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229A - 연료 전지의 수분 분배 제어용 다공성 유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의 수분 분배 제어용 다공성 유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229A
KR20100120229A KR1020107021952A KR20107021952A KR20100120229A KR 20100120229 A KR20100120229 A KR 20100120229A KR 1020107021952 A KR1020107021952 A KR 1020107021952A KR 20107021952 A KR20107021952 A KR 20107021952A KR 20100120229 A KR20100120229 A KR 20100120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hannel
outlet
inlet
flu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메이슨 달링
Original Assignee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티씨 파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2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3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having meandering or serpentine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7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유로 플레이트는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유동 채널은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에 인접하도록 본체에 배열된다.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에 있는 유체의 수분은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를 통해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부터 제1 유동 채널의 인접한 입구부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의 수분 분배 제어용 다공성 유로 플레이트{POROUS FLOW FIELD PLATE FOR MOISTURE DISTRIBUTION CONTROL IN A FUEL CELL}
연료 전지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한다. 반응물 유로 플레이트는 연료 전지 내에 연료 및 공기와 같은 반응물을 유도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유로 플레이트는 반응물이 연료 전지의 멤브레인 조립체의 촉매층에 이용될 수 있도록 반응물을 유도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종래의 유동 플레이트는 유동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는 직선형 채널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이런 채널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연료 전지의 양호한 성능 유지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것 중 하나는, 유동 플레이트의 채널 내에서 유지되는 연료 및 공기에 충분한 가습(humidification)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 전지 내 반응물의 가습을 위한 하나의 방법은, 다공성 물 이송 플레이트(porous water transport plate)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 조립체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이다. 다공성 플레이트의 결점은 금속보다 두꺼운 두께로 인한 크기 증가와, 제한된 온도 범위를 가지며 이들은 반응 가스를 포식(ingest)할 수 있다. 종래의 가습 방법과 관련한 결점은 이들이 외부 물 루프(external water loop)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고형(예를 들면, 비다공성) 유로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가습을 달성하기가 더 어렵다.
냉각제가 가스 기류에 혼합될 위험성을 배제하고 외부 가습 순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가습을 구현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유로 플레이트는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유동 채널은,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에 인접하도록 본체에 배열된다.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의 유체에 함유된 수분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부터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를 통해 인접한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조립체의 수분 분배에 대한 예시적인 관리 방법은 건조 유체를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수분 함량이 많은 유체는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에 인접한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를 통해 유도된다.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의 수분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부터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를 통해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를 향해 이동이 허용된다.
개시된 실례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예시적인 유로 플레이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도록 설계된 예시적인 유로 플레이트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유로 플레이트(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복수개의 유동 채널은 유로 플레이트(20)의 본체(22)에 제공된다. 이 실례에서, 본체(22)는 다공성 및 습식성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유동 채널(24, 26, 28, 30)은 플레이트의 본체(22)에 제공된다. 제1 유동 채널(24)은 입구부(32) 및 출구부(34)를 가진다. 또한, 제1 유동 채널(24)은 입구부(32)와 출구부(34) 사이에 중간부(36)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유동 채널(26)은 입구부(42), 출구부(44) 및 중간부(46)를 가진다.
도 1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48)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유체의 유동은 플레이트의 본체(22)를 가로질러 사행 유로(serpentine path)를 따른다. 유동 경로의 입구부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는 출구부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보다 높은 압력 상태에 놓인다. 입구부로 유입된 유체(예들 들면, 연료 가스 또는 공기)는 출구부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보다 건조하다. 연료 전지의 정상 작동은 이미 알려져 있듯이 입구에 비해 출구에 가까운 유체에 더 많은 수분을 통상적으로 가진다. 출구부의 수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되어 출구부의 밖으로 유동하는 가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1 유동 채널(24)의 입구부(32)는 제2 유동 채널(26)의 출구부(44)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은 제2 유동 채널(26)의 출구부(44)의 유체에 함유된 수분(예를 들면, 응축된 수분)이 출구부(44)로부터 플레이트(20)의 본체(22)를 가로질러 입구부(32)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형식의 수분 이동은 도 1의 화살표(50)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입구부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모세관압은, 옆에 위치한 유동 채널의 인접한 출구부로부터 임의의 응축된 수분(예를 들면, 물)을 플레이트 본체(22)의 대응부를 통해 입구부로 위킹(wick)하는 경향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 채널의 배열과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22)의 사용은, 플레이트(20)를 따라 수분 분배를 허용하여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다른 유체에 가습을 제공한다.
이런 배열은 하나의 특징은, 가습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 루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반응 가스 기류가 냉각제 통로에서 혼합될 위험성이 배제된다.
전술한 설명은 사실상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시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Claims (11)

