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439A - 슬라이드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439A
KR20100121439A KR1020100042891A KR20100042891A KR20100121439A KR 20100121439 A KR20100121439 A KR 20100121439A KR 1020100042891 A KR1020100042891 A KR 1020100042891A KR 20100042891 A KR20100042891 A KR 20100042891A KR 20100121439 A KR20100121439 A KR 2010012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operation member
frame
buckle
slide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하라다
야스따까 니시다
히사노리 가또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41Slot and tab or tongue
    • Y10T24/45246Slot and tab or tongue having teeth or serrations [e.g., slid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Landscapes

  • Buckles (AREA)
  • Adorn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보지 않고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 및 박형화가 필요한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10)는 표면에 다수의 결합 홈(12)을 갖는 랙(11)을 갖고, 버클(20)은 기부(21)와, 한 쌍의 측벽(22)과, 조작 부재(23)를 갖는다. 조작 부재(23)는 양단부에 결합 갈고리(24) 및 압박부(25)를 갖고, 연결축(26)에 의해 측벽(22)에 지지되어 있다. 버클(20)은 기부(21)에 고정되어 압박부(25)측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된 프레임(27)을 갖는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어저스터{SLIDE ADJUSTER}
본 발명은 벨트를 버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길이 치수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 어저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길이 치수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 어저스터로서, 합성 수지제의 벨트와 버클을 갖고, 벨트를 버클에 삽입 관통시키고 이 버클을 벨트의 임의 위치에서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등 참조).
이와 같은 슬라이드 어저스터에 있어서는, 벨트에 다수의 결합 홈을 갖는 랙을 형성하고, 버클에 가동식 결합 갈고리를 형성하고, 이 결합 갈고리를 랙 상의 임의의 결합 홈에 결합시킴으로써 임의 위치에서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버클에 있어서는, 시소식 조작판을 형성하여, 일단부측의 압박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조작에 의해 타단부측의 결합 갈고리를 결합 홈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시키고, 이에 의해 결합 갈고리를 결합 홈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키도록 하고 있다.
결합 홈과 결합 갈고리는 각각의 요철 형상에 의해, 결합 갈고리가 랙의 일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에는 결합 갈고리가 결합 홈에 걸리지만, 타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에는 결합 갈고리가 결합 홈을 타고 넘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해져, 예를 들어 사이즈를 조이는 조작, 즉 버클이 벨트의 기단부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조작에 있어서는 압박부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8663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헬멧의 헤드 밴드용 사이즈 조정 등의 기능적 요소로서의 이용에 추가하여, 모자 혹은 바지나 스커트 등, 외관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복식품의 슬라이드 어저스터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식품용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외관성이 우수한 것에 추가하여, 사이즈 조정이라고 하는 실용적인 기능으로부터 조작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모자의 사이즈 조정용으로서 모자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어저스터에서는, 눈으로 보면서 조작이 필요하면, 일단 모자를 벗어서 조절을 행하고, 다시 모자를 쓰고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번잡함을 해소하기 위해, 쓴 채로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도록, 보지 않고도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어저스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는 모자의 어저스터로 한정되지 않고, 바지나 스커트의 웨스트 어저스터 등, 보기 어려운 부위에 장착되는 것에서도 발생한다.
