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934A - 단위지함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단위지함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934A
KR20100117934A KR1020090036664A KR20090036664A KR20100117934A KR 20100117934 A KR20100117934 A KR 20100117934A KR 1020090036664 A KR1020090036664 A KR 1020090036664A KR 20090036664 A KR20090036664 A KR 20090036664A KR 20100117934 A KR20100117934 A KR 20100117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tray
box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154B1 (ko
Inventor
박기순
황만주
Original Assignee
농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박스를 정렬하고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단위지함을 정렬하고 세트지함에 투입하기 위한 단위지함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함을 차례로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21), 상기 이송벨트의 하류에 위치하고 단위지함을 텀블링시키기 위한 텀블링 수단(220), 상기 텀블링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단위지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10), 및 단위지함을 소정 개수와 배열로 정렬하여 세트지함에 투입하기 위한 세트지함 투입수단(230)을 포함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단위지함, 세트지함, 정렬 장치, 이송벨트, 텀블링 수단, 회전수단.

Description

단위지함 정렬 장치{Apparatus for lining up cartons}
본 발명은 제품 박스를 정렬하고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육면체 형태의 단위지함을 정렬하고 이 단위지함을 복수개 수용하는 세트지함에 투입하는 자동화된 단위지함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차, 홍삼 등과 같은 건강식품의 음료제품은 티백 또는 포(包) 등의 소정 단위로 제조된 후 포장되어 유통·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에 대한 포장과정은, 통상적으로 티백 또는 포 단위의 제품을 수개 내지 수십개 단위로 단위포장박스(이하 '단위지함'이라 함)로 포장하고, 다시 상기 단위지함을 다수개 단위로 정렬하여 보다 큰 포장박스(이하 '세트지함'이라 함)로 포장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티백 또는 포 단위의 제품을 단위지함에 넣거나 단위지함을 소정 개수씩 세트지함에 넣는 포장 작업들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왔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인력낭비가 발생하고 비용 및 시간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장공정의 자동화한 설비가 점차 도입되고 있지만, 하나 이상의 생산라인에서 제조된 여러 종류와 크기의 티백과 포 등을 단위지함에 넣을 경우, 각각의 티백과 포의 크기마다 단위지함의 크기도 상이하고 또 이 단위지함을 세트지함에 넣을 경우 한 개의 세트지함에 넣는 단위지함의 개수나 배열형태도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포장공정을 자동화함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 설비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세트지함에 다양한 크기와 배열의 단위지함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 자동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량생산 제품의 포장 공정 중 특히 다수개의 단위지함을 자동으로 정렬하여 세트지함에 투입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하나의 장치 설비를 사용하여 단위지함을 다양한 개수와 배열로 세트지함에 투입할 수 있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위지함을 정렬하고 세트지함에 투입하기 위한 단위지함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함을 차례로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의 하류에 위치하고 단위지함을 텀블링시키기 위한 텀블링 수단, 상기 텀블링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단위지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및 단위지함을 소정 개수와 배열로 정렬하여 세트지함에 투입하기 위한 세트지함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지함 정렬 장치에 의해, 소정 개수의 단위지함을 세트지함에 투입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지함을 다양한 개수와 배열로 각기 다른 세트지함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 설비로 다양한 제품 라인을 포장할 수 있으므로, 제품 포장의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함 정렬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일렬로 공급되는 단위지함(C)이 소정 개수씩 정렬되어 세트지함(B)에 투입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단위지함(C) 및 세트지함(B)은 다수개의 일렬로 연결된 이송수단에 의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된다. 