  1. 연료 전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로 플레이트이며,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는,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에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의 유체에 함유된 수분이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부터 본체를 통해 인접한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유동 채널을 가지는,
    유로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동 채널은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부터 제1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 본체를 따라 형성된 사행 유로를 따르는,
    유로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는 본체를 가로지른 제1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고, 제1 유동 채널의 출구부는 제1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며, 제1 유동 채널은 본체를 가로지른 제2 반대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는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의 중간부를 가지는,
    유로 플레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제2 유동 채널은 제2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부터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 본체를 따라 형성된 사행 유로를 따르는,
    유로 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제2 유동 채널의 입구부는 본체를 가로질러 제1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고,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는 제1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며, 제2 유동 채널은 본체를 가로지른 제2 반대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는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의 중간부를 가지는,
    유로 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보다 높은 압력 상태에 놓이는,
    유로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입구부의 유체는 건식 공기를 포함하고, 출구부의 유체는 습식 공기 및 액상 물을 포함하는,
    유로 플레이트.
  8.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에 인접하도록 본체에 배열된 복수개의 유동 채널을 가지는 다공성 습식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수분 분배를 관리하는 방법이며,
    제1 유동 채널의 입구부로 건식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대적은 많은 수분을 함유한 유체를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를 통해 유도하는 단계와,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부터의 수분이 제2 유동 채널의 출구부로부터 본체를 통해 제1 채널의 입구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수분 분배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입구부에 제1 유압을 이용하는 단계와,
    출구부에 제2의 낮은 유압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수분 분배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입구부로 건식 공기를 유도하는 단계와,
    출구부로부터의 물을 본체를 통해 입구부로 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수분 분배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출구부를 따라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응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조립체의 수분 분배 관리 방법.
KR1020107021952A 2008-04-17 2008-04-17 연료 전지의 수분 분배 제어용 다공성 유로 플레이트 KR20100120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8/060554 WO2009128823A1 (en) 2008-04-17 2008-04-17 Porous flow field plate for moisture distribution control in a fuel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229A true KR20100120229A (ko) 2010-11-12

Family

ID=3981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952A KR20100120229A (ko) 2008-04-17 2008-04-17 연료 전지의 수분 분배 제어용 다공성 유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33758A1 (ko)
EP (1) EP2277220A1 (ko)
JP (1) JP2011518414A (ko)
KR (1) KR20100120229A (ko)
CN (1) CN102007632A (ko)
WO (1) WO20091288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845B1 (en) * 1995-10-06 2001-11-06 The Dow Chemical Company Macroporous flow field assembly
US5776625A (en) * 1997-06-18 1998-07-07 H Power Corporation Hydrogen-air fuel cell
JP2002237316A (ja) * 2001-02-08 2002-08-23 Kawasaki Heavy Ind Ltd 燃料電池ガス流路構造
JP3804503B2 (ja) * 2001-09-28 2006-08-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
US7081316B2 (en) * 2002-04-30 2006-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ipolar plate assembly having transverse legs
US20040151960A1 (en) * 2003-01-31 2004-08-05 Rock Jeffrey Allan Flow restrictors in fuel cell flow-field
DE10315758A1 (de) * 2003-04-04 2004-10-21 Viessmann Werke Gmbh & Co Kg PEM-Brennstoffz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3758A1 (en) 2011-02-10
WO2009128823A1 (en) 2009-10-22
JP2011518414A (ja) 2011-06-23
CN102007632A (zh) 2011-04-06
EP2277220A1 (en)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971B2 (en) Humidifying system
US9306227B2 (en) Fuel cell and flow field plate for fluid distribution
JP2009026526A (ja) 燃料電池
JP2008084813A (ja) 燃料電池用ハイブリッド加湿装置
US7597990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JP2021120156A (ja) 組立型カートリッジブロック及びこれを含む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6893708B2 (en) Fuel cell flowfield design for improved water management
JP200732398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247879B2 (ja) 櫛形の流れ場を有する燃料電池コンポーネント
TWI686006B (zh) 可控制流體的流動方向的燃料電池膜加濕器
JP2005327532A (ja) 燃料電池、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ユニットキット、及び燃料電池発電ユニット用キット
KR102248995B1 (ko) 유체의 흐름 방향 제어가 가능한 중공사막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CN101821885B (zh) 燃料电池
JP2008198393A (ja) 燃料電池
CN106413862B (zh) 加湿器、板、装置以及机动车
JP200712883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加湿装置
JP4887285B2 (ja) 平面図形利用率を最大限にする燃料電池反応物流れ区域
KR20100120229A (ko) 연료 전지의 수분 분배 제어용 다공성 유로 플레이트
JP2005537611A (ja) 内部ガス制御燃料電池
KR101628458B1 (ko) 연료전지 셀
JP2006221896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
JP200525141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EP2291877A1 (en) Fuel cell plate having multi-directional flow field
JP417729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7063907B2 (en) Passive water management system for a fuel cell pow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