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342A - 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342A
KR20100117342A KR1020090036034A KR20090036034A KR20100117342A KR 20100117342 A KR20100117342 A KR 20100117342A KR 1020090036034 A KR1020090036034 A KR 1020090036034A KR 20090036034 A KR20090036034 A KR 20090036034A KR 20100117342 A KR20100117342 A KR 2010011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rotrusion
rotating shaft
shap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현 김
Original Assignee
기 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현 김 filed Critical 기 현 김
Priority to KR102009003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342A/ko
Publication of KR2010011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11/06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using centrifugal or rotary impac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6/00Portable percussive machines with superimposed rotat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shaft of a motor being modified to generate axial impacts on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진동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의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회전축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제 1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회전부재; 상기 회전축과 동축상에서 상기 링형 회전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 1 돌기부와 대향하도록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제 2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작동부재; 및 상기 링형 회전 부재를 상기 링형 작동 부재 측으로 가압하도록 일단이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회전 부재에 설치하여 부가적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036034
진동, 회전축, 드릴, 돌기부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전동 드릴과 같은 공구의 전단부에 결합하여 전동 드릴의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드릴은 전기적인 힘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벽면을 천공하거나 나사를 박거나 못을 박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전동드릴은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구비한 몸체와 작동 스위치 및 몸체를 지지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동 드릴의 몸체 전단부에는 드릴 척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전동 드릴의 사용시, 드릴 척에 용도에 맞는 드릴 혹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고정시킨 후 모터를 작동시켜 용도에 따른 벽면의 천공 혹은 나사를 박는 작업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전동 드릴은 그 크기가 크지 않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간단한 조작 기술의 숙지만으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 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전동드릴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충전식으로 작동하는 전동 드릴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충전식 전동 드릴은 충전 배터리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전동 드릴을 작동시켜 벽면을 천공하거나 못을 박는 작업을 하는 경우와 같이,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 모터에 의하여 제공되는 힘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드릴의 작동시 공구에 힘을 부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기능을 가지지 않은 전동 드릴에 손쉽게 탈부착가능한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의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회전축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제 1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회전부재; 상기 회전축과 동축상에서 상기 링형 회전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 1 돌기부와 대응하도록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제 2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작동부재; 및 상기 링형 회전 부재를 상기 링형 작동 부재 측으로 가압하도록 일단이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타 측면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2 돌기부의 돌출부 및 오목부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2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은 원주 전체에 걸쳐 삼각파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2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적은 회전축의 중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1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 중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는 다른 경사면이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경사면의 각도 및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경사면의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링형 작동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사이에 개재된 니들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축의 전방 단부에는 드릴척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더 큰 지름을 갖도록 복수의 단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기능을 가지지 않은 전동 드릴의 전단부에 장착하여 전동 드릴의 작업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으로서, 전동 드릴의 작업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는 하우징(20), 회전축(30), 구름 베어링(50), 링형 회전 부재(90) 및 링형 작동 부재(100)로 다.
하우징(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20)의 일측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2)에는 회전축(30)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30)은 하우징(2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0)의 일단부는 전동 드릴의 전단부에 형성된 드릴 척에 결합가능하도록 6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30)은 전동 드릴의 드릴 척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동 드릴의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의 타단부에는 드릴척 결합홈(32)이 형성된다. 상기 드릴척 결합홈(32)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드릴척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30)에는 구름 베어링(50), 링형 회전 부재(90) 및 링형 작동 부재(100)가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회전축의 드릴척 결합홈이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름 베어링(50)은 회전축(30)이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구름 베어링(50)의 외주면은 하우징(20)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되며, 그 내주면은 회전축(30)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0)은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구름 베어링(50)은 회전축(30)의 전방측에서 하우징(20)의 전방 단부 측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축(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구름 베어링(50)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름 베어링(50)의 전방측에는 스냅링(48)이 설치된다. 상기 스냅 링(48)은 하우징(20) 내부의 스냅링 결합홈(24)에 결합되어 구름 베어링(50)이 하우징(20)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름 베어링(50)의 후방측에는 링형 회전 부재(90) 및 링형 작동 부재(100)가 설치된다.
상기 링형 회전 부재(90) 및 링형 작동 부재(100)는 회전축(30)이 회전할 때, 회전축(30)의 회전 운동을 하우징(20)의 전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진동 발생부(80)로서 작동된다.
