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515A - 유착 저해 특성을 갖는 외과용 배리어 - Google Patents

유착 저해 특성을 갖는 외과용 배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515A
KR20100113515A KR1020107015732A KR20107015732A KR20100113515A KR 20100113515 A KR20100113515 A KR 20100113515A KR 1020107015732 A KR1020107015732 A KR 1020107015732A KR 20107015732 A KR20107015732 A KR 20107015732A KR 20100113515 A KR20100113515 A KR 20100113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ating
polymer
cellulose
enteric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827B1 (ko
Inventor
홀텐 로버트 더블유. 반
작디쉬찬드라 씨. 파텔
Original Assignee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3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유착 저해용 외과용 배리어가 개시된다. 외과용 배리어는 장용 중합체를 포함하는 창상 대면 중합체 코팅;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및 위 또는 십이지장 천공의 복구 방법이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다.

Description

유착 저해 특성을 갖는 외과용 배리어{SURGICAL BARRIERS HAVING ADHESION INHIBITING PROPERTIES}
유착 저해 배리어 및 이들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이 본 발명에서 개시된다.
유착부 형성은 많은 유형의 외과적 처치, 특히 복부 및 장 수술의 잘 알려진 합병증이다. 유착부 형성은 전형적으로 피브린 응괴 형성의 결과로서 일어나는데, 이는 보통은 분리되어 있는 상이한 조직들을 연결하는 반흔 조직으로 변환된다. 빈번하게는 외과적 개입이 유착부의 제거를 위하여 필요하지만, 유착은 수술 후 재발할 수 있으며, 흔히 재발한다. 유착 저해 배리어의 일차적인 목적은 유착부 형성 기작을 방해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외과적 외상에 처해진 조직들 사이의 공간 내로의 피브리노겐의 확산에 의해 생기고 그럼으로써 상기 공간 내에서의 피브린 응괴의 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와 같이, 수술 후 유착은 상당한 임상적인 그리고 의학적인 경제적 관련성이 있는 주요한 건강 관리상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복부 유착은 소장 폐색의 주요 원인일 뿐만 아니라 불임과, 복통 및 골반통의 주요 근원이기도 하다. 수술 후 유착은 적어도 불임 사례의 약 20% 및 만성 골반통 사례의 약 40%를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술 후 유착의 발생률은 다양한 수술 기법 개선 및/또는 보다 우수한 기기에 의해 감소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지만, 유착은 보조 요법(adjuvant therapy) 없이는 방지될 수 없으며, 이는 매 순간 외상이 유착부 형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를 고려하면, 수술과 관련된 그러한 유착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이 있어 왔다. 많은 물질 또는 구성체(constructs), 예를 들어 콜라겐 필름, 콜라겐 젤, 및 하이알루론산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필름 및 피브린 글루(fibrin glue)는 수술 유착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공적인 항-유착 제형은, 유착 배리어로서 작용하는 것 외에, "생체적합성(biocompatible)" (이는 상기 제형이 대상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해 의학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유독한 또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로 미침 내지는 전혀 미치지 않음을 의미함)이며 "생체흡수성" (이는 상기 제형이 이식 장치로서 대상 내에 유의한 양이 남아있지 않고서 조직에 의해 흡수될 수 있음을 의미함)이어야 한다. 그러한 생체흡수성 재료는 신체에 의해 분해되고, 이어서 생성된 생성물은 소변, 대변 형태의 배설물 또는 호흡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그로부터 방출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당해 제형은 조직을 분리시켜 유착을 방지함에 있어서 효과적이기에 충분한 시간 기간 동안 체내에 남아있는 한편, 일단 조직에 의해 흡수되면 유착부 형성 위험이 끝나고 그럼으로써 이식 장치의 사용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임의의 장기간 효과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천공은 소화성 궤양의 두 번째로 가장 일반적인 합병증이며, 특히 고령 인구에서의 NSAID 사용과 흔히 관련된다. 문헌[N Zaji, "Laparoscopic Repair of Perforated Peptic Ulcers Versus Conventional Open Surgery," Laparoscopic Hospital, New Delhi, India, July 2007]을 참조하라. 소화성 궤양을 가진 환자 중 대략 10-20%는 위장 또는 십이지장의 천공으로 고통받으며, 여기서 화학성 복막염은 위액 및 십이지장액 분비에 의해 처음에 발병하며, 그 후 박테리아 오염이 수시간 내에 가미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은 소화성 궤양의 발생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문헌[Graham, D. Y., "Treatment of peptic ulcers caused by Helicobacter pylori," 328 N Engl J Med 349-350 (1993)]을 참조하라.
십이지장 궤양의 천공은 위 및 십이지장 내용물의 복강 내로의 배출을 허용하며, 이때 초기 화학성 복막염이 생긴다. 위-십이지장 내용물이 계속하여 누출되면, 복강의 박테리아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문헌[A. J. Donovan, "Perforated Duodenal Ulcer An Alternative Therapeutic Plan," 133 ARCH SURG 1166-1171, (Nov 1998)]을 참조하라.
