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981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981B1
KR101623981B1 KR1020090111817A KR20090111817A KR101623981B1 KR 101623981 B1 KR101623981 B1 KR 101623981B1 KR 1020090111817 A KR1020090111817 A KR 1020090111817A KR 20090111817 A KR20090111817 A KR 20090111817A KR 101623981 B1 KR101623981 B1 KR 10162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combustion
reflector
cove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978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9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위치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조리실로 반사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오븐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플렉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점화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가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기기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이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일 례로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어 연소되고, 연소된 가스는 화염의 형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화염에 의한 열에 의해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가스의 점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연가스의 양을 줄이고, 점화 지연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위치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조리실로 반사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점화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가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스홀 및 제2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점화 유닛이 오븐 버너의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오븐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점화 유닛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븐 버너에 형성된 복수의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리플렉터의 커버면의 폭보다 작고,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된 복수의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리플렉터의 커버면의 폭보다 작으므로, 미연가스의 발생량이 최소 화되고, 점화가 지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는, 쿡탑부(100), 오븐부(200), 드로워부(300) 및 컨트롤부(400)가 구비되는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쿡탑부(100)는 상기 본체(10)의 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븐부(200)는 상기 쿡탑부(100)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드로워부(300)는 상기 오븐부(200)의 하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쿡탑부(100)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쿡탑부(100)에는 다수의 쿡탑버너(110)가 포함된다. 상기 쿡탑버너(11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직접 가열한다.
상기 쿡탑부(100)의 앞쪽에는, 다수 개의 노브(120)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120)는, 상기 쿡탑 버너(110)로의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미도시)를 개폐 또는 밸브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 오븐부(200)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한 조리실(211)을 형성하는 캐비티(21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2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오븐 버너(500)와,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방에 구비되는 리플렉터(600)가 포함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오븐 버너(500) 외에 상기 조리실(2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추가적인 가열원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211)은 도어(22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도어(22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11)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22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220)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221)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부(300)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드로워부(300)에는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310)가 포함된다.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쿡탑부(100), 오븐부(200) 및 드로워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오븐 버너(500)는 상기 캐비티(210)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오븐 버너(50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복사 가열시킨다.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가 결합된 오븐 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와 오븐 버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500)의 상측에는 상기 리플렉터(600) 및 점화 유닛(700)이 결합된다.
상기 오븐 버너(500)에는, 가스 및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510)와,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와, 상기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된 혼합 가스를 상기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로 분배하는 분배부(520)와, 상기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59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급부(510)는, 도시되지 않은 노즐로부터 공급받은 가스 및 가스의 공급과정에서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분배부(5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510)의 단부는 상기 캐비티(210)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노즐의 일부가 상기 캐비티(210)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510)의 단부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510)로 유입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공급부(5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가스의 형태로 상기 분배부(520)로 전달된다.
상기 다수의 연소부(530, 550, 570)는 제 1 연소부(530), 제 2 연소부(550) 및 제 3 연소부(57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소부(53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210) 내부에 상기 오븐 버너(5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2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연소부(550) 및 상기 제 3 연소부(570)는 상기 분배부(520)에서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보조부(552, 572)와, 상기 보조부(552, 572)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는 메인부(554, 574)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이격된 일측에 상기 제 2 연소부(550)의 메인부(554)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이격된 타측에 상기 제 3 연소부(570)의 메인부(574)가 위치된다.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각 보조부(552, 57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배부(520)와의 연결 부위는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510)는 상기 분배부(520)에서 상기 제 2 연소부(550) 또는 제 3 연소부(570) 측으로 연장된다. 도 4에는 일 례로 상기 공급부(510)가 상기 제 3 연소부(570) 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510)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 및 공기는 상기 분배부(520)와 상기 공급부(510)의 연결 부위에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분배부(520)로 유동된다.
