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432A -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432A
KR20100109432A KR1020100027197A KR20100027197A KR20100109432A KR 20100109432 A KR20100109432 A KR 20100109432A KR 1020100027197 A KR1020100027197 A KR 1020100027197A KR 20100027197 A KR20100027197 A KR 20100027197A KR 20100109432 A KR20100109432 A KR 20100109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solvent
reaction
vinyl
acry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233B1 (ko
Inventor
엠. 레몬즈 앤드류
윌크진스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10010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30/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3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130/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인산 (PPA)을 반응시켜 합성된 포스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IMPROVED POLYMERIZABLE COMPOSITIONS}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인산 (PPA)을 반응시켜 합성된 포스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스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다른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에 적용될 경우, 포스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중합체에 유용한 성질을 부여하게 되어, 이들은 코팅제 및 바인더에 사용되고,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다. 이러한 모노머에 대한 하나의 적용은 금속 물질에 대한 중합성 코팅 부착의 수행이다. 다는 용도는 부직포를 위한 섬유 및 바인더에 대한 난연 및 정전기 방지 성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포스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스테르, 즉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는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105 내지 120중량% 당량의 H3P04 강도를 갖는 PPA와의 인산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예를 들어, 100 g의 115% PPA의 화학량적 가수분해로 115 g의 H3P04가 제공). 이 반응은 또한 포스페이트 디에스테르 부생물 (side-product) 및 부산물 (byproduct) 인산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인산화 반응 혼합물 또는 이의 희석물은 중합체 합성 반응에서 정제 없이 사용된다. 그러나 디에스테르 및 인산은, 이들의 불순물이 중합 방법을 복잡하게 만들고, 중합체 생성물에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한 성분이 아니다. 디에스테르는 중합체 가교제이고, 가교제는 일반적으로 일부러 중합에 사용되며, 가교제 수준은 다른 중합 원료로부터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지 않는 디에스테르는 중합 방법 및 코팅제로서 적용하는 동안 중합체 농밀화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합체를 더욱 적용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인산화 반응 혼합물에서 포스포 알킬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은 중합 산도를 증가시키고 생성된 중합체 코팅제의 수민감성을 일으킬 수 있다. 모노에스테르의 분리 또는 이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제는 상당한 용매 추출을 요할 수 있고, 이는 상당한 공정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인산화 반응 방법 모노에스테르에 대한 선택성은 증가시키고 인산 수준은 감소시키는 인산화 반응 방법이 요구된다.
중합 조성물에서 인산 수준의 감소는 높은 PPA 등급, 예를 들어 US 3,855,364호에 기재된 115% 등급에 비해, 118% 또는 120%를 사용하고, 과량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물질을 확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공된 조성물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반응은 PPA에 존재하는 인산 무수물 유닛의 평균수에 대한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몰 비율을 최소로 조절하면서 증가된 PPA 등급으로 수행된다. 높은 PPA 등급의 증가된 활성 (예를 들어, 증가된 무수물 함량)은 제공된 몰 비율에 대해 중량부 PPA를 덜 요구하고, 인산 부산물의 절대량을 감소시킨다.
전형적으로, US 3,855,36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합성 반응은 1 P2O5-몰 당량의 PPA와 반응할 경우, 55 내지 75 wt% 모노에스테르 및 10 내지 25 wt% 디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US 3,855,364는 60 wt%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 (MW 210) 및 이에 상응하는 19 wt%의 디에스테르 (MW 322)를 함유하여,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율이 4.8인 문제의 중합성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비율은 디에스테르의 상당한 존재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높은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비율의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의 인산화 선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공지된 수단은 반응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순수한 시스템에서, 증가되는 점성 문제 때문에, 온도를 낮추는 능력은 제한된다. 물질은 냉각시 우수한 혼합을 달성하기에는 너무 점성이 될 수 있다. 온도를 감소시키는데 다른 제한은 이의 수행 중 모노에스테르 선택성을 상당히 증진시키는, 동시에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형성 비율을 낮추는 것이다.