미국 특허 제7,198,786호는 수술 동안 또는 수술 후에 환자에서 형성되는 유착부를 감소 또는 방지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는 유착이 발병될 위험이 있는 환자의 창상 표면 1 ㎠ 당 약 0.025 ml의 피브리노겐 내지 상기 표면 1 ㎠ 당 약 0.25 ml의 피브리노겐의 양의 피브리노겐 용액을 환자의 창상 표면에 투여함에 의한 것이다. 수술 후 유착부 형성의 감소 또는 방지를 위하여 20 내지 80 mg/ml의 농도로 피브리노겐을 포함하는 제제 형태의 피브리노겐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제안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1,341,561호는 층형 창상 드레싱 재료를 제안하며, 이는 창상 대면 하이드로젤 층 및 배리어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배리어 층은 산성 조건 하에서는 25℃에서 물에 사실상 불용성이지만 중성 또는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는 25℃에서 물에 사실상 용해성인 pH-민감성 재료를 포함한다. 사용 중에, 하이드로젤 층은 그의 pH가 배리어 층의 용해를 야기하는 수준으로 상승되고 그럼으로써 여분의 삼출물이 하이드로젤 층으로부터 흘러 나오게 될 때까지 창상 삼출물을 흡수하여 창상 삼출물에 의해 점진적으로 중화된다.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 및 그러한 드레싱의 사용 방법이 또한 제안되어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의 이러한 진보에도 불구하고, 적합한 유착 저해 배리어와, 환자에서 수술 후 유착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상된 영역의 추가의 열화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천공성 궤양의 위 및 십이지장 내용물을 포함하기 위한 배리어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외과용 배리어가 본 발명에서 개시된다. 일 형태에서, 외과용 배리어는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고/하거나, 그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창상 대면 중합체 코팅;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일 태양에서, 장용 중합체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장용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라이멜리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태양에서, 장용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는 1:2의 비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1:1의 비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기재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태양에서, 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는 중합체 코팅 중에 중량 기준으로 약 60:40 내지 약 40:6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중합체 코팅은 중합체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내지 약 60%의 장용 중합체; 약 30% 내지 약 60%의 비-장용 중합체; 및 약 0% 내지 약 40%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몇몇 형태에서 가요성 기재일 수도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는 평면 형태, 스트로-유사(straw-like) 형태, 원통 형태, 미소섬유(fibrillar) 형태, 필라멘트-유사 형태 또는 구형(spherical)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개개의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의 태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D-락트산, L-락트산, 락티드 (L-, D-, 메소 형태를 포함함), 글리콜산,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p-다이옥사논, 및 트라이메틸렌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산화된 다당류, 콜라겐, 및 이들의 유도체, 염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일 태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다.
다른 태양에서, 외과용 배리어는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s),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이 중합체 코팅 내에 혼입되거나 이에 부착된 것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캡슐화하기 위하여 분무, 침지 또는 엔로빙(enrobing)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태양에서, 중합체 코팅은 라미네이션 또는 공압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비-장용 중합체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태양에서,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에서,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의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유착부 형성에 민감하게 된 영역에 유착 저해 배리어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하거나, 그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유착 저해 배리어인 외과용 배리어는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고/하거나, 그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창상 대면 중합체 코팅;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중합체 코팅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또 다른 형태에서, 위 천공, 십이지장 천공, 또는 산성 영역에 존재하는 기타 천공과 같은 천공의 복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패치 형태의 외과용 배리어로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하거나, 그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과용 배리어는 i)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코팅, 및 ii)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고/하거나, 그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실상 덮인"은 외부 표면 영역의 약 50% 초과, 즉, 예를 들어 약 60% 초과, 약 70% 초과, 약 80% 초과, 약 90% 초과, 약 95% 초과, 약 97% 초과, 또는 약 99% 초과가 덮임을 의미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장용"은 위장의 pH (약 1.5 내지 약 3.0의 pH)보다 높은 pH, 즉, 예를 들어 약 3.0 초과 또는 약 5.0 초과 또는 약 5.5 초과 또는 약 6.0 초과의 pH에서 또는 장에서 발견되는 pH, 즉, 예를 들어 약 7.0 초과의 pH, 또는 소장 십이지장에서 발견되는 pH, 즉,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6.0의 pH, 또는 대장 맹장 및 결장에서 발견되는 pH, 즉, 예를 들어 약 5.5 내지 약 7.0의 pH에서 용해될 수 있음을 의미할 것이다. 문헌[Vandamme, T., "The Use of Polysaccharides to Target Drugs to the Colon," 48 Car Poly 219-231 (2002)]을 참조하라.
유착 저해용의 외과용 배리어가 본 발명에서 개시된다. 일 형태에서, 외과용 배리어는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코팅;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가요성 기재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창상과 대면하는 중합체 코팅은 유착 저해 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적합한 장용 성분의 예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라이멜리테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 및 1:2의 비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롬 파르마 게엠베하(Rohm Pharma GmbH)로부터 상표명 유드라짓(Eudragit)(등록상표) S 100, 유드라짓(등록상표) L1000, 유드라짓(등록상표) L-30D, 유드라짓(등록상표) FS30D, 및 유드라짓(등록상표) L 100-55로 구매가능함) 및 1:1의 비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롬 파르마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유드라짓(등록상표) L로 구매가능함)와 같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기재의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장용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과용 배리어 장치의 가요성 증가가 요구되는 형태에서, 가소제가 중합체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35%의 양으로 중합체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가소제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다이부틸 세베케이트; 다이에틸프탈레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트라이아세틴, 글리세릴 트라이아세테이트, 트라이프로피오닌, 글리세린 식물유, 예를 들어 피마자유, 평지유, 올리브유 및 참깨유;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다이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롤의 모노 아세테이트; 글리세롤의 다이아세테이트; 글리세롤의 트라이아세테이트; 천연 고무; 트라이아세틴; 아세틸트라이-n-부틸 시트레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n-부틸 시트레이트, 다이에틸말레이트; 다이에틸 푸마레이트; 다이에틸말로네이트; 다이옥틸프탈레이트; 다이부틸석시네이트; 글리세롤트라이부티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소화된 피마자유; 