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509A -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509A
KR20100123509A KR1020090042770A KR20090042770A KR20100123509A KR 20100123509 A KR20100123509 A KR 20100123509A KR 1020090042770 A KR1020090042770 A KR 1020090042770A KR 20090042770 A KR20090042770 A KR 20090042770A KR 20100123509 A KR20100123509 A KR 2010012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eadrest
support
seat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이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민 filed Critical 이창민
Priority to KR102009004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509A/ko
Publication of KR2010012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기차,비행기의 안락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를 3중으로 분할하여 상측 두 패드는 좌우로 유동성을 주고 하측의 한 패드는 약간 기울기의 후상전하식 전면돌출로 유동성을 주어 승차자에게 보다 편안함과 실용성을 제공하는 형태를 구성한 것이다. 즉 승차자의 머리가 닿는 부위가 평평한 종래방식을 달리구성하여 상측 두 패드 사이의 모서리에 머리가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되고, 전하방향으로 돌출한 하측의 패드에 목이 지지됨으로써 차량에서 휴식과 잠깐의 수면을 취할때 안락하고 편안하게 사용되고, 휴식후 뒷머리가 납작하게 눌리는걸 싫어하는 사람에게 보다 좋은 환경을 제공키위한 편익형 헤드레스트이다.
헤드레스트

