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573A - 일회용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573A
KR20100108573A KR1020107016757A KR20107016757A KR20100108573A KR 20100108573 A KR20100108573 A KR 20100108573A KR 1020107016757 A KR1020107016757 A KR 1020107016757A KR 20107016757 A KR20107016757 A KR 20107016757A KR 20100108573 A KR20100108573 A KR 2010010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nge
change material
sheet
layer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952B1 (ko
Inventor
토모나리 타케우치
유키 호리에
사야카 코자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409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47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51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12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49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50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51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524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0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물품표면에 있어서 큰 온도변화를 발휘할 수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와 액불투과성 시트(11) 사이에 흡수요소(50)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흡수 부분을, 고간부를 포함한 부위에 구비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적어도 표면측층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56)의 표면에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입자형상의 온도변화물질(40)을 산포하고, 온도변화물질(4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한 소변을 흡수체(56)의 표면측층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일회용 흡수성 물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이른바 배변 트레이닝에 이용되는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흡수 패드 등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레이닝용 일회용 기저귀로는 장착자에게 배뇨를 지각시키기 위해 소변을 피부에 접촉시켜 습윤에 의한 불쾌감을 강조하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피부의 짓무름에서 발진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점에서, 소변을 피부로부터 멀리하면서 장착자에게 배뇨를 지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소르비톨 등과 같이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에 온도변화를 가져오는 물질의 이용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소르비톨 등의 온도변화물질을 포함한 부재를 흡수요소(흡수성 조립체)의 신체측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침투성층과 불침투성층 사이에 소르비톨 등의 온도변화물질을 끼워 이루어지는 요소를 흡수성 코어 상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92272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830901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이 흡수요소 내부에 들어가 이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변량이 많을수록 신체와 접촉하는 물품 표면에서의 온도변화가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이 불침투성층 위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기 때문에, 소변량이 많아지면 온도변화물질에 의한 냉각 또는 가열이 그것을 따라잡을 수 없어 배뇨시의 소변온도로부터의 변화가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물품 표면에 있어서 큰 온도변화를 발휘할 수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이면측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와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흡수체 포피시트로 싸서 이루어지는 흡수요소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흡수 부분을, 고간부를 포함한 부위에 구비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온도변화층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흡수체는 이면측보다 표면측 쪽이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고, 그 표면상에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변화물질을 함유하는 온도변화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배뇨시에 표면 시트를 투과한 소변은 처음에는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에 신속하게 흡수체와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온도변화층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또는 흡수체의 표면측층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로 유지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온도변화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체와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온도변화층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또는 흡수체의 표면측층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가 포화된 후에는, 온도변화물질의 감소 등에 의해 소변의 냉각 또는 가열이 불충분해지더라도 그 소변은 흡수체와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온도변화층 내 또는 흡수체의 표면측층에서 흡수 유지되지 않고 흡수체 내에서 이면측으로 이동한다. 즉, 충분히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은 흡수체와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온도변화층 내의 고흡수성 폴리머 또는 흡수체의 표면측층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 유지되고, 냉각 또는 가열이 불충분해진 소변은 흡수체와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온도변화층 또는 흡수체의 표면측층에 유지되지 않고 이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에 의한 냉각 또는 가열의 효과가 물품 표면측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물품 표면에 큰 온도변화가 초래되게 된다. 그리고 소변은 고흡수성 폴리머 중에 유지되고 표면 시트를 투과한 소변이 피부측으로 역류되기 어렵기 때문에, 보송보송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어 피부에 대한 부담도 적어진다.
특히 흡수체는 이면측보다 표면측 쪽이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을 흡수체의 표면측에 보다 많이 유지할 수 있어, 물품 표면에서의 온도변화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화층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경우, 온도변화층에 공급된 소변은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다른 부재에 전열되지 않고 신속히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될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이 피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물품 표면에서의 온도변화가 한층 더 양호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체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해 중앙측으로 이간되어 있고, 그 전후 양측 및 폭방향 양측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을 구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소변은 흡수 부분에서 물품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 중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주위에 확산되는 분을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표면의 보다 광범위하게 큰 온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액투과성 표면 시트는 두께가 0.5㎜ 이하 또 단위면적당 중량 10∼40g/㎡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체 포피시트는 두께가 0.2㎜ 이하 또 단위면적당 중량 5∼25g/㎡의 크레이프지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상기 온도변화층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과 겹치는 부분에는 다른 부재를 가지지 않는 것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은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소변을 냉각하는 것이며, 또 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g 이상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300∼800g/㎡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면적은 2,500∼20,000㎟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상기 흡수체에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의 총량은 50cal 이상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단위면적당 열량변화는 1cal/㎠ 이상이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속도가 50초 이하이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400g/㎡이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면적은 2,500∼20,000㎟인 청구항 2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고, 이러한 종류, 성능 및 양의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속도란 2g의 시료가 50g의 생리 식염수를 흡수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며, JIS K 7224-1996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이다(이하 동일).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온도변화층의 하층에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구비된 청구항 3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성 조립체의 표면측에 액체투과성의 온도변화부재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배치한 소변 등의 수분은 액체투과성의 온도변화부재의 층을 통과한 후, 그 하층의 흡수성 조립체에 신속하게 이동해 버린다. 이 때문에 온도변화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온도변화한 소변 등의 수분은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흡수성 조립체의 펄프나 폴리머에 흡수 유지되어 착용자에게 온도변화를 감지시키는 것이 불충분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서는 투액성층과 불투액성층 사이에 온도변화물질이 끼워진 온도변화요소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회째 배뇨에 대해서는 소변이 불투액성층 표면을 X-Y평면으로 이동하여 온도변화물질을 적시고 온도변화가 효율적으로 행해져 착용자에게 온도변화를 충분히 감지시키게 되어 있지만, 반복해서 2회째 이후의 배뇨가 있었을 경우, 1회째 배뇨시에 이미 대부분의 온도변화물질이 용해되어 충분한 온도변화 효과를 얻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불투액성층에 소변이 체류하여 흡수성 코어에 대한 흡수가 저해되고, 그에 따른 소변 샘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온도변화층과 그 하층에 구비되는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과의 2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1회째 배뇨시에 수용성 물질이 액체에 용해되기까지는 일정한 용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이용하여 소변을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의 상층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변이 즉시 흡수체에 흡수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층에 포함되는 온도변화물질과의 접촉이 충분히 행해져 확실한 온도변화가 생김과 함께, 이 온도변화를 착용자에게 확실히 감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용성 물질은 1회째 배뇨시의 소변에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반복해서 2회째 이후의 배뇨가 있어도 흡수체에 대한 소변의 흡수를 저해하지 않고 샘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상기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수용성 물질을 주원료로 한 성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상기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수용성 물질을 담지시킨 투액성의 시트형상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 중, 적어도 상기 고간부로부터 상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에 상기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고, 또 상기 흡수체에서의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 주위에는 상기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지 않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종래의 기술에서는 온도변화물질이 분립체 형상 그대로 고정되지 않고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유통과정 또는 사용 중에 온도변화물질이 소정 부위로부터 이동하여 온도변화물질에 대한 소변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온도변화가 신체에 대해 충분히 전달되지 않거나 하여 온도변화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온도변화물질 함유부분이 주름 등의 변형에 의해 신체에 피트되지 않아 온도변화물질 함유부분으로의 소변공급이 불충분해지는 것에 의해 온도변화가 불충분해지거나 또는 온도변화의 신체로의 전달이 불충분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 중 적어도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에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어 있으면 적어도 이 부분에는 온도변화물질이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또한, 흡수체에서의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은 그 주위의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지 않은 부분과 비교해 탄성(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을 확실히 유지하는 온도변화물질 융착부분에 주름이나 꺾임 등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이 신체에 양호하게 피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변화물질에 대해 충분한 양의 소변이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되어 소기의 온도변화가 발생함과 함께, 그 온도변화가 신체에 대해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융착"이란 온도변화물질이 용융 상태로 대상(흡수체)에 부착된 후에 고화하여 고화체가 대상에 고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고간부란 전개상태에서 배쪽 부분의 허리 끝 가장자리로부터 등쪽 부분의 허리 끝 가장자리까지의 전후방향 중앙을 의미하며, 그것보다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이 배쪽 부분 및 등쪽 부분을 각각 의미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전개상태에서의 배쪽 부분의 허리 끝 가장자리로부터 배쪽 부분의 허리 끝 가장자리까지의 전후방향 길이로서 정해지는 제품길이를 L로 했을 때,