치환된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중합체 코팅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메틸셀룰로오스("M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HE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하이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HEE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추가의 비-장용 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유착 저해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와 HPC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중합체 코팅 중 장용 성분과 비-장용 성분의 중량비는 약 60:4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유착 저해 중합체 코팅은 유착 저해 중합체 코팅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내지 약 60% 또는 약 40% 내지 약 50%의 장용 성분; 약 30% 내지 약 60% 또는 약 40% 내지 약 50%의 비-장용 셀룰로오스 성분; 및 약 0% 내지 약 40% 또는 약 1% 내지 약 35%의 가소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HPC가 중합체 코팅 중에 혼입된 일 형태에서, HPC의 평균 분자량은 140,000 초과, 또는 약 360,000 이상 또는 약 370,00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중합체 코팅은 당업계에 공지된 활성 성분용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 성분은 지혈제, 조직 치유 인자 및 항균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 요법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및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그러한 예의 공지된 활성 성분은 중합체 코팅 내에 분산되거나 또는 중합체 코팅의 면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성 성분은 알부민, 안크로드(ancrod), 바트록소빈(batroxobin), 에카린(ecarin), 엘라스틴, 에피네프린, 인자 X/Xa, 인자 VII/VIIa, 인자 IX/IXa, 인자 XI/XIa, 인자 XII/XIIa, 칼슘 클로라이드 피브린, 피콜린, 피브로넥틴, 젤라틴, 글로빈, 합토글로빈, 헤모글로빈, 헤파리나아제, 인히빈, 인슐린, 인터류킨, 라미닌트롬빈, 혈소판 표면 당단백질, 프로트롬빈, 셀렉틴, 트랜스페린,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 바소프레신, 바소프레신 유사체, 독액성 응혈 촉진제(procoagulant venom), 혈소판 활성화제 및 지혈 활성을 갖는 합성 펩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활성 성분 중 하나 이상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명백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외과용 배리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재는 중합체 코팅에 의해 사실상 덮이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는 형상이 평면형, 스트로-유사형, 원통형, 미소섬유형, 필라멘트-유사형 또는 구형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는 당업자가 명백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조성, 두께 등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복수의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가요성 기재일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는 상부에 제1 중합체 코팅을 갖는 제1 외부 표면 및 상부에 선택적 제2 중합체 코팅을 갖는 제2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형태에서,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요법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물질이 상기 제1 중합체 코팅 내에 혼입되거나 이에 부착되며,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요법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물질이 제2 중합체 코팅 내에 혼입되거나 이에 부착되고, 제1 물질은 제2 물질과 별개이다. 일 형태에서, 상기 제1 중합체 코팅 및 상기 제2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다. 일 형태에서,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를 캡슐화하기 위하여 분무, 침지, 엔로빙, 라미네이션, 또는 공압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중합체 코팅은 조성, 농도, 두께, 도포 방법, pH 민감성, 분자량 등과 관련하여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명백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다.
일 형태에서, 평면형 기재는 필름 또는 천의 형태일 수 있다. 천의 예에는 부직물, 직물, 편직물, 매트(matte), 배트(batt), 또는 크림프(crimp)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합체 코팅은 예를 들어 카르복실릭-산화된 셀룰로오스가 천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기재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부분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보호한다.
기재는 D-락트산, L-락트산, 락티드 (L-, D-, 메소 형태를 포함함), 글리콜산,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p-다이옥사논, 및 트라이메틸렌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산화된 다당류, 콜라겐,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기재는 산화된 다당류, 특히 산화된 셀룰로오스 및 중화된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실릭-산화된 또는 알데히드-산화된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산화된 재생 다당류를 사용하여 제2 흡수성 직포 또는 편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는 재생되지 않은 셀룰로오스와 대비해서 더 높은 정도의 균일성을 보유한다. 재생된 셀룰로오스 및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3,364,200호, 미국 특허 제5,180,398호 및 미국 특허 제4,626,25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마치 그 전체가 개시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용될 수 있는 천의 예에는 인터시드(Interceed)(등록상표) 흡수성 유착 배리어, 서지셀(Surgicel)(등록상표) 흡수성 지혈재; 서지셀 누-니트(Surgicel Nu-Knit) 흡수성 지혈재; 및 서지셀(등록상표) 피브릴러(Fibrillar) 흡수성 지혈재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각각은 각각이 미국 뉴저지주 서머빌 소재의 에티콘, 인크.(Ethicon, Inc.)의 사업부인 존슨앤존슨 운드 매니지먼트 월드와이드(Johnson & Johnson Wound Management Worldwide) 또는 가인케어 월드와이드(Gynecare Worldwide)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5,007,916호에는 전술한 인터시드(등록상표) 흡수성 유착 배리어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그가 개시하는 모든 것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재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의 필름 또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락티드 (L-, 및 D-, 메소 형태를 포함함), 글리콜산,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p-다이옥사논 (1,4-다이옥산-2-온), 및 트라이메틸렌 카르보네이트 (1,3-다이옥산-2-온)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으로 합성된다. 몇몇 경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D-락트산, L-락트산 및/또는 글리콜산의 중축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당해 천은 몰 기준으로 약 70 내지 95% 범위의 양의 글리콜라이드 및 잔부 락티드의 글리콜라이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기재는 또한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폴리프로필렌/폴리다이악사논 (PDS) 메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에티콘, 인크.로부터 상표명 프로시드(Proceed)(등록상표)로 구매가능하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113849A1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071300A1호에는 전술한 프로시드(등록상표) 산화 재생 셀룰로오스/폴리프로필렌/PDS 메시 기재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그가 개시하는 모든 것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 형태에서,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폴리프로필렌/PDS 메시의 둘 모두의 외부 표면은 중합체 코팅으로 사실상 코팅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에서는 이 기재의 단지 하나의 외부 표면이 중합체 코팅으로 사실상 코팅될 수 있다.
기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필름 또는 천은 단독의, 또는 산화된 다당류 섬유와 조합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형태에서, 기재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기재 층에 적합한 전술한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부직 기술, 사용되는 코팅 기술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약 200 ㎛ 내지 약 600 ㎛ 또는 약 250 ㎛ 내지 약 550 ㎛의 범위일 수 있다.
