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737B1 - 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737B1
KR100411737B1 KR10-2001-0077345A KR20010077345A KR100411737B1 KR 100411737 B1 KR100411737 B1 KR 100411737B1 KR 20010077345 A KR20010077345 A KR 20010077345A KR 100411737 B1 KR100411737 B1 KR 10041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vertical wall
elastic pressing
base portion
pres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701A (ko
Inventor
마루오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5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과제)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타입에 있어서, 양복 등에 대한 피트성, 끈에 대한 걸림력, 소형화, 조작성 모두가 종래품보다 우수한 제품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끈 고정구(1)는 양복 등에 배치된 끈(10)의 단부를 이 끈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걸어 고정하는 것이다. 구조상의 특징은, 양복 등에 부착되는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와; 관통구멍(6)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2)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쌍으로 돌출형성된 세로벽부(3)와; 베이스부(2)상에서 상기 양 세로벽부(3) 사이로 돌출형성되며, 각 관통구멍(6)에 끼워지는 끈(10)을 수직방향으로 변위시켜서 걸어 고정하는 탄성 압압편부(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끈 고정구{CORD CLOSURE}
본 발명은 끈 고정구에 있어서 특히 양복이나 자루형상체 등에 배치되는 조임용 띠나 끈 또는 코드 끈(이하, 이것들을 간단히 '끈'이라 한다)을, 이 끈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하여 걸어 고정하는 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종래의 끈 고정구(일본국 실공소 64-92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끈 고정구(50)는 본체가 블럭형상을 이루며, 공간부(51)를 사이에 두고서 구획 형성되며 관통구멍(52a)을 가지는 좌우 지지체(52)와, 각 지지체(52)의 하부에 연결되며 절결부(53a,53b)의 존재로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연결체(54)와, 공간부(51)내에 위치하며 연결체(54)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압압체(55)를 구비하고 있다. 압압체(55)는 상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세로 구멍부(56)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각 관통구멍(52a)에 끼워지는 끈(60)의 중간부분(60a)을 세로 구멍부(56)의 바닥면(56a)으로 들어 올려서 고정하는 구성이다.
사용할 때에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체(55)를 하측으로 눌러서 양 관통구멍(52a)과 세로 구멍부(56)가 연속되는 상태로 하고, 양복 등에 배치된 끈(60)의 단부를 일측의 관통구멍(52a), 세로 구멍부(56), 타측의 관통구멍(52a)의 순으로 끼운 후, 상기 압압체(55)의 압압력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압압체(55)가 도 10(b)에 나타내 바와 같이 연결체(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때문에, 끈(60)은 양 관통구멍(52a)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분(60a)이 세로 구멍부(56)의 바닥면(56a)에 의해서 들어 올려짐으로써 빠지지 않게 걸려 고정된다. 이 걸림력은 바닥면(56a)이 관통구멍(52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커지게 된다.