전술한 특허 문헌 1에서는, 보지 않고도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벨트 및 버클에 각각 손가락을 걸기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이와 같은 돌기부에 의해, 볼 수 없는 상태에서도 찾아낼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을 한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여 벨트와 버클을 슬라이드시켜, 조이는 방향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불어, 버클측의 돌기는 시소식 가동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 갈고리의 해제에 의한 풀어지는 방향의 조작도 보지 않고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조작용 돌기가 벨트 및 버클로부터 돌출되므로, 소형화 혹은 박형화가 필요한 부위에는 적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보지 않고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 및 박형화가 필요한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와 버클을 갖고,
상기 벨트는 표면에 다수의 결합 홈을 갖는 랙을 갖고,
상기 버클은, 상기 벨트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벨트의 표면측에 상기 벨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랙의 결합 홈의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와, 상기 조작 부재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압박부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측벽에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결합 갈고리가 상기 랙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갖고,
또한, 상기 버클은 상기 기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압박부측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된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이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프레임에 의해 압박부를 손가락으로 찾는 것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조작 부재의 조작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압박부는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들어가지만, 프레임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압박부는 프레임의 내측에 있어서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압박부를 확인하면서, 가일층의 압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에 추가하여, 조작감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가드로서도 기능하여, 프레임이 조작 부재의 압박부측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조작 부재와 벨트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거나, 조작 부재가 벨트로부터 떼어지는 무리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는 상기 기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가, 상기 압박부가 압박되어 상기 조작 부재가 회전했을 때의 상기 압박부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들어간 압박부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는 프레임보다도 낮아져,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압박부를 확인하는 것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작성 및 조작감의 향상에 더욱 적합하다.
단,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의 기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는, 압박부가 압박되어 조작 부재가 회전했을 때의 압박부보다도 낮아도 좋다. 이와 같이 압박부의 쪽이 항상 높은 경우라도, 압박부 주위의 프레임에 의해 압박부를 손가락으로 찾을 수 있어, 압박부가 손가락으로 눌리면 프레임에 대해 하강하므로 내측의 압박부를 명료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의 기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는, 압박부가 압박되어 있지 않고 조작 부재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박부보다도 높아도 좋다. 이와 같이 압박부의 쪽이 항상 낮으면, 압박부 주위의 프레임에 의해 압박부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벽에 접속되고, 상기 측벽의 상부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는 연속된 변 테두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조작 부재의 압박부측의 주연을 따라서 측벽 및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배치되게 되어, 프레임의 가이드 기능 및 가드 기능 또는 본래의 조작 기능을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조작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따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조작 부재가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수용되고, 조작 부재는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있어서 오로지 작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클을 피착물에 고정할 때에, 봉제 시의 천의 말림 등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버클의 결합 갈고리가 있는 측을 천의 주머니부 등에 수용했을 때에, 조작 부재가 주위의 천과 간섭하여 그 동작이 방해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압박부와 상기 결합 갈고리측의 부분 사이에, 상기 압박부측이 높아진 단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으로 단차를 찾음으로써, 압박부와 결합 갈고리측의 부분의 경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조작 부재의 조작에 있어서 압박부를 손가락으로 확실하게 찾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의 표면에는 손가락으로 판별 가능한 요철에 의한 마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표면의 마커에 의해 압박부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판별할 수 있어, 보지 않고도 조작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비틀림 방향의 탄력성을 갖고,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연결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연결축 그 자체로 압박 수단을 겸할 수 있어,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틀림 방향의 탄력성을 갖는 연결축은, 예를 들어 조작 부재와 연결축과 측벽을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축과 압박 수단을 별체로 해도 좋고, 예를 들어 연결축을 회전 가능하게 하여 조작 부재와 측벽 사이 또는 조작 부재와 기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압박 수단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랙의 일단부측의 표면에 돌기 형상의 스토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사이즈를 조이기 위해 버클을 벨트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조작 시에 그 슬라이드 한계를 나타내게 되는 동시에, 버클과 벨트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를 피착물에 고정할 때에, 벨트의 선단측을 천의 주머니부 등에 수용할 때의 스토퍼로서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클 및 상기 벨트는 각각 피착물에 고정하기 위한 박판 형상의 장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박판 형상의 장착부를 피착물의 천과 함께 봉제할 수 있어,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벨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결합 갈고리 및 결합 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이기 조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조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 어저스터(1)는 피착물인 모자(9)의 후방면의 개구 부분(8)에 장착되어, 모자 사이즈의 조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어저스터(1)는 길고 표면에 랙(11)이 형성된 벨트(10)와, 랙(11)의 임의 위치에서 걸림 가능한 버클(20)을 갖는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10)는 모자(9)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9)를 갖는다.