세트지함(B)은 세트지함의 뚜껑이 제거된 상태로 세트지함 이송벨트(11)에 의해 이송되는데, 도시된 공정의 이전 단계에서 세트지함(B)의 뚜껑을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처음부터 세트지함(B)이 뚜껑이 없는 채로 이송벨트(11)에 의해 이송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세트지함(B)의 이송과 병렬적으로 단위지함(C)은 단위지함 이송벨트(21)를 통해 이송되는데, 단위지함(C)에는 도시된 공정의 이전 단계에서 티백 또는 포 등의 소정 형태로 포장된 제품이 소정 개수씩 들어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위지함 이송벨트(21)의 하류측(단위지함이 이송되어 가는 방향)는 텀블링 수단(200), 회전수단(210), 공급제어수단(220), 및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텀블링 수단(200), 회전수단(210), 및 공급제어수단(220)은 모두 벨트(23,25,27,29,31) 및 이를 구동하는 모터(도시 생략)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 구조는 유사하며 그 역할에서 차이가 있다.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은 단위지함을 소정 개수 단위로 하여 세트지함에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텀블링 수 단(200), 회전수단(210), 공급제어수단(220), 및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a 및 도2b는 도1의 단위지함 정렬 장치중 단위지함 텀블링수단 및 회전수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텀블링 수단(200)은 경사벨트(23) 및 이를 구동하는 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하며, 도시된 것처럼 단위지함 이송벨트(21)와 인접한 텀블링수단(200)의 상류측은 그 반대측에 비해 아래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 상류측 부분은 높이 조절부(24)에 의해 지지되며,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경사벨트(23)의 앞뒤에 위치하는 이송벨트(21) 및 회전용 벨트(25)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될 수도 있고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류측이 경사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벨트(23)가 경사지도록 설정된 경우, 단위지함 이송벨트(21)에서 이송되어 온 단위지함(C)이 소정 속도로 경사벨트(23)를 향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2b에서 도면의 좌우방향을 x축, 도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y축, 도면의 상하방향을 z축이라 정의할 때, 단위지함(C)이 y축을 중심으로 90도만큼 회전(이하 '텀블링'이라고 한다)하면서 경사벨트(23)로 떨어진다.
이 때, 이송벨트(21)와 경사벨트(23)의 단차가 동일한 경우에도, 단위지함의 크기나 무게, 이송 속도 등에 따라 단위지함(C)이 회전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특정 크기와 이송속도의 단위지함에 대해 특정 단차를 갖도록, 높이 조절수단(24)을 조절하여 경사 벨트(23)의 높이를 조절한다. 경우에 따라 단위지함(C)을 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을 때에는 경사벨트(23)를 수평이 되도록 하여 이송벨트(21)와 회전용 벨트(25)와 동일 높이로 맞추면 된다.
상기와 같이 텀블링 수단(200)에서 회전된 단위지함은 회전수단(210)에서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2a로부터 알 수 있듯이 회전수단(210)은 속도가 다른 두개의 벨트, 즉 제1 회전용 벨트(25a) 및 제2 회전용 벨트(25b), 그리고 이를 구동하는 모터(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벨트(25a,25b)를 구동하기 위한 2개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하나의 모터에 변속기를 부착하여 두 벨트(25a,25b)를 각기 다른 속도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컨대 도2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회전용 벨트(25a)의 속도를 제2 회전용 벨트(25b)의 속도보다 소정 속도만큼 더 작게 함으로써, 각각의 벨트(25a,25b)와 단위지함(C)의 마찰력 차이에 의해 단위지함(C)이 z축에 대해 90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단위지함(C)이 z축에 대해 회전하는 정도는 단위지함의 크기, 무게, 이송속도 등에 의해 달라지므로, 소정 크기와 이송속도의 단위지함에 대해 벨트(25a,25b)의 특정 속도 차이를 미리 구하여 두고, 이에 따라 특정 단위지함을 이송할 경우 미리 구한 속도차이로 벨트(25a,25b)의 속도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텀블링 수단(200) 및 회전수단(210)에서 y축 및/또는 z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단위지함(C)은 공급제어수단(220)으로 이송된다. 단위지함이 세트지함에 투입될 때 소정 개수씩 소정 속도로 세트지함에 투입되어야 하므로, 이 투입 속도와 단위지함의 이송 속도가 적절히 연동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급제어수단(220)은 이와 같이 단위지함(C)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하류의 적절한 속도로 단위지함을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제어수단(220)의 일 실시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공급제어수단(220)의 상류측에는 선택적으로 버퍼 벨트(27)가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급제어수단(220)으로 이송된 단위지함(C)이 곧바로 다음 공정, 즉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으로 이송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머무르게 되는데, 이 때 회전수단(210)에서 계속 이송되어 오는 단위지함들이 회전수단(210)까지 정체되는 일이 없도록 소정 길이의 버퍼 벨트(27)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버퍼 벨트(27)는 슬립(slip) 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슬립' 벨트란, 단위지함이 벨트 위로 이송될 때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른 외부력이 단위지함에 작용할 경우, 단위지함에 변형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단위지함의 이송이 저지될 정도로 단위지함과 벨트 사이의 마찰력이 작은 벨트를 의미한다.