상기한 끈 고정구는, 일본국 특허출원 2000-1849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에 대해서 부재수가 최소한이라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이 구조에서는, 압압체(55), 연결체(54), 절결부(53a,53b)가 모두 높이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세로로 긴 블럭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체가 양복에 부착되는 사용상태에서는 부착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서 걸리적 거리거나 디자인을 손상시킨다. 또, 이 구조에서는, 압압체(55)의 탄성 변위량이 연결체(54)의 두께나 절결부(53a,53b)의 크기 등에 비례하기 때문에, 끈(60)에 대한 걸림력을 보다 강하게 하고자 할 때에는 절결부(53a,53b)를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본체가 그만큼 커지게 된다. 또한, 압압체(55)는 공간부(51)를 통해서 돌출되어 있는 상면(55a)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구성이므로, 조작성의 면에서 보면 상기 상면(55a)을 어느 정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본체가 커지게 된다. 동시에, 본체가 양복에 부착되는 사용상태에서는 압압체(55)를 누르는 조작이 어렵다는 점, 압압체(55)를 누르는 압압력이 인체에 그대로 전달되기 쉬운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일소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그 목적은,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타입에 있어서, 양복 등에 대한 피트(fit)성, 끈에 대한 걸림력, 소형화, 조작성 모두가 종래품보다도 우수한 끈 고정구를 실현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끈 고정구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은 상기 끈 고정구를 3방향에서 단면한 단면도
도 4는 상기 끈 고정구의 사용요령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상기 끈 고정구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상기 끈 고정구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상기 끈 고정구의 사용요령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상기 각 끈 고정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종래의 끈 고정구의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끈 고정구 2,12 - 베이스부
3,13 - 세로벽부 4,14 - 탄성 압압편부
4c,14c - 받이부 6,16 - 관통구멍
10 - 끈 10a - 끈의 중간부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예로 특정하면, 양복 등에 배치된 끈(10)의 단부를 이 끈(10)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걸어 고정하는 끈 고정구(1)에 있어서, 상기 양복 등에 부착되는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와; 관통구멍(6)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2)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쌍으로 돌출형성된 세로벽부(3)와; 상기 베이스부(2)상에서 상기 양 세로벽부(3) 사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양 세로벽부(3)의 각 관통구멍(6)에 끼워지는 끈(10)을 수직방향으로 변위시켜서 걸어 고정하는 탄성 압압편부(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종래 구조의 결점을 다음과 같은 고안에 의해서 해소한 것이다. 즉, 본 구조의 특징은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를 주체로 하고, 이 베이스부(2)상에 끈(10)이 끼워지는 세로벽부(3) 및 탄성 압압편부(4)를 부설한 점에 있다. 이것은, 우선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를 사용 개소인 양복 등에 대고 후술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봉제나 양면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본 발명품은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탄성 압압편부(4)를 눌러 조작함으로써 양복류에 배치된 끈(10)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상기 끈(10)의 단부의 인출량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탄성 압압편부(4)를 눌렀을 때의 압압력이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에 가해지게 되나, 넓은 하면을 가진 베이스부(2)가 인체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인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종래품보다도 분산시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런한 종류의 끈 고정구의 돌출치수는 본체 하면으로부터 압압체{도 1에 나타낸 탄성 압압편부(4)나 도 5에 나타낸 탄성 압압편부(14) 등)의 돌출 높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품은 탄성 압압편부(4)를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상에서 돌출시킴으로써, 또한 탄성 압압편부(4)와 양 세로벽부(3)를 동일한 베이스부(2)상에 형성함으로써, 전체 높이가 억제되어 컴팩트화의 실현이 용이하게 된다. 동시에, 탄성 압압편부(4) 전체가 베이스부(2)상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면적을 용이하게 증대시킴으로써 손가락으로 누를 때의 조작성도 양호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첫째로, 탄성 압압편부(4)는 상기 베이스부(2)에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 세로벽부(3)의 각 관통구멍(6)에 끼워지는 끈(10)의 중간부분(10a)을 유도하는 대략 U자 형상의 받이부(4c)를 요동단부측에 가지고 있는 구성, 또는 탄성 압압편부(14)는 상기 베이스부(12)에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 세로벽부(13)의 각 관통구멍(16)에 끼워지는 끈(10)의 중간부분(10a)을 유도하는 목형상의 받이부(14c)를 요동단부측에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탄성 압압편부(4 또는 14)가 베이스부(2 또는 12)상에 노출된 상태로 되는 관계상, 양 세로벽부(3 또는 13)의 각 관통구멍(6 또는 16)에 끼워지는 끈(10)의 중간부분(10a)이 부주의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끈 가이드작용과, 상기 끈(10)의 중간부분(10a)을 대략 U자 형상이나 목형상의 받이부(4c 또는 14c)에 끼워맞춰서 탄성 압압편부(4 또는 14)의 외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일체감을 얻는 외관 처리작용을 얻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로, 상기 양 세로벽부(3 또는 13)는 대략 ┏┓형상의 양 세로변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탄성 압압편부(4 또는 14)는 상기 양 세로변 부분(3a 또는 13a)의 내측에 상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며, 요동단부측이 상기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3b 또는 13b)에 근접하게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성이다.