장착부(19)는 벨트(10)의 본체[랙(1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9)의 개구 부분(8)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천 중 한쪽의 천(2)의 주머니 형상으로 된 부분에 넣어져, 천(2)과 일체로 봉제된다.
벨트(10)의 표면에는 벨트(10)의 폭 방향[벨트(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홈(12)이 다수 형성되고, 이들 결합 홈(12)에 의해 랙(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11)의 결합 홈(12)은 장착부(19)측(도 5의 우측)의 경사면(12A)과 반대측의 수직면(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결합 홈(12) 내에 후술하는 결합 갈고리(24)가 결합한 경우, 벨트(10)의 일방향에 대해서는 서로의 결합이 해제되기 쉽고, 타방향에 대해서는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로 돌아가, 벨트(10)의 표면 중, 장착부(19)와 랙(11) 사이에는 스토퍼(13)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3)는 벨트(10)의 표면에 돌출하는 동시에, 벨트(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되고, 버클(2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은 수직으로 되고, 반대측의 면은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여 벨트(10)의 표면에 연속되어 있다(도 7 참조).
벨트(10)의 이면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 후술하는 버클(20)의 기부(21)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벨트(10)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는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20)은 벨트(10)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기부(21)를 갖고, 기부(21)는 모자(9)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9)를 갖는다.
기부(21)는 판형상의 부재이고, 중앙이 개방된 평탄한 프레임 형상이라도 좋다.
장착부(29)는 기부(21)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9)의 개구 부분(8)을 사이에 두고 전술한 천(2)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천(3)의 주머니 형상으로 된 부분에 넣어져, 천(3)과 일체로 봉제된다.
버클(20)은 전술한 기부(21)와, 기부(21)에 세워 설치되어 벨트(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22)과, 벨트(10)의 표면측에 벨트(1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재(23)와, 조작 부재(23)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랙(11)의 결합 홈(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24)와, 조작 부재(23)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압박부(25)와, 조작 부재(23)의 중간부를 한 쌍의 측벽(22)의 내측에 연결하는 연결축(26)과, 기부(21)에 고정되어 조작 부재(23)의 압박부(25)측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된 프레임(27)을 갖는다.
기부(21)의 양측에 한 쌍의 측벽(22)이 세워 설치되고, 이들 측벽(22) 사이에 조작 부재(23)가 연결축(26)으로 지지됨으로써, 기부(21)와 조작 부재(23)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에 벨트(10)가 삽입 관통되게 된다.
벨트(10)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는, 벨트(10)의 표면의 랙(11)이 조작 부재(23)의 이면측에 면한다. 결합 갈고리(24)는 조작 부재(23)의 일단부측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랙(11)의 결합 홈(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 가능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24)의 선단 형상은 조작 부재(23)가 수평한 상태라도, 연결축(26)이 있는 측(도 5의 우측)의 면(24A)이 랙(11)의 결합 홈(12)에 있어서의 경사면(12A)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동시에, 반대측의 면(24B)도 면(24A)의 경사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결합 갈고리(24)가 결합 홈(12) 내에 결합한 경우, 이 결합 갈고리(24)는 연결축(26) 방향의 힘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홈(12) 밖으로 탈출할 수 있지만, 반대측 방향의 힘을 받아도 결합 홈(12) 내의 수직한 면(12B)으로 파고들어, 결합 홈(12) 밖으로 탈출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으로 돌아가, 조작 부재(23)는 연결축(26)을 지지점으로 하는 시소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연결축(26)은 조작 부재(23)를 한 쌍의 측벽(22)에 연결하고 있고, 조작 부재(23)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비틀림 방향의 탄성에 의해 조작 부재(23)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갈고리(24)가 랙(11)의 결합 홈(12)에 결합한 상태(도 7의 상태)에 있을 때, 조작 부재(23)는 기본 자세이고, 연결축(26)은 비틀림이 없는 상태이다. 여기서, 압박부(25)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는 것 등에 의해, 조작 부재(23)가 시소식으로 회전하여, 결합 갈고리(24)가 랙(11)의 결합 홈(12)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도 8의 상태)에 있을 때, 연결축(26)에는 비틀림력을 받고, 탄성에 의한 반력이 발생하여 조작 부재(23)를 전술한 기본 자세(도 7의 상태)로 복귀시키려고 한다. 이상에 의해, 연결축(26)은 연결축(26)을 중심으로 하여 결합 갈고리(24)가 랙(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작 부재(23)를 회전시키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압박부(25)는 조작 부재(23)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전술한 조작 부재(23)의 시소 동작을 위해 손가락으로 압박하는 부분이다(도 8 참조).
