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007A -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007A
KR20100123007A KR1020090041982A KR20090041982A KR20100123007A KR 20100123007 A KR20100123007 A KR 20100123007A KR 1020090041982 A KR1020090041982 A KR 1020090041982A KR 20090041982 A KR20090041982 A KR 20090041982A KR 20100123007 A KR20100123007 A KR 2010012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id
water
microcapsules
weight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935B1 (ko
Inventor
이근수
이동환
표형배
고현주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3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B, 안토시아닌, 루틴 등의 수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고형 상태의 지질을 막재로 이용한 0.5 ∼ 400㎛ 크기의 다중 지질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봉입율 강화성분 및 상전이온도가 30℃ 이하인 지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수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수중지중수(W1/L/W2) 형태의 다중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전이온도, 지질, 에멀젼, 수중지중수형, 마이크로캡슐, 안정화, 화장료

Description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MULTIPLE LIPID MICROCAPSULE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활성성분 중 수용성이면서 안정성이 낮은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형 지질막 내부에 수용성 활성성분을 봉입시킨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B, 수용성 플라보노이드류, 프로테아제 등의 성분은 공기 중이나 기타 용매 상에서 열이나 빛, pH,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불안정화되기 쉬우며, 산화된 이들 성분들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성분들은 다양한 물리화학적 환경 및 물을 포함한 화장료 내에 포함된 수많은 구성 성분에 의해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받아 활성성분의 함량 저하 및 제품의 성상 변화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활성성분을 화장료에 단순혼합하는 경우 고유의 작용 및 성분보존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 상 특히, 이들 활성성분의 변성으로 인한 변색, 변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활성성분의 함량 저하로 인하여 효능 효과의 저하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러한 유효 성분들을 화장료에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 중에서 다중유화 또는 캡슐화를 통하여 산화를 방지하는 미세 캡슐 제조 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방법으로 활성성분을 폴리머 캡슐 또는 소수성 물질 내부에 포집시켜 연속상인 물과 최대한 격리시켜 안정화시키는 물리적 방법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현재 제약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포좀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제제 내 리포좀 자체의 안정성은 아직 검증되어 있지 않으며, 제제 내에서 리포좀 내부의 유효 물질들이 안정화되지 못하고 모두 연속상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인 예로 지질 또는 지질 혼합물을 사용하여 리포좀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0432461)이 제안되었으며, 리포좀의 막 구성 물질을 pH 감수성 제제로 사용하여 고분자화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0293572), 알코올을 사용하여 경피흡수능을 개선시킨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미국 특허 05540934)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 다른 수용성 활성성분 안정화 방법 중 하나인 마이크로캡슐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캡슐은 민감한 물질을 열화 과정으로부터 보호하고, 활성물질의 제어된 방출수단으로서 작용한다. 구체적인 예로 알부민, 젤라틴, 전분 등의 천연고분자와 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합성고분자를 사 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J. of Pharm. Sci. 1970, vol.59, 1367; J. of Pharm. Pharmacol. 1988, vol.40, 754; J. of Microencapsulation 1991, vol.8, 335; J. of Microencapsulation 1989, vol. 6, 1; Polymer Eng. & Sci. 1989, vol. 29, 1746], 활성물질을 코팅, 캡슐화(encapsulation) 등의 방법으로 포집하여 외부환경과 격리하고 서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1997, vol.28, 25-42; 미국특허 4,954,298; 미국특허 5,788,687; 미국특허 5,916,598] 등이 제안되었으며, 다중 유화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미국특허 4,954,298]도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캡슐은 내부구조가 치밀하게 형성되어 캡슐 내 활성성분 함유량이 적고 유용성이 아닌 수용성 활성성분의 포집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다공성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연속상의 물이 캡슐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활성성분의 활성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마이크로캡슐을 화장료 제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화장료에 대표적으로 존재하는 수분, 계면활성제, 빛 등의 주변 환경의 변수에 대한 마이크로캡슐 자체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내부에 포집된 활성성분의 안정성이 동시에 확보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 문제에 