양 세로벽부(3 또는 13)의 형상은,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3b 또는 13b)의 존재에 의해서 강성을 갖게 함으로써 양 세로벽부(3 또는 13)를 얇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 각 관통구멍(6 또는 16)에 끼워지는 끈의 중간부분(10a)을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3b 또는 13b)의 내측에 위치시켜서 다소나마 보이지 않게 하는 이점이 있다. 탄성 압압편부(4,14)의 형상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압압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 요동단부측을 하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높이를 억제하고 탄성능력을 크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셋째로, 상기 탄성 압압편부(4 또는 14)는 그 요동단부측이 상기 관통구멍(6 또는 16)보다도 상측으로 변위되어 있으며, 상기 각 관통구멍(6 또는 16)에 끼워지는 끈(10)의 중간부분(10a)을 상기 받이부(4c 또는 14c)에 걸은 상태에서 상기 각 세로벽부(3 또는 13)의 관통구멍(6 또는 16)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서 고정하는 구성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끈 걸림작용을 확인적으로 특정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를 나타내고, 도 5 내지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도 1과 도 5는 각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의 개략 외관도, 도 2의 (a),(b)와 도 6의 (a),(b)는 각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끈 고정구의 상세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2(a)의 B-B선 단면도, 도 3(c)는 2(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끈 고정구의 상세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은 측면도, 도 7(b)은 도 6(a)의 D-D선 단면도, 도 7(c)는 6(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8은 각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의 작용예를 나타내고, 도 9는 각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기본사상을 제 1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 보충사항을 포함하여 언급한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1)는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2)를 주체로 하고, 이 베이스부(2)상에 일체로 형성된 1쌍의 세로벽부(3,3) 및 탄성 압압편부(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끈 고정구(1)는 작도상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나, 예를 들어 이 끈 고정구(1)가 일반적인 양복에 이용될 경우, 베이스부(2)의 최대 폭이 15∼30㎜, 탄성 압압편부(4)의 최대 돌출높이가 3∼15㎜정도의 작은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2)는 가로측이 긴 대략 장방형의 평판형상을 이루며, 양측에 관통되게 형성한 부착구멍(2a)과, 좌우 중간부에 있어서 양 세로벽부(3,3)의 사이를 크게 잘라낸 절결부(5)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부(2)는,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평판형상이고 또한 절결부(5) 등을 부설함으로써, 양복 등의 평면부에 대해서 면접촉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적으로는 원형이나 타원, 다각형으로 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판의 두께를 얇게 함과 아울러 각 코너부를 라운딩함으로써, 사용상태에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처리된다. 각 부착구멍(2a)은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복 등의 평면부에 봉제에 의해서 부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는 상기 부착구멍(2a)을 생략하고(혹은 생략하지 않고) 양면 접착테이프 등을 통해서 피부착부에 부착하여도 된다.
양 세로벽부(3)는, 베이스부(2)상에 있어서의 각 부착구멍(2a)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형상의 벽을 돌출되게 형성하되, 이 ┏┓형상의 양 세로변 부분(3a,3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형상적으로는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3b)측이 약간 높고 양 세로변 부분(3a)의 각 단부측이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세로벽부(3)가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3b)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한 절결부(5)가 양 세로변 부분(3a)과 가로변 부분(3b)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세로벽부(3)에는 관통구멍(6)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은 끈(10)을 여유있게 끼울 수 있는 정도의 구멍이면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관통구멍(6)이 상기 세로벽부(3)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변 부분(3b)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2)의 일부를 포함하여 절결부(5)상에 위치하며, 또한 구멍 상측이 라운딩되어 있다.
