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59A -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459A
KR20100120459A KR1020090039277A KR20090039277A KR20100120459A KR 20100120459 A KR20100120459 A KR 20100120459A KR 1020090039277 A KR1020090039277 A KR 1020090039277A KR 20090039277 A KR20090039277 A KR 20090039277A KR 20100120459 A KR20100120459 A KR 20100120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height
wireless tag
produc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622B1 (ko
Inventor
김동운
김종우
임호성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9003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6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또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이 작업자들과 충돌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작업자 중 일측에 구비되는 무선태그;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상기 작업자 중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가능거리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무선태그인식장치; 및 상기 무선태그와 상기 무선태그인식장치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작업자와 크레인 또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크레인, 안전, 위험

Description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Safety supervision system in crane 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크레인의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크레인 또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이 작업자들과 충돌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하물(荷物)을 들어 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 건설현장, 조선소 등에서 각종 건축자재, 부품 등을 운반하거나, 항구 등에서 선박에 적재된 제품을 하적하거나 반대로 선박에 제품을 선적하는 등의 행위에 사용이 된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품이 크레인에 고정되게 한 후, 크레인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품을 들어 올려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크레인과 제품이 연결되는 부위는 쇠사슬, 밧줄 등과 같이 유동성이 있는 부재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품이 공중에 크레인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제품을 이동 시킨 다던가 제품을 회전시키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크레인의 줄과 제품을 연결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선박에 제품을 선적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제품선적 크레인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며, 육상 팔레트에서의 권상 및 선박 내 권하시의 줄 걸이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 하부에서 수신호 또는 무선통신 등을 통해 크레인 운전자에게 크레인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크레인 또는 제품의 위치를 지시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이 제품을 운반할 때, 또는 제품을 운반하기 위해 이동할 때 작업자가 크레인의 이동경로 주위에 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작업상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어서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특히, 작업자가 크레인 또는 제품의 이동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크레인의 운전자가 크레인이나 제품 등으로 인해 시야를 가려서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서 문제가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의 운전자 및 작업자들이 주의를 기울이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시 작업자와 크레인 혹은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이 충돌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작업자 중 일측에 구비된 무선태그인식장치로부터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상기 작업자 중 타측에 구비되는 무선태그가 통신가능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작업자 중 일측에 구비되는 무선태그;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상기 작업자 중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가능거리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무 선태그인식장치; 및 상기 무선태그와 상기 무선태그인식장치가 통신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의 높이 또는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 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높이가 설정된 범위 내의 경우에만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태그인식장치는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무선태그인식부; 및 상기 무선태그인식부가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은 상기 크레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 측정부는 2차원 레이저 스캔 방법에 의해 상기 운반되는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작업자와 크레인 또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품선적에 이용되는 크레인에 이용되는 작업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내에 무선태그(110), 무선태그인식장치(120) 제어부(130) 및 높이측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태그 및 무선태그인식장치는 호이스트와 같이 크레인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하는 구성요소 및 작업자 중의 일방에 구비된다.
즉, 호이스트 등에 무선태그인식장치(12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무선태그(110)가 구비된 의복, 안전용품, 소지품 등을 소지하도록 하고, 반대로 작업자가 무선태그인식장치(12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호이스트 등의 크레인 구성요소에
크레인 중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하는 구성요소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크레인에 구비된 호이스트가 있을 수 있다.
무선태그(110) 및 무선태그인식장치(120) 중 어떤 구성요소가 작업자에 구비되어야 하는지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무선태그인식장치의 가격이 더 높고, 크레인 1대에 다수의 작업자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크레인에 무선태그인식장치(120)를 설치하고, 각 작업자가 무선태그(110)가 부착된 작업복, 안전장비, 소지품 등을 소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선태그(11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대표되는 장비로, RF 신호 등을 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소형의 장비이다.
무선태그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구비하여, 구비된 전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RF 신호 등을 출력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전파를 수신받아 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태그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무선태그를 구비한 작업자와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작업자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구성요소 사이의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각 무선태그(110)에서 전송하는 식별정보는 모든 무선태그마다 다를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모든 무선태그가 동일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태그인식장치(120)는 무선태그(110)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태그를 인식하고, 무선태그(110)가 인식되었다는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게 된다.