대하여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용성 물질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1993년 Jeffery 등은 이중 에멀젼-용매증발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단순한 W/O 에멀젼-용매증발법으로 제조되는 내부 구조가 단일한 연속상인 캡슐화 방법보다 수용성 물질을 더 안정하게 캡슐화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캡슐화하고자 하는 물질이 외부 수상으로 확산되어 높은 포집률을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중 에멀젼 형태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781604호(2007.11.27)에는 다가알코올을 이용한 중공형 다중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유용성 활성성분을 중공형 고분자마이크로캡슐 내에 포집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수용성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용해, 포집하는 방법으로는 적절치 못하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함유 다중공 고분자마이크로 캡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제836032호)이 있으나, 이는 막재로 화장품에 적용이 어려운 가교형 고분자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상용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 안정성을 나타내는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고온이나 산소,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과 화장료 제형을 구성하는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화장료 내부 기재로부터 수용성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캡슐 내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활성성분의 효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의 안정도 저하 및 변색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장료 등에 첨가되는 수용성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상전이 온도가 30℃ 이하인 지질을 막재로 이용하고 통상의 다중 에멀젼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내부가 다중 구조를 형성하는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기존의 전통적인 다중에멀젼 방식으로 단순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캡슐 제조 시 지질/물 계면에 액상 형태의 지질을 저온 숙성 과정을 통해 수불용성의 얇고 결정화도가 낮은 고형 지질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지질을 사용한 다중 마이크로캡슐은 상전이온도 30℃ 이하의 결정화도가 낮은 지질을 막재로 사용하여 실온에서 고형 상태로 막의 폐색 성능을 증가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B, 안토시아닌, 루틴 등의 수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고형 상태의 지질을 막재로 이용한 0.5 ∼ 400㎛ 크기의 다중 지질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비이온계면활성제, 봉입율 강화성분 및 상전이온도가 30℃ 이하인 지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수중지중수(W1/L/W2) 형태의 다중에멀젼 및 지질/물 계면에 얇은 고형 지질막을 형성한 다중 형태의 지질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을 사용한 다중 마이크로캡슐은 상전이온도 30℃ 이하의 결정화도가 낮은 지질을 막재로 사용하여 실온에서 고형 상태로 막의 폐색 성능을 증가시켜 수용성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 내부구조가 다중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로서, 수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이나 산소,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과 화장료 제형을 구성하는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화장료 내부 기재로부터 수용성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캡슐 내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활성성분의 효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의 안정도 저하 및 변색을 억제할 수 있었다.
상기 제조된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계면활성제 및 에몰리언트오일, 고분자, 왁스 등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수중유(O/W)형 화장료 조성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수중유중수(W1/O/W2)형 다중에멀젼 제조 방식을 이용하여 상전이온도 30℃ 이하의 고형 지질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상온에서 수불용성인 고형 지질막을 형성시켜 0.5 ∼ 400㎛ 크기의 다중 형태의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a) 소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지질이 첨가된 유상을 35℃로 가온하여 용해한 후, 수용성 활성성분과 봉입율 강화성분이 포함된 수상을 분산시켜 1차 지중수(W1/L)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지중수(W1/L)형 에멀젼을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외부 수상에 분산시켜 수중지중수형(W1/L/W2) 다중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c) 저온 숙성을 통해 상기 수중지중수형(W1/L/W2) 다중에멀젼의 지질/물 계면에 수불용성 고형 지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질은 상전이온도 30℃ 이하의 지질로서, 예컨대 코코넛 오일, 마카데미아 오일 및 호호바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질은 0.01~60.0중량%를 사용하며,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형성이 어려우며, 60.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체계가 불안정해지고 점성이 높아져 다중 에멸젼 형성이 용이하지 않아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2 디스테아레이트, 세텔 피이지/피피지-10/1 데메치 콘, 비스-피이지/피피지-14/14 디메치콘/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0.001~30.0중량%를 사용하며,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형성이 어려우며, 30.