한편 공급제어수단(220)은 단위지함을 이송하는 공급벨트(29), 공급벨트(29) 상부에 위치하고 단위지함의 이송과 정지를 제어하는 공급제어용 벨트(31), 이 공급제어용 벨트(3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압조절부(33), 및 벨트(29,31)를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 벨트(29)는 슬립 벨트로 구성되고, 공급제어용 벨트(31)는 슬립 벨트보다 마찰력이 더 큰 넌-슬립(non-slip) 벨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공급제어수단(22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버퍼 벨트(27)와 공급 벨트(29)가 계속 구동하며 단위지함(C)을 이송한다. 공급제어용 벨트(31)는 공급 벨트(29)의 상측에 단위지함(C)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가압조절부(33)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버퍼 벨트(27)로부터 이송되어 온 단위지함이 공급 벨트(29)와 공급제어용 벨트(3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단위지함(C1,C2)은 슬립 벨트인 공급 벨트(29)가 계속 구동됨에도 불구하고 이보다 마찰력이 더 큰 넌-슬립 벨트인 공급제어용 벨트(31)의 구동 여부에 따라 다음 단계로 이송될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도3에서 공급제어용 벨트(31)가 정지하고 있으면 단위지함(C1,C2)도 이송되지 않고 정지해 있고, 공급제어용 벨트(31)가 단위지함 하나 만큼의 거리만 움직일 경우에는 단위지함(C1)은 공급제어수단(220)을 빠져나가 다음 단계로 이송됨과 동시에 단위지함(C2)은 단위지함(C1)의 위치까지만 이송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급제어수단(220)은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에 공급할 단위지함의 공급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a 내지 도4e를 참조하여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을 통해 단위지함이 소정 개수씩 정렬되어 세트지함에 투입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4a 및 도4b는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공급제어수단(220)으로부터 이송된 단위지함이 이송벨트(41,43)까지 이송되고 그 후 테이블(40)로 옮겨지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4c 내지 도4e는 테이블(40)에 정렬된 소정 개수의 단위지함이 세트지함에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의 이송벨트(41,43)가, 공급제어수단(220)의 공급 벨트(29)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벨트(41,43)은 슬립 벨트로 구성된다. 우측 이송벨트(43)의 단부에는 고정차단막(47)이 설치되는데, 도시되지 않은 연결부재를 통해 단위지함 투입수단(230)과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송벨트(43)의 표면과는 마찰력을 일으 키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위지함이 이송벨트(43)까지 이송되면 고정 차단막(47)에 막혀 더 이상 이송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또한 두 이송벨트(41,43)의 사이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차단막(49)이 설치된다. 이동차단막(49)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을 통해 이송벨트(41)의 표면 위로 상승가능하고,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 이송벨트(41)까지 이송된 단위지함이 이송벨트(43)까지 더 이송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벨트(41,43)의 일 측면으로 접하여 테이블(40)이 위치한다. 테이블에는 각 이송벨트(41,43)의 측면에 하나씩 대응하여 가이드쌍(45)이 설치되어, 각 이송벨트(41,43)로 이송된 단위지함이 제1 푸셔(68)에 의해 테이블(4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가이드쌍(45)에 의해 안내되어 테이블(40) 위에 정렬된다. 도4a 내지 도4e는 일 실시예로서 2행3열의 6개의 단위지함이 한 세트가 되고 한번에 2세트씩 정렬되어 세트지함으로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도4b는 2행2열의 단위지함이 이미 테이블(40)위로 옮겨졌고 마지막 열의 단위지함이 차단막(47,49)에 의해 두개씩 정렬되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 후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구동수단(67)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푸셔(68)에 의해 상기 마지막 열의 단위지함이 테이블(40) 방향으로 푸쉬되어, 단위지함 6개씩을 갖는 2세트의 단위지함 세트가 가이드(45) 내에 정렬된다.