Description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omitted}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승차자의 머리가 닿는 부위가 하나의 평면구조여서 주행중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동승자와 주차후 휴식을 취하는 운전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고, 일부 탑승자는 휴대용 목쿠션을 별도로 구매해 상기 상황을 극복하고 있다.
기존의 헤드레스트 부위를 상측 좌우 2개와 하측 한 개로 분할하여, 상측 두 패드는 승차자의 버튼작동에 따라 좌우로 유동하여 머리 지지대로 활용하고, 하측 패드는 역시 버튼작동에 따라 비스듬한 하방향 기울기로 전후 돌출,함몰하여 목지지대로 활용한다. 상측 패드이동방식은 헤드레스트 지지대 안쪽에 가로로 가드레일을 장착해 상기 레일을 타고 모터와 구동바퀴에 의해 좌우이동하고, 하측 패드의 이동방식은 헤드레스트 지지대 양쪽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가드레일을 따라 전후방 유동하여 각각 머리지지대 역할과 목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시트등받이는 일정각도이상 뒤젖힘 상태에서만 상기 조건을 폭넓게 운용할 수 있으며, 일정각도 이내에서는 운용한계점으로 제한되어 폭넓은 운용을 할 수 없다. 운용한계점을 주어 과다한 목지지대 돌출과 폭넓은 머리지지대 함몰을 주지 않는 이유은 수직에 가까 운 착좌자의 자세에 갑작스런 전후방사고발생시 착좌자의 목 부상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파킹브레이크가 걸린 경우에는 시트등받이의 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리미트가 없이 폭넓은 작동범위에 든다.
상측의 양쪽 패드가 최대폭으로 넓혀져 승차자의 머리가 젖혀질수 있는 여유공간이 많은 상태와 하측의 목지지대 패드가 많이 돌출해 목이 젖혀질수 있는 각도가 큰상태에서, 주행중 전후 사고가 발행했을때 착좌자의 목부상을 방지할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시트등받이 각도가 일정각도 이내일땐 머리지지대의 두 패드(20)의 거리가 일정한도로 제한되어 머리의 함몰을 막고, 목지지대의 패드(30)가 일정한도이상 돌출되지 않는 리미트장치(33)를 두어 갑작스런 전후방 충돌시 착좌자의 목부상을 방지한다. 착좌석은 시트하중과 엔진시동이 걸려있어도 파킹상태에 걸려있을땐 시트등받이의 각도에 관계없이 리미트(33)가 풀리며, 주행중일땐 시트등받이의 일정각도이상 뒤젖힘에서만 리미트가 풀리게 회로를 구성한다.
동승자는 주행진동과 노면진동으로 인한 좌우머리 유동성없이 패드에 머리와 목을 지지한채로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수 있어 목과 어깨의 뻐근함을 감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도 주.정차후 상기조건에 의해 휴식을 취할때 짧은 시간에 많은 피로를 풀수 있으며, 납작한 뒷머리 눌림에 의한 스트레스를 피할수 있다. 고속버스, 기차, 비행기같은 공공운행에 상기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안락해진 시트구조로 인해 시트 뒤젖힘을 어느정도 자제하게 되는 심리로 뒷좌석승객에게 넓은 승차공간을 제공하고, 별도의 쿠션을 제공하는 비행기 이코노미클래스석인 경우 쿠션제공 없이도 시트개선으로 인한 편안함으로 자사의 이미지제고효과가 크다.
본 발명은 편안하고 안락한 자동차,기차,비행기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헤드레스트의 전면부위를 상측 좌우 두 개(20)와 하측 한 개(30)로 총 3중 분할하여, 상측 두 패드(20)는 좌우로 유동시키고 하측 한 패드(30)는 작은 기울기의 후상전하방향으로 유동시켜 착좌자의 머리와 목을 지지해준다.
헤드레스트 지지대(10) 상부 내부에 상측 패드 두 개(20)를 유동시키기 위한 가로 가드레일(21)을 내장하고, 헤드레스트 지지대(10) 하측 양쪽에 전후방향으로 약간의 기울기가 있는 가드레일(31)을 후상전하되게 설치하여 하측 패드(30)가 돌출함몰되는 유동레일로 활용한다. 가로레일(21)은 승차자 머리가 닿는 뒤부분과의 마찰을 우려해 헤드레스트 지지대 내측에 장착하고, 하측 목 지지대 패드(30)의 지지대는 헤드레스트 지지대(10) 안쪽에서 ㄷ자모양(31)으로 서로 연결지어져 돌출과 함몰시 좌우 동시에 유동한다. 각각의 패드(20,30)은 모터(25)와 구동바퀴에 의해 가드레일(21)을 타고 이동하고, 센서접점이 가드레일에 장착되어 유동범위를 컨트롤한다. 시트등받이를 일정각도이상의 뒤젖힘 상태에서만 상측 머리 지지대의 최대폭과 하측 목 지지대의 최대돌출이 허용되며, 일정각도 이내에서는 운용한계점(33)이 제한시켜 수직에 가까운 착좌자의 자세에 갑작스런 전후방사고발생시 목부상을 방지케 한다. 단 파킹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 즉 자동차가 주,정자에 있을때는 시트등받이의 각도에 관계없이 리미트(33)가 풀려 승차자의 자유로운 헤드레스트 조절 이 가능하고, 기차와 비행기는 상기 조건을 고려치 않고 운용할 수 있으며, 운용은 시트측면에 설치된 버튼(41,42)에 의한다. 수동제작운용은 상측 두 패드가 슬라이더방식으로 한쪽만 편방향으로 제쳐도 정확히 맞물린 톱니기어와 톱니레일에 의해 나머지 한쪽도 같은 양만큼 반대쪽으로 열어주고, 하측 패드도 헤드레스트 지지대(10)측면에 돌림조절 레버를 장착해 톱니기어방식에 의한 전후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대중교통의 많은 시트엔 범퍼와 연결된 센서부착이 불가하므로 조절 리미트를 두어 안전을 기한다.
도 1은 운용전 헤드레스트의 모습이다.
도 2는 운용후 헤드레스트 모습이다.
도 3은 헤드레스트의 펼쳐진 모습이다.

Claims (5)