적어도 상기 배쪽 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간측에 0.15∼0.80L의 범위에 걸쳐 상기 흡수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배쪽 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간측에 0.25∼0.45L의 범위에 걸쳐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이러한 치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남녀의 배뇨위치에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즉, 배뇨시에 소변이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에 확실히 닿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은 서혜부를 따라 또 서혜부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허리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을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간부에서의 세로주름 및 서혜부를 따른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피트성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
상기 흡수체의 고간부에 다리 둘레를 따른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개상태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전후방향 길이를 Y, 폭을 X로 했을 때, 상기 조임부 전후방향 길이가 0.2∼0.3Y이고, 상기 조임부에서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폭이 0.6∼0.75X이며,
상기 배쪽 부분에서의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은 0.4∼0.7X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 중 상기 폭이 확대되는 부분의 고간측 끝이 상기 조임부의 가장 폭의 좁은 부분과 동위치이거나 또는 그것보다 배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후단은 상기 조임부의 후단과 동위치 또는 그것보다 등쪽에 위치함과 함께, 그 폭이 상기 배쪽 부분에서의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의 0.7배 이하이고, 또 0.5X 이하인 청구항 9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흡수체의 고간부에 다리 둘레를 따른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양 가랑이 부분과 고간부의 피트성이 높아져 고간부에서의 세로주름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그 경우, 각 부의 치수는 본 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의 치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흡수체가 다리 둘레에 피트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쪽 부분에서의 융착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이 상기 범위 내에 있고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 중 폭 확대 부분의 고간측 끝이 상기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보행으로 인해 서혜부를 따라 발생하는 주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후단을 상기 범위 내로 억제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둔감한 엉덩이측에 불필요하게 온도변화물질을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 후단의 폭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고간부에서의 세로주름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
상기 흡수요소와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된 청구항 3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종래의 기술에서는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의 일부가 물품 외면에 가까운 부분으로 이동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 기온의 영향으로 냉각된 소변이 따뜻해지거나 또는 가열된 소변이 냉각되어 온도변화가 충분히 착용자에게 전해지지 않아, 의도한 트레이닝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요소의 이면측이 단열층에 의해 덮여 있으면, 표면 시트를 투과한 소변이 온도변화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됨과 함께 흡수체에 유지되고 그 온도가 장착자의 신체에 전달되어, 장착자에게 배뇨를 지각시킬 때, 외부 기온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한 여름이나 겨울의 난방장치 부근)나 낮은 경우(겨울 옥외 등)에도 흡수체에 유지된 소변의 온도가 유지되어 원하는 온도변화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
상기 흡수체는 섬유밀도가 2.25∼6.75g/㎥인 섬유집합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층은 섬유밀도가 0.5∼1.5g/㎥인 섬유집합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수체의 섬유밀도가 상기 단열층의 섬유밀도의 4.5배 이상인 청구항 11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흡수체 및 단열층이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흡수체에 흡수된 소변이 단열층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온도변화한 소변을 신체에 가까운 부분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단열층이 소변을 유지하는 것에 의한 단열성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
상기 단열층은 상기 흡수체와는 별도로 상기 단열층보다 섬유밀도가 높은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층 포피시트에 의해 싸여 있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단열층이 이러한 섬유집합 시트에 의해 싸여 있으면, 흡수체를 투과한 소변이 단열층측에 도달했다고 해도 그 소변이 섬유집합 시트에 흡수 유지되어 단열층 내에 유지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
상기 단열층은 상기 흡수체의 이면중 50% 이상의 면적을 덮고 있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단열층은 흡수체의 일부만(예를 들면 고간부만 등) 덮고 있어도 되지만, 흡수체의 이면 중 50% 이상의 면적을 덮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고 충분한 단열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표면에 있어서 큰 온도변화를 발휘할 수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이 되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만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만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품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품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의 6-6선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34) 부분을 확대한 흡수성 본체(10)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온도변화에 관련된 구조의 다른 형태예이다.
도 17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만 치수와 함께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2는 가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가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가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가열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27은 도 1의 6-6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의 7-7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1의 8-8선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1은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4는 다른 형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5는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36은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트레이닝 팬티)의 예를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나 패드형 흡수성 물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 구조예>
도 1 내지 도 9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이란 배쪽(전측)과 등쪽(후측)을 잇는 방향(세로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이란 기저귀의 장착 상태, 즉 기저귀의 배쪽과 등쪽이 겹쳐지도록 기저귀를 고간부에서 둘로 접은 상태로 허리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바꿔 말하면 허리 개구부(WO)측과 고간부측을 잇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는 장착자의 허리둘레 중 배쪽을 덮는 배쪽 외장 시트(12F)와 등쪽을 덮는 등쪽 외장 시트(12B)를 가지고 있으며, 배쪽 외장 시트(12F)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와 등쪽 외장 시트(12B)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히트 실이나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용착접합되어 통 형상의 허리둘레부(1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12A는 개개의 용착부를 나타내고 있고, 이 용착부(12A)군이 사이드 실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시한 형태와 같이 등쪽 외장 시트(12B)가 용착부(12A)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부분까지 포함한 상하방향 범위에 일체적으로 히트 실 등의 가공을 하여 등쪽 연장부(14)에 연장 용착부(12E)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 용착부(12E)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등쪽 연장부(14)의 제2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6)의 당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옆 쪽이 찢어지기 쉬운 점을 고려하여 용착부(12A)는 작은 용착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용착부(12A)에서의 용착면적의 비율이 낮은 접합 패턴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장 용착부(12E)에서는 찢어지기 쉬운 점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착패턴은 용착부(12A)보다 용착면적의 비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6)가 확실히 용착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장 용착부(12E)는 엉덩이부 커버부(14C)의 가장자리부를 커브한 라인으로 용착하여 엉덩이부 커버부(14C)의 제2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6)의 당김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허리둘레부(100)에서의 배쪽 외장 시트(12F)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내장체(200)의 전단부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등쪽 외장 시트(12B)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내장체(200)의 후단부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배쪽 외장 시트(12F)와 등쪽 외장 시트(12B)가 고간측에서 연속되지 않고 이간되어 있다. 이 이간거리(Y)는 150∼250㎜ 정도로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배쪽 외장 시트(12F)와 등쪽 외장 시트(12B)가 고간부에서 연속한 형태, 즉 배쪽으로부터 등쪽까지를 일체적인 외장 시트에 의해 연속으로 덮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리둘레부(100)의 상부 개구는 장착자의 몸통을 통과시키는 허리 개구부(WO)가 되고, 내장체(200)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허리둘레부(100)의 아래가장자리 및 내장체(200)의 측 가장자리에 의해 각각 둘러싸이는 부분이 다리를 통과시키는 다리 개구부(LO)가 된다. 각 용착부(12A)를 떼 내어 전개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시계 형상을 이룬다. 내장체(200)는 배쪽으로부터 고간부를 거쳐 등쪽까지를 덮도록 연장되는 것으로, 배설물을 받아 액분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부분이며, 허리둘레부(100)는 내장체(200)를 장착자에 대해 지지하는 부분이다.