압박부(25)는 난각(egg shell) 형상으로 팽출된 곡면으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는 손가락으로 판별 가능한 요철에 의한 마커(2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커(25A)는 버클(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홈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커(25A)에 의해, 보지 않는 상태에서도 손가락으로 버클(20)의 표면을 찾음으로써, 압박부(25)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조작 부재(23)는 압박부(25)에 인접하여 단차(28)를 갖는다.
압박부(25)는 조작 부재(23)의 연결축(26)에 의해 지지된 부분 내지 결합 갈고리(24)가 이면에 형성된 부분에 대해 표출되어 있고, 압박부(25)의 결합 갈고리(24)측에는 단차(2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차(28)가 있음으로써, 손가락으로 압박부(25)를 판별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버클(20)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결합 갈고리(24)와 결합 홈(12)의 결합에 의해, 버클(20)의 이동은 규제된다. 이에 대해, 도 8과 같이 손가락으로 압박부(25)를 압박하여, 결합 갈고리(24)와 결합 홈(12)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버클(20)의 역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프레임(27)은 한 쌍의 측벽(22)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27)은 조작 부재(23)의 압박부(25)측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된 U자 형상의 부재로, 전술한 기부(21)와 조작 부재(23) 사이의 공극에 삽입 관통되는 벨트(10)를 타고 넘어, 그 양단부는 한 쌍의 측벽(22)에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는 측벽(22)의 상부 테두리에 연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압박부(25)는 프레임(27) 및 측벽(2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의 높이는 조작 부재(23)가 전술한 기본 자세(도 7의 상태)에 있을 때에 압박부(25)의 표면보다도 낮지만, 압박부(25)가 압박되어 조작 부재(23)가 회전한 상태(도 8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박부(25)의 표면보다도 높아지는 높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27)이 있음으로써, 프레임(27)으로 둘러싸인 압박부(25)를 손가락으로 찾는 것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조작 부재(23)의 조작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압박부(25)는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들어가지만(도 8 참조), 프레임(27)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압박부(25)는 프레임(27)의 내측에 있어서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압박부(25)를 확인하면서, 가일층의 압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에 추가하여, 조작감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프레임의 가이드 기능).
또한, 프레임(27)이 조작 부재(23)의 압박부(25)측을 둘러쌈으로써 조작 부재(23)와 벨트(10)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거나, 조작 부재(23)가 벨트(10)로부터 떼어지는 무리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프레임의 가드 기능).