이들 인산화 반응 혼합물의 다른 문제점은 높은 점성이다. PPA 원료, 반응 혼합물 및 반응 생성물은 높은 점성을 갖음으로써, 이는 물질 전달을 느리게 하고 일반적인 물질 취급 문제를 제기한다. 생성물 점성을 낮추는 하나의 해결책은 용매의 존재 하에 반응을 수행하거나 최종 반응 생성물을 용매로 희석하는 것이다. 참조 문헌 JP 2006-OO1863A는 불활성, 비양성자성 용매, 예컨대 방향족 및 포화 지방족이 인산화 반응을 위한 용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매의 사용은 중합체 및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제제화된 중합체 (예를 들어, 페인트, 접착제, 코팅제 등)에 대한 성질을 적용하는데 기여의 결핍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고, 이러한 용매는 제거될 필요가 있다.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시간은 비용을 초래하고, 이 용매를 제거하는 동안, 조성물의 문제가 되는 점성이 되돌아온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저가 원료를 이롭게 사용하고 비싼 정제는 피하는 방법으로 중합성 반응 생성물의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율의 증가시켜 모노에스테르 함량은 증가시키고 용매는 제거할 필요가 없게 하여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인산화 반응은 반응 용매, 특히 중합성 용매, 또는 양성자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카복실산 함유-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배치 또는 연속성일 수 있다. 중요한 개선은 낮은 용매 수준, 예컨대 약 15 wt%에서 조차도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우수한 반응기 생산성이 유지될 수 있는 점에서 배치 공정에 특히 유익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폴리인산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매는 중합성 용매 또는 양성자성 유기 용매이다.
중합성 용매를 적당히 함으로써, 용매는 중합체 물질에 포함될 것이고 최종 중합체 생성물 일부가 될 것이다. 양성자성 유기 용매의 적당한 선택에 있어서, 용매는 빈번하게 최종 생성물 제제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장쇄 지방산, 또는 이의 상응하는 염)에 사용되는 접착제 등으로 대신하게 될 것이고, 여기에서, 용매는 최종 생성물 조성물 (예를 들어, 페인트 제제)의 필수 부분일 것이다. 중합성 용매 또는 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선택할 경우, 인산화 반응 후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용매 및 반응 온도의 선택에 따라, 반응 혼합물의 끓는점을 억제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응 압력이 선택된다. 따라서, 반응 압력은 반응 혼합물의 증기압을 초과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중합성 용매는, 중합성 조성물의 적용에서 포스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중합이 가능한 용매-함유 성질을 갖는 임의의 올레핀계 중합성 종을 의미하나, 반응에서 사용된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및 포스포알킬메타크릴레이트 생성물 자체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중합성 반응성 용매에서 배제된다. 바람직하게 용매 및 온도는 대기 반응 압력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반응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이들 중합성 용매 또는 "희석제 모노머"는 최종 적용에 사용하기 전에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들 용매는 최종 반응 혼합물의 10 내지 90 wt%로 사용된다. 중합성 용매의 적절한 예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또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헤테로환형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3-옥사졸리디닐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5-[2-옥사졸리닐]-펜틸 메타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N,N-디메틸 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 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예컨대 N-메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에폭사이드-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비닐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2,4-헥사디에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펜테닐 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록시디메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벤질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직쇄 또는 분지형 할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아크릴레이트,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말단 알켄 (예컨대 1-부텐, 1-헥센, 비닐-사이클로헥센); 아르알켄 (예컨대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4-메틸 스티렌, 4-메톡시 스티렌); 헤테로환형 알켄 (예컨대 2-,3-, 또는 4-비닐 피리딘 및 N-비닐 이미다졸); 디엔 (예컨대 부타디엔, 이소프렌,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할라이드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 에스테르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비닐 케톤 (예컨대 메틸 비닐 케톤); 비닐 아미드 (예컨대 N-비닐 포름아미드, N-비닐 아세타미드); 비닐 이소시아네이트; 비닐 작용기를 함유하는 알데하이드 (예컨대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및 이들의 아세탈 유도체); 에폭시알켄 (예컨대 3,4-에폭시부트-1-엔); 비닐 작용기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퓨마로니트릴)를 함유하는 시아노; 비닐 실란 및 알콕시비닐-실란 (예컨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틸실란, 비닐디에톡시메틸실란); 불포화 디에스테르 (예컨대 디메틸말레이이트, 