상기 연통부(590)는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의 단부를 연결시켜,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 내부의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각 연소부 간의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 연소부에서 연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에는 화염이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양측에는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양측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소부(550)의 메인부(554)의 일측에는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 된다. 상기 메인부(554)의 일측은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마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 3 연소부(570)의 메인부(574)의 일측에는 다수의 염공(526)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부(574)의 일측은 상기 제 1 연소부(530)와 마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각 메인부(554, 574)의 일측에서만 화염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캐비티(210)의 천장면과 상기 오븐 버너(50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일 례로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된 화염의 열을 하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여 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60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를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시킨다.
상기 리플렉터(600)는, 배기부(620)가 형성되는 반사부(610), 상기 배기부(620)를 커버하는 커버부(640) 및 고정 플랜지(6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610)는, 다수의 제 1 커버면(611), 경사면(613) 및 제 2 커버면(615)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제 1 커버면(611)은 좌우로 소정의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개수는 상기 연소부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613)은,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양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 2 커버면(615)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경사면(61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경사면(613)의 단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면(615) 및 상기 제 2커버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집중된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상기 반사부(610)의 상면 양측단부 전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상기 반사부(610)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플랜지(6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커버면(611) 및 경사면(613)의 전후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배기부(620)는,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기부(620)는 상기 제 2 커버면(615)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배기부(6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기부(620)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제 2 커버면(6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연소 가스가 상기 리플렉터(600)의 상면과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커버부(640)는 상기 배기부(62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된 화염의 열이 상기 커버부(640)에 의하여 하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로 반사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커버부(640)에 의하여 전후방 및/또는 좌우로 안 내되어 고르게 퍼지게 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은, 고정 부재(710)에 의해서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점화 유닛(700)이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오븐 버너(700)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점화 유닛(7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710)는 상기 점화 유닛(700)을 지지하는 지지부(712)와, 상기 지지부(712)에서 연장되며,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714)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714)는 상기 오븐 버너(500)의 상면에 일 례로 용접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결합부(714)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점화 유닛(700)에는 점화부(702)가 포함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이 작동하면, 상기 점화부(702)는 고온으로 가열되고, 상기 점화부(702)에 가스가 접촉하게 되면, 가스가 점화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은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상면과 이격된다.
상기 점화부(702)가 위치하는 상기 제 1 커버면(611)은 상기 제 1 연소부(5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커버면일 수 있다.
상기 점화부(702)에 의해서 상기 오븐 버너(500)의 가스가 연소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소부(530)에는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면(611)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을 통하여 배출된 가스가 통과되는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스홀 및 상기 제 2 가스홀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3에는 일 례로 두 개의 제 1 가스홀 및 두 개의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을 연결시키는 가상의 선은 상기 제 1 연소부(530) 내부에서의 가스의 유동 방향과 경사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제 1 연소부 내부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된다.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제 1 연소부(530) 내부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되면, 가스의 제 1 가스홀 통과 시기가 달라지는 것이 방지되어, 점화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은,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702)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부(702)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을 연결시키는 가상의 선은 상기 제 1 연소부(530) 내부에서의 가스의 유동 방향과 경사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제 1 연소부 내부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된다.
상기 제 2 가스홀(641, 642)의 크기는 상기 제 1 가스홀(531, 532)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가스홀은 원형, 비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은, 상기 제 2 커버면(611)의 폭(W)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이라 함은, 원형인 경우 직경, 타원인 경우 장변의 길이, 다각형인 경우 가장 긴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641, 64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스홀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하는 가스의 양이 증가된다. 많은 양의 가스가 상기 각 가스홀을 통과하게 되면, 연소되지 않은 가스의 양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미연가스(CO)의 양이 증가되고, 점화가 지연될 수 있다.