측벽(22)은 조작 부재(23)의 전체 길이에 따른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프레임(27)과 더불어 조작 부재(23)의 측면을 완전히 은폐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조작 부재(23)의 결합 갈고리(24)가 형성된 측의 선단은 조작 부재(23)가 시소 동작을 행한 경우라도, 항상 양측의 측벽(22)으로 끼워진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부(21)와 한 쌍의 측벽(22)에 의해, 버클(20)은 벨트(10)에 대해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되는 동시에, 버클(20)을 피착물에 고정할 때에, 봉제 시의 천의 말림 등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버클(20)의 결합 갈고리(24)가 있는 측을 천의 주머니부 등에 수용했을 때라도, 조작 부재(23)가 주위의 천과 간섭하여 그 동작이 방해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버클(20)은 기부(21), 측벽(22), 조작 부재(23) 및 연결축(26)을 포함하여,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공통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압박부(25)의 표면에는 마커(25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커(25B)는 압박부(25)의 표면의 난각 형상의 곡면의 정상 부분을 평탄하게 잘라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커(25B)에 의해서도, 손가락으로 찾음으로써 마커로서 인식할 수 있어, 보지 않고도 압박부(25)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공통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측벽(22)은 연결축(26)의 근방에만 형성되고, 조작 부재(23)의 결합 갈고리(24)측의 선단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측벽(22)과 프레임(27)이 분리되어 있고,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와 측벽(22)의 상부 테두리는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27)은 양단부가 기부(21)에 직접 지지되어 있고, 양단부의 지지부(27A)는 측벽(22)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부(21)의 양단부 테두리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조작 부재(23)의 결합 갈고리(24)측의 선단이 측벽(22)에 의해 끼워지는 공간 내에 수용되지 않으므로, 천에 장착했을 때에 조작 부재(23)가 주위의 천과 접촉하여, 동작 저항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 어저스터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공통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압박부(25)는 그 높이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고, 조작 부재(23)가 기본 자세에 있는 상태라도 프레임(27)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압박부(25)가 낮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23)에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단차(28)(도 3등 참조)가 생략되어 있다.
압박부(25)의 표면은 오목 형상으로 움푹 패여 있고, 이 오목 형상의 곡면은 손가락 끝이 들어가기 쉬운 형상으로 되고, 이 오목면이 마커(25C)를 형성하고 있다.
조작 부재(23)는 연결축(26)에 의해 측벽(22)에 지지되어 있지만, 연결축(26)의 근방에는 크랭크형의 브리지(26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부재(23)가 기본 자세로부터 압박부(25)를 압박하여 기울었을 때에는, 연결축(26) 자체의 비틀림에 대한 반력 외에, 브리지(26A)의 탄성 변형에 의한 반력을 받게 되어, 이들 연결축(26) 및 브리지(26A)의 반력이 압박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압박부(25)를 프레임(27)보다도 항상 낮아지도록 하였으므로, 보지 않고 손가락으로 찾았을 때의 프레임(27)에 의한 가이드 기능을 가일층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축(26) 자체의 비틀림에 대한 반력 외에, 브리지(26A)의 탄성 변형에 의한 반력을 이용하여 압박 수단을 구성하였으므로, 연결축(26) 단독에 비해, 용도에 따라서 필요로 하는 한층 강한 반력을 발생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압박부(25)의 표면의 마커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마커(25A)(복수의 홈의 열) 혹은 제2 실시 형태의 마커(25B)(곡면의 일부에 평탄면)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요철 형상 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지각 가능한 작은 돌기 혹은 오목부, 거친 요철면, 미세한 선형 돌기가 배열된 면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압박부(25)의 표면은 그 난각 형상만으로도 손가락으로 찾음으로써 압박부(25)를 판별할 수 있어, 마커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압박부(25)를 둘러싸는 프레임(27)이 있으므로, 이 프레임(27)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보지 않고도 손가락의 감촉으로 압박부(25)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박 수단은 연결축(26)으로 겸용되는 것, 연결축(26)과 브리지(26A)를 병용하여 겸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축을 회전 가능한 축으로 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조작 부재(23)를 압박하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압박 부재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는 기부(21)를 기준으로 한 높이가, 압박부(25)가 압박되어 조작 부재(23)가 회전했을 때의 압박부(25)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높이 설정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의 기부(21)를 기준으로 한 높이는, 압박부(25)가 압박되어 조작 부재(23)가 회전했을 때의 압박부(25)보다도 낮아도 좋다. 이와 같이 압박부(25)의 쪽이 항상 높은 경우라도, 주위의 프레임(27)에 의해 압박부(25)를 손가락으로 찾을 수 있어, 압박부(25)가 손가락에 의해 눌리면 프레임(27)에 대해 하강하므로 내측의 압박부(25)를 명료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의 기부(21)를 기준으로 한 높이는, 압박부(25)가 압박되어 있지 않고 조작 부재(23)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박부(25)보다도 높아도 좋다. 이와 같이 압박부(25)의 쪽이 항상 낮으면, 압박부(25) 주위의 프레임에 의해 압박부(25)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27)을 U자 형상으로 하고, 압박부(25)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함으로써 압박부(25)를 둘러싸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레임(27)은 U자 형상으로 연속된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재를 간헐적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되어 압박부(25)의 주연을 둘러싸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C자 형상 혹은 압박부(25)의 전체 둘레를 포위하는 O자 형상, 압박부(25)의 일부를 따르는 원호 형상의 부분, I자 형상의 단편 등이라도 좋고, 요컨대 압박부(25)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되어 압박부(25)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 밖에, 각 부 치수 등은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등을 해도 좋다.