디부틸푸마레이트, 디에틸 이타코네이트); 및 기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이소시아노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아세토 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AOPA])을 포함하는 메타크릴산의 C1 - C20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이들 중합성 용매는 하이드록시-함유종 즉,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반응 물질과 함께 올레핀 이중 결합을 통하여 마이클-타입 첨가를 수행하려는 이들의 경향 때문에 이 반응을 위하여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대상의 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근원적인 문제점은 이러한 마이클 반응을 통한 후자의 소비 때문에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물질에 대한 모노에스테르 수율 손실이다. 중합성 용매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반응 시스템에서, 모노에스테르 수율은 유지되었고, 많은 경우,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사용시, 실질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반응은 적어도 하나의 양성자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저분자량의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카복실산 용매가 최종 반응 혼합물의 10 내지 90 wt%의 동량으로 존재할 경우, 포스페이트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율은 순수하게 반응을 수행하는데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적절한 산은 C1 - C20 카복실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중합성 용매(들) 및 양성자성 유기 용매(들)는 공-용매로서 방법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 알킬 에스테르(들) 및/또는 양성자성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이 반응 시스템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용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양성자성 유기 용매의 사용은 배수적 선택성 상승을 달성하기 위한 반응의 온도를 낮추는 것을 결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비율에서 각각 달성된 상대적 증가는 67% 및 17%이었고, 각각 i) 65℃ 내지 45℃의 순수 반응 온도를 감소시켰고 ii) 17 wt%의 반응 혼합물:순수 반응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존재 하에 65℃ 반응을 수행하였다. 17 wt%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45℃에서 반응 수행 시 결합 비율은 65℃에서의 순수 반응에 비해 105%이었고, 이는 온도 감소 및 단독 용매 사용에 대한 증가의 합계를 초과시켰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500 mL의 자켓, 유리 "수지 케틀" 반응 플라스크; 2단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포함하는 반응 장치를 조립하였다. 가열 및 냉각을 Thermo Scientific NESLAB RTE 740 순환 배스로 수행하였고, 반응기 자켓에 Dynalene HF-LO 열 전달 유체가 공급되었다. 배스 온도를 원하는 반응기 온도에 도달하도록 조정하였다. 2단 교반기는 하부 날 세트 (3-인치의 직경, 4-날, 45-도의 피치) 및 중간 날 세트 (2.5-인치의 직경, 3-날, 스웹 피치)로 구성되고, 이를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일직선 높이 3분의 2에 위치시켰다. 열전지, 스파지 가스 튜브 및 공급 튜브를 하부 교반기 날 세트의 거의 꼭대기에 위치시켰다. 냉각기를 건조 튜브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환기시켰다.
0.15 wt% 미만의 물을 갖는 분리 공급 용기에,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저장소를 1950 ppm 중량부 메톡시페놀을 포함하도록 조정하였다. 폴리인산 (115% 등급, 400 g)을 빈 반응 플라스크에 충진하였다. 이어서 8% 02/92% N2 혼합 가스의 10 sccm 흐름을 스파지 튜브를 통하여 반응기로 도입하였다. 교반기를 180 rpm으로 설정하였고, 폴리인산을 65℃로 가열하였다. 산 가열 후, 437 g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연동 펌프 및 공급 튜브를 통하여 반응기로 공급하였고, 이를 7 시간에 걸쳐 65℃에서 실행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은 추가의 6 시간 동안 65℃에서 고정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Supelco Inc. Discovery Bio Wide Pore C18 컬럼 (4.6 mm로 나눠진 25 cm, 5 ㎛ 매질) 및 자외선 검출기가 장착된 Agilent 1100 Series LC System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44.7 wt% 모노에스테르 및 10.5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6.53으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1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169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배제하고, 47.0 wt% 모노에스테르 및 9.43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7.64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2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302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배제하고, 47.9 wt% 모노에스테르 및 7.58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9.69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3
반응 생성물을, 218 g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418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200 g의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배제하고, 51.0 wt% 모노에스테르 및 7.24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10.8로 포함하였다.