상기 각 가스홀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으나, 다만, 상기 각 가스홀의 크기가 미세한 경우 가스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점화가 이루어질 정도의 가스 량이 확보되도록 하면서 미연가스(CO)의 양이 줄어들도록,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이 상기 제 1 연소부(530)에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이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641, 642)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이 상기 제 1 커버면(611)의 폭(W)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점화 유닛(700)의 설치 위치는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점화 유닛(7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각 가스홀의 형성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화 유닛의 점화부는 가스와의 용이한 접촉을 위하여, 상기 제 1 커버면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오븐부(200)를 사용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븐 버너(500)가 동작하여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급부(510)를 통하여 상기 분배부(520)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분배부(520)로 공급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각 연소부(530, 550, 570)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소부(530)로 공급된 가스 및 공기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531, 532)을 통과한 후에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을 통과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641, 642)을 통과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점화부(702)와 접촉되어 점화된다. 상기 가스 및 공기가 점화되면, 상기 각 연소부의 가스 및 공기가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되는 화염 및 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 때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열은 상기 리플렉터(600)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내부의 음식물을 향하 여 반사된다.
한편, 상기 오븐 버너(500)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리플렉터(600)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리플렉터(600)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가스는 상기 리플렉터(600)의 제 2 커버면(615) 및 상기 제 2 커버면(615)에 인접하는 2개의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에 집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커버면(615) 및 상기 경사면(613)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된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부(620)를 통하여 상방, 즉 상기 조리실(211)의 천장면과 상기 반사부(61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다.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오븐 버너(800)는 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븐 버너(800)는 수직 단면이 일 례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례로, 상기 오븐 버너(800)의 수직 단면은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븐 버너(800)의 상측에는 리플렉터(900) 및 점화 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900)는 상기 오븐 버너(800)의 직 상방에 위치되는 커버면(910)과, 상기 커버면(910)의 양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920)이 포함된 다.
그리고, 상기 오븐 버너(800)에는 복수의 제 1 가스홀(801, 80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면(910)에는 복수의 제 2 가스홀(911, 912)이 형성된다.
상기 각 가스홀의 위치 및 크기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점화 유닛(700)은 상기 오븐 버너(80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73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점화 유닛(700)에는 점화부(702)가 포함되고,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커버면(910)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부(702)는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911, 912)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가 결합된 오븐 버너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리플렉터와 오븐 버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의 저면도.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오븐 버너 및 리플렉터의 사시도.

Claims (6)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위치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조리실로 반사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상방에 위치되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점화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가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스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스홀 및 제2가스홀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점화부에 의해서 점화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는, 가스가 연소에 의한 화염이 발생되는 연소부가 포함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연소부를 커버하는 제1커버면과 상기 제1커버면에서 연장되며 열을 반사하기 위한 제2커버면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은 상기 연소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은 상기 제1커버면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은 상기 제1커버면의 폭 보다 작은 조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의 길이 또는 폭의 합은 상기 제1커버면의 폭 보다 작은 조리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가스홀을 연결시키는 가상의 선은 상기 연소부에서의 가스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유닛은, 상기 버너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KR1020090111817A 2009-11-19 2009-11-19 조리기기 KR10162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17A KR101623981B1 (ko) 2009-11-19 2009-11-19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17A KR101623981B1 (ko) 2009-11-19 2009-11-19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78A KR20110054978A (ko) 2011-05-25
KR101623981B1 true KR101623981B1 (ko) 2016-05-24

Family

ID=4436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17A KR101623981B1 (ko) 2009-11-19 2009-11-1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9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78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819B1 (en) Cooking device
CA2732369C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EP2149750B1 (en) Burner and gas oven including the same
KR101623981B1 (ko) 조리기기
EP2161503B1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40404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40405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73209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CA2876823C (en) Home appliance with gas igniter having heating element and shroud
KR101040427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067949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KR101710202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101040502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20100012244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US9897323B2 (en) Gas oven
KR101845564B1 (ko) 배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73329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20120007665A (ko) 가스 버너
KR20110092488A (ko) 가스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