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 체계가 불안정하여 다중 에멸젼 형성이 용이하지 않아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캡슐 내에 봉입되는 수용성 활성성분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아스코르빈산 및 이들의 유도체, 1,2-디티올란-3-펜타노익산-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에스텔,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 B6,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 B,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갈릭산, 안토시아닌, 루틴, 수용성 플라보노이드류 및 프로테아제 등이 있다. 또한, 벤조페논-4 또는 벤조페논-5 등의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도 캡슐화되는 수용성 활성성분으로 첨가될 수 있다. 봉입되는 수용성 활성성분 함량은 0.001~30.0중량%가 바람직하며, 0.001중량% 미만이면 활성이 미미하며, 30.0중량%를 초과하면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내에 봉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수상(W2)에 존재하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HLB(Hydrophilic Lipophlic Balance)값이 약 10 ∼ 16 범위인 폴리솔베이트20, 폴리솔베이트40, 폴리솔베이트60 및 폴리솔베이트80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0.001~30.0중량%를 사용하며, 0.001중량% 미만인 경우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제조가 어렵고, 30.0중 량%를 초과하면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형성되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조성물의 안정성 및 사용감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2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1중량% 미만일 때는 활성성분의 함량이 너무 적어 활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25중량%를 넘으면 마이크로캡슐 증가에 따른 활성 증가가 미미하다.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불안정한 수용성 활성성분을 다중 구조의 고형 지질막 내부에 봉입함으로써, 고온이나 산소,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과 화장료 제형을 구성하는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화장료 내부 기재로부터 활성성분의 접촉을 차단하여 캡슐 내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활성성분의 효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료의 안정도 저하 및 변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서방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중 마이크로캡슐에 함유될 수 있는 수용성 활성성분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활성성분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B12, 비오틴, 1,2-디티올란-3-펜타노익산-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에스텔,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갈릭산, 안토시아닌, 루틴, 프로테 아제, 벤조페논-4, 벤조페논-5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전이온도 30℃ 이하의 결정화도가 낮은 지질을 이용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2단계의 유화 과정과 냉각 공정을 통해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지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코코넛 오일, 마카데미아 오일, 호호바 오일 등이 가능하며 상전이온도가 30℃ 이하이고 실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결정화도가 낮은 지질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지질의 결정화도가 높을 경우, 봉입된 약물의 삼투 현상을 촉진하고 봉입약물과 외부 수상 간의 폐색성을 떨어드려 약물을 외부로 쉽게 방출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의 안정성에 좋지 않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여러 가지 유중수(W/O)형 계면활성제 중 고분자형의 블록 코폴리머 형태가 약물의 봉입효율을 높이는데 적당하다.
본 발명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제조시, 봉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 수상(W1)에 적절한 봉입율 강화성분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봉입율 강화성분으로서는 슈크로오스, 베타인, 마그네슘설페이트 등이 있다. 상기 1차 지중수형 에멀젼(W1/L)에 함유되는 봉입율 강화성분은 다중 지질 마이크로 캡슐 총중량에 대해 0.001 ∼ 10.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1중량% 미만이면 삼투압을 조절하여 봉입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10.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계 내 봉입율 강화성분에 의한 삼투압 증가의 차이가 없어 봉입율 증대 효과 역시 미미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지질로 코코넛 오일을 사용하였으며, 표 1의 조성비로 수상 (A)를 지질상 (B)에 물리적으로 분산시켜 1차 지중수(W1/L)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차 지중수(W1/L)형 에멀젼에 외부 수상(W2)을 첨가하여 2차 유화함으로써 수중지중수(W1/L/W2)형 다중 에멀젼을 제조하고 저온(10 ∼ 20℃)에서 1일 숙성을 통하여 외부 수상(W2)과 지중수(W1/L)의 지질/물 계면에 고형 상태의 얇은 지질막이 형성되면서 아스코르빈산이 봉입된 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캡슐의 특징은 현미경 관찰(600배율)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3에 의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평균 봉입율은 67%, 평균 입도는 168㎛이었다.