비교 실시예 2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 및 고정 기간 동안의 반응 온도를 4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38.3 wt% 모노에스테르 및 5.37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10.9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4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169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2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배제하고, 41.4 wt% 모노에스테르 및 4.75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13.4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5
반응 생성물을, 218 g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418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200 g의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2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배제하고, 45.9 wt% 모노에스테르 및 4.31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16.3으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6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181 g의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2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배제하고, 38.1 wt% 모노에스테르 및 3.89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15.0으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7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175 g의 메타크릴산을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2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메타크릴산을 배제하고, 30.1 wt% 모노에스테르 및 2.20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21.0으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8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 및 고정 기간 동안의 반응 온도를 3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을 수행하기 위하여, 218 g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418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200 g의 폴리인산과 혼합시켰다. 반응 생성물은 40.0 wt% 모노에스테르 및 3.33 wt%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18.4로 포함하였다.
실시예 9
반응 생성물을,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에 앞서 169 g의 아세트산을 폴리인산과 혼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에서 제공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생성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아세트산을 배제하고, 45 wt% 이상의 모노에스테르 및 10 wt% 미만의 디에스테르를 상응하는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몰 비 6 이상으로 포함하였다.

Claims (9)

  1. 중합성 용매 또는 양성자성 유기 용매인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용매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폴리인산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하나의 C1 - C20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적어도 하나의 C1 - C20 카복실산 또는 이들 산의 혼합물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성 용매가 C1 - C20 카복실산,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 C20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 에스테르,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에폭사이드-함유(메트)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메트)아크릴레이트, 직쇄 또는 분지형 할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말단 알켄, 아르알켄, 헤테로환형 알켄, 디엔, 비닐 할라이드, 비닐 에스테르, 비닐 케톤, 비닐 아미드, 비닐 이소시아네이트; 비닐 작용기를 포함하는 알데하이드, 에폭시알켄, 및 비닐 작용기를 포함하는 시아노, 비닐 실란 및 알콕시비닐-실란, 불포화 디에스테르 및 기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의 혼합물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 알킬 에스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양성자성 유기 용매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이 배치 반응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이 연속성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이 40℃ 이하의 온도에서 일어나는 방법.
KR1020100027197A 2009-03-30 2010-03-26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KR101248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142009P 2009-03-30 2009-03-30
US61/211,420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32A true KR20100109432A (ko) 2010-10-08
KR101248233B1 KR101248233B1 (ko) 2013-03-27

Family

ID=4182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97A KR101248233B1 (ko) 2009-03-30 2010-03-26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49365A1 (ko)
EP (1) EP2236528B1 (ko)
JP (1) JP5231469B2 (ko)
KR (1) KR101248233B1 (ko)
CN (2) CN102643388B (ko)
AT (1) ATE518892T1 (ko)
TW (1) TWI4145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36B1 (ko) * 2009-03-30 2013-03-27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4398B (zh) * 2016-09-08 2020-10-30 上海金兆节能科技有限公司 聚甲基丙烯酸磷酸酯及其制备方法和用该酯制备铝浇铸结晶器脱模油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96967A (ko) * 1959-11-12
US3574794A (en) * 1968-01-22 1971-04-13 Dow Chemical Co Acrylic or methacrylic esters of hydroxyalkyl phosphate ester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3626035A (en) * 1968-11-05 1971-12-07 Textilana Corp Surface active nonionic 2-hydroxyalkyl 3-alkoxy-2-hydroxyalkyl phosphate esters
US3686371A (en) * 1969-05-22 1972-08-22 Tadashi Hasegawa Method for producing copolymerizable compound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phosphoric acid
US3855364A (en) 1973-01-05 1974-12-17 Alcolac Inc Phosphate esters of hydroxyalkyl acrylates and hydroxyalkyl methacrylates
NL161769C (nl) * 1975-09-25 1980-03-17 Synres Internationaal Nv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stabiele waterige emulsies van additiepolymeren en copolymeren.