외과용 배리어는 배리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5%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30%의 중합체 코팅 및 약 35% 내지 약 90%,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70%의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유착 저해 배리어의 기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천을 사용할 때, 천은 직조, 편직, 매팅(matteing), 스펀레이드(spunlaid) (멜트블로운(meltblown), 플래시스펀(flashspun), 스펀본드(spunbounding)), 습식, 건식 또는 단섬유(short fiber) 에어레이드(airlaid) 또는 부직물의 공지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천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626,253호, 미국 특허 제5,002,551호 및 미국 특허 제5,007,9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포 또는 편직포일 수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마치 그 전체가 개시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천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개 제2006/0258995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일 수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다른 형태에서,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즉, 감소 또는 방지하는 방법이 본 발명에서 개시된다. 본 방법은 유착부 형성에 민감하게 된 영역에 유착 저해 배리어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유착 저해용 외과용 배리어는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는 창상 대면 중합체 코팅;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외과 의사는 빈번하게는 창상 부위를 방해하지 않고서 지혈 부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현실적으로 반투명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ORC 기재로 배리어가 이루어지는 형태에서, 외상 부위의 점검이 유익하게 가능해질 수 있다.
경험에 의하면, 유착 배리어는 처음 수일 내에는 용해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적어도 3일 또는 그 이상 동안 처리되는 기관 상에 체류하여야 함이 밝혀졌다.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유형의 중합체 코팅을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ORC)와 같은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환경 조건에 따라 중합체 코팅이 약 6일 내지 약 10일 동안 보존됨을 알아내었다. 유익하게는, 이는 이용되는 기재가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을 허용한다.
당업자가 명백하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유착 배리어는 유효하도록 적소에 체류하여야 한다. 또한,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생성된 외과용 배리어가 장용 필름 단독에 비하여 보다 높은 적소 체류 경향을 제공함을 알아내었다.
게다가, 본 발명자들은 또한 예기치 않게도, 생성된 유착 배리어가 개선된 취급 특징을 보유함을 알아내었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과 의사는 배리어가 영향받은 영역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적용 동안 그의 구조를 유지하는 배리어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ORC 매트릭스는 체액에 노출될 때 약 1분 미만 내에 유연한 젤라틴 물질이 됨이 관찰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배리어는 그러한 매트릭스 단독에 비하여 개선된 취급 특징을 보유한다.
현재, 혈액으로 습윤될 때 메시가 유착부 형성 발생을 감소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유착부 형성을 유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관심사로 인하여 많은 메시형 재료가 유혈 현장(bloody field)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권고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유착 저해 배리어가 유착부 형성을 유발하지 않고서 혈액 풀(pool)에 침액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유착 저해 배리어는 궤양이 일어난 소화관 영역의 치료에 또한 적합하다. 그와 같이, 본 배리어는 중합체 코팅이 궤양이 일어난 영역에 대면하도록 궤양이 일어난 영역의 원하는 표면 위치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소화성 궤양을 갖는 환자들 중 일부분은 위장 또는 십이지장의 천공으로 고통받으며, 여기서 처음에 위액 및 십이지장액 분비에 의해 화학성 복막염이 발병되며, 이어서 박테리아 오염이 뒤따른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외과용 배리어는 위 또는 십이지장 천공의 복구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형태에서, 위 또는 십이지장 천공의 복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패치 형태의 외과용 배리어로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과용 배리어는 i)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코팅, 및 ii)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코팅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또 다른 형태에서, 유착 저해용 외과용 배리어의 제조 방법이 본 발명에서 개시되며, 상기 외과용 배리어는 i)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는 창상 대면 중합체 코팅, 및 ii)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코팅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다.
기재가 평면형인 일 형태에서, 기재는 그의 평면형 외부 표면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외부 표면 둘 모두가 중합체 코팅으로 사실상 덮인다. 대안적으로, 기재는 중합체 코팅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중합체 코팅으로 덮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형의 천과 같은 기재가 토끼 측벽 모델(rabbit sidewall model)에서 유착부 형성을 유의하게 감소 또는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음을 알아내었다.
중합체 코팅은 많은 기술들 또는 기술들의 조합에 의해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중합체 코팅의 형성 이전에, 창상 대면 중합체 코팅 제형은 현실적으로 액체이며, 이는 중합체 코팅을 기재의 표면 상에 분무, 침지, 브러싱(brushing) 또는 부음에 의해 기재가 중합체 코팅으로 코팅되는 것을 허용한다. 유기 용매가 증발됨에 따라 상기 제형은 젤 주도로부터 필름으로 변환된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중합체 코팅은 젤로서 기재에 도포되거나, 또는 유기 용매 증발이 보다 많을 경우에는 페이스트로서 기재에 도포된다. 또 다른 형태에서, 중합체 코팅은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 인케이싱(encasing), 사출 성형 등을 통하여 필름의 형태로 기재에 적용된다. 또 다른 형태에서, 중합체 코팅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법을 통하여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적합한 코팅 방법은 고전단 과립화(high sheer granulation), 유동층 과립화, 예를 들어, 회전자 과립화, 유동층 코팅, 우스터 코팅(wurster coating), 코아세르베이션(coaccervation), 분무 건조, 분무 응결 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문헌[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Volume 3, edited by Herbert A. Lieberman and Leon Lachman, Chapters 2, 3, and 4 (1982)]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 코팅을 기재에 첨가한 후의 기재의 중량 증가는 기재 단독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150%,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130% 또는 약 30% 내지 약 100%, 약 40 내지 약 80%이다.
이제 본 발명의 특정 형태를 실시예로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소정 형태를 보여주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본 발명의 완벽한 설명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1: CAP 중합체 코팅 제형의 제조
주위 조건 하에 시험관 내에 0.8 g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AP), 분자량이 370,000인 0.8 g의 하이드록실프로필 셀룰로오스(HPC), 0.4 g의 글리세롤, 164 ml의 아세톤 및 24 ml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이 균질해지고 점도가 약 156 cP가 될 때까지 약 3000 rpm에서 대략 5분 동안 와동시켰다.