탄성 압압편부(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2)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탄성 압압편부(4) 전체가 상기 절결부(5)의 존재에 의해서 상측과 하측에서 보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 압압편부(4)는 그 기단부(4a)가 상기 가로변 부분(3b)과 대향한 베이스부(2)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절결부(5) 위에 위치하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또, 선단 부근, 즉 요동단부(4b)측에는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받이부(4c)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4c)는 상기 가로변 부분(3b)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탄성 압압편부(4)의 통상상태, 즉 상측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각 관통구멍(6)보다도 상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필수가 된다. 또, 받이부(4c)는, 탄성 압압편부(4)가 외력에 의해서 하측으로 눌려지면, 그 받이면이 각 관통구멍(6)과 거의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끈 고정구(11)도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12)를 주체로 하고, 이 베이스부(12)상에 일체로 형성된 1쌍의 세로벽부(13,13) 및 탄성 압압편부(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설계적으로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끈 고정구(1)가 양복류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의 끈 고정구(11)는 세로방향으로배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상하로 긴 대략 장방형의 평판형상을 이루며, 하측에 관통되게 형성한 부착구멍(12a)과, 좌우 중간부에 있어서 양 세로벽부(13,13)의 사이를 크게 잘라낸 절결부(15)를 가지고 있다. 형상적 요건은 상기한 베이스부(2)와 같으며, 또 양복 등의 평면부에 부착구멍(12a)를 통해서 봉제에 의해서 부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부착구멍(12a)을 생략하고 양면 접착테이프 등을 통해서 피부착부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은, 부착구멍(2a,12a)은 봉제에 의해서 부착할 때에 이용된다.
양 세로벽부(13)는, 베이스부(12)상에 있어서 양측에서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대략 ┏┓형상의 벽을 돌출되게 형성하되, 이 ┏┓형상의 양 세로변 부분(13a,13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형상적으로는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13b)측이 약간 높고 양 세로변 부분(13a)의 하단측이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세로벽부(13)가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13b)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점, 상기 절결부(15)가 양 세로변 부분(13a)과 가로변 부분(13b)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 관통구멍(16)이 각 세로벽부(13)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 상기 관통구멍(16)이 세로벽부(13)에 있어서의 가로변 부분(13b)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2)의 일부를 포함하여 절결부(15) 위에 위치하고 있는 점 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다만, 상기 가로변 부분(13b)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측이 잘려내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로변 부분(3b 또는 13b)은 베이스부(2 또는 12)와 세로벽부(3 또는 13)의 각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작용과, 탄성 압압편부(4,14)를 하측으로 과도하게 누르더라도 끈(10)의 대응부{즉, 끈의 중간부분(10a)}가 이것에 맞닿아서 필요이상으로 하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걸림작용, 외관적으로 보기 좋게 처리하는 작용을 겸한다.
탄성 압압편부(1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2)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탄성 압압편부(14) 전체가 상기 절결부(15)의 존재에 의해서 상측과 하측에서 보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 압압편부(14)는 그 기단부(14a)가 상기 가로변 부분(13b)과 대향한 베이스부(12)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절결부(15) 위에 위치하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또, 선단 부근, 즉 요동단부(14b)측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일부 잘라낸 목(頸)형상의 받이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부(14c)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자기로 상기 가로변 부분(13b)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탄성 압압편부(14)의 통상상태, 즉 상측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각 관통구멍(16)보다도 상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필수가 된다. 또, 받이부(14c)는, 탄성 압압편부(14)가 외력에 의해서 하측으로 눌려지면, 그 목형상 부분이 각 관통구멍(16)과 거의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받이부(14c)는 끈(10)의 대응부{즉, 끈(10)의 중간부분(10a)}가 목형상의 오목부분에서 위치규제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받이부(4c)에 비해 부주의한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것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의 받이부(4c)는, 본 발명품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10)의 단부를 화살표 Y방향으로 더 빼내고 싶을 때, 탄성 압압편부(4)를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는 조작만으로 조정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우수하다. 받이부(14c)의 경우에는, 탄성 압압편부(14)를 상기한 바와 같이 눌러 내리는 조작만으로는 끈(10)의 단부를 빼내기 어렵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의 관통구멍(16)에서 끈(10)의 중간부분(10a)을 일단 필요한 길이만큼 빼낸 후, 끈(10)의 단부를 잡아 당겨서 하류측의 관통구멍(16), 즉 도 8(b)의 화살표 Y방향으로 빼내어야 한다.
