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249A - 버너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버너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249A
KR20100115249A KR1020090033890A KR20090033890A KR20100115249A KR 20100115249 A KR20100115249 A KR 20100115249A KR 1020090033890 A KR1020090033890 A KR 1020090033890A KR 20090033890 A KR20090033890 A KR 20090033890A KR 20100115249 A KR20100115249 A KR 20100115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flame
straight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238B1 (ko
Inventor
류정완
위재혁
김양호
임재범
석준호
김영수
양대봉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238B1/ko
Priority to EP10004069.0A priority patent/EP2241819B1/en
Priority to US12/761,804 priority patent/US20100263655A1/en
Publication of KR2010011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10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elongated tubular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23D14/583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of elongated shape, e.g. sl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1Flame diffusing means characterised by surface shape
    • F23D2203/1012Flame diffusing means characterised by surface shape tub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41Segmented or straight line assembly of burner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64Burner heads of non cir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버너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버너에는,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및 일단부에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및 공기를 공급받으며,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소부가 포함된다.
버너

Description

버너 및 조리기기{Burner and 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이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일 례로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연소되는 다수의 화염이 포함되며, 다수의 화염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조리물의 균일 가열이 가능한 버너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버너는,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및 일단부에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및 공기를 공급받으며 타단부는 막혀있고,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소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버너는,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및 공기를 공급받으며, 외형이 개곡선을 이루며,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소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연소부가 다수 회 절곡됨에 따라, 화염이 발생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특히, 상기 연소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조리물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각 직선부의 거리에 따라 염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각 직선부에서 화염이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는, 쿡탑부(100), 오븐부(200), 드로워부(300) 및 컨트롤부(400)가 포함된다.
상기 쿡탑부(100), 오븐부(200) 및 드로워부(3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본체(10)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쿡탑부(1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부(100)에는 다수개의 쿡탑버너(110)가 구비된다. 상기 쿡탑버너(11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쿡탑부(100)의 전단부에는, 다수 개의 노브(120)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120)는, 상기 쿡탑 버너(110)로의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미도시)를 개폐 또는 밸브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 오븐부(200)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한 조리실(211)을 형성하는 캐비티(21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2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오븐 버너(500)와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방에 구비되는 리플렉터(600)가 포함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오븐 버너(500) 외에 상기 조리실(2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추가적인 가열원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211)은 도어(2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22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풀-다운(pull-down)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11)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22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220) 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2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부(300)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워부(300)에는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310)가 포함된다.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쿡탑부(100), 오븐부(200) 및 드로워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오븐 버너(500)는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오븐 버너(50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복사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븐 버너의 저면도이고, 도 4는 오븐 버너의 염공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 버너(500)는 가스 및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510)와, 일단부(510)에 상기 공급부(510)가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된 혼합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부(52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급부(510)는, 도시되지 않은 노즐로부터 공급받은 가스 및 가스의 공급과정에서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부(5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캐비티(210)의 일측 벽을 관통하거나, 상기 노즐이 상기 캐비티(210)의 일측 벽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노즐과 이 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과 정렬된다.
상기 연소부(520)에는, 다수의 직선부(521, 522, 523, 524)와, 다수의 직선부(521, 522, 523, 524)를 연결하는 연결부(531, 532, 533)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직선부(521, 522, 523, 524)에는 제 1 직선부(521), 제 2 직선부(522), 제 3 직선부(523) 및 제 4 직선부(524)가 포함된다. 상기 각 직선부(521, 522, 523, 524)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직선부(521)에 상기 공급부(510)가 연결된다.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제 1 직선부(521)에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는 일 례로 상기 공급부(510)와 상기 제 1 직선부(521)가 일직선을 이루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531, 532, 533)에는 제 1 직선부(521)의 일측 단부와 제 2 직선부(52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531)와, 상기 제 2 직선부(522)의 타측 단부와 제 3 직선부(523)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532)와, 상기 제 3 직선부(523)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 4 직선부(524)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533)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부(520)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상기 연소부(520)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S" 형태로 다수 회 벤딩된다. 그리고, 혼합 가스의 유동을 기준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제 4 직선부(524)의 단부는 막혀있다.