무선태그(110)의 통신 가능한 거리는 무선태그(110)에서 출력되는 전파의 세기, 이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되므로 시스템 설계자는 이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를 설계 의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무선태그인식장치(12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태그인식장치(120)는 무선태그인식부(121) 및 통신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태그인식부(121)는 무선태그(11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가 수신되면 식별정보를 판단하여 그 전파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포함되는 무선태그로부터 수신된 전파인지를 확인한다.
무선태그(110)가 자체적으로 전원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태그 인식부(121)는 무선태그(110)가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발생하여 무선태그(110)가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무선태그(110)가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파발생 없이 무선태그(11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만을 수신하여 무선태그와의 통신가능범위 내에 무선태그(1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통신부(122)는 무선태그 인식부(121)가 통신반경 내에 무선태그(110)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면, 그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통신부(122)에서의 통신방식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의 방식을 취할 것이지만, 유선통신도 가능할 수 있다. 무선태그인식부(121)를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경 우에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취하는 것이 조금 어려울 수 있겠지만, 무선태그인식부(121)가 크레인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선통신의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통신선 처리 등이 그리 복잡하지 않을 것이므로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130)는 크레인의 하단 부위의 높이 또는 제품의 높이와 무선태그인식장치(120)와 무선태그(110)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크레인이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된 동작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이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고음과 함께 「호이스트 다운 중입니다」와 같은 안내방송이 나가도록 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크레인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작업자가 위험 영역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크레인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고, 작업자가 위험 영역을 벗어나거나 크레인 운전자가 다시 움직이도록 조작을 하는 경우에 다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차적으로 크레인의 호이스트 등과 같이 크레인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하는 구성요소에 구비된 무선태그인식장치(120)(또는 무선태그)와 작업자가 구비한 무선태그(110)(또는 무선태그인식장치)가 서로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 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태그(110)와 무선태그인식장치(120)가 4m 이내에 들어서면 무선태그인식장치(120)가 무선태그(110)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하면 무선태그인식장치(120) 및 무선태그(110)의 직선 거리가 4m가 되는 영역은 전부 위험 영역으로 지정되고, 이 영역에 작업자가 있게 되면 경고음이 발생하거나 크레인이 정지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경우 크레인의 호이스트 등이 점차 아래로 내려갈수록 위험영역이 점점 넓어지게 되어 작업자들은 점점 더 뒤로 물러나야 되는 단점이 있다.
즉, 크레인의 다운 작업이 거의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작업자들이 다가와서 세부적인 위치 조정이라던가, 크레인의 줄에 제품을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런 작업을 위해서 작업자가 다가오면 크레인이 정지되고 경고음이 발생되게 되는 단점도 있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도입될 수 있다.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들어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단순히 무선태그(110)와 무선태그인식장치(120)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호이스트 등과 같이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하 '호이스트 등')의 높이 또는 제품의 높이와 무선태그(110) 및 무선태그인식장치(120)의 거리를 종합하여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들어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크레인의 하단이 어느 정도 이상 내려온 경우에는 무선태그(110) 및 무선태그인식장치(120)와의 거리가 통신가능거리 내에 있게 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위치한 경우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이 계속 이루어지게 한다.
도 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육상에서 코일을 선박으로 싣는데 이용되는 크레인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쇼트빔(201)의 높이를 기준으로 작업자에 의한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지, 즉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가정하고, 팔레트(202)의 높이는 지상에서 2m라고 가정하면, 작업자의 최대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4m 정도가 된다.
이 경우 쇼트빔의 높이 C가 6~8m 인 경우, 즉 쇼트빔이 작업자보다 2~4m 위에 위치한 경우만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지 여부, 즉 작업자가 크레인의 작업에 간섭(Interrupt)을 일으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면, 쇼트빔이 지상에서 6~8m인 경우 무선태그인식장치(120)가 무선태그(110)를 인식하면 크레인의 이동이 중지되거나 경고방송이 나오는 등의 설정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쇼트빔이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어 쇼트빔의 높이가 5m 인 경우에는 무선태그인식장치(120)가 무선태그(110)를 인식하더라도 별도의 인터럽트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쇼트빔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모두 같은 거리만큼 이동을 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한 구성 요소 중
크레인의 하단의 높이 또는 제품의 높이는 높이측정부(140)를 판단한다.