(사용예)
도 9는 이상의 각 실시형태의 끈 고정구(1,11)를 의류에 부착한 사용예이다. 상기 의류에는 그 목부 주위와 몸통부 주위에 각각 끈(10)이 배치되어 있으며, 도면부호 X1의 목부 주위에 상기 끈 고정구(1)를 부착하고, 도면부호 X2의 몸통부 주위에 상기 끈 고정구(11)를 부착한 예이다. 각 끈 고정구(1,11)는 각각의 끈(10)의 양 단부의 인출구에 대응하여 봉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품은 의류나 양복 등에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끈(10)은, 도 9의 사용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자유단부로 되어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일측 단부가 의류나 양복 등에 고정되어 있는 것도 있다. 전자에서는 본 발명품이 1개의 끈(10)에 대해서 2개 사용된다. 후자에서는 1개의 끈(10)에 대해서 1개만 사용되게 된다.
이상의 각 끈 고정구(1,11)는 끈(10)의 빠짐방지 또는 걸림작용적인 면에서같다. 이 점을 제 1 실시형태의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끈(10)은 일측의 관통구멍(6)에서 타측의 관통구멍(6)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끈(10)의 중간부분(10a)을 탄성 압압편부(4)의 받이부(4c)로 받아낸 상태에서 각 관통구멍(6)보다 상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끈(10)에 대한 걸림력은 그 상측 변위에 의거하는 각 세로벽부(3)와 탄성 압압편부(4)간의 전단력을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종래와 같다. 또한, 본 발명품에서는 끈(10)의 중간부분(10a)의 양측, 즉 각 관통구멍(6)을 향하는 부분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부(4c)의 양측과 이것에 대응하는 세로벽부(3)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기 쉬우며, 상기 전단력을 이 끼움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끈 고정구는 청구항 1에서 특정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예를 들면 관통구멍(6 또는 16)의 크기 및 형상 등은 끈(1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변형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2 또는 12)로서는 양복류에 부착하기 용이한 평판형상이면 된다. 이 평판형상에는 절결부(5 또는 15)를 가지고 있는 형태도 당연히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끈 고정구는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상에 끈이 끼워지는 세로벽부 및 탄성 압압편부를 부설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개소인 양복 등에 대한 부착성, 탄성 압압편부를 눌렀을 때의 압압력이 베이스부에서 분산되기 때문에 인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탄성 압압편부와 양 세로벽부를 같은 평판형상의 베이스부상에 형성함으로써, 전체 높이를 억제하여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고, 동시에 탄성 압압편부의 압압면적을 증대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품은 종래품에 비해 사용상의 편리성 및 품질적으로 우수하며, 적용상의 제약을 없애어 그 용도를 확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양복 등에 배치된 끈의 단부를 이 끈의 빠짐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걸어 고정하는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양복 등에 부착되는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와,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쌍으로 돌출형성된 세로벽부와,
    상기 베이스부상에서 상기 양 세로벽부 사이로 돌출형되며, 상기 양 세로벽부의 각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을 수직방향으로 변위시켜서 걸어 고정하는 탄성 압압편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압압편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 세로벽부의 각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의 중간부분을 유도하는 대략 U자 형상의 받이부를 요동단부측에 가지고 있는 끈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압압편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세로벽부의 각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의 중간부분을 유도하는 목형상의 받이부를 요동단부측에 가지고 있는 끈 고정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세로벽부는 대략 ┏┓형상의 양 세로변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탄성 압압편부는 상기 양 세로변 부분의 내측에 상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며, 요동단부측이 상기 대략 ┏┓형상의 가로변 부분에 근접하게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끈 고정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압압편부는, 요동단부측이 상기 세로벽부의 관통구멍보다도 상측으로 변위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벽부의 각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의 중간부분을 상기 받이부에 걸어서 상기 각 세로벽부의 관통구멍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서 고정하는 끈 고정구.