즉, 상기 연소부(520)의 외형은 개곡선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된 형상이라 함은 루프(loop: 폐곡선)의 반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31, 532, 533)에서의 혼합 가스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531, 532, 533)는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각 직선부(521, 522, 523, 524)의 양측에는 다수의 염공(541, 542, 543, 544)이 형성된다. 상기 각 염공(541, 542, 543, 544)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 때, 혼합 가스의 경로 측면에서, 상기 제 4 직선부(524)에 비하여, 상기 제 1 직선부(521)가 상기 공급부(520)와 가까우므로, 상기 제 1 직선부(521)에서 제 4 직선부(524)로 갈수록 상기 염공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직선부(521, 522, 523, 524)에서 화염이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 4 직선부(524)의 염공(544)의 크기는 상기 제 3 직선부(523)의 염공(54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직선부(523)의 염공(543) 크기는 상기 제 2 직선부(522)의 염공(542)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선부(522)의 염공(542) 크기는 상기 제 1 직선부(521)의 염공(541)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1 직선부(521)의 염공(541) 및 제 2 직선부(522)의 염공(542)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직선부(523)의 염공(543) 및 제 4 직선부(524)의 염공(544)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직선부(523)의 염공(543) 크기는 상기 제 2 직선부(522)의 염공(542)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사상은 혼합 가스의 유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공급 부(510)에서 먼쪽에 있는 연소부의 염공 크기가 상기 공급부(510)와 가까운 쪽에 있는 연소부의 염공 크기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직선부(524) 쪽으로 상기 제 1 직선부(521)에 비하여 적은 양의 혼합 가스가 유동하더라도, 상기 제 4 직선부(524)의 염공(544) 크기가 상기 제 1 직선부(521)의 염공(541)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각 직선부에서의 화염의 세기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부(531, 532, 533)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직선부 간의 불꽃 옮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염공(545, 546, 547)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염공(545, 546, 547)은 상기 각 연결부(531, 532, 533)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연결부(531, 532, 533)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531, 532, 533)는 내측 연결부(535)와 외측 연결부(536)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염공(545, 546, 547)은 상기 내측 연결부(53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측 연결부(536)에 상기 염공이 형성되는 것 보다 상기 염공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부(531, 532, 533)의 염공(545, 546, 547)에서 발생되는 화염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531, 532, 533)에 형성되는 염공(545, 546, 547) 간의 간격은 상기 각 직선부(521, 522, 523, 524)에 형성되는 염공(541, 542, 543, 544) 간의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연소부(520)가 다수 회 절곡됨에 따 라, 화염이 발생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특히, 상기 연소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조리물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510)로부터 상기 각 직선부의 거리에 따라 염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각 직선부에서 화염이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 버너(500)는 하부 케이스(501)와 상부 케이스(50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4에는 일 례로 제 1 직선부의 염공이 개시되며, 이하에서는 제 1 직선부의 염공에 대해서만 도면 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501)와 상부 케이스(502)는 일 례로 스크류(S)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 케이스(501) 및 상기 상부 케이스(502)는 리벳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501)와 상기 상부 케이스(502)의 결합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하부 케이스(501)와 상기 상부 케이스(502)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에는 상기 다수의 염공(541)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염공 형성부(505)가 형성된다. 도 4에는 일 례로 하부 케이스(501)에 염공 형성부(505)가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다수의 염공 형성부(505)는 상기 하부 케이스(501)의 일부가 포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염공 형성부는 연결부(504)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501)와 상기 상부 케이스(502)가 결합되면, 적어도 어느 일 염공과 이와 인접한 염공 사이에는 불꽃 옮김을 위한 갭(50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502)와 상기 하부 케이스(501)가 체결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501)와 상기 상부 케이스(502)는 이격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501)와 상기 하부 케이스(502)의 이격을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502)에는 갭 형성부(503)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염공 형성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갭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케이스(501)와 상기 상부 케이스(502)가 결합되면, 상기 연결부(504)는 이와 마주보는 상기 갭 형성부(503)와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갭(508)의 상하 길이는 상기 염공(541)의 상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불꽃 옮김을 위한 갭(508)에 의해서 서로 이격된 인접한 염공 간에 불꽃 옮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오븐 버너(500)의 동작 모드 중 약 모드(화염이 약한 모드)이 경우에도 인접한 염공 간에 불꽃 옮김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접하는 염공 간의 불꽃 옮김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염공 전체에서 화염 세기(염공 부하)가 실질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염공 전체에서 화염 세기가 실질적으로 균일해지는 경우 조리물의 균일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캐비티(210)의 천장면과 상기 오븐 버 너(5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 및 열을 하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를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플렉터(600)는, 반사부(610), 배기부(620), 커버부(640) 및 고정 플랜지(6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610)는, 다수의 제1연결면(611), 경사면(613) 및 제 2 연결면(615)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제1연결면(611)은 좌우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부(520)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1연결면(611)의 개수는 상기 직선부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613)은, 상기 제1연결면(611)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면(615)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경사면(61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경사면(613)의 단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면(615) 및 상기 제2연결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집중된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상기 반사부(610)의 상면 양측단부 전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상기 반사부(610)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연결 면(611) 및 경사면(613)의 전후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배기부(62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오븐 버너(500)와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 즉 상기 제2연결면(615) 및 상기 제2연결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 집중된 연소가스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부(620)는, 상기 제2연결면(615)의 일부가 전후방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640)는, 대략 상기 배기부(620)에 대응하는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배기부(62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 및 열이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640)에 의하여 하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로 반사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커버부(640)에 의하여 전후방 또는/및 좌우로 안내되어 고르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640)의 전후단부에는 고정 리브(64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641)는, 상기 커버부(640)를 상기 반사부(6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리브(641)가 대략 "L"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640)의 전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리브(641)는 상기 커버부(64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리플렉터(6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연결면(615)에 그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고, 그 절개선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2연결면(615)의 일부를 상방으로 밴딩시켜서 상기 배기부(620) 및 커버부(6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컨트롤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오븐부(200)를 사용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를 통하여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븐 버너(500)가 동작하여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븐 버너(500)로 공급되는 가스 및 공기가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되는 화염 및 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이 직접 조리된다. 이 때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화염 및 열은 상기 리플렉터(600)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여 반사된다.
한편,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리플렉터(600)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리플렉 터(600) 사이의 공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플렉터(600)의 제 2 연결면(615) 및 상기 제 2 연결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 집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연결면(615) 및 2개의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된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상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븐 버너의 저면도.
도 4는 오븐 버너의 염공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Claims (8)