(외장 시트)
배쪽 외장 시트(12F) 및 등쪽 외장 시트(12B)는 도 4 및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 자재(12, 12)를 2장 맞붙인 것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시트형상 자재(12)는 허리 개구부(WO)의 가장자리까지밖에 연장되어 있지 않지만,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시트형상 자재(12)는 내측 시트형상 자재(12)의 허리측 가장자리를 감싸 돌아 그 내측으로 접혀 있으며, 이 되접은 부분(12r)은 내장체(200)의 허리측 단부 위까지를 피복하도록 연장되어 대향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시트형상 자재(12)로는 용착에 의해 접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 등이나, 이들 중에서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섬유, 복합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으로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평량은 10∼3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쪽 외장 시트(12F) 및 등쪽 외장 시트(12B)에는 허리둘레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양 시트형 자재(12, 12) 사이에 실고무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19)가 소정의 신장률로 형성되어 있다.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19)로는 합성고무를 이용해도 되고 천연고무를 이용해도 된다. 각 외장 시트(12F, 12B)의 양 시트형 자재(12, 12)의 맞붙이기나 그 사이에 끼워지는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19)의 고정에는 핫멜트 접착 또는 히트 실이나 초음파 접착을 이용할 수 있다. 외장 시트(12F, 12B) 전체면을 강고하게 고정하면 시트의 촉감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을 조합하여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19)의 접착은 강고하게 하고 그 외의 부분은 접착하지 않거나 약하게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쪽 외장 시트(12B)는 용착부(12A) 군에 의한 사이드 실부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13)와, 이 등쪽 본체부(13)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등쪽 연장부(14)를 가지고 있다. 등쪽 연장부(14)는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14M)와, 그 양측으로 연장된 엉덩이부 커버부(14C)를 가지고 있다.
등쪽 연장부(14)의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등쪽 연장부(14)의 상단부는 등쪽 본체부(13)와 같은 폭으로 등쪽 본체부(13)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측은 고간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이 좁아지고 있다. 등쪽 본체부(13)와 같은 폭인 부분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엉덩이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14e)가 고간측에 가까워짐 따라 내장체(200)측에 가까워지는 직선상 또는 곡선상을 이루게 되어 엉덩이부를 덮기 쉬운 형상이 된다.
등쪽 연장부(14)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엉덩이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길이(14x)(엉덩이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14e)와 내장체(200)의 측 가장자리와의 폭방향의 최대 이간거리)가 80∼160㎜이며, 엉덩이부 커버부(14C)의 상하방향의 길이(14y)(연장 길이)가 30∼8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등쪽 연장부(14)의 폭방향에서 가장 넓은 부위와 상하방향에서 가장 넓은 부위에 의해 정해지는 사각형의 면적을 S라 하면, 등쪽 연장부(14)의 면적은 S에 대해 20∼80%, 특히 40∼60% 정도이면 엉덩이부의 외관 및 장착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등쪽 본체부(13)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개념적으로 상단부(허리부)(W)와 이것보다 하측인 하측 부분(U)으로 나눌 수 있고, 그 범위는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단부(W)의 상하방향 길이는 15∼80㎜, 하측 부분(U)의 상하방향 길이는 35∼220㎜로 할 수 있다.
등쪽 본체부(13)의 상단부(허리부)(W)에서의 내측 시트형상 자재(12)의 내측면과 외측 시트형상 자재의 되접은 부분(12r)의 외측면 사이에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등쪽 허리부 탄성 신축부재(17)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등쪽 허리부 탄성 신축부재(17) 중, 등쪽 본체부(13)의 하측 부분(U)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1개 또는 복수 개에 대해서는 내장체(200)와 겹쳐 있어도 되고,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해도 된다. 이 등쪽 허리 탄성 신축부재(17)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고무인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고무를 4∼12㎜의 간격으로 3∼22개 정도, 각각 신장률 150∼400%, 특히 220∼32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쪽 허리부 탄성 신축부재(17)는 그 모두를 동일한 굵기와 신장률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등쪽 허리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탄성 신축부재의 굵기와 신장률이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등쪽 본체부(13)의 하측 부분(U)에서의 내측 시트형상 자재(12)의 외측면과 외측 시트형상 자재(12)의 내측면 사이에는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1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고무인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고무를 1∼15㎜, 특히 3∼8㎜의 간격으로 5∼30개 정도, 각각 신장률 200∼350%, 특히 240∼30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쪽 연장부(14)에서의 내측 시트형상 자재(12)의 외측면과 외측 시트형상 자재(12)의 내측면 사이에는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적어도 엉덩이부 커버부(14C)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2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6)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2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6)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고무인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고무를 5∼40㎜, 특히 5∼20㎜의 간격으로 2∼10개 정도, 각각 신장률 150∼300%, 특히 180∼260%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쪽 외장 시트(12F)는 등쪽 외장 시트(12B)의 등쪽 본체부(13)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배쪽 본체부(용착부(12A) 군에 의한 사이드 실부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허리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을 이루며 등쪽 외장 시트(12B)와 같은 등쪽 연장부(14)를 가지지 않은 것이다.
즉, 배쪽 외장 시트(배쪽 본체부)(12F)의 상단부(허리부)(W) 및 하측 부분(U) 중, 상단부(W)에서의 내측 시트형상 자재(12)의 내측면과 외측 시트형상 자재(12)의 되접은 부분(12r)의 외측면 사이에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배쪽 허리부 탄성 신축부재(18)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배쪽 허리부 탄성 신축부재(18)는 등쪽 허리부 탄성 신축부재(17)에 대해 개수, 굵기, 신장률, 간격 및 상하방향 배치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하는 경우 개수의 차는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개 이하, 굵기의 차는 1880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470dtex 이하, 신장률의 차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간격의 차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한, 배쪽 외장 시트(12F)(배쪽 본체부)의 하측 부분(U)에서의 내측 시트형상 자재(12)의 외측면과 외측 시트형상 자재(12)의 내측면 사이에는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3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9)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3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9)의 상하방향 배치 범위는 하측 부분의 일부로 해도 되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9)로는 제1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와 개수, 굵기, 신장률, 간격 및 상하방향 배치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하는 경우 개수의 차는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개 이하, 굵기의 차는 1880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470dtex 이하, 신장률의 차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간격의 차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도시한 형태의 배쪽 외장 시트(12F)는 용착부(12A)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배쪽과 마찬가지로 용착부(12A)와 동일한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이 배쪽 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쪽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배쪽 외장 시트(12F)의 다리둘레 형상을 서혜부를 따라 피트시키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쪽 연장부의 면적은 등쪽 연장부 면적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쪽 연장부가 과도하게 크면 오히려 피트성을 해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 16 및 19)가,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면, 내장체(200)와 외장 시트(12F, 12B)가 벗겨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이 형태에는 폭방향 양측에만 탄성 신축부재가 존재하는 형태 외에 내장체(200)를 가로질러 그 폭방향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까지 탄성 신축부재가 존재하고 있으나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에서는 탄성 신축부재가 절단되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실질적으로는 탄성 신축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것과 동일함) 구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배쪽 본체부(13) 및 등쪽 연장부(14)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신축력이 작용하도록 제1, 제2 및 제3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15, 16 및 19)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장체(200)를 가로질러 그 폭방향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까지 형성할 수도 있다.