실시예 2: 기재의 제조
주위 조건 하에서 에티콘, 인크.로부터 상표명 "프로시드"로 구매가능한 다층형의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폴리프로필렌/폴리다이악사논_(PDS) 메시 기재의 2 ㎝ × 4.5 ㎝ 조각을 16 ml의 아세톤과 24 ml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침액시키고, 약 3000 rpm에서 대략 5분 동안 와동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기재를 주위 조건 하에서 공기 건조시켰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113849A1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071300A1호에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폴리프로필렌/PDS 메시 기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그러한 상세 사항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절차를 그러한 기재의 19개의 추가의 조각에 대하여 반복하였다.
실시예 3: 중합체 코팅을 이용한 기재의 코팅
실시예 2에 따라 준비한 기재의 조각은, 상기 기재를 주위 조건 하에서 중합체 코팅 혼합물에 침액시킴으로써 실시예 1의 중합체 코팅으로 코팅하였다. 중합체 코팅 혼합물을 생성된 기재의 표면 위에 블레이드로 펴발랐다. 기재 상의 중합체 코팅 물질의 생성된 건조 중량 증가는 코팅된 기재 단독에 비하여 약 50%였다.
이 절차를 실시예 2로부터의 기재의 19개의 추가의 조각을 이용하여 반복하였다.
실시예 4: 유착 모델 연구 결과
토끼 측벽 모델에서 프로토타입(prototypes)의 14일 유착 평가 연구를 행하여, 대조군과 비교할 때 프로토타입의 유착부 형성의 정도 및 중증도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조사용 시험 용품의 전체 성능의 결정은 유착부 형성의 정도 및 유착부 형성의 중증도와 관련하여 대조군과 비교한 것에 기초하였다.
시험 물질은 이것이 음성 대조 용품의 것보다 탁월한 것으로 나타날 때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하는데, 상기 음성 대조 용품은 이 연구에서 봉합사 단독의 사용이었다.
외과적 처치
검상돌기에 대하여 미측으로 대략 4 ㎝에서, 배(ventral abdomen)의 정중선을 따라, 대략 12 ㎝의 절개를 행하였다. 맹장을 몸 밖에 노출시키고(exteriorized), 점상 출혈이 달성될 때까지 살균 건조 거즈 스펀지를 이용하여 전체 표면을 와이핑(wiping)함으로써 벗겨지게 하였다. 대략 2 × 4.5 ㎝의, 각각의 복막 측벽(peritoneum abdominal sidewall) 상의 결손부(defect)는 예리한 박리(sharp dissection)를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에 대하여 측면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만들어졌다. 2 × 4.5 ㎝의 복막 윈도를 잘라냈다. 잘라낸 복막 아래의 근육층은, 점상 출혈이 달성될 때까지 살균 건조 거즈 스펀지를 이용하여 전체 표면을 와이핑함으로써 벗겨지게 하였다. 대략적으로 상기 절개부에 대하여 측면으로 2 ㎝, 그리고 검상돌기에 대하여 미측으로 3 ㎝에서 결손부를 만들었다.
대조군에서, 결손 영역의 주변부를 프롤렌(PROLENE)(등록상표) 폴리프로필렌 (4-0) 봉합사를 이용하여 연속 패턴으로 봉합하였다. 시험 용품 군에서, 대략 2 × 4.5 ㎝의 시험 용품의 직사각형 조각을 프롤렌(등록상표) 봉합사 (4-0)를 사용하여 연속 패턴으로 결손 영역 위에 봉합하였다. 복부벽 정중선 절개부를, 코팅된 3-0 비크릴(VICRYL)(등록상표) (폴리글락틴(Polyglactin) 910) 봉합사를 사용하여 몇몇의 단순한 단속 스티치(simple interrupted stitches)에 의해 가장자리를 감쳐서 봉합하는(over-sewn) 단순 연속 봉합 패턴으로 폐쇄시켰다. 피하 조직을 동일 봉합사 유형을 사용하여 단순 연속 봉합 패턴으로 폐쇄시켰다. 피부를 모노크릴(Monocryl) 3-0 봉합사 및 더마본드(등록상표) HV 국소용 피부 접착제로 폐쇄시켰다.
유착 정도의 점수
메시 표면에 대한 유착의 정도의 평가
0 = 유착 없음
1 = 1-25%
2 = 26-50%
3 = 51-75%
4 = 76-100%
중증도 점수
가장 큰 유의성의 유착의 중증도
0 = 유착 없음
1 = 최소의 노력으로 분리되는 유착
2 = 중등도의 노력으로 분리되는 유착
3 = 간신히 분리되는 유착
결과가 표 1에 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라인은 단일한 독립적인 동물에서 시험 용품을 이용하여 수행한 시험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개관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 샘플을 제외하고는, 시험한 모든 샘플이 유착부 형성 저해와 관련하여 우수한 결과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CAP 코팅된 ORC/폴리프로필렌/PDS가 토끼 측벽 예측 모델에서의 유착부 형성의 저해에서 가장 효과적임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5: 중합체 코팅 물질 제형을 이용한 기재의 코팅
에티콘, 인크.로부터 상표명 "인터시드"로 구매가능한,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 메시 기재의 2 ㎝ × 4.5 ㎝ 조각을, 주위 조건 하에서 실시예 1의 중합체 코팅 물질을 기재 상에 부어 블레이드로 상기 중합체 코팅 물질을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써 실시예 1의 중합체 코팅 물질로 코팅하였다. 중합체 코팅 혼합물을 생성된 기재의 다른 표면 위에 블레이드로 펴발랐다. 기재 상의 중합체 코팅 물질의 생성된 건조 중량 증가는 건조 기재 단독에 비하여 약 50%였다.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 기재의 60개의 추가의 조각을 이용하여 이 절차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6: 추가의 유착 모델 연구의 결과
토끼 측벽 모델에서 프로토타입의 14일, 28일 및 91일에서의 추가의 유착 평가를 행하였다. 그러한 연구의 목적은 토끼 측벽 모델에서 대조군과 비교할 때 프로토타입의 유착부 형성의 정도 및 중증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각각의 조사용 시험 용품의 전체 성능의 결정은 유착부 형성의 정도 및 유착부 형성의 중증도와 관련하여 대조군과 비교한 것에 기초한다.