도4c를 참조하여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벨트(41,43)와 일측면을 접하고 있는 테이블(40)의 타 측면에는 받침대(55)가 지지대(51) 및 프레임(52,53)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그 아래쪽으로 세트지함 이송 벨트(도1의 11)가 연장되어 뻗어있다. 받침대(55)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51)는 프레임(52,5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고, 프레임(53)에는 받침대(55)와 연결된 부재(5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이 프레임(53)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57)를 이동시킴으로써 받침대(55)가 테이블(40)에 접한 제1 위치(도4c의 위치)로부터 테이블로 멀어진 제2 위치(도4e의 위치)까지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4c를 참조하면, 받침대(55)의 상부에는 정렬된 단위지함을 진공흡착할 수 있는 흡착기구(61)가 흡착기구 지지대(63)에 의해 상부로부터 지지되어 달려있다.
한편 테이블(40)의 상부에는 테이블(40)에 정렬된 단위지함 세트를 받침대(55)까지 푸쉬하기 위한 제2 푸셔(66)가 푸셔 지지대(65)에 의해 프레임(53)에 달려 있다. 푸셔 지지대(65)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프레임(53)내에서 받침대(55)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제2 푸셔(66)는 역시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우선 도4c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푸셔(68)의 푸쉬에 의해 6개씩의 단위지함 세트의 2세트가 테이블(40)의 두 개의 가이드쌍(45)내에 각기 정렬된다.
그 후 도4d에서와 같이 제1 푸셔(68)가 원래 위치로 후퇴하고, 이와 동시에 제2 푸셔(66)가 가장 외측의 단위지함에 접하는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하고 푸셔 지지대(65)가 즉시 프레임(53)을 따라 받침대(55)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단위 지함 세트를 테이블(40)로부터 받침대(55)로 옮긴다. 또한 이와 동시에, 이송벨트(41,43)에는 공급제어수단(220)으로부터 새로운 단위지함이 차례로 공급되어, 상술한 고정 차단막(47) 및 이동 차단막(49)의 작동에 의해 4개의 단위지함이 도4d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벨트(41,43) 위에 정렬되어 대기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푸셔(66)가 상승하여 도4c의 원래 위치로 다시 돌아가는 동안 흡착기구(61)가 하강하여 받침대(55) 위의 단위지함을 흡착한다. 단위지함이 흡착되면 도4e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대(55)가 테이블(4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단위지함 세트를 흡착하고 있는 흡착기구(61)는 더 하강하여 아래쪽의 이송벨트(13)에 대기하고 있던 세트지함(B)에 단위지함 세트를 투입한다.