보다 상세히, 도 4a는 링형 회전 부재(90)의 사시도이며 도4b는 링형 회전 부재(90)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링형 회전 부재(90)는 회전축(3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링형 회전 부재(90)는 몸체(92) 및 상기 몸체(92)의 후방 일측면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부(94)로 형성된다.
제 1 돌기부(94)는 일측면에 회전축(30)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돌기부(94)는 중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삼각 형상 단면의 돌기가 일측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돌기부(94)의 원주 방향 단면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 1 경사면(98) 및 제 2 경사면(96)을 갖는 삼각파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링형 회전 부재(90)는 제 1 경사면(98)과 제 2 경사면(96)이 번갈아 배열됨으로써 제 1 돌기부(94)는 돌출부(D)와 오목부(E)를 구비하게 된다.
이 때, 제 1 경사면(98) 및 제 2 경사면(96) 중 회전축(30)의 회전 방향(도 4b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 본 실시예에서 제 1 경사면(98)이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α)는 다른 경사면, 즉 제 2 경사면(96)이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β)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링형 회전 부재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4b의 C 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으로 규정할 때, 제 1 경사면(98)이 회전축이 회전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제 1 경사면(98)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54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 2 경사면(96)은 65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링형 회전 부재(90)의 후방측에는 링형 작동 부재(100)가 설치된다.
링형 작동 부재(100)는 링형상의 몸체(102) 및 상기 몸체(102)의 전방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돌기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2)의 후방측에는 돌출부(103)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03)는 하우징(20)에 형성된 요홈부(23)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링형 작동 부재(100)의 외주면은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하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형 작동 부재(100)는 하우징(20)과 일체로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링형 작동 부재(100)와 회전축(30)의 사이에는 니들 베어링(5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링형 회전 부재의 제 1 돌기부(94)가 형성된 일측면에 인접한 링형 작동 부재(100)의 전방 일측면에, 상기 링형 회전 부재(90)의 제 1 돌기부(94)에 대응하는 제 2 돌기부(104)가 형성된다.
제 2 돌기부(104)는 제 1 돌기부(94)에 대응하며, 제 1 돌기부(94)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회전축(30)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돌기부(104)는 중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삼각 형상 단면의 돌기가 일측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돌기부(104)의 원주 방향 단면은 원주 전체에 걸쳐 삼각파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2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 3 경사면(108) 및 제 4 경사면(106)을 갖는 삼각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링형 작동 부재(100)는 제 3 경사면(108)과 제 4 경사면(106)이 번갈아 위치됨으로써 제 1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돌출부와 오목부를 구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경사면(108)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54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 4 경사면(106)은 69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경사면(98)의 각도(α) 및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경사면의 각도(α')를 동일하게 형성 항였으며,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경사면(96)의 각도(β) 및 상기 제 4 경사면의 각도(β')가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경사면의 각도(α) 및 상기 제 3 경사면의 각도(α')보다 크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링형 회전 부재(90)가 회전할 때 제 1 돌기부(94)의 회전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제 2 돌기부(104)의 작동, 즉 회전하는 제 1 돌기부(94)에 대응하여 회전축(30)의 전후로 움직이는 제 2 돌기부(104)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만일 마주보는 양측의 경사면(제 1 및 제 3 경사면, 제 2 및 제 4 경사면) 각도가 모두 동일하게 되면, 링형 회전 부재(90)가 회전할 때, 링형 회전 부재(90) 및 링형 작동 부재(100)의 양측 돌기부가 완전히 포개어지게 되어, 상호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마주보는 일측의 양 경사면(제 2 및 제 4 경사면)의 각도가 서로 다른 것과 비교할 때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2 돌기부(104)가 제 1 돌기부(94)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는 것은 제 2 돌기부(104)의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이 제 1 돌기부(94)의 복수의 돌기들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어, 링형 회전 부재(90)가 회전할 때, 링형 회전 부재(90)의 제 1 돌기부(94)의 복수의 돌기들이 링형 작동 부재(100)의 제 2 돌기부의 복수의 돌기들과 맞물려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 2 돌기부(104)가 형성된 링형 작동 부재(100)가 제 1 돌기부(94)를 구비한 링형 회전 