높이측정부(140)에서 크레인의 하단의 높이 또는 제품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크레인의 내부적인 동작을 측정하여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은 크레인의 경우 횡행거더(204)의 높이는 고정되어 있고, 호이스트(203)는 줄에 의해 높이가 가변적이 되므로, 줄이 어느 정도 풀렸는지를 확인하면 호이스트(203)의 높이를 알 수 있고, 호이스트(203)의 높이를 알면 쇼트빔(201) 등과 같이 호이스트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구성요소의 높이는 자연히 산출이 되게 된다.
높이측정부(140)는 줄이 지나가는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나, 줄이 감긴 회전축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Absolute Encoder) 등 종래의 여러 가지 센서를 이용하여 줄이 풀린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각 구성요소의 높이를 측정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제품 하단의 높이도 제품의 규격이 일정하다면 그 규격을 이용하여 연산을 하면 산출이 가능하다.
제품의 규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크게 변동이 없다면 제품의 평균 규격값을 이용하여 제품하단의 높이를 측정한다.
제품의 하단 높이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2차원 레이저 스캔 방식을 통하여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도 4는 2D 레이저 스캔 방식을 이용하여 제품(코일)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높이측정부(140)는 2개의 레이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한다.
먼저 1번 레이저를 이용하여 코일의 외경을 구한다. 코일의 외경은 H2+H3 이며, H2= L2*sin(S2)이고, H3 = L3*sin(S3)이다.
2번 레이저는 코일상단의 높이를 구한다. H1 = L1*cos(S1)이고, 2번 레이저의 높이 H4를 미리 측정하여 두면, 코일 상단의 높이는 H4-H1이므로 쉽게 알 수 있다.
이렇게 코일상단의 높이와 코일의 외경이 구하여 지면 코일 하단의 높이 C2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해진다.
C2 = H4 - (H1 + H2 + H3)
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의 형상이나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 등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모든 경우에 다 적용될 수 있으나, 주로 적용되는 경우는 크레인이 제품을 싣거나 싣지 않은 상태에서 하강하는 경우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130)는 현재 크레인의 작업의 종류를 파악하여 작업의 종류에 따른 음성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항구 등에서 제품을 선박에 싣는 크레인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크레인이 현재 육측에서 제품을 크레인에 싣기 위해 하강 작업 중인지, 육측에서 제품을 옮기기 위해 상승 작업 중인지, 해측에서 제품을 선박에 내려놓기 위해 하강 작업 중인지, 해측에서 제품을 선박에 내려놓은 후 상승 작업 중인지, 육측에서 해측으로 혹은 해측에서 육측으로 평행하게 이동을 하는 중인지 등의 작업 중 어떤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이러한 작업에 따라 제어부(130)는 「크레인이 해측 이동중입니다. 안전구역에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호이스트 다운 중입니다. 안전구역에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각 작업에 따라 해당되는 음성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하강 작업의 경우, 높이측정부(140)를 통하여 제품 또는 호이스트 등과 같이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401).