시험 물질은 이것이 음성 대조 용품의 것보다 탁월한 것으로 나타날 때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용한 외과적 처치는 실시예 4에 개시한 바와 같았다.
이용한 유착 정도 평점 시스템은 실시예 4에 개시한 바와 같았다.
결과가 하기에 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라인은 단일한 독립적인 동물에서 시험 용품을 이용하여 수행한 시험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ORC/CAP 코팅 메시는 구매가능한 하이알루론산/CMC 필름과 비교할 때 탁월한 유착 방지 성능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7: 유혈 현장에서의 코팅 및 비코팅 기재의 배치
실시예 2의 기재의 비코팅된 샘플을 유혈 수술 현장 내에 접촉 상태로 두었다. 거의 즉각적으로, 기재는 혈액을 위크-업(wick-up)하여 흑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교를 위하여, 이 절차를 실시예 3의 코팅된 기재를 이용하여 반복하였다. 코팅된 기재는 20분 초과의 기간 후 매트릭스가 습윤되지 않게 하거나 흑색으로 변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을 도면 및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세하게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형태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변화 및 변경은 보호받는 것이 요구된다.

Claims (37)

  1. a) 장용 중합체를 포함하는 창상-대면 중합체 코팅; 및
    b)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substrate)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 외과용 배리어(surgical barri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중합체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장용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외과용 배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라이멜리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외과용 배리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는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1:2의 비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외과용 배리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1:1의 비의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비-장용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용 중합체 및 상기 비-장용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코팅 중에 중량 기준으로 약 60:40 내지 약 40:60의 양으로 존재하는, 외과용 배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추가로 비-장용 중합체 및 가소제를 상기 중합체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장용 중합체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비-장용 중합체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및 약 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평면 형태, 스트로-유사(straw-like) 형태, 원통 형태, 미소섬유(fibrillar) 형태, 필라멘트-유사 형태 또는 구형(spherical) 형태로 구성되는, 외과용 배리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복수의 가요성 기재들로 이루어지는, 외과용 배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필름, 부직포(nonwoven fabric) 또는 직포(woven fabric)의 형태이며, D-락트산, L-락트산, 락티드, 글리콜산,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p-다이옥사논 및 트라이메틸렌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산화된 다당류, 콜라겐,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외과용 배리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재들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과용 배리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의 형태이며, D-락트산, L-락트산, 락티드, 글리콜산,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p-다이옥사논 및 트라이메틸렌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산화된 다당류, 콜라겐,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외과용 배리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제1 층, 폴리다이악사논의 제2 층, 및 이들 사이의 폴리프로필렌의 제3 층을 갖는 다층형 기재인, 외과용 배리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외과용 배리어.
  16. 제1항에 있어서,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s),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이 상기 중합체 코팅 내에 혼입되거나 이에 부착된, 외과용 배리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상부에 제1 중합체 코팅을 갖는 제1 외부 표면 및 상부에 제2 중합체 코팅을 갖는 제2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18. 제17항에 있어서,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요법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물질이 상기 제1 중합체 코팅 내에 혼입되거나 이에 부착되며, 혈액 응고 인자, 안정제, 섬유소 용해 저해제, 항생제를 포함하는 생물 활성 물질, 화학요법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세포 성장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물질이 상기 제2 중합체 코팅 내에 혼입되거나 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물질은 상기 제2 물질과 별개인, 외과용 배리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 코팅 및 상기 제2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외과용 배리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캡슐화하기 위하여 상기 중합체 코팅이 분무, 침지, 또는 엔로빙(enrobing)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된, 외과용 배리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라미네이션 또는 공압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된, 외과용 배리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장용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다이부틸 세베케이트; 다이에틸프탈레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트라이아세틴; 글리세릴 트라이아세테이트; 트라이프로피오닌; 글리세린 식물유; 계면활성제; 글리세롤의 모노 아세테이트; 글리세롤의 다이아세테이트; 글리세롤의 트라이아세테이트; 천연 고무; 트라이아세틴; 아세틸트라이-n-부틸 시트레이트; 다이에틸옥살레이트; 다이에틸말레이트; 다이에틸 푸마레이트; 다이에틸말로네이트; 다이옥틸프탈레이트; 다이부틸석시네이트; 글리세롤트라이부티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소화된 피마자유; 치환된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25.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외과용 배리어를 유착부 형성에 민감하게 된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과용 배리어는 i) 장용 중합체를 포함하는 창상-대면 중합체 코팅, 및 ii)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코팅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중합체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장용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아세테이트 유도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라이멜리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가 상기 중합체 코팅 중에 중량 기준으로 약 60:40 내지 약 40:60의 양으로 존재하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추가로 비-장용 중합체 및 가소제를 상기 중합체 코팅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장용 중합체 약 30% 내지 약 60%, 비-장용 중합체 약 30% 내지 약 60%, 및 가소제 약 1% 내지 약 35%의 양으로 포함하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로부터 선택되며, 콜라겐, 산화된 다당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p-다이옥사논, 트라이메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이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배리어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다이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염, 공중합체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장용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외과적 처치를 받은 환자에서 유착부 형성을 저해하는 방법.
  33. 천공을 복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패치 형태의 외과용 배리어로 천공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과용 배리어는 i) 장용 중합체, 선택적 비-장용 중합체 및 선택적 가소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코팅, 및 ii)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코팅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 천공을 복구하는 방법.
  34. a) 장용 중합체 및 비-장용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코팅; 및
    b)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 코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에 도포되어 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을 사실상 덮는, 외과용 배리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재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약 30:70 내지 약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코팅 및 상기 기재를 약 50: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외과용 배리어.