그 후 도4c에 도시된 것처럼 흡착기구(61)가 상승하고 받침대(55)도 테이블(40) 측면으로 다시 복귀함으로써 단위지함을 세트지함에 투입하는 1 사이클이 완료되고, 이와 동시에 공급제어수단(220)으로부터 투입수단(230)의 이송벨트(41,43)로 공급되는 새로운 단위지함이 열 단위로 제1 푸셔(68)에 의해 테이블(40)로 계속 푸쉬되어 단위지함을 투입하는 다음 사이클이 준비된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함 정렬 장치(100)를 사용하여 소정 개수의 단위지함을 세트지함에 투입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지함 정렬 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단위지함을 다양한 개수와 배열로 각기 다른 크기의 세트지함에 투입할 수 있다. 즉 텀블링 수단(200)의 경사 벨트(23)의 각도제어, 회전수단(210)의 제1 및 제2 회전용 벨트(25a,25b)의 속도제어, 및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에서의 이동 차단막(49)의 차단 타이밍 제 어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 세트를 이루는 단위지함의 개수와 배열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흡착기구(61)의 흡착구멍의 배열도 이러한 단위지함의 개수와 배열에 따라 미리 다양한 형태의 흡착기구(61)를 준비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 설비로 다양한 제품 라인을 포장할 수 있어 제품 포장의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5a 내지 도5c는 세트지함에 투입될 단위지함 세트의 다양한 개수와 배열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5a의 단위지함 세트는, 3개의 단위지함이 1열로 구성되어 한 세트를 이룬다. 편의상, 이송벨트로부터 이송되는 방향을 열로 정의하고 이에 수직방향을 행으로 정의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지함은 아무런 텀블링이나 회전 없이 일렬로 이송되어 세트지함에 투입된다. 즉 이 경우에는 경사벨트(23)를 수평으로 조절하고 제1 및 제2 회전용 벨트(25a,25b)는 동일한 속도로 설정하고, 이동 차단막(49)에 대해서는 3개의 단위지함이 이송벨트(43)를 통과하면 이를 검지하여 이동 차단막(49)이 상승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도5b는 2열3행으로 배열된 6개의 단위지함이 한 세트가 되는 경우로서, 경사벨트(23)를 수평으로 하고 제2 및 제2 회전용 벨트(25a,25b)의 속도차를 둠으로써 단위지함이 90도 회전하여 이송벨트(41,43)로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배열을 만든다. 도5c는 6열2행으로 배열된 12개의 단위지함을 한 세트로 하는 경우로서, 경사벨트(23)에 단차를 두어 단위지함을 90도 텀블링시키고 회전용 벨트(25a,25b)에 속도차를 두고, 제1 푸셔(68)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열의 단위지함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5a 내지 도5c의 배열은 일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단위지함 정렬 장치(100)는 그 외에도 여러 다양한 조합의 단위지함 세트 배열을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설비 장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단위지함을 다양한 형태로 세트지함에 투입하여 포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함 정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도1의 단위지함 정렬 장치중 단위지함 텀블링수단 및 회전수단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3은 도1의 단위지함 정렬 장치중 공급제어수단의 측면도,
도4a 내지 도4e는 도1의 단위지함 정렬 장치에서 단위지함이 정렬되고 세트지함에 투입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5a 내지 도5c는 세트지함에 투입될 단위지함 세트의 다양한 개수와 배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Claims (5)

  1. 복수개의 단위지함을 정렬하고 세트지함에 투입하기 위한 단위지함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함을 차례로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21);
    상기 이송벨트의 하류에 위치하고 단위지함을 텀블링시키기 위한 텀블링 수단(220);
    상기 텀블링 수단의 하류에 배치되고 단위지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10); 및
    단위지함을 소정 개수와 배열로 정렬하여 세트지함에 투입하기 위한 세트지함 투입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링 수단(200)은, 상기 이송벨트와 단차를 이루도록 상기 이송벨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단위지함을 이송하는 경사벨트(23), 및 상기 경사벨트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4)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210)은, 단위지함의 이송방향으로 병렬로 접하며 서로 상이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는 제1 회전용 벨트 및 제2 회전용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은,
    제2 이송벨트(41);
    상기 제2 이송벨트의 하류에 배치된 제3 이송벨트(43);
    상기 제2 및 제3 이송벨트의 사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차단막(49);
    상기 제3 이송벨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된 고정 차단막(47);
    상기 제2 및 제3 이송벨트의 일 측면에 접하여 배치된 테이블(40); 및
    상기 제2 및 제3 이송벨트로 이송된 단위지함을 상기 테이블로 푸쉬하는 제1 푸쉬수단(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10) 및 상기 단위지함 투입수단(230) 사이에 공급제어수단(2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제어수단(220)은,
    단위지함을 이송하는 공급벨트(29);
    공급벨트(29) 상부에 위치하고 단위지함의 이송과 정지를 제어하는 공급제어용 벨트(31); 및
    상기 공급제어용 벨트(31)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조절부(33)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벨트(29)는 슬립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제어용 벨트(31)는 슬립 벨트보다 마찰력이 더 큰 넌-슬립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10) 및 상기 공급제어수단(220) 사이에 버퍼용의 이송벨트(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함 투입수단(230)은,
    상기 테이블(4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대(55);
    상기 테이블에 소정 개수씩 정렬된 단위지함을 상기 받침대로 푸쉬하는 제2 푸쉬수단(66);
    상기 받침대에 놓여진 단위지함을 진공흡착하기 위한 흡착기구(61); 및
    상기 흡착기구(61)를 지지하고 흡착기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착기구 지지대(63)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기구(61)는 상기 받침대에 놓여진 단위지함을 흡착한 채 하방으로 이동하여 세트지함에 상기 단위지함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지함 정렬 장치.