(내장체)
내장체(200)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도시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이다. 내장체(2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측이 되는 표면 시트(30)와, 액불투과성 시트(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요소(50)를 갖추고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11)의 이면측에는 내장체(200)의 이면 전체를 덮도록 혹은 배쪽 외장 시트(12F)와 등쪽 외장 시트(12B) 사이에 노출되는 부분 전체를 덮도록 고간부 외장시트(12M)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시트(30)와 흡수요소(50) 사이에 표면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요소(50)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피부에 대한 열전달이 저해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30)와 흡수요소(50) 사이에는, 적어도 후술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과 겹치는 부분, 바람직하게는 전체에 걸쳐 다른 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장체(200)의 양 옆으로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장체(200)의 양측에는 신체측으로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60, 6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내장체(200)의 각 구성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솔리드, 비즈 또는 스파이럴 도포 등에 의해 적절히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내장체(200)는 벨크로 테이프나 점착재를 이용해 외장 시트(12F, 12B)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표면 시트)
표면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유공(有孔) 또는 무공(無孔)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에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 등이나, 이들 중에서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섬유, 복합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으로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SMS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는 표면측으로부터의 온도변화를 감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스펀본드법이나 SMS법에 의해 가공된 부직포가 얇기와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점에서 적합하고, 에어스루법에 의해 가공된 부직포는 저평량이면서도 흡수가 빠르고 보송보송한 느낌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표면 시트(30)는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장 이상의 시트를 붙여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30)는 평면방향에 관해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장 이상의 시트를 붙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표면 시트(30)를 부직포로 구성하는 경우, 그 두께가 0.1∼3㎜ 정도, 특히 0.5㎜ 이하, 또 단위면적당 중량 10∼40g/㎡ 정도, 특히 25g/㎡ 이하이도록 구성하면 이면측으로부터 피부로의 전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배리어 커프스(60, 61)를 형성하는 경우, 표면 시트(30)의 양측부는 액불투과성 시트(11)와 배리어 커프스(60, 61) 사이를 통과하여 흡수요소(50)의 뒤쪽까지 돌아 들어가게 하고, 액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액불투과성 시트(11) 및 배리어 커프스(60, 61)에 대해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장체(200)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 밖에도 최근 염증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을 가지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불투액성 및 투습성을 가지는 소재의 시트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微)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데니어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한 방루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방수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액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불투과성 시트(11)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열성의 관점에서는 비교적 통기성이 낮은 무공 필름이나 미다공성 시트가 적합하다.
액불투과성 시트(11)는 방루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요소(50)의 양측을 돌아 들어가게 하여 흡수요소(50)의 표면 시트(30) 측면의 양측부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장체(200)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 연장부의 폭은 좌우 각각 5∼20㎜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톱 시트(11), 백 시트(12), 개더 부직포(16) 모두가 흡수체를 받아들이는 구조로 했지만, 흡수체(13)를 받아들이는 것은 백 시트(12)만이어도 되고, 어느 시트도 흡수체(13)를 받아들이지 않게 해도 된다. 받아들이는 것이 백 시트(12)만인 경우에는 톱 시트(11)나 개더 부직포(16)는 외장 시트(20)와 함께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는데, 외장 시트(20)가 액불투과성을 가지거나 또는 외장 시트(20)와 백 시트(12) 사이에 별도의 액불투과성 시트를 개재시키는 구성(이 액불투과성 시트는 표면 시트를 포함한 형상의 사각형 또는 모래시계 형상이 바람직하다)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백 시트(12)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에는 백 시트(12)와는 다른 액불투과성의 피복 시트가 흡수체 측부의 이면측에서 표면측까지 연장하여 측부를 사이에 두도록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11)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인쇄나 착색에 의한 디자인을 마련해도 된다. 그리고 액불투과성 시트(11)의 외측에 고간부 외장 시트(12M)와는 별도의 부재인, 인쇄 또는 착색된 디자인 시트를 붙여도 된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11)의 내측에 액분의 흡수에 의해 색이 변화하는 배설 인디케이터(8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 90은 사용후에 기저귀를 말아 고정하기 위한 이른바 후처리 테이프를 나타내고 있다.
(배리어 커프스)
배리어 커프스(60, 61)는 내장체(200)의 양측부를 따라 전후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모양 부재이며, 표면 시트(30) 위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변이나 무른 변을 차단해 옆 샘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체(200)의 좌우 각 측에서 이중으로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는, 도시와 같이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는 내장체(200)의 측부로부터 폭방향 중앙측으로 비스듬하게 기립하는 것이며, 외측 배리어 커프스(60)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폭방향 외측에 있어서 내장체(200)의 측부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가랑이측의 부분은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립하며, 중간부보다 선단측인 부분은 폭방향 외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립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는 내장체(200)의 전후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띠모양의 배리어 시트(62)를 폭방향으로 접어 둘로 겹침과 함께 접은 부분 및 그 근방의 시트 사이에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를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는 배리어 시트(62)에 대해 전후 단부에서는 고정되지 않고, 중간부에 있어서 배리어 커프스가 전후로 신축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62)로는 스펀본드 부직포(SS, SSS 등)나 SMS 부직포(SMS, SSMMS 등), 멜트블로 부직포 등의 유연하고 균일성·은폐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 실리콘 등으로 발수 처리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섬유 단위면적당 중량은 10∼3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온도변화물질을 측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측부로부터의 온도변화를 감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그리고 염증을 방지하기 위해, 평량을 억제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로는 실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펀덱스 실고무를 이용하는 경우는 굵기는 420∼1120dtex가 바람직하고, 620∼940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정시의 신장률은 150∼350%가 바람직하고, 20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둘로 접은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방수 필름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선단부에 1∼2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도 1~2개 배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부에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가 있으면 이것을 지점으로 하여 중간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친 범위에서 피부에 대해 면으로 닿기 쉬워진다. 중간부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배치 위치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높이(돌출부의 폭방향 길이)의 30~70% 범위가 바람직하다. 영유아용 종이기저귀에서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높이는 15∼35㎜ 정도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배치 범위는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으로 5∼25㎜의 위치가 바람직하고, 12∼18㎜의 위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선단부 및/또는 중간부에 각각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를 평행하게 마련하는 경우는 그 배치 간격(61d)은 2∼10㎜가 바람직하고, 2∼6㎜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 배리어 커프스(61) 중 폭방향에 있어서 접은 부분과 반대측의 단부는 내장체(200)의 측 가장자리부의 이면에 고정된 장착 부분(내측 장착 부분)(65)이 되고, 이 장착 부분(65) 이외의 부분은 장착 부분(65)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분(66)(접은 부분측의 부분이며, 내측 돌출 부분에 상당함)이 되고, 이 돌출 부분(66) 중 전후방향 양단부가 표면 시트(30)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나 히트 실에 의한 전후 고정부(67)에 의해 고정되고 전후방향 중간부가 비고정된 자유 부분(내측 자유 부분)이 되며, 이 자유 부분에 전후방향을 따르는 가늘고 긴 탄성 부재(63)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외측 배리어 커프스(60)도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지만, 그 장착 부분(외측 장착 부분)(68)이 내장체(200)의 이면측에서의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장착 부분(65)보다 폭방향 중앙측에 있어서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외면에 고정되는 점, 돌출 부분(외측 돌출 부분)(69) 중 전후방향 양단부가 장착 부분(68)으로부터 내장체(200)의 측부를 통과해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서의 내측 돌출 부분(66)의 전후방향 양단부의 표면까지 연장하고 또 내측 돌출 부분(66)의 전후방향 양단부의 표면에 고정된 가랑이측 부분과 이 가랑이측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접히고 또 가랑이측 부분에 고정된 선단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점,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배치 및 개수 등에 따라 다른 것이다.