KR1020107015732A 2007-12-18 2008-12-18 유착 저해 특성을 갖는 외과용 배리어 KR101600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58,796 US8299316B2 (en) 2007-12-18 2007-12-18 Hemostatic device
US11/958,796 200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515A true KR20100113515A (ko) 2010-10-21
KR101600827B1 KR101600827B1 (ko) 2016-03-08

Family

ID=4052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732A KR101600827B1 (ko) 2007-12-18 2008-12-18 유착 저해 특성을 갖는 외과용 배리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299316B2 (ko)
EP (2) EP2219691B1 (ko)
JP (1) JP5587207B2 (ko)
KR (1) KR101600827B1 (ko)
CN (1) CN101932344B (ko)
AU (1) AU2008338309A1 (ko)
BR (1) BRPI0820804A2 (ko)
CA (1) CA2709464A1 (ko)
ES (2) ES2428000T3 (ko)
MX (1) MX2010006845A (ko)
RU (1) RU2480246C2 (ko)
WO (2) WO20090796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9314B2 (en) * 2007-12-18 2014-01-14 Ethicon, Inc. Surgical barriers having adhesion inhibiting properties
FR2968564B1 (fr) 2010-12-13 2013-06-21 Perouse Medical Dispositif medical destine a entrer en contact avec un tissu d'un pati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UA113959C2 (xx) * 2011-05-24 2017-04-10 Закручений колагеновий носій
US8999376B2 (en) 2012-02-03 2015-04-07 Xcede Technologies, Inc. Tissue patch
CN104000652B (zh) * 2013-02-21 2018-03-30 王世亮 一种可吸收防粘连释药袋膜
US9833538B2 (en) 2015-08-07 2017-12-05 Xcede Technologies,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9540548B1 (en) 2015-08-07 2017-01-10 Xcede Technologies,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A2994959A1 (en) 2015-08-07 2017-02-16 Xcede Technologies,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N109475400A (zh) 2016-05-09 2019-03-15 生命连结有限公司 基于网状补片的原位可交联组合物
WO2018164358A1 (ko) * 2017-03-07 2018-09-13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CN108042856A (zh) * 2018-02-07 2018-05-18 苏州元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手术用生物膜的制备方法
CN108114327A (zh) * 2018-02-07 2018-06-05 苏州元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手术用生物膜
JP7257342B2 (ja) * 2018-02-08 2023-04-13 テルモ株式会社 医療器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癒合促進デバイス
GB2571080A (en) * 2018-02-14 2019-08-21 Medtrade Products Ltd Haemostatic material
US11826028B2 (en) * 2020-06-10 2023-11-28 Ethicon, Inc. Two component sealing systems including synthetic matrices and biosynthetic adhesives for sealing resected surfaces of organs to control bleeding, fluid leaks and air leaks
US11760853B2 (en) 2020-11-30 2023-09-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nti-curling film
CN115177782B (zh) * 2021-04-02 2023-07-18 诺一迈尔(山东)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气、促愈合的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CN113288505B (zh) * 2021-04-30 2023-02-03 中国科学院大学温州研究院(温州生物材料与工程研究所) 基于ptmc的生物可吸收柔性弹性体的肠吻合支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940B2 (ja) * 1986-12-24 1995-05-1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貼付用基材
US20060240064A9 (en) * 2003-11-10 2006-10-26 Angiotech International Ag Medical implants and fibrosis-inducing agents
KR20070033981A (ko) * 2004-04-28 2007-03-27 안지오테크 바이오매터리알스 코포레이션 가교된 생합성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시스템, 및이와 관련된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070099533A (ko) * 2004-09-08 2007-10-09 코리움 인터네셔널, 인크. 중합체 성분들간의 상호작용의 메카니즘을 이용한 중합체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4200A (en) 1960-03-28 1968-01-16 Johnson & Johnson Oxidized cellulose produ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E3340270A1 (de) 1983-11-08 1985-05-15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arbfotografisches aufzeichnungsmaterial zur herstellung farbiger aufsichtsbilder
US4626253A (en) 1984-10-05 1986-12-02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Surgical hemostat comprising oxidized cellulose
US5002551A (en) 1985-08-22 1991-03-26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Method and material for prevention of surgical adhesions
US5007916A (en) 1985-08-22 1991-04-16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Method and material for prevention of surgical adhesions
US4840626A (en) * 1986-09-29 1989-06-20 Johnson & Johnson Patient Care, Inc. Heparin-containing adhesion prevention barrier and process
US5180398A (en) 1990-12-20 1993-01-19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Cellulose oxidation by a perfluorinated hydrocarbon solution of nitrogen dioxide
US5900245A (en) 1996-03-22 1999-05-04 Focal, Inc. Compliant tissue sealants
DE69636626T2 (de) 1995-07-28 2007-08-30 Genzyme Corp., Cambridge Biologische abbaubare multiblokhydrogene und ihre verwendung wie trägerstoffe fur kontrollierte freisetzung pharmakologisch activen werstoffe und gewebekontaktmaterialen
US6833408B2 (en) 1995-12-18 2004-12-21 Cohesion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tissue repair using adhesive materials
US6458889B1 (en) 1995-12-18 2002-10-01 Cohesion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systems for forming crosslinked bio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DK2111876T3 (da) 1995-12-18 2011-12-12 Angiodevice Internat Gmbh Tværbundne polymerpræparater og fremgangsmåder til anvendelse deraf
US6500777B1 (en) 1996-06-28 2002-12-31 Ethicon, Inc. Bioresorbable oxidized cellulose composite material for prevention of postsurgical adhesions
US6541460B2 (en) 1996-08-07 2003-04-01 George D. Petito Method for use of hyaluronic acid in wound management