  1.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및
    일단부에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및 공기를 공급받으며 타단부는 막혀있고,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소부가 포함되는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곡되는 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직선부와,
    상기 복수의 직선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가 포함되는 버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부 각각에는 화염이 발생되기 위한 다수의 염공이 형성되며,
    혼합 가스의 유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직선부 중에서 상기 공급부와 먼쪽의 직선부의 염공 크기는 상기 공급부와 가까운 쪽의 직선부의 염공 크기보다 큰 버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부는 라운드지는 버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부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직선부 간의 불꽃 옮김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염공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부의 염공 간의 간격은 상기 직선부의 염공 간의 간격 보다 큰 버너.
  7.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및 공기를 공급받으며, 외형이 개곡선을 이루며,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소부가 포함되는 버너.
  8.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KR1020090033890A 2009-04-17 2009-04-17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7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90A KR101073238B1 (ko) 2009-04-17 2009-04-17 버너 및 조리기기
EP10004069.0A EP2241819B1 (en) 2009-04-17 2010-04-16 Cooking device
US12/761,804 US20100263655A1 (en) 2009-04-17 2010-04-16 Burner and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90A KR101073238B1 (ko) 2009-04-17 2009-04-17 버너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49A true KR20100115249A (ko) 2010-10-27
KR101073238B1 KR101073238B1 (ko) 2011-10-12

Family

ID=4256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90A KR101073238B1 (ko) 2009-04-17 2009-04-17 버너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63655A1 (ko)
EP (1) EP2241819B1 (ko)
KR (1) KR101073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418A1 (de) * 2009-12-14 2011-06-15 Miele & Cie. KG Backhofen und Gasbrenne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Backhofen
AU2014241251B2 (en) * 2013-03-26 2018-05-1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ven broil burner
US9541294B2 (en) * 2013-08-06 2017-01-10 Whirlpool Corporation Inner swirling flame gas burner
US9504351B2 (en) * 2013-10-11 2016-11-29 Hal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uble oven appliance
CN114017774A (zh) * 2021-11-12 2022-02-0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燃烧器和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21584A (en) * 1965-11-16 M. Pappas Phillip Formable gas burner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DE967901C (de) * 1952-10-02 1958-01-02 Junker & Ruh A G Umsteuerbarer Rohrbrenner fuer Back- und Bratroehren von Gasherden
DE3872075T2 (de) * 1987-07-13 1993-0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rrichtung fuer gasverbrennung.
DE4206822A1 (de) * 1991-04-29 1992-11-05 Elektrolux Juno Kuechentechnik Gasbeheiztes backrohr
US5392763A (en) * 1993-09-16 1995-02-28 Majco Building Specialties, L.P. Gas burner system
KR0133637Y1 (ko) * 1995-11-18 1999-03-20 배순훈 가스오븐렌지의 버너구조
DE19745767C1 (de) * 1997-10-16 1999-03-04 Uwe Ebertz Reihenbrenner für gasförmigen Brennstoff
KR200273005Y1 (ko) * 1998-10-14 2002-09-27 엘지전자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구조
US6997176B2 (en) * 2002-11-12 2006-02-14 Paul Iii John Leo Quick and easy campfire
ITMI20030829A1 (it) * 2003-04-18 2004-10-19 Smeg Spa Fornello a gas e piano di cottu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1819A3 (en) 2016-01-20
KR101073238B1 (ko) 2011-10-12
US20100263655A1 (en) 2010-10-21
EP2241819A2 (en) 2010-10-20
EP2241819B1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073238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US20110265781A1 (en) Cooking Appliance
KR101064849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040405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40404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73209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73216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KR101040502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67984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040427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073329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67949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719820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623981B1 (ko) 조리기기
KR10104045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04043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724701B1 (ko) 가스 버너
KR101710202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US9897323B2 (en) Gas oven
KR101845564B1 (ko) 배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KR20110092488A (ko) 가스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