단,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 대해서도 내측 돌출 부분의 선단부는 폭방향 외측으로 접히는 구조, 구체적으로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높이(돌출부의 폭방향 길이)의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면 외측 배리어 커프스(61)와 마찬가지로 선단측 부분이 폭방향 외측으로 접히고 또 가랑이부측 부분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해도 된다.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자유 부분(외측 자유 부분)에 형성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개수는 2∼6개가 바람직하고, 3∼5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치 간격(60d)은 3∼10㎜가 적당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를 배치한 범위에서 피부에 대해 면으로 닿기 쉬워진다. 선단측뿐만 아니라 가랑이측에도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를 배치해도 된다.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에 배치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굵기나 신장률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 준하지만, 굵기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굵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굵고, 신장률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신장률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 부분(66, 69)의 전후 고정부(67)의 전후방향 길이(L6)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가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동일하거나 또는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리어 커프스(60, 61)에서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전후방향 고정길이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가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동일하거나 또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부분(65)과 돌출 부분(66)의 경계는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서 동일한 위치여도 되지만,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경계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경계보다 폭방향 중앙측으로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간거리는 10㎜ 이내가 바람직하다.
외측 배리어 커프스(60)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장착 부분(68, 65)에서의 돌출 부분(66, 69)측 가장자리부에는 핫멜트 접착제나 히트 실에 의한 선상의 가랑이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고정부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해 적절한 패턴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선상의 가랑이고정부는 내장체(200) 표면측의 측부 근방(구체적으로는 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으로 0∼5㎜, 바람직하게는 0∼3㎜의 위치) 또는 이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리어 커프스를 표면측으로 접어 고정하고 있는 것은 실질적으로 전후방향 양단부뿐이기 때문에, 전후 고정부(67)에 의한 폭방향 중앙측으로의 규제가 충분히 작용하지 않는 고간부에 있어서는 외측 배리어 커프스(60)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1) 모두가 폭방향 외측을 향해 기립하여 내측 배리어 커프스(61)가 형성하는 포켓이 넓어진다. 표면측에서 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으로 5㎜를 넘어 선상의 가랑이고정부가 위치하면, 고간부에서도 배리어 커프스가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 기립하여 내측 배리어 커프스(61)가 형성하는 포켓이 좁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면측에 위치하는 경우는 내장체(200)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0∼20㎜의 위치가 적당하지만, 20㎜를 넘어 위치해도 된다.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장착 부분(68, 65)의 고정 대상은 내장체(200)에서의 표면 시트(30), 액불투과성 시트(11), 흡수요소(50) 등 적절한 부재로 할 수 있고, 또 어느 일방의 배리어 커프스를 통해 타방의 배리어 커프스를 내장체(200)에 대해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에서는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부재(63)의 수축력이 전후방향 양단부를 가깝게 하도록 작용하지만, 돌출 부분(66, 69) 중 전후방향 양단부가 기립하지 않게 고정되는데 반해, 그것들 사이는 비고정된 자유 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 부분만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측에 맞닿도록 기립한다. 특히 장착 부분(68, 65)이 내장체(200)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고간부 및 그 근방에서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폭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기립하기 때문에,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다리둘레에 면으로 맞닿게 되어 피트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고간부의 전후 양측(배부 및 등부)에 있어서는 전후 고정부(67)에 의해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폭방향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규제되기 때문에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는 높게 기립하고,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하반부도 마찬가지로 기립하기 때문에 배부 및 등부에서의 내장체(200) 양 옆으로부터의 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돌출 부분(66)에서의 전후 고정부(67)는 접히지 않고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돌출부 부분(68)에서의 전후 고정부(67)는 밖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에서의 내측 및 외측 자유 부분간의 이간 상태가 유지되고,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넓은 간격으로 확실히 기립하여 각각이 다리둘레에 피트되기 때문에 샘 방지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영유아용 종이기저귀의 경우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기립 높이(전개상태에서의 돌출 부분(66)의 폭방향 길이)(W5)는 10∼50㎜, 특히 15∼35㎜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 높이(전개상태에서의 돌출 부분(69)의 폭방향 길이)(W6)는 15∼60㎜, 특히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를 표면 시트(30) 표면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의 선단간 이간거리(W4)는 60∼170㎜, 특히 7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배리어 커프스(60)를 표면 시트(30) 표면과 평행이 되도록, 평탄하게 접은 상태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접은 선 간의 이간거리(W3)는 60∼190㎜, 특히 70∼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형태와 달리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 중 어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흡수요소)
본 예의 흡수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의 전체를 싸는 흡수체 포피시트(58)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흡수체 포피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56)는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집합체로는 면상 펄프나 합성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층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합성섬유의 토우(섬유다발)를 필요에 따라 개섬해서 얻어지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액유지성의 관점에서는 친수성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된 섬유가 바람직하다. 섬유 단위면적당 중량으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고,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섬유여도 되지만 권축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섬유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흡수체(56) 중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56)는 직사각형이어도 되지만, 도 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부(56F), 후단부(56B)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며 전단부(56F) 및 후단부(56B)에 비해 폭이 좁은 조임부(56N)를 가지는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흡수체(56) 자체와 배리어 커프스(60, 61)의 다리둘레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치수로는 흡수체 전단부(56F)의 전후방향 길이를 L1로 하고, 흡수체(56)와 배쪽 외장 시트(12F)의 겹침 부분에서의 전후방향 길이를 L2로 하고, 흡수체 후단부(56B)의 전후방향 길이를 L3으로 하고, 흡수체(56)와 등쪽 외장 시트(12B)의 겹침 부분에서의 전후방향 길이를 L4로 하고, 조임부(56N)의 최소폭을 W1로 하고, 흡수체 전단부(56F)의 폭 및 흡수체 후단부(56B)의 폭을 W2로 했을 때, 하기의 식 (1)∼(4)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70㎜≤W1<W2≤190㎜ ...(1)
0.5≤W1/W2≤0.85 ...(2)
0㎜≤L1-L2≤70㎜ ...(3)
0㎜≤L3-L4≤50㎜ ...(4)
W1 및 W2가 너무 좁으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불안정해지고 흡수량이 불충분해지며, 너무 넓으면 피트성의 저하로 인해 장착감이 악화된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고간부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장착 부분(65) 근방에 흡수체(56)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폭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기 쉬우며 피부에 대해 면으로 닿기 쉬워져, 다리의 움직임에 대한 피트면의 추종성도 향상된다. 전후 양측에서는 내장체(200) 측부의 흡수체(56)가 충분한 범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을 기점(지점)으로 하여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안정된다. 전후 양측으로부터 고간부에 이르는 부분은 배리어 커프스(60, 61)가 내장체(20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폭방향 내측으로 기립한 자세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벌어져 가는 변위부이며, 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세 변화가 내장체(200) 측부까지 존재하는 흡수체(56)에 의해 지지되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전체적인 기립 형상이 안정된다.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 조임부가 너무 커지면, 고간부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유도가 너무 높아져 오히려 다리둘레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으며, 또 고간부의 전후 양측에서도 기점(지점)이 없기 때문에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조임부가 너무 작아지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유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조임부(56N) 전체의 전후방향 길이(L7)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260㎜로 된다. 조임부(56N)의 전후방향 길이(L7)가 너무 짧으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유도가 저하함과 함께 흡수체(56)의 다리둘레에 대한 피트성이 저하되어 다리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며, 너무 길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안정되지 않게 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000㎛ 이하, 특히 150∼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이 있고,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는 통상 이용되는 분립체 형상인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항균 물질과 일체화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교환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은이온으로 치환하여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입자(이하, 이것을 항균소취성 제올라이트라고 한다)를 고흡수성 폴리머 중에 함유시키거나 혹은 항균소취성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항균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는 흡수속도가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흡수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나와 버리는 이른바 역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에도 액흡수 후의 끈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800g/㎡로 할 수 있고, 특히 100∼40g/㎡가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50g/㎡ 미만이면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80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된다.