  1. 헤드레스트의 후면은 전면을 지지해주는 메인지지대의 역할로존재하고, 전면 부위를 상측 좌우 두 개(20)와 하측 한 개(30)로 총 3중 분할하여 상측 두 패드는 머리지지대로 활용하고 하측 한 패드는 목지지대로 활용하고자, 상측 두 패드가 좌우로 유동하기 위한 가드레일을 헤드레스트 지지대(10) 내측에 가로로 설치하고 , 하측 한 패드(30)가 전후방으로 유동하기 위한 가드레일을 헤드레스트 지지보드에 약간의 후상전하로 전후방향으로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익형 헤드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측 두 패드(20)간의 최대폭 확장과 하측 한 패드(30)의 최대돌출은 세팅된 일정각도 이상의 시트등받이 뒤젖힘이나 파킹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를 필수조건으로 하고, 시트등받이가 일정각도 이내에서는 운용한계점(33)이 제한되어 안전을 기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익형 헤드레스트
  3. 제 1항 및 2항에 있어서, 세팅된 시트등받이가 일정각도 이내로 들어오고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면, 상측 패드(20)간의 폭과 하측 패드(30)의 돌출이 주행상태와 같은 기본 세팅값으로 최소화되어 착좌자의 안전을 기한것을 특징으로한 편익형 헤드레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목지지대 패드(30)의 목이닿는 가운데 부위가 오목(37)하게 함몰 하여 착좌자의 목지지를 편하게 하고, 시트에 장착한 운용버튼(41,42)으로 상측 패드(20)와 하측 패드(30)를 컨트롤한 것을 특징으로한 편익형 헤드레스트
  5. 제 1항, 2항, 3항, 4항, 5항에 의해서, 상측 두 패드가 슬라이더방식으로 한쪽만 편방향으로 제쳐도 정확히 맞물린 톱니기어와 톱니레일에 의해 나머지 한쪽도 같은 양만큼 반대쪽으로 이동해주고, 고정레버를 작동해 고정시키고, 하측 패드도 헤드레스트 지지대(10)에 돌림조절 레버를 장착해 톱니기어방식에 의한 전후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상하 세 패드엔 시트각도에 따라 한계 리미트를 설정해 안전을 기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조절식 안락형 헤드레스트
KR1020090042770A 2009-05-15 2009-05-15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KR20100123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70A KR20100123509A (ko) 2009-05-15 2009-05-15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70A KR20100123509A (ko) 2009-05-15 2009-05-15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09A true KR20100123509A (ko) 2010-11-24

Family

ID=4340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770A KR20100123509A (ko) 2009-05-15 2009-05-15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5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1051A (zh) * 2017-06-08 2017-09-15 成都梓楠家具有限公司 伸缩式颈部护理安全背椅
CN110184862A (zh) * 2019-07-01 2019-08-30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齿轨及齿轨座的防错位连接扣件
CN114919479A (zh) * 2022-06-27 2022-08-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座椅的头枕调节方法及装置、车辆和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1051A (zh) * 2017-06-08 2017-09-15 成都梓楠家具有限公司 伸缩式颈部护理安全背椅
CN110184862A (zh) * 2019-07-01 2019-08-30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齿轨及齿轨座的防错位连接扣件
CN110184862B (zh) * 2019-07-01 2024-01-30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齿轨及齿轨座的防错位连接扣件
CN114919479A (zh) * 2022-06-27 2022-08-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座椅的头枕调节方法及装置、车辆和存储介质
CN114919479B (zh) * 2022-06-27 2023-09-0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座椅的头枕调节方法及装置、车辆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39677U (zh) 用于乘用车辆的座椅装置以及紧凑型乘用车辆
CN105555600A (zh) 车辆座椅以及使用该座椅的方法和车辆
KR20030043903A (ko) 간이침대 겸용 운송수단 시트
KR20100123509A (ko)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CN107826003B (zh) 一种集成式汽车儿童安全座椅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US20240101000A1 (en) Vehicle Seat Arrangement
JP4088309B2 (ja) 自動車用座布団及び自動車用座席
EP1607286B1 (en) Device for adjus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KR20100132402A (ko) 자동차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KR20100121738A (ko) 자동차, 기차, 비행기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CN209756866U (zh) 一种汽车双人座椅和汽车
CN203046983U (zh) 带颈部磁疗的可调节车辆座椅骨架
CN205930348U (zh) 一种汽车座椅
CN109591664A (zh) 汽车座椅及具有其的车辆
KR20100120817A (ko) 버스,기차,비행기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KR20100123360A (ko) 차량 및 기차의 안락 헤드레스트
KR20100128197A (ko) 자동차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CN104085323A (zh) 一种汽车安全座椅总成
CN220555360U (zh) 商用车驾驶室及车辆
KR20100123449A (ko) 시트의 편익형 헤드레스트
KR950012262B1 (ko) 전후이동 및 절곡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CN105984361B (zh) 卧铺客车组合式座椅
SE0702457L (sv) Integrerad bilbarnstol
CN211943044U (zh) 一种可形成床垫的汽车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