1 : 슬라이드 어저스터
2, 3 : 천
8 : 후방면의 개구 부분
9 : 모자
10 : 벨트
11 : 랙
12 : 결합 홈
13 : 스토퍼
19 : 장착부
20 : 버클
21 : 기부
22 : 측벽
23 : 조작 부재
24 : 결합 갈고리
25 : 압박부
25A, 25B, 25C : 마커
26 : 압박 수단을 겸하는 연결축
26A : 압박 수단인 브리지
27 : 프레임
27A : 지지부
28 : 단차
29 : 장착부

Claims (9)

  1. 벨트(10)와 버클(20)을 갖고,
    상기 벨트(10)는 표면에 다수의 결합 홈(12)을 갖는 랙(11)을 갖고,
    상기 버클(20)은 상기 벨트(10)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기부(21)와, 상기 기부(21)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벨트(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22)과, 상기 벨트(10)의 표면측에 상기 벨트(1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재(23)와, 상기 조작 부재(23)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랙(11)의 결합 홈(12)의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24)와, 상기 조작 부재(23)의 타단부측에 형성된 압박부(25)와, 상기 조작 부재(23)를 상기 한 쌍의 측벽(22)에 연결하는 연결축(26)과, 상기 연결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결합 갈고리(24)가 상기 랙(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 부재(23)가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 부재(23)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26, 26A)을 갖고,
    또한, 상기 버클(20)은 상기 기부(21)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 부재(23)의 상기 압박부(25)측의 주연을 따라서 배치된 프레임(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는 상기 기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가, 상기 압박부가 압박되어 상기 조작 부재가 회전했을 때의 상기 압박부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7)은 상기 한 쌍의 측벽(22)에 접속되어, 상기 측벽(22)의 상부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27)의 상부 테두리는 연속된 변 테두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2)은, 상기 조작 부재(2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따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23)는 상기 압박부(25)와 상기 결합 갈고리(24)측의 부분 사이에, 상기 압박부(25)측이 높게 된 단차(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25)의 표면에는 손가락으로 판별 가능한 요철에 의한 마커(25A, 25B, 25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26)은 비틀림 방향의 탄력성을 갖고,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연결축(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0)는 상기 랙(11)의 일단부측의 표면에 돌기 형상의 스토퍼(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20) 및 상기 벨트(10)는 각각 피착물에 고정하기 위한 박판 형상의 장착부(19, 2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어저스터.