필요하다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서 산포 밀도 혹은 산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산포량이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하는 경우, 남아용은 전측의 산포 밀도(양)를 높이고 여아용은 중앙부의 산포 밀도(양)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포트 형상)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후술하는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온도변화된 소변을 피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흡수속도가 5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흡수속도가 느리면 온도변화된 소변의 대부분이 흡수되지 않고 이면측으로 통과해 버린다.
흡수체(56)를 한 장의 흡수체 포피시트로 싸는 경우, 착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온도변화를 전달시키기 위해 신체측의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맞춤부의 겹침 폭(58W)을 온도변화물질의 배치 영역의 폭(40W)보다 좁게, 또 치수가 40㎜ 이하, 특히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맞춤부는 배뇨구에 맞닿는 폭방향의 중앙을 포함하지 않도록 측부쪽에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신체측의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맞춤부의 시트의 겹침부가 후술하는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0)과는 겹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포피시트)
흡수체 포피시트(58)를 이용하는 경우, 그 소재로는 티슈,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및 흡수체 포피시트 내에 온도변화물질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온도변화물질도) 빠져 나오지 않는 촘촘한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측에서의 온도변화를 감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얇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낮은 것이 적당하다. 두께는 0.05∼3㎜ 정도, 특히 0.2㎜ 이하, 또 단위면적당 중량 5∼25g/㎡ 정도, 특히 15g/㎡ 이하이면 이면측으로부터 피부로의 전열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펀본드법이나 SMS법에 의해 가공된 부직포, 특히 SMS법에 의해 가공된 부직포가 얇기와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점에서 적합하고,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간부 외장 시트)
내장체(200)의 이면측에는 제품 외면에 노출하는 고간부 외장 시트(12M)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간부 외장 시트(12M)의 소재로는 배쪽 외장 시트(12F) 및 등쪽 외장 시트(12B)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고강도의 소재나 소취제를 함유하는 것 등 배쪽 외장 시트(12F) 및 등쪽 외장 시트(12B)와는 다른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PP, PP/PE, PP/PET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포인트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 혹은 여기에 소취제 등을 첨가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고간부 외장 시트(12M)에는 좌위일 때 높은 체압이 가해진다. 따라서 마찰 견뢰도가 높은(보풀이 일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인쇄나 착색을 하여 디자인 요소를 구비한 시트로 해도 된다. 전술한 디자인 시트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디자인이 겹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간부 외장 시트(12M)로서 신축 부직포를 이용하고, 내장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시켜 붙이면 고간부의 피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고간부 외장 시트(12M)가 폭방향 측부로부터 신체 측면까지 돌아들어가 배리어 시트(62)의 외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으면, 내장체(200)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고간부 외장 시트(12M)에 강도(탄성도)가 높은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클라크법(JISL1096C법)에 의해 측정되는 강연도(剛軟度)의 시트 MD방향과 CD방향 합이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인 시트를 이용하면 된다.
도시예에서는 배쪽 및 등쪽 외장 시트(12F, 12B)와 내장체(200)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내장체(200)와 배쪽 및 등쪽 외장 시트(12F, 12B) 사이에 끼워져 있지만, 배쪽 및 등쪽 외장 시트(12F, 12B)의 외측에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내장체(200)의 이면 및 배쪽 및 등쪽 외장 시트(12F, 12B)의 내면 혹은 외면에 붙어 있다.
<특징 부분에 대해>
본 발명은 피부에 가까운 영역에서 소변을 온도변화물질(4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한 후, 고흡수성 폴리머로 흡수 유지한다고 하는 생각에 기초한 것이며, 그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요소(50)에서의 흡수체 포피시트(58)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적어도 표면측층에 포함한 흡수체(56)의 표면상에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변화물질을 배치하는 형태가 제안된다.
온도변화물질(40)은 소변과 접촉하여 용해열, 수화열 또는 반응열 등에 의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여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것이다.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열을 흡수하는 온도변화물질(40)의 예로는 아세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의 함수염, 질산암모늄, 질산칼륨,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질산나트륨 등의 무수염, 우레아, 자일리톨,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온도변화물질(40)의 예로는, 염화알루미늄, 황화알루미늄, 황화알루미늄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흡열작용을 발현하는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의 당알코올 또는 우레아 등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르비톨이나 자일리톨은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고 화학적 안정성이 양호하며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흡열 또는 방열하는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소변에 대한 용해도가 낮으면 충분한 온도변화를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g 이상, 특히 5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cal/g 이상의 온도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35cal/g 이상의 온도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변과의 반응에 의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물질의 예로는, 오르토에스테르류, 또는 멘톤을 탄소량이 1 내지 8인 알코올 혹은 탄소량이 2 내지 8인 폴리올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멘톤케탈과 같은 케탈류 및 그것의 구조적 또는 광학적 이성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소변에 의해 팽윤하는 것에 의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온도변화물질(40)의 예로는 가볍게 가교결합하여 부분적으로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을 들 수 있다.
온도변화물질(40)은 입자상(분체상 포함)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되지만, 섬유상 등 다른 형상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은 동일한 정도의 입경이라면 부피밀도가 낮을수록 표면적이 크고 소변과의 접촉 효율이 높기 때문에, 온도변화 속도가 빨라진다. 특히 온도변화물질(40)이 소변에 용해하여 온도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는 이 경향이 현저하다. 부피밀도가 낮은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로는 과립, 표면 요철이 많은 형상의 입자, 표면이나 내부에 미세한 구멍을 가지는 입자 등의 다공질 입자가 적합하다. 부피밀도의 정도는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진밀도의 50% 이하인 (외관의 체적에 대해 50% 이상의 공극(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르비톨의 경우 진밀도는 1.50g/㎤이므로, 바람직한 부피밀도는 0.75g/㎤ 이하이며, 0.50∼0.70g/㎤가 보다 바람직하고, 0.55∼0.65g/㎤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지름이 크면 외관의 부피밀도는 작지만 표면적은 크지 않기 때문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을 이용하는 경우, 그 평균입경(JIS K 1474-2007 메디안지름)이 200∼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또는 가열한 소변을 흡수 유지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전술한 흡수체(56) 중에 함유시키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흡수속도가 5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흡수속도가 느리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의 대부분이 흡수되지 않고 이면측으로 통과해 버린다.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이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변화물질을 흡수체(56)의 표면상에 배치하는 형태는, 예를 들면 두께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56)를 형성한 후, 그 표면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을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일부의 온도변화물질(40)이 흡수체(56) 내에 침입하고, 흡수체(56)의 표면측층은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상태로 포함하는 층이 되어, 이 층 위에 실질적으로 온도변화물질(40)만으로 구성된 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흡수체(56) 상의 입자층의 두께가 얇아져 착용자에게 까끌까끌한 위화감 있는 감촉을 주는 일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배뇨 직후의 온도변화를 보다 강하게 감지시키기 위해, 상기 혼합층을 형성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모든 온도변화물질(40)을 흡수체(56)의 상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형태는 흡수체(56) 내에 통상 함유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 흡수체(56)의 표면측층에 포함되는 것을 냉각 또는 가열한 소변을 흡수 유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는 흡수체(56)의 이면측보다 표면측 쪽이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으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을 흡수체(56)의 표면측에 보다 많이 유지할 수 있어 물품 표면에서의 온도변화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게다가 흡수체(56)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지거나 흡수체(56)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지거나 하는 것처럼 밀도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물품 표면의 온도변화를 크게 하는 효과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도구배는 흡수체(56) 내에 침입하기 어려운 대입경분이 많은 입도 분포를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면, 표면 시트(30)를 투과하여 흡수체(56)의 표면에 도달한 소변은 온도변화물질(4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그 이면측으로 이행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되고, 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 흡수체(56)의 표면측층의 온도가 물품 표면측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장착자에게 온도변화를 지각시키게 된다. 특히 온도변화물질(40)이 용해하는 것으로 하면, 배뇨시에는 온도변화물질(40)이 용해하는 것에 의해 흡수체(56) 표면이 노출되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을 흡수 유지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온도가 물품 표면측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의 표면에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층(41)을 가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예를 들면 흡수체(56)의 표면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을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온도변화물질(40)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일부의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흡수체(56) 내에 침입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흡수체(56)의 표면측층도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상태로 포함하는 층이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흡수체(56) 위의 입자층 두께가 얇아져 착용자에게 까끌까끌한 위화감 있는 감촉을 주는 일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형태에서의 흡수체(56)는 미리 내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시키는 것 및 포함시키지 않는 것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56)에 미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투사공정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를 흡수체(56) 내에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지지 않는다. 물론 실질적으로 모든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흡수체(56)의 상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30)를 투과하여 혼합층(41)에 공급된 소변은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다른 부재에 전열되는 일 없이 신속하게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물품 표면에서의 온도변화가 한층 더 양호해진다.