부재(90)에 대하여 회전축(30)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돌기부 및 제 2 돌기부의 형태가 각각 회전축 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삼각파 형태를 갖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였으나, 제 2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작동 부재가 제 1 돌기부를 구비한 링형 회전 부재에 대하여 회전축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구조라면, 제 1 돌기부의 구조 및 제 2 돌기부의 구조는 삼각파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인파와 같은 물결파 등의 구조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돌기부(94)를 갖는 링형 회전 부재(90) 및 제 2 돌기부(104)를 갖는 링형 작동 부재(100)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하우징(20) 내부에서, 상기 링형 회전 부재(90)와 구름 베어링(50) 사이에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스프링(7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7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와셔(60)가 설치되어 구름 베어링(50)과 링형 회전 부재(90) 사이에서 탄성 작용을 하는 스프링(7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은 구름 베어링(50), 링형 회전 부재(90), 링형 작동 부재(100) 및 회전축(30)의 후방 단부에서 회전축(30)의 지름이 각각 다르게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위치된 전방측에 단차가 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30)은 회전축(30)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회전축(30)의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볼 때, D1<D2<D3<D4 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지름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름 베어 링(50), 링형 회전 부재(90) 및 링형 작동 부재(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구름 베어링(50) 및 링형 작동 부재(10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회전축에 단차를 둠으로써 구름 베어링(50) 및 링형 작동 부재(100)는 각각 부재 전방의 단차가 형성된 위치 이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하측부에는 손잡이부(4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40)는 진동 발생 장치(10)가 전동 드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발생 장치(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손잡이부(40)는 하우징 하측부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나사결합 혹은 억지끼워맞춤 결합됨으로써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는 회전축의 후방 단부를 전동 드릴(미도시)의 드릴척에 삽입 고정시키고, 진동 발생 장치(10)의 회전축 전방 단부의 드릴척 결합홈(32)에 드릴 척(미도시)을 결합한 후, 상기 드릴척 결합홈(32)에 결합된 드릴척에 드릴 혹은 드라이버와 같은 작업 공구를 결합시켜 전동 드릴을 구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이 때, 전동 드릴의 드릴 척에 회전축의 후방 단부를 결합시키는 공정 및 드릴척 삽입홈에 드릴척을 결합시키는 것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전동 드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동 드릴이 작동시 본 발명의 진동 발생장치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중심으로 진동 발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는, 하우징(20)의 외부 구 동원, 예를 들어 전동 드릴의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3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0)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형 회전 부재(9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형 회전 부재(90)가 회전하면, 링형 회전 부재(90)의 후방측에 위치된 제 1 돌기부(94)가 회전하게 된다. 제 1 돌기부(94)가 회전하면, 링형 회전 부재(90)의 후방측에 인접하게 위치된 링형 작동 부재(100)의 제 2 돌기부(104)는 제 1 돌기부(94)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보다 상세히, 제 1 돌기부(94)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 1 돌기부(94)의 제 1 및 제 2 경사면(98,96) 사이에 배치된 제 2 돌기부(104)의 제 3 및 제 4 경사면(108, 106)은, 제 1 돌기부(94)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경사면(98, 96)으로 넘어가기 위하여 후퇴하였다가 전진하게 되며, 이와 같은 후퇴 및 전진 운동이 링형 작동 부재(100)의 전후방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이 때, 링형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는 회전축(30)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므로, 회전축(30)의 회전 속도와 대응하는 속도로 링형 작동 부재(100)가 회전축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왕복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링형 작동 부재(100)가 회전축(30)에 대하여 왕복하여 전후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링형 작동 부재(100)에 일체로 결합된 하우징(20)도 함께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도 6은 도 3에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6에는 제 2 돌기부(104)가 제 1 돌기부(94)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한 상태에서 링형 회전 부재 및 링형 작동 부재 사이의 간격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링형 작동 부재(100)가 링형 회전 부재(90) 측으로 전진한 상태에서의 최소 간격은 L1 이며, 링형 작동 부재가 후퇴한 상태에서의 간격은 L2 이다.
한편, 하우징(20) 내부의 스프링(70)은 구름 베어링(50)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링형 회전 부재(9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고 있음으로써 링형 작동 부재(100)가 링형 회전 부재(90)측으로 가압되는 힘을 부여한다.
