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713A -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713A
KR20100109713A KR1020090028121A KR20090028121A KR20100109713A KR 20100109713 A KR20100109713 A KR 20100109713A KR 1020090028121 A KR1020090028121 A KR 1020090028121A KR 20090028121 A KR20090028121 A KR 20090028121A KR 20100109713 A KR20100109713 A KR 2010010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line
network
control command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희석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제희석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희석, 이상기 filed Critical 제희석
Priority to KR102009002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9713A/ko
Publication of KR2010010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라인 감지부, 라인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라인의 상태 정보에 따라 라인 절체를 위한 스위칭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부, 스위칭 제어 명령부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클라이언트 포트를 마스터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하는 기계식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중화 장치 자체의 장애시에도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마스터, 스탠바이

Description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Network dual apparatus}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화 장치 자체의 장애시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크워크 이중화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제1 라우터와 연결되어 액티브 링크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101)와, 제2 라우터와 연결되어 스탠 바이 링크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허브(102), 액티브 링크 다운시 스탠 바이 링크로 변경해주는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200)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에서는 제1 스위치 허브 다운시에는 제1 스위치 허버에 결속되어 있는 pc들 모두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스위치 허버로 링크를 변경시켜 주는 것이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100)이다.
하지만, 도 2와 같이, 이중화 장치(100) 자체 장애시엔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중화 장치 자체의 장애시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는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라인 감지부, 라인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라인의 상태 정보에 따라 라인 절체를 위한 스위칭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부, 스위칭 제어 명령부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클라이언트 포트를 마스터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하는 기계식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라인 감지부, 스위칭 제어 명령부, 기계식 릴레이로 된 그룹이 다수개 있는 경우, 각 그룹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PoE(Power over ethernet)환경을 제공하는 스위칭허브의 이중화를 고려하여 기계식 릴레이 쪽으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릴레이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으로, 포트(예; 클라이언트 포트, 마스터 포트, 스탠 바이 포트)와 기계식 릴레이 사이마다 설치되는 PoE(Power over ethernet)프로텍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마스터 포트와 클라이언트 포트가 다수개 있는 경우, 각 포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2개 이상의 장애 발생시 우선순위가 높은 포트를 우선적으로 백업하도록 하는 백업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중화 장치 자체의 장애시에도 현재 통신 중인 액티브 또는 스탠 바이에 대한 경로를 유지하여 기본적인 통신을 이상없이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무전원 상태에서도 엔드 투 엔드(end to end)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PoE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단말 뿐 아니라 무선 AP, IP전화기 등의 환경하에서도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3의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의 예로, 제1 스위치 허브(101), 제2 스위치 허브(102),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200)로 된 것이다.
즉, 제1 라우터와 연결되어 액티브 링크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 허브(101)와, 제2 라우터와 연결되어 스탠 바이 링크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허브(102), 자체 장애시 현재 통신 중인 액티브 링크 또는 스탠 바이 링크를 그대로 유지하는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200)로 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은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200) 자체의 장애시에도 현재 통신 중인 액티브 링크 또는 스탠 바이 링크를 그대로 유지하여 기본적인 통신을 이상없이 제공한다.
즉, 통신 경로로 액티브 링크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200)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 현재 통신 중인 액티브 링크를 그대로 유지하여 기본적인 통신을 이상없이 제공한다.
그리고, 통신 경로로 스탠 바이 링크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200)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 현재 통신 중인 스탠 바이 경로를 그대로 유지하여 기본적인 통신을 이상없이 제공한다.
도 4의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는 도 3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의 예로, 라인 감지부(101),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 기계식 릴레이(103)로 된 것이다.
즉,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라인 감지부(101), 라인 감지부(101)로부터 입력받은 라인의 상태 정보에 따라 라인 절체를 위한 스위칭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클라이언트 포트를 마스터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하는 기계식 릴레이(103)로 된 것이다.
추가로, PoE프로텍터(104-1 ~ 104-3)와, 백업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성된다.
상기 라인 감지부(101)는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한다. 즉,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을 흐르는 전기적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 회선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논리적인 네트워크 신호 유무를 이용하여 회선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PoE를 채택하고 있어 네트워크 회선을 통한 전기적 신호 검출 유무에 따라 회선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피지컬 계층의 네트워크 회선감지기능을 이용하므로 중앙제어적인 회선감시/회선 스위칭 제어가 필요없게 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는 라인 감지부(101)로부터 입력받은 라인의 상태 정보에 따라 라인 절체를 위한 스위칭 제어 명령을 출력한다. 즉,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라인 절체를 위한 온(ON) 명령을 출력하고,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라인 절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오프(OFF) 명령을 출력한다.
상기 기계식 릴레이(103)는 무전원 상태에서도 엔드 투 엔드(end to end)가 지원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클라이언트 포트를 마스터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가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엔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 간의 연결 을 끊고,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반면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가 연결된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엔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간의 연결을 끊고,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상기 PoE프로텍터(104-1 ~ 104-3)는 릴레이 쪽으로 나가는 전원을 차단하여, 릴레이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으로, 포트(예; 클라이언트 포트, 마스터 포트, 스탠 바이 포트)와 기계식 릴레이(103) 사이마다 설치된다.
상기 백업제어부는 마스터 포트와 클라이언트 포트가 다수개 있는 경우, 각 포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2개 이상의 장애 발생시 우선순위가 높은 포트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모든 마스터/스탠바이 회선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장애가 회복될 때까지 계속하여 회선이 스위칭됨으로써 릴레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라인 감지부(101)는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한다.
즉,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을 흐르는 전기적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다음,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는 라인 감지부(101)로부터 입력받은 라인의 상태 정보에 따라 라인 절체를 위한 스위칭 제어 명령을 출력한다.
즉,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라인 절체를 위한 온(ON) 명령을 출력한다.
반면에,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 라인 절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오프(OFF) 명령을 출력한다.
다음, 기계식 릴레이(103)는 스위칭 제어 명령부(102)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즉,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클라이언트 포트를 마스터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가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 간의 연결을 끊고,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반면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가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터 간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한다.
또 다른 예로,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가 연결된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엔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간의 연결을 끊고,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반면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가 연결된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간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이중화 장비 자기 자신의 장애시에도 통신 경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라인감지부, 스위칭 제어 명령부, 기계식 릴레이로 된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의 그룹(예: 24개의 그룹 총 72포트)을 가지고 있는 이중화 장비에 대한 실시예도 가능하며, 각 그룹은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감지하여, 상태 이상이 발생한 경우 독립적으로 라인을 절체하도록 한다.
도 5의 네트워크 이중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방법의 예로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한다(S501). 즉,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을 흐르는 전기적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다음, 감지 결과,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가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 간의 연결을 끊고,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반면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가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터 간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한다(S502 ~ S503).
한편,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가 연결된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엔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간의 연결을 끊고, 클라이언트 포트와 마스터 포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한다.
반면에,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가 연결된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에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간의 연결을 그대로 유지한다(S504 ~ S505).
이렇게 하여 이중화 장치 자기 자신의 장애시에도 통신 경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마스터 포트와 클라이언트 포트가 다수개 있는 경우엔, 각 포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2개 이상의 장애 발생시 우선순위가 높은 포트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여, 모든 마스터/스탠바이 회선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장애가 회복될 때까지 계속하여 회선이 스위칭됨으로써 릴레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라인 감지부
202 : 스위칭 제어 명령부
203 : 기계식 릴레이
204-1 ~ 204-3 : PoE 프로텍터