NL160278C (nl) * 1975-09-25 1979-10-15 Synres Internationaal N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waterige emulsies van additiepolymeren.
JPS57134493A (en) * 1981-02-12 1982-08-19 Sankin Kogyo Kk Phosphoric ester derivative
JPS60120774A (ja) * 1983-12-05 1985-06-28 Okura Ind Co Ltd 接着性と保存安定性に優れた二液型アクリル系接着剤
EP0842651B1 (de) * 1996-11-14 2003-03-12 Ernst Mühlbauer GmbH & Co.KG Primer zur Vorbereitung einer Zahnkavität für eine Kompositfüllung
WO2002088151A1 (fr) * 2001-04-27 2002-11-07 New Japan Chemical Co., Ltd. Ester phosphorique polymerisabl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lui-ci
AU785282B2 (en) * 2001-06-20 2006-12-21 Rohm And Haas Company Coating with improved hiding, compositions prepared therewith,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03146992A (ja) 2001-11-13 2003-05-21 Kyoeisha Chem Co Ltd 不飽和基含有燐酸エステルモノ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重合性樹脂組成物
WO2005080454A1 (ja) * 2004-02-24 2005-09-01 Uni-Chemical Co., Ltd. リン系酸残基含有(メタ)アクリルアミド、それを用いた重合体とその用途、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001863A (ja) * 2004-06-16 2006-01-05 New Japan Chem Co Ltd 重合性リン酸エステル及び該リン酸エステルを含有してなる光硬化性樹脂組成物
WO2006006732A1 (ja) * 2004-07-15 2006-01-19 Kao Corporation リン酸エステル系重合体
JP2007131543A (ja) * 2005-11-08 2007-05-31 Kao Corp リ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7131663A (ja) * 2005-11-08 2007-05-31 Kao Corp 重合性リン酸エステル組成物
JP4021460B2 (ja) * 2005-12-26 2007-12-12 花王株式会社 重合性リ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4499032B2 (ja) * 2005-12-27 2010-07-07 花王株式会社 重合性リ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GB2449159B (en) * 2007-04-24 2009-10-28 Kansai Paint Co Ltd Production method of pigment-dispersing resin
JP5309049B2 (ja) * 2009-03-30 2013-10-0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重合性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36B1 (ko) * 2009-03-30 2013-03-27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4514B (zh) 2013-11-11
EP2236528A1 (en) 2010-10-06
KR101248233B1 (ko) 2013-03-27
EP2236528B1 (en) 2011-08-03
JP2010235586A (ja) 2010-10-21
CN101864012B (zh) 2012-05-30
CN101864012A (zh) 2010-10-20
US20100249365A1 (en) 2010-09-30
JP5231469B2 (ja) 2013-07-10
TW201035040A (en) 2010-10-01
CN102643388B (zh) 2014-07-02
ATE518892T1 (de) 2011-08-15
CN102643388A (zh)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0704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meth)acrylate syrup
JP2022081593A (ja) (メタ)アクリレートの製造方法
WO2012054616A2 (en) Synthesis of methylene malonates substantially free of impurities
US4771117A (en) Polymerization of acrylic esters
EP0542877B1 (en) Polymerisation of vinyl monomers with a new catalytic system
KR101248233B1 (ko)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CN107922518A (zh) 在单侧末端上具有取代基的(甲基)丙烯酸类聚合物的制造方法
KR101248236B1 (ko) 개선된 중합성 조성물
JP5260310B2 (ja) アルキルイミダゾリドン(メタ)アクリレートをベースにした組成物
EP3798205B1 (en) Bio-based acrylate monomer
JP2006257138A5 (ko)
EP2928901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osphonic acid monomers
JPH02187411A (ja) フッ素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JP2022068561A (ja) ラクトン変性ヒドロキシアルキル(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化合物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197344A (zh) 聚合物制造方法,自由基聚合用组成物及自由基聚合调控剂
JP2022149812A (ja) ビニルエーテル基含有アクリル酸エステル重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