따라서, 회전축(30)이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20)은 L2-L1의 거리를 빠른 속도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진동 발생 장치(10)는 전동 드릴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 드릴과 같은 공구와 별도로 구비된 상태에서, 전동 드릴에 결합 후, 드릴척 및 작업 공구를 결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동 드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결합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진동은 작업 공구에 의한 작업, 예를 들어, 드릴링, 혹은 볼팅과 같은 작업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단하므로, 작업자가 전동 드릴과 별도로 가지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드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전동 드릴 뿐 아니라 모터에 의하여 드릴척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어떠한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은 경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작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링형 회전 부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링형 작동 부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의 확대도로서, 링형 회전 부재 및 링형 작동 부재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동 발생 장치 20 하우징
30 회전축 40 손잡이부
50 구름 베어링 60 와셔
70 스프링 80 진동 발생부
90 링형 회전 부재 94 제 1 돌기부
100 링형 작동 부재 104 제 2 돌기부

Claims (10)

  1.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의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회전축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제 1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회전부재;
    상기 회전축과 동축상에서 상기 링형 회전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 1 돌기부와 대응하도록 돌출부 및 오목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제 2 돌기부가 형성된 링형 작동부재; 및
    상기 링형 회전 부재를 상기 링형 작동 부재 측으로 가압하도록 일단이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2 돌기부의 돌출부 및 오목부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2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은 원주 전체에 걸쳐 삼각파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 및 상기 제 2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적은 회전축의 중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의 원주 방향 단면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 중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는 다른 경사면이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경사면의 각도 및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경사면의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작동 부재 및 상기 회전축 사이에 개재된 니들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 발생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전방 단부에는 드릴척 결합홈이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더 큰 지름을 갖도록 복수의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0090036034A 2009-04-24 2009-04-24 진동 발생 장치 KR20100117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34A KR20100117342A (ko) 2009-04-24 2009-04-24 진동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34A KR20100117342A (ko) 2009-04-24 2009-04-24 진동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42A true KR20100117342A (ko) 2010-11-03

Family

ID=4340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34A KR20100117342A (ko) 2009-04-24 2009-04-24 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3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14B1 (ko) * 2013-10-28 2015-01-19 서명석 Cnc선반용 공구대에 장착되는 공구툴
KR102004443B1 (ko) * 2018-12-28 2019-10-01 프라임씰(주) 다짐성능이 향상된 타이템퍼
KR2022009629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에이치엔엠이엔지 차량용 비상 안전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괴시스템
KR102511981B1 (ko) * 2021-12-08 2023-03-21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드라이버의 임팩터 조립 구조
KR20230094242A (ko) * 2021-12-20 2023-06-28 계양전기 주식회사 저체결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동공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14B1 (ko) * 2013-10-28 2015-01-19 서명석 Cnc선반용 공구대에 장착되는 공구툴
KR102004443B1 (ko) * 2018-12-28 2019-10-01 프라임씰(주) 다짐성능이 향상된 타이템퍼
KR2022009629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에이치엔엠이엔지 차량용 비상 안전 탈출을 위한 강화유리 파괴시스템
KR102511981B1 (ko) * 2021-12-08 2023-03-21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드라이버의 임팩터 조립 구조
KR20230094242A (ko) * 2021-12-20 2023-06-28 계양전기 주식회사 저체결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동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45563A1 (en) Power tool
US5513709A (en) Power tool
KR20100117342A (ko) 진동 발생 장치
US10016881B2 (en) Rotary tool
US20070007024A1 (en) Vibration drill unit
JP2010537832A5 (ko)
JP6341283B2 (ja) 打撃工具
CN107206578B (zh) 冲击机构装置,尤其用于冲击式起子机
GB2454873A (en) Power Hand Tool
KR101476257B1 (ko)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JP2009291934A (ja) 手持ち鋸装置
JP2002283135A (ja) セーバソーの切断機構
TWM537946U (zh) 往復式工具結構
JP2006021317A (ja) ローリングハンマードリル
US10232449B2 (en) Combination tool
GB2219958A (en) Power tool
JPWO2007034538A1 (ja) 駆動軸の移動装置
JPH0741455B2 (ja) 電動回転工具
JP5246693B2 (ja) スライド駆動機構
JP6425087B2 (ja) 電動工具
JP2015120206A (ja) インパクト工具
JP2013063494A (ja) 電動工具
CN217647546U (zh) 一种用于冲击钻的冲击结构及冲击钻
KR101449941B1 (ko) 회전력 발생 장치
CN105082074A (zh) 用于机械式旋转冲击机构的冲击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