실시예 3의 다중 마이크로캡슐은 X선 회절분석(회절범위 8∼40°, 1.54Å, 검출비 2θ, 0.02°, 승온 1℃/분)을 통해, 다중 마이크로캡슐 제조 과정에서 막재로 사용된 코코넛 오일이 고형지질막을 형성하면서 지질의 결정 구조가 결정화도가 낮은 β' 구조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내부 수상(W1)에 첨가되는 봉입율 강화성분인 슈크로오스에 의해 봉입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A) 정제수 20.0 20.0 20.0 20.0 20.0
아스코르빈산 3.0 3.0 3.0 3.0 3.0
슈크로오스 - 1.0 2.0 3.0 4.0
(B) 코코넛오일 40.0 40.0 40.0 40.0 40.0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디메치콘 0.2 0.2 0.2 0.2 0.2
(C) 폴리솔베이트 20 1.0 1.0 1.0 1.0 1.0
정제수 잔량
봉입율(%) 35 60 67 63 65
입도(㎛) 118 151 168 199 265
<실시예 6 및 비교예 1 :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첨가 수중유(O/W)형 크림 제조>
본 실시예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첨가한 수중유(O/W) 형태의 크림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표 2의 조성에 따라 수상 (A)와 유상 (B)를 80℃에서 유화하고 30℃에서 (C)상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캡슐화된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1은 아스코르빈산(로슈사 제품)을 물에 녹여 직접 사용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6 비교예 1
(A) 정제수 잔량
DL-판테놀 0.5 0.5
메칠파라벤 0.2 0.2
부칠렌글라이콜 5.0 5.0
카보머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B) 스테아레스-2 2.0 2.0
스테아레스-21 2.5 2.5
세틸알코올 2.0 2.0
미네랄오일 10.0 10.0
디메치콘 5.0 5.0
스테아린산 2.0 2.0
(C) 실시예 3 10.0 -
아스코르빈산 - 0.3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25.0중량%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바람직하게는 0.01∼10.0중량%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화의 안정도에 문제가 있으며, 사용감 또한 저하된다.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캡슐에 포집된 활성성분이 극소량이므로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화장료 조성물의 각종 제형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성겔 또는 수중유(O/W) 또는 다중에멀젼(W/O/W)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자외선차단제, 안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중량% 내지 25.0중량%이며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팩,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다양한 화장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2 : 아스코르빈산 함량 변화 측정>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이 첨가된 수중유(O/W)형 크림에서 아스코르빈산의 함량 변화를 HPLC(안지름 약 4mm, 길이 약 15cm인 스테인레스관에 5㎛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릴화한 실리카겔 충전, 유속 1.0ml/min, 이동상; 메탄올+헥산설폰산나트륨+빙초산+물, 254nm)로 측정하였으며, 보관 조건은 45℃, 습도 60% 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크림 제형에 직접 첨가한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고온 보관 조건에서 급격한 함량 변화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에 봉입된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고온 보관 조건에서도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다중 마이크로캡슐은 화장료에 적용시 온도 상승 및 공기 중 산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 분 잔존 아스코르빈산 함량(중량%, 45℃)
15일 경과 30일 경과 45일 경과 60일 경과
실시예6 100 100 94 91
비교예2 95 91 81 45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의 광학 현미경 사진(600 배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다중 지질 마이크로 캡슐의 결정화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A] : 마이크로 캡슐 제조 전 고형 상태의 코코넛 오일
[B] :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Claims (6)

  1. 수불용성이며 상전이 온도 30℃ 이하의 고형 지질막 내에 수용성 활성성분이 봉입된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은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B12, 비오틴, 1,2-디티올란-3-펜타노익산-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에스텔,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갈릭산, 안토시아닌, 루틴, 프로테아제, 벤조페논-4 및 벤조페논-5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a) 총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코코넛 오일, 마카데미아 오일 및 호호바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지질 0.01 ∼ 60.0중량%와 피이지 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2 디스테아레이트, 세텔 피이지/피피지-10/1 데메치콘, 비스-피이지/피피지-14/14 디메치콘/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폴 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이상의 소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0.001∼30.0중량%가 첨가된 유상을 가온 용해한 후에 슈크로오스, 베타인,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봉입율 강화성분 0.001∼10.0중량% 및 수용성 활성성분이 0.001∼30.0중량% 첨가된 수상을 분산시켜 1차 지중수(W1/L)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지중수(W1/L)형 에멀젼을 폴리솔베이트20, 폴리솔베이트40, 폴리솔베이트60 