Claims (4)

  1. 마스터 네트워크 라인과 스탠 바이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라인 감지부;
    라인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라인의 상태 정보에 따라 라인 절체를 위한 스위칭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부;
    스위칭 제어 명령부가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클라이언트 포트를 마스터 포트와, 스탠 바이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라인을 절체하는 기계식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감지부, 스위칭 제어 명령부, 기계식 릴레이로 된 그룹이 다수개 있는 경우, 각 그룹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릴레이 쪽으로 나가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포트와 기계식 릴레이 사이마다 설치되는 PoE프로텍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포트와 클라이언트 포트가 다수개 있는 경우, 각 포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2개 이상의 장애 발생시 우선순위가 높은 포트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백업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KR1020090028121A 2009-04-01 2009-04-01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KR20100109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21A KR20100109713A (ko) 2009-04-01 2009-04-01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21A KR20100109713A (ko) 2009-04-01 2009-04-01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13A true KR20100109713A (ko) 2010-10-11

Family

ID=4313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21A KR20100109713A (ko) 2009-04-01 2009-04-01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97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2538A (zh) * 2011-07-12 2013-01-16 智邦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信号接取器的驱动装置
WO2014038835A1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백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51047A (ko) * 2012-10-22 201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화된 네트워크에서의 대칭 플로우 및 비대칭 플로우 관리 및 공유 방법
KR101406735B1 (ko) * 2012-09-05 2014-06-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백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20190026193A (ko) * 2017-09-04 2019-03-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2538A (zh) * 2011-07-12 2013-01-16 智邦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信号接取器的驱动装置
WO2014038835A1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백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06735B1 (ko) * 2012-09-05 2014-06-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백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51047A (ko) * 2012-10-22 201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화된 네트워크에서의 대칭 플로우 및 비대칭 플로우 관리 및 공유 방법
KR20190026193A (ko) * 2017-09-04 2019-03-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738B1 (ko) 전자 패치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
KR101204130B1 (ko) 산업 이더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장애 처리 방법, 시스템 및 교환 장치
US788118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link redundancy in a media gateway
JP6278818B2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US9647879B2 (en) Network backup device and network system
JP2015201751A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6333056B2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20100109713A (ko)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CN102891769A (zh) 链路故障通告方法和设备
KR101825030B1 (ko) PoE를 이용한 링 네트워크 장치,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애 복구 방법
EP2424176B1 (en) Protection of a network element of a data transfer network
JP4636247B2 (ja)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およびレイヤ2スイッチ
JP2009206540A (ja) 回線終端装置、冗長化通信システム、冗長化通信方法及び冗長化通信プログラム
JP2006338600A (ja) 二重化切換システム
JP6273102B2 (ja) 二重化監視制御システムのリモートi/oユニット、及びその保守方法
JP2007304700A (ja) 2重化ノードシステムのアドレス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06735B1 (ko) 네트워크 백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JP6053172B2 (ja) 光アクセスシステム、olt、osu、及びosu冗長化方法
KR101465991B1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제어 장치
KR101345512B1 (ko)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KR101335615B1 (ko) 네트워크 제어 장치
JP2011060189A (ja) 電源断対処システムおよび電源断対処方法
JP6654762B2 (ja) 受電装置、給電装置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JP6204397B2 (ja) 通信機、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99193A (ko) 연동 보호 절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