KR1020090036664A 2009-04-27 2009-04-27 단위지함 정렬 장치 KR10112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64A KR101125154B1 (ko) 2009-04-27 2009-04-27 단위지함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64A KR101125154B1 (ko) 2009-04-27 2009-04-27 단위지함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934A true KR20100117934A (ko) 2010-11-04
KR101125154B1 KR101125154B1 (ko) 2012-03-19

Family

ID=4340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664A KR101125154B1 (ko) 2009-04-27 2009-04-27 단위지함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84B1 (ko) * 2012-06-26 2013-03-11 (주)엠지 링거 약액백의 포장장치
CN109436801A (zh) * 2018-11-29 2019-03-08 杭州捷能科技有限公司 一种零件自动上料装置及零件自动上料方法
CN111633203A (zh) * 2020-06-01 2020-09-08 致恒(天津)实业有限公司 一种带导向的圆弧双侧定向位机构
KR102516809B1 (ko) * 2021-11-22 2023-04-12 주식회사 유니온트리 냉동 생지의 소분 오류 방지 포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02B1 (ko) * 2017-02-28 2019-05-10 이익재 제품 분류형 케이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9800B2 (ja) * 2006-10-23 2012-06-13 大和製衡株式会社 整列コンベア用供給装置及び箱詰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84B1 (ko) * 2012-06-26 2013-03-11 (주)엠지 링거 약액백의 포장장치
CN109436801A (zh) * 2018-11-29 2019-03-08 杭州捷能科技有限公司 一种零件自动上料装置及零件自动上料方法
CN111633203A (zh) * 2020-06-01 2020-09-08 致恒(天津)实业有限公司 一种带导向的圆弧双侧定向位机构
KR102516809B1 (ko) * 2021-11-22 2023-04-12 주식회사 유니온트리 냉동 생지의 소분 오류 방지 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154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4576B2 (ja) 包装製品を積み上げ、積み上がった包装製品の束を包装製品搬送機構に引き渡す装置
JP3837436B2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US5170610A (en) Means for and methods of loading irregularly shaped objects into automatic packaging machines
US20130283731A1 (en) Packaging device
WO2018101042A1 (ja) 物品移載装置
KR101125154B1 (ko) 단위지함 정렬 장치
US201100839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osing Packages for a Packaging Machine
JP2006124032A (ja) 複数列に重ねられて配置されたコンテナを搬送するユニット並びに方法
KR102402122B1 (ko) 가공식품 적층장치
KR101112674B1 (ko) 파우치 제품 공급 및 적재장치
US20070284388A1 (en) Device for separating stacked cup-shaped containers and feeding individual cup-shaped containers
JP2008013227A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箱詰め装置
JP2017105475A (ja) 箱詰め装置
JP2000006910A (ja) 搬送装置及び箱詰め装置
JP6475144B2 (ja) 箱詰め装置
CN112752722B (zh) 用于传送产品的设备和方法
JP2003300504A (ja) 物品の箱詰装置
JPH0723760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6602137B2 (ja) 箱詰め装置
US20140157733A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JPH0830122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KR102526097B1 (ko) 용기 자동 적재 및 포장 장치 및 방법
JPS58203802A (ja) 箱詰め装置
JP7224875B2 (ja) 箱詰め装置
JPS63138912A (ja) 果実の自動パック詰め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