KR10-2001-0077345A 2000-12-21 2001-12-07 끈 고정구 KR100411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7996A JP4519313B2 (ja) 2000-12-21 2000-12-21 紐留め具
JPJP-P-2000-00387996 2000-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701A KR20020050701A (ko) 2002-06-27
KR100411737B1 true KR100411737B1 (ko) 2003-12-18

Family

ID=1885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345A KR100411737B1 (ko) 2000-12-21 2001-12-07 끈 고정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19313B2 (ko)
KR (1) KR100411737B1 (ko)
CN (1) CN1225218C (ko)
HK (1) HK1047525A1 (ko)
TW (1) TW53695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206A (ko) * 2004-07-12 2006-01-17 김계열 코드록
JP4648801B2 (ja) * 2005-08-31 2011-03-09 Ykk株式会社 紐止具
TWM336705U (en) * 2008-02-15 2008-07-21 Nifco Taiwan Corp Rope fastener
CN201630359U (zh) * 2010-01-06 2010-11-17 香港多耐福有限公司 绳索扣
CN202125566U (zh) * 2011-07-01 2012-01-25 香港多耐福有限公司 一种绳扣
JP6659468B2 (ja) 2016-06-06 2020-03-04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CN113730870A (zh) 2021-08-24 2021-12-03 泰德米公司 包含多个拉绳锚点及走跑平台的综合训练器材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458A (en) * 1992-07-21 1994-08-16 Yoshida Kogyo K.K. Cord stopper
JPH08173218A (ja) * 1994-12-26 1996-07-09 Ykk Kk コードストッパー
KR970005148A (ko) * 1995-07-31 1997-02-19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끈고정구
JP2000184906A (ja) * 1998-12-22 2000-07-04 Nifco Inc 紐留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414U (ko) * 1989-11-14 1991-07-10
JP2001218607A (ja) * 2000-02-10 2001-08-14 Haamanii:Kk 紐止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458A (en) * 1992-07-21 1994-08-16 Yoshida Kogyo K.K. Cord stopper
JPH08173218A (ja) * 1994-12-26 1996-07-09 Ykk Kk コードストッパー
KR970005148A (ko) * 1995-07-31 1997-02-19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끈고정구
JP2000184906A (ja) * 1998-12-22 2000-07-04 Nifco Inc 紐留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218C (zh) 2005-11-02
JP2002186505A (ja) 2002-07-02
TW536959U (en) 2003-06-11
KR20020050701A (ko) 2002-06-27
HK1047525A1 (zh) 2003-02-28
CN1359649A (zh) 2002-07-24
JP4519313B2 (ja)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725A (en) Snap buckle
KR970007149B1 (ko) 버클
KR100490092B1 (ko) 버클
KR101230729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JPS63234905A (ja) バックルにおけるベルトの連結装置
KR970706185A (ko) 단추 패스너 및 클립(Button Fastener and Clip)
KR100364981B1 (ko) 버클
KR20100121439A (ko) 슬라이드 어저스터
KR100411737B1 (ko) 끈 고정구
EP1166674A1 (en) Buckle
KR870008236A (ko) 시계케이스와 줄의 부착구조
KR890000077Y1 (ko) 버 클
EP1053693A2 (en) Fastening device with tape
KR910008298Y1 (ko) 버클
CN212465041U (zh) 固定装置及口罩
KR0158914B1 (ko) 결합구
CN216753719U (zh) 带体组件和可穿戴设备
KR970005148A (ko) 끈고정구
CN216983879U (zh) 可穿戴设备
KR20240015830A (ko) 컴퓨터 작업용 손목받침대
KR890001366Y1 (ko) 가방용 멜빵고리
WO2012133806A1 (ja) バックル
JPH0747964B2 (ja) 板状体相互の連結装置
KR930006094Y1 (ko) 멜빵용 버클
JPH0731703Y2 (ja) カバン類の中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