KR1020100042891A 2009-05-07 2010-05-07 슬라이드 어저스터 KR20100121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2906 2009-05-07
JP2009112906A JP2010259627A (ja) 2009-05-07 2009-05-07 スライドアジャス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439A true KR20100121439A (ko) 2010-11-17

Family

ID=4297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891A KR20100121439A (ko) 2009-05-07 2010-05-07 슬라이드 어저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81661A1 (ko)
JP (1) JP2010259627A (ko)
KR (1) KR20100121439A (ko)
CN (1) CN101878970A (ko)
DE (1) DE102010019778A1 (ko)
TW (1) TW201105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536U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헤드 밴드의 버클
CN109820289A (zh) * 2017-11-23 2019-05-31 柳良锡 卡扣
CN113768232A (zh) * 2021-09-28 2021-12-10 泗阳捷锋帽业有限公司 一种可变形的轻便帽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470A4 (en) * 2007-10-12 2013-11-20 Jong O Whang SNAIL INSTRUMENT FOR SHOES
US9127486B2 (en) * 2010-01-25 2015-09-08 Vision Industries Group, Inc. Sash window and door transportation clip assembly
US8683665B2 (en) 2011-01-10 2014-04-01 Duraflex Hong Kong Limited Ratchet adjustment system
JP5192607B1 (ja) 2012-11-08 2013-05-08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ックル
US9392846B2 (en) 2012-11-08 2016-07-19 Builmatel Co.,Ltd. Slide adjuster
US9296534B2 (en) * 2013-04-05 2016-03-29 Thinline, Llc Asymmetrically releasable fastener system and cuff for use therewith
USD735449S1 (en) * 2013-10-17 2015-08-04 Michael Brant Perna Cap brim mounted support device for mascot
USD753905S1 (en) * 2014-10-11 2016-04-19 Daryl Edward Singleterry Puzzle-shaped snapback-style size adjustment strap
JP6554362B2 (ja) * 2015-08-25 2019-07-31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クランプ
JP6707170B2 (ja) * 2016-09-02 2020-06-10 ソク リュ,ヤン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USD822954S1 (en) * 2016-09-23 2018-07-17 Changuk LEE Hat
KR101837187B1 (ko) * 2016-11-08 2018-03-09 이상진 손목 보호대
CN107596491A (zh) * 2017-09-20 2018-01-19 林广华 一种头戴式点滴架
US10238161B1 (en) 2017-09-28 2019-03-26 League Of Investors, Llc Adjustable strap for hat
CN108030588B (zh) * 2018-02-01 2020-08-11 池欣睿 一种护眼面罩及视力保护装置
GB2572189B (en) * 2018-03-22 2021-07-28 Headkayse Ltd Simplified ratchet strap and buckle assembly
US11284680B2 (en) * 2018-03-30 2022-03-29 Tyler Velger Flexible interlocking closure
JP7204335B2 (ja) * 2018-04-13 2023-01-16 モリト株式会社 カバンの取っ手及びそれを有するカバン
CN108830964A (zh) * 2018-04-26 2018-11-16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用于冶金厂房的多功能ar巡检设备
CN110132062A (zh) * 2019-04-04 2019-08-16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可快速安装的导弹立体靶标
PT115577B (pt) * 2019-06-14 2021-11-25 Kaiola Design Unipessoal Lda Chapéu que tem membros de tira de queixo
EP3769640B1 (fr) * 2019-07-26 2022-03-30 Omega SA Fermoir pour bracelet de montre
CN111265045A (zh) * 2020-04-16 2020-06-12 赵建勋 一种通过折叠可对形状功能进行改变的多功能家具
CN113577643A (zh) * 2021-08-27 2021-11-02 金华市高登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呼啦圈
US11805855B1 (en) 2022-10-27 2023-11-07 Zipzon, Llc Fastening system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6455A (en) * 1969-09-22 1971-03-02 American Safety Equip Restraint belt buckle cover
US3855669A (en) * 1973-10-05 1974-12-24 Usm Corp Adjustable strap with quick release
IT8409513V0 (it) * 1984-05-08 1984-05-08 Biavaschi Ciapusci Ilde Ancoraggio di sicurezza ad arpione bloccabile per cinghia dentata di serraggio degli scarponi da sci.
IT206663Z2 (it) * 1985-09-06 1987-10-01 Olivieri Icaro & C Dispositivo di allacciatura a componenti articolati, particolarmente per articoli sportivi.
