungaloy Corp CUTTING EDGE ADJUSTMENT DEVICE, ROTARY MEMBER APPLIED TO SAME, AND TOOL BODY, CARTRIDGE, AND CUTTING BODY HAVING A STRUCTURE ADAPTED TO CUTTING EDGE ADJUSTMENT DEVICE
US8851807B2 (en) * 2012-12-26 2014-10-07 Iscar, Ltd. Cutting tool having axial position adjustment arrangement
US9907226B2 (en) * 2013-02-15 2018-03-06 Hrm Enterprises, Inc. Cross flow horizontal rotary lawn mower with replaceable blade cartridges
US9475138B2 (en) * 2014-01-22 2016-10-25 Kennametal Inc. Cutting tool having insert pocket with cantilevered member
US9427811B2 (en) 2014-05-07 2016-08-30 Iscar, Ltd. Rotary slitter with cutting insert edge positioning arrangement
CN104368857A (zh) * 2014-11-06 2015-02-25 西安海格尔数控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蛇形联轴器加工用旋切槽刀具
US10183347B2 (en) * 2015-09-08 2019-01-22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having axial position adjustment arrangement
CN105414635B (zh) * 2015-12-30 2017-06-23 蓝帜(南京)工具有限公司 一种刀头可拆卸式盘式铣刀
US11458553B2 (en) * 2017-10-10 2022-10-04 Tungaloy Corporation Cartridge and milling tool
CN108579973A (zh) * 2017-12-13 2018-09-28 贵州金银药业有限公司 中药材的快速捣碎装置
US10406611B1 (en) * 2018-03-28 2019-09-10 Iscar, Ltd.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features for eccentric mounting
EP3782751B1 (en) * 2019-08-21 2024-05-29 Seco Tools Ab A milling cutter
US11618091B2 (en) 2019-10-03 2023-04-04 Iscar, Ltd. Tool holder having simultaneous radially adjustable insert cartridges and rotary cutting tool
US11590590B2 (en) * 2020-03-12 2023-02-28 Iscar, Ltd. Reinforced metal slitter body having insert pockets
US11890688B1 (en) * 2022-08-04 2024-02-06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having an integrally formed axial adjustment tongu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8962C (de) 1926-06-01 1927-09-01 Fried Krupp Grusonwerk Akt Ges Lehre zum Einstellen von in einem Rahmen angeordneten Werkzeugen fuer spanabhebende Maschinen
FR1157307A (fr) 1957-12-27 1958-05-28 Stockholms Hardmetall Manufakt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le réglage des lames de fraises et autres outils tranchants
US2997081A (en) * 1960-02-09 1961-08-22 Christophersen Hans Woodworking tool
US3604122A (en) * 1969-04-09 1971-09-14 Allegheny Ludlum Steel Magnetic setup gauge
DE2144458A1 (de) 1970-09-04 1972-03-16 Fagersta Bruks Ab Planmesserkopf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als Fräswerkzeug mit auswechselbaren Einsätzen, insbesondere Messern und Einrichtung zum Justieren der Einsätze, insbesondere der Messer
IL120762A (en) * 1997-05-02 2001-04-30 Iscar Ltd Cutting tool and bearing cutting bearing for its use
IL127827A (en) 1998-12-29 2001-08-08 Iscar Ltd Milling a disc
US6448456B1 (en) * 2001-05-31 2002-09-1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glycols
IL154472A (en) * 2003-02-16 2007-10-31 Amir Satran Cutting tool and cartridge for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553A (ko) * 2013-12-19 2016-08-22 이스카 엘티디. 지지 패드를 구비한 디스크형 커터 본체를 가진 회전식 절삭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4312A (en) 2009-11-01
US8091205B2 (en) 2012-01-10
CN101990482A (zh) 2011-03-23
IL190734A (en) 2013-08-29
IL190734A0 (en) 2008-12-29
WO2009125382A3 (en) 2009-12-03
US20090249607A1 (en) 2009-10-08
EP2276608A2 (en) 2011-01-26
BRPI0909418A2 (pt) 2015-12-08
WO2009125382A2 (en) 2009-10-15
JP2011516288A (ja) 2011-05-26
RU2010145111A (ru) 2012-05-20
CA2715629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5393A (ko) 슬로팅 커터를 위한 카트리지 조정 공구
JP6324705B2 (ja) 切削工具及びそのためのブレードホルダ
KR101318551B1 (ko) 절삭 공구, 공구 본체 및 절삭 삽입체
EP0891240B1 (en) Cutting tool assembly
US5027684A (en) Collar for mounting a split saw blade on an arbor
KR100495190B1 (ko) 축방향으로조절가능한밀링공구
RU2753933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верстий и механизм регулировки направляющей пластины для него
KR100965531B1 (ko) 절삭 공구
US6280122B1 (en) Milling tool with precisely positionable inserts
US5961259A (en) Rotatable type machine tool
US5102268A (en) Fine adjustment mechanism for a toolholder
JPH08509430A (ja) 鋸歯付きカートリッジを具えたリングカッタ
US11045971B2 (en) Cutter head and cutter head system
GB2103982A (en) Turning tool for machining the ends of shafts, journals, tubes and the like
KR101684492B1 (ko)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절삭체를 구비한 공구
JP5453425B2 (ja) 二方向調整機構を有する切削工具
TWI633951B (zh) 具有可更換刀座的刀架及刀座
US11491601B2 (en) Multi-joining system
US4137000A (en) Cutting tool
KR100551208B1 (ko) 밀링공구
EP0659511B1 (en) Tool system
EP1007258A1 (en) Compliant top jaws with machinable inserts
US4288184A (en) Boring tool
JP3227397U (ja) 強固に組立てられたカッター保持アセンブリ
JP2002066829A (ja) 横スライド式正面フライス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