또한, 흡수체(56)의 표면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을 한 번에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을 별개로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실질적인 적층 상태(두께방향 중간에 일부 혼합한 층을 가지는 상태를 포함)로 해도 된다. 특히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먼저 산포 또는 투사하면 온도변화물질(40)이 고흡수성 폴리머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순서가 먼저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투사하고 나중인 입자상 온도변화물질(40)은 산포하는 식으로, 산포와 투사를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입자상물을 자유낙하시키는 것을 "산포", 초속도를 주어 자유낙하보다 세게 산포하는 것을 "투사"라고 부르는데, 복수 종류의 입자상물을 복수 회로 나누어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경우, 모든 입자상물을 "투사"하면서 투사시에 부여하는 초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흡수체(56)의 섬유집합체로의 담지 정도나 산포 후에서의 복수 종류의 입자상물의 혼합 정도를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예와 같이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별개로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경우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먼저 투사하면서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보다 빠른 초속도로 투사하는 것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대부분을 흡수체(56) 내에 침입시킴과 함께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의 대부분이 흡수요소(50) 내의 가장 표면에 가까운 측에 두꺼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흡수요소의 제조시에 입자의 산포 또는 투사를 하는 기술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으며, 그 기술은 본 발명에서의 온도변화물질(40)이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투사에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56) 상면과 흡수체 포피시트(58)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액 복귀가 적은 점을 살려 기저귀 표면의 보송보송한 느낌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흡수요소(50)를 제조하는 경우, 기저귀의 상면측이 라인의 하방에 면하도록 구성된 제조라인에 있어서, 뒤집은 상태로 반송되는 흡수체 포피시트(58) 상에 입자를 직접 산포한 후, 그 위에 상하 반대로 흡수체(56)를 얹어놓는 수법이 알려져 있지만, 고속의 제조라인에서 흡수체 포피시트(58) 상에 입자를 직접 산포하면 입자의 비산이 문제가 된다. 이것은 비록 접착제를 개재시켰다고 해도 해결이 곤란한 문제이다. 한편 제조공정에 있어서 폭이 넓은 1장의 흡수체 포피시트(58) 위에 흡수체(56)를 얹어놓고, 그 위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산포하는 것에 의해 흡수체(56)의 섬유집합체 위(및 일부는 섬유집합체 중)에 이들 입자상물을 담지시키고, 그 후에 흡수체(56)의 하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흡수체 포피시트(58)를 감아올려 흡수체(56)를 싸서 입자상물이 제조라인에 비산되는 일 없이 흡수요소(50)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입자의 비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흡수요소(50)의 상측에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맞춤부가 형성되어, 흡수전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작은 입자가 이 맞춤부로부터 탈출하는 일이 있고, 또 표면 시트(30)에는 보송보송한 느낌을 얻기 위해서 성근 시트를 이용하고 있으면 성근 표면 시트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 나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사용전 혹은 사용중인 기저귀의 착용자면측에 노출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노출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체액을 흡수한 후에 부풀어 올라 눈에 띄기 쉬운 크기의 젤리형상의 알이 되어, 장착자나 기저귀를 교환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이나 불필요한 불안감을 준다. 보통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탈출을 방지할 목적으로 입자상물 층의 상측에 섬유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층을 형성하지만, 이 섬유집합체의 층은 고흡수성 폴리머보다 액 복귀되기 쉽기 때문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흡수체(56) 표면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경우, 특히 투사하는 경우에는 제조공정에서 폭이 넓은 1장의 흡수체 포피시트(58) 위에 흡수체(56)를 얹어놓고, 그 위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층보다 상측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의 층이 형성되도록 이들 입자상물을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것에 의해 흡수체(56)의 섬유집합체 위(및 일부는 섬유집합체 중)에 이들 입자상물을 담지시키고, 그 후에 흡수체(56)의 하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흡수체 포피시트(58)를 감아올려 흡수체(56)를 싸서 흡수요소(50)를 형성하면, 온도변화물질(40)의 층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덮게 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탈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이 탈출하여 기저귀의 착용자면측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지만, 온도변화물질(40)로서 용해 타입인 것을 이용하면 온도변화물질(40)은 사용시에 용해되어 소실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흡수체(56)의 표면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 흡수체(56)의 표면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을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흡수체(56) 상측의 고흡수성 폴리머 밀도를 높게 한 경우에도 그 상측에 섬유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점에서, 높은 보송보송한 느낌을 얻으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탈출을 방지한다고 하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흡수요소(50)의 표면(착용자면)측의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맞춤부는 착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온도변화를 감지시키기 위해 맞춤부의 겹침 폭(58W)은 온도변화물질(40)의 배치 영역의 폭(40W)보다 좁고, 또 치수가 40㎜ 이하, 특히 2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좁게 하고 있어도 상기한 이유로 인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탈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맞춤부는 배뇨구에 맞닿는 폭방향의 중앙을 포함하지 않도록 측부 쪽에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다른 형태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을 종이나 부직포 등의 액투과성 섬유집합 시트로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온도변화시트(42)를 흡수체(56)의 표면에 붙이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의 온도변화시트(42)로는, 도시와 같이 열융착 섬유나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층(42a, 42b) 간의 전체(일부여도 된다)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적층 상태(도시한 형태에서는 상층이 온도변화물질(40), 하층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로 되어 있지만 반대여도 된다)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혼합 상태로 끼우고 열을 가해 일체화된 에어레이드 부직포 시트가 적합하다.
여기서, 장착자에게 배뇨를 명료하게 지각시키기 위해서는 표면 시트(30)의 표면에서 4도 이상, 특히 5도 이상의 온도변화가 있으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흡수요소(50)의 상층에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고 표면 시트(30)와 흡수요소(50) 사이에 다른 부재를 가지지 않는 구조에 있어서, 이러한 온도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의 소재: 부직포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의 두께: 0.1∼0.5㎜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의 단위면적당 중량: 10∼40g/㎡
흡수체 포피시트(58)의 소재: 크레이프지 또는 SMS 부직포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두께: 0.05∼0.2㎜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단위면적당 중량: 5∼25g/㎡
온도변화물질의 종류: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소변을 냉각시키는 것.