JPH0227763Y2 (ko) * 1985-11-08 1990-07-26
JPS6285112U (ko) * 1985-11-15 1987-05-30
EP0242531A1 (fr) * 1986-04-18 1987-10-28 Lange International S.A. Dispositif de fermeture d'une chaussure et chaussure de ski équipée du dispositif
US4999846A (en) * 1990-03-09 1991-03-19 Safeco Mfg. Limited Strap and buckle assembly
IT223068Z2 (it) * 1990-11-19 1995-06-09 Everest Off Struttura di dispositivo di serraggio,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US5575045A (en) * 1996-01-02 1996-11-19 Chu; Hsien-Kuang Roller skate fastening device
US5606779A (en) * 1996-05-28 1997-03-04 Monotype Supply Co., Ltd. Microscopically adjustable buckle for shoes
US5779259A (en) * 1996-06-14 1998-07-14 Lin; Jack Toe-strap of a ski boot binding
IT236439Y1 (it) * 1997-02-04 2000-08-17 Giuseppe Cavasin Dispositivo di serraggio,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sportive
ATE471088T1 (de) * 1998-04-23 2010-07-15 Builmatel Co Ltd Schnalle
JP3393329B2 (ja) * 1998-05-19 2003-04-07 モリト株式会社 アジャスター
TW368805U (en) * 1998-08-27 1999-09-01 Taiwan Ind Fastener Corp Adjustable fastener
JP3982955B2 (ja) * 1998-08-28 2007-09-2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バックル
US6554297B2 (en) * 2001-01-03 2003-04-29 The Burton Corporation Dive resistant buckle
ITPD20010151A1 (it) * 2001-06-19 2002-12-19 Bauer Italia Spa Allacciatura a cinghia dentata, particolarmente per goliere di caschi, elmetti e simili.
US6729047B2 (en) * 2002-02-19 2004-05-04 Shimano Inc. Strap assembly for sport shoe
EP1538939A4 (en) * 2002-07-05 2005-12-14 Indiana Mills & Mfg SAFETY BELT FOR SMALL CHILDREN
US7246383B2 (en) * 2004-05-27 2007-07-24 Bell Sports, Inc. Fit adjustment mechanism for helmets
JP4005109B1 (ja) * 2006-10-04 2007-11-07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ンドとバックルのスライドアジャスタ
CN101125041A (zh) * 2007-09-08 2008-02-20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一种腰围松紧调整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536U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헤드 밴드의 버클
CN109820289A (zh) * 2017-11-23 2019-05-31 柳良锡 卡扣
CN109820289B (zh) * 2017-11-23 2021-11-05 柳良锡 卡扣
CN113768232A (zh) * 2021-09-28 2021-12-10 泗阳捷锋帽业有限公司 一种可变形的轻便帽子
CN113768232B (zh) * 2021-09-28 2023-06-23 泗阳捷锋帽业有限公司 一种可变形的轻便帽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8970A (zh) 2010-11-10
JP2010259627A (ja) 2010-11-18
TW201105261A (en) 2011-02-16
US20100281661A1 (en) 2010-11-11
DE102010019778A1 (de)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1439A (ko) 슬라이드 어저스터
US8146211B2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US9655412B2 (en) Side release buckle
KR101310675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조립체
KR100438349B1 (ko) 버클
JP2006283239A (ja) ウエスト調節用アジャスタ
KR101758052B1 (ko) 상의와 하의 고정 장치
US4564983A (en) Device for fastening a belt or the like
CN113163904B (zh) 带扣用的插头及带扣
KR101754922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0411737B1 (ko) 끈 고정구
KR102010340B1 (ko) 지퍼 헤드 구조 및 지퍼 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1415445B1 (ko) 버클
KR100731633B1 (ko) 기능성 혁대
US20100318011A1 (en) Lumbar brace for preventing lumbar kyphosis
CN212878726U (zh) 被单固定器
JP2011117089A (ja) 帽子のサイズ調整機構
CN110122991B (zh) 一种穿戴设备
JP5851109B2 (ja) バックル
WO2012137836A1 (ja) バックルアッセンブリ及び操作部材
CN212233402U (zh) 连接结构及可穿戴设备
JP3561879B2 (ja) 調整用鉤ホック
KR101886724B1 (ko) 가이드가 구비된 벨크로 파스너
KR101519988B1 (ko) 클립을 이용한 허리 벨트 착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