높이 범위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높이측정부(140)는 호이스트 등의 높이나 제품 하단의 높이를 측정할 때마다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도 있고, 측정된 높이가 설정된 높이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만 제어부(130)에 그 사실을 알리는 방식으로 높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설정된 높이 범위 내인 경우(402), 제어부(130)는 무선태그인식장치(120)로부터 무선태그(110)가 인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403), 만약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행되는 작업이 계속 수행되도록 하고(404), 무선태그(110)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수행되는 작업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405).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수행되는 작업으로 설정된 작업은 단순한 경고 방송일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혹은 크레인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을 할 때까지 수행되는 작업이 중지되도록 간섭(interrupt)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태그인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2차원 레이저 스캔 방식을 이용하여 제품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블록선도

Claims (10)

  1.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작업자 중 일측에 구비되는 무선태그;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상기 작업자 중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가능거리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무선태그인식장치; 및
    상기 무선태그와 상기 무선태그인식장치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의 높이 또는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측정부를 통하여 측정된 높이가 설정된 범위 내의 경우에만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인식장치는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무선태그인식부; 및
    상기 무선태그인식부가 상기 무선태그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은 상기 크레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측정부는
    2차원 레이저 스캔 방법에 의해 상기 운반되는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6.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작업자 중 일측에 구비된 무선태그인식장치로부터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및 상기 작업자 중 타측에 구비되는 무선태그가 통신가능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작업 안전 방법은
    상기 크레인의 구성요소 중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의 높이 또는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높이가 설정된 범위 내의 경우에만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도록 크레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된 작업은 상기 크레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는
    2차원 레이저 스캔 방법에 의해 상기 운반되는 제품의 하단의 높이를 측정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39277A 2009-05-06 2009-05-06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77A KR101095622B1 (ko) 2009-05-06 2009-05-06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77A KR101095622B1 (ko) 2009-05-06 2009-05-06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59A true KR20100120459A (ko) 2010-11-16
KR101095622B1 KR101095622B1 (ko) 2011-12-19

Family

ID=4340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77A KR101095622B1 (ko) 2009-05-06 2009-05-06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2676A1 (en) * 2012-06-07 2013-12-12 Jaguar Land Rover Limite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WO2013182675A1 (en) * 2012-06-07 2013-12-12 Jaguar Land Rover Limite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GB2504818A (en) * 2012-06-07 2014-02-12 Jaguar Land Rover Ltd Personnel sensing to inhibit crane op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05B1 (ko) 2012-04-24 2013-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tls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75508B1 (ko) * 2012-05-21 2013-06-20 주식회사 영신 타워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KR101895771B1 (ko) * 2017-11-21 2018-09-07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무인운전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
KR101883801B1 (ko) * 2018-02-14 2018-08-30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콘크리트 워터젯 치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01B1 (ko) 2000-12-05 2003-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KR100656544B1 (ko) 2004-08-31 2006-12-13 주식회사 엔엔티 전파를 이용한 작업자 위치 확인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2676A1 (en) * 2012-06-07 2013-12-12 Jaguar Land Rover Limite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WO2013182675A1 (en) * 2012-06-07 2013-12-12 Jaguar Land Rover Limite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GB2504818A (en) * 2012-06-07 2014-02-12 Jaguar Land Rover Ltd Personnel sensing to inhibit crane operation
CN104507847A (zh) * 2012-06-07 2015-04-08 捷豹路虎有限公司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GB2504818B (en) * 2012-06-07 2015-05-20 Jaguar Land Rover Lt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CN104995125A (zh) * 2012-06-07 2015-10-21 捷豹路虎有限公司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US9868618B2 (en) 2012-06-07 2018-01-16 Jaguar Land Rover Limite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US9944498B2 (en) 2012-06-07 2018-04-17 Jaguar Land Rover Limited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622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622B1 (ko)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138095B2 (en) Mobile crane
US9114960B2 (en) Crane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ruck jostling and/or hatch cover detection
FI126364B (fi) Nostolaitteen liikematkan määritys
EP27344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and skew of crane grappling member
EP365039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crane status using optical and/or electromagnetic sensors
US9477858B2 (en) Restraining system including near field RFID detection
JP4295591B2 (ja) コンテナ衝突防止方法および装置
KR102463556B1 (ko) 인양물의 크레인 충돌방지를 위한 감시 시스템
CN108706469A (zh) 基于毫米波雷达的起重机智能防撞系统
JP202114713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自動経路設定システム
JP7452112B2 (ja) 制御装置、端末、及び演算方法
JP6217568B2 (ja) エレベータの注意喚起システム
KR20110105560A (ko) 타워크레인 하역위치 타겟장치
CN110255384A (zh) 一种室内船坞防撞系统
CN211393609U (zh) 一种室内船坞防撞系统
KR101830519B1 (ko) 신뢰성이 우수한 타워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JP7343369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RU234594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ы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варианты)
KR102147984B1 (ko) Rfid태그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용 크레인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CN110171774A (zh) 基于人工智能(ai)技术的起重机应用
KR20180089728A (ko) 크레인 충돌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EP3664004B1 (en) A system and methods for changing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workers at a work site
JP4781854B2 (ja) コンテナ容器の番号読取装置、コンテナ容器の番号読取方法及びコンテナスプレッダ用rfidタグ情報読取装置
US20100298968A1 (en) Quay crane hatch cover safe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