US6063061A (en) * 1996-08-27 2000-05-16 Fusion Medical Technologies, Inc. Fragmented polymer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7320962B2 (en) * 1996-08-27 2008-01-22 Baxter International Inc. Hemoa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US5851579A (en) 1996-10-28 1998-12-22 Eastman Chemical Company Aqueous enteric coating compositions
ZA987019B (en) 1997-08-06 1999-06-04 Focal Inc Hemostatic tissue sealants
US6762336B1 (en) 1998-01-19 2004-07-13 The American National Red Cross Hemostatic sandwich bandage
ATE444084T1 (de) * 1998-11-12 2009-10-15 Internat Mfg Group Inc Hämostatische vernetzte dextranperlen verwendbar zur schnellen blutgerinnung und hämostase
US6312725B1 (en) 1999-04-16 2001-11-06 Cohesion Technologies, Inc. Rapid gelling biocompatible polymer composition
ES2383122T3 (es) 1999-08-27 2012-06-18 Angiodevice International Gmbh Dispositivo de polímero biocompatible
GB2369997B (en) 2000-12-12 2004-08-11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Dressings for the treatment of exuding wounds
US6733774B2 (en) 2001-01-25 2004-05-11 Nycomed Pharma As Carrier with solid fibrinogen and solid thrombin
US8541021B2 (en) 2001-05-01 2013-09-24 A.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Hydrogel compositions demonstrating phase separation on contact with aqueous media
CA2445086C (en) * 2001-05-01 2008-04-08 A.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Hydrogel compositions
US20050271737A1 (en) 2001-06-07 2005-12-08 Chinea Vanessa I Application of a bioactive agent to a substrate
GB2380135B (en) 2001-09-27 2005-01-12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Therapeutic wound dressing
US7666337B2 (en) 2002-04-11 2010-02-23 Monosol Rx, Llc Polyethylene oxide-based films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7198786B2 (en) 2001-10-12 2007-04-03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the reduction or prevention of post-surgical adhesion formation
US20040101546A1 (en) 2002-11-26 2004-05-27 Gorman Anne Jessica Hemostatic wound dressing containing aldehyde-modified polysaccharide and hemostatic agents
WO2004024195A1 (en) 2002-09-10 2004-03-25 American National Red Cross Hemostatic dressing
GB2393120A (en) * 2002-09-18 2004-03-24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Compositions for wound treatment
GB2393655B (en) 2002-09-27 2005-08-24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Wound treatment device
WO2004064878A1 (ja) 2003-01-20 2004-08-05 Juridical Foundation The Chemo-Sero-Therapeutic Research Institute 止血用材料
CA2536042A1 (en) * 2003-11-10 2005-06-02 Angiotech International Ag Medical implants and anti-scarring agents
US20050113849A1 (en) 2003-11-26 2005-05-26 Nicholas Popadiuk Prosthetic repair device
WO2007024972A2 (en) 2005-08-22 2007-03-01 Quick-Med Technologies, Inc. Non-leaching absorbent wound dressing
US20060258995A1 (en) 2004-10-20 2006-11-16 Pendharkar Sanyog M Method for making a reinforced absorbable multilayered fabric for use in medical devices
JP4953052B2 (ja) * 2005-03-23 2012-06-13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癒着防止フィルム
CA2649081A1 (en) 2006-04-10 2007-10-18 Ethicon, Inc. A reinforced absorbable multilayered hemostati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940B2 (ja) * 1986-12-24 1995-05-1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貼付用基材
US20060240064A9 (en) * 2003-11-10 2006-10-26 Angiotech International Ag Medical implants and fibrosis-inducing agents
KR20070033981A (ko) * 2004-04-28 2007-03-27 안지오테크 바이오매터리알스 코포레이션 가교된 생합성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및 시스템, 및이와 관련된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070099533A (ko) * 2004-09-08 2007-10-09 코리움 인터네셔널, 인크. 중합체 성분들간의 상호작용의 메카니즘을 이용한 중합체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99316B2 (en) 2012-10-30
WO2009079645A2 (en) 2009-06-25
MX2010006845A (es) 2010-08-02
WO2009079642A3 (en) 2010-05-06
EP2219690B1 (en) 2014-10-29
CA2709464A1 (en) 2009-06-25
JP5587207B2 (ja) 2014-09-10
BRPI0820804A2 (pt) 2014-11-04
KR101600827B1 (ko) 2016-03-08
JP2011506049A (ja) 2011-03-03
US20090156711A1 (en) 2009-06-18
EP2219691B1 (en) 2013-07-03
WO2009079645A3 (en) 2010-06-24
AU2008338309A1 (en) 2009-06-25
EP2219691A2 (en) 2010-08-25
RU2480246C2 (ru) 2013-04-27
EP2219690A2 (en) 2010-08-25
ES2428000T3 (es) 2013-11-05
CN101932344A (zh) 2010-12-29
CN101932344B (zh) 2014-03-26
WO2009079642A2 (en) 2009-06-25
RU2010129494A (ru) 2012-01-27
ES2527949T3 (es)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088B2 (en) Surgical barriers having adhesion inhibiting properties
KR101600827B1 (ko) 유착 저해 특성을 갖는 외과용 배리어
US9364578B2 (en) Hemostatic agent for topical and internal use
KR101213460B1 (ko) 지혈용 재료
JP5905451B2 (ja) 止血用途のための強化された吸収性合成マトリックス
EP2988771B1 (en) Fibrinogen-based tissue adhesive patches
TW201141546A (en) Hemostatic sponge
CA2529717A1 (en) Deployable hemostatic agent
KR101735899B1 (ko) 의료용 생분해성 부직포 물질
AU2005244692A1 (en) Tissue closing preparation
US10905792B2 (en) Fibrinogen-based tissue adhesive patch
US11771799B2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tissue adhesive patches
US11071805B2 (en) Fibrinogen-based tissue adhesive patches
Hu et al. An asymmetric Janus membrane with anti-bacteria adhesion and rapid hemostasis properties for wound healing
RU2325926C1 (ru) Раневое покрытие для внутренних органов
KR20130076549A (ko)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