및 폴리솔베이트80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0.001∼30.0중량%이 첨가된 외부 수상(W2)에 분산시켜 수중지중수(W1/L/W2)형 다중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수중지중수(W1/L/W2)형 다중에멀젼의 지질/물 계면에서 상기(a) 단계의 지질이 10∼20℃ 저온 숙성을 통해 고형의 지질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입경 0.5 ∼ 400㎛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은 수중지중수(W1/L/W2)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41982A 2009-05-14 2009-05-14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82A KR101102935B1 (ko) 2009-05-14 2009-05-14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82A KR101102935B1 (ko) 2009-05-14 2009-05-14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07A true KR20100123007A (ko) 2010-11-24
KR101102935B1 KR101102935B1 (ko) 2012-01-10

Family

ID=4340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82A KR101102935B1 (ko) 2009-05-14 2009-05-14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49A (ko) * 2014-12-31 2016-07-08 안승원 벤토나이트 겔을 이용한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WO2020192045A1 (zh) * 2019-03-22 2020-10-01 广州品域美妆创新科技有限公司 含花青素的颗粒及其制备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37B1 (ko) * 2017-06-12 2018-09-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옥살리플라틴을 포함하는 경구용 약물전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32B1 (ko) * 2002-03-26 2008-06-09 (주)아모레퍼시픽 L-아스코빌산 함유 다중공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49A (ko) * 2014-12-31 2016-07-08 안승원 벤토나이트 겔을 이용한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WO2020192045A1 (zh) * 2019-03-22 2020-10-01 广州品域美妆创新科技有限公司 含花青素的颗粒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935B1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Encapsulating plant ingredients for dermocosmetic application: An updated review of delivery systems and characterization techniques
KR100394770B1 (ko) 토코페롤 유도체를 이용하여 나노유화입자를 안정화시키는방법 및 나노유화입자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81604B1 (ko)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난용성 활성 성분 함유 중공형 다중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E19640092A1 (de) Strukturen mit Lipid-Doppelmembranen, in deren lipophilen Bereich längerkettige Moleküle eintauchen oder durch hydrophobe Wechselwirkungen an solche Moleküle angedockt sind
CZ311997A3 (cs) Kompozice určená k péči o pleť obsahující retinoidy a liposomy
DE69925705T2 (de) Nanokapseln auf der Basis von Polyalkylenadipa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sowie diese Nanokapseln enthalten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en
Gupta et al. Glycerosomes: Advanced Liposomal Drug Delivery System.
KR101821207B1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8170B1 (ko)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안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는제미니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상부 액정 조성물 및이로부터 미백 화장료의 제조방법
CA3134798A1 (en) Solid lipid nanoparticles of curcumin
KR20160149398A (ko) 비타민 c 전달 시스템 및 그 리포솜 조성물
KR20150107504A (ko) 안정화된 복합 식물 추출물 나노 캡슐 함유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7912B1 (ko) 안정화된 지용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935B1 (ko) 다중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390A (ko) 활성물질이 포접된 리포좀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3301B1 (ko) 레티닐팔미테이트 안정화 조성물
CN114099438A (zh) 山萘酚脂质体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506713B1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7858A (ko) 고순도 발효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9628B1 (ko)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경피흡수가 용이한 캡슐, 이것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40006124A (ko)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유중 나노 서스펜션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2302B1 (ko)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2384243B1 (ko)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캡슐 및 이의 용도
KR20100120731A (ko) 유용성 활성물질 함유 미세캡슐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6844B1 (ko) 다중 에멀션에 의한 수용성 활성물질과 지용성 활성물질이 함께 함유된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