온도변화물질의 용해도(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30g 이상, 특히 50g 이상
온도변화물질의 단위면적당 중량: 300∼800g/㎡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면적: 2,500∼20,000㎟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흡수체(56)에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의 총량: 50cal 이상, 특히 150cal 이상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단위면적당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 1cal/㎠ 이상, 특히 2.5cal/㎠ 이상
온도변화된 소변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 5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
온도변화된 소변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 50∼400g/㎡
온도변화된 소변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면적: 2,500∼20,000㎟
상기 형태는 흡수요소(50) 내에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형태이지만, 이것과 다른 것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30)와 흡수요소(50) 사이에 온도변화물질(40) 및 이 온도변화물질(4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을 흡수 유지하는 고흡수성 폴리머(43)를 포함한 온도변화시트(42) 등의 온도변화층(시트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부재, 혹은 온도변화물질 입자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혼합 상태 또는 적층 상태로 함유하는 입자층이어도 된다)을 갖춘 형태도 제안된다. 이 경우의 온도변화시트(42)는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30)와 온도변화시트(42) 사이에 다른 부재를 가지지 않는 경우, 전술한 온도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의 소재: 부직포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의 두께: 0.1∼0.5㎜
액투과성 표면 시트(30)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10∼40g/㎡
흡수체 포피시트(58)의 소재: 크레이프지 또는 SMS 부직포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두께: 0.05∼0.2㎜
흡수체 포피시트(58)의 단위면적당 중량: 5∼25g/㎡
온도변화물질의 종류: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소변을 냉각시키는 것.
온도변화물질의 용해도(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30g 이상, 특히 40g 이상
온도변화물질의 단위면적당 중량: 300∼800g/㎡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면적: 2,500∼20,000㎟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온도변화시트(42)에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의 총량: 50cal 이상, 특히 150cal 이상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의 단위면적당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 1cal/㎠ 이상, 특히 2.5cal/㎠ 이상
온도변화된 소변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 5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
온도변화된 소변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 50∼400g/㎡
온도변화된 소변을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면적: 2,500∼20,000㎟
한편, 상기 각 형태에 있어서,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층을 형성하는 형태에서는 혼합층을 가지는 부분, 온도변화시트(42)의 경우에는 온도변화시트(42)에서의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위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전후방향에 있어서는 전후방향 중앙(고간)(CL)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으로 0∼160㎜의 위치로부터 후측으로 0∼80㎜의 위치까지 전후방향 길이(40L)가 30∼25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방향에 있어서는 폭방향 중앙(고간)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고 또 폭(40W)이 30∼14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전후 양측 및 폭방향 양측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이 튀어나와 있으면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에 있어서 냉각 또는 가열된 소변 중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 주위에 확산되는 분을,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유지할 수 있어 물품 표면의 보다 넓은 범위에 큰 온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수체(56) 전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 형태에서는 흡수체(56)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튀어나온 부분으로 하고 그 내측에 온도변화물질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구조로 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튀어나온 부분은 튀어나온 폭(40x)이 15㎜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온도변화 실험)
샘플로서,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이하, 구조 A라고도 함), 도 12에 나타내는 구조(구조 B라고도 함) 및 온도변화물질이 들어 있는 시판품(킴벌리클라크사 제조 "HUGGIES Pull-Ups TRAINING PANTS Cool Alert(2T-3T 사이즈)". 구조 B에서의 온도변화시트(42)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를 제거한 구조와 가까운 것임.), 기준품(구조 B에서의 온도변화시트(42)를 제거한 형태)의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준비했다. 구조 A에 대해서는 온도변화물질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다른 샘플 1∼5를 준비했다. 각 샘플의 주된 사양은 다음과 같았다.
(구조 A 샘플의 주된 사양)
액투과성 표면 시트(30): 두께 2㎜, 단위면적당 중량 25g/㎡의 PE/PP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는 에어스루 부직포.
흡수체 포피시트(58): 두께 1㎜, 단위면적당 중량 15g/㎡의 크레이프지.
흡수체(56)의 치수: 전후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으로 205㎜의 위치로부터 후측으로 190㎜의 위치까지, 또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으로 70㎜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70㎜의 위치까지. 면적은 55,300㎟.
온도변화물질(40)의 종류: 소르비톨(용해열은 마이너스 26cal/g, 도와화성공업 주식회사 제조 "소르비트")
온도변화물질(40)의 용해도(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70g.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치수: 전후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으로 160㎜의 위치로부터 후측으로 40㎜의 위치까지, 또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으로 50㎜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50㎜의 위치까지의 직사각형 범위. 면적은 20,000㎟.
온도변화물질(40)에 의해 흡수체에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의 총량: 208cal(소르비톨 400gsm의 경우).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단위면적당 열량변화: 1.04cal/㎠(소르비톨 400gsm의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 35초.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 150g/㎡(흡수체(56)의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치수: (흡수체(56)의 전체).
(구조 B 샘플의 주된 사양)
온도변화시트(42)의 상층(42a): 펄프(단위면적당 중량 40g/㎡) 및 1.7dtex의 PE/PET 바이컴포넌트 섬유(단위면적당 중량 10g/㎡).
온도변화시트(42)의 하층(42b): 펄프(단위면적당 중량 40g/㎡) 및 1.7dtex의 PE/PET 바이컴포넌트 섬유(단위면적당 중량 10g/㎡).
온도변화시트(42)의 중상층(42c): 온도변화물질(40)(단위면적당 중량 400g/㎡).
온도변화시트(42)의 중하층(42d): 고흡수성 폴리머(43)(단위면적당 중량 100g/㎡).
온도변화시트(42)의 치수: 구조 A에서의 온도변화물질을 가지는 부분과 동일.
온도변화시트(42)에서의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치수: 온도변화시트(42)의 전체.
온도변화시트(42)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43)를 가지는 부분의 치수: 온도변화시트(42)의 전체.
액투과성 표면 시트(30): 구조 A와 공통.
흡수체 포피시트(58): 구조 A와 공통.
흡수체(56)의 치수: 구조 A와 공통.
온도변화물질(40)의 종류: 구조 A와 공통.
온도변화물질(40)의 용해도(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구조 A와 공통.
흡수체(56)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 구조 A와 공통.
흡수체(56)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 구조 A와 공통.
흡수체(56)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치수: 구조 A와 공통.
(실험 방법 및 실험 결과)
온도 37℃, 양 50cc인 인공소변을 비커에 준비하고, 이 인공소변을 샘플의 전후방향 중앙 및 폭방향 중앙의 표면에 대해 약 15cm 상방으로부터 3초 정도로 공급한 후, 샘플의 전후방향 중앙 및 폭방향 중앙의 직경 5cm의 범위를 비접촉형 온도계로 소정 시간마다 측정했다.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도 13에 나타냈다. 이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조 A의 샘플 1∼5 및 구조 B의 샘플 6은 시판품과 비교하여 온도의 저하속도가 빠르고, 또 최저온도가 낮은 것이며, 게다가 그 최저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가지는 실시형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의 표면 시트(30) 측에 체액과의 접촉에 의해 착용자가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변화를 일으키는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한 온도변화층(44)이 구비됨과 함께 그 하층에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도 제안된다. 도시예에서는 도 15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간부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서, 흡수체 포피시트(58)에 의해 둘러싸인 흡수체(56)의 표면 시트(30)측, 즉 사용면측에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과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으로 이루어지는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은, 1회째 배뇨시에 수용성 물질(45)이 소변에 용해되기까지는 일정한 용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이용하여, 소변을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의 상층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소변이 즉시 흡수체(56)에 흡수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층에 포함되는 온도변화물질(40)과의 접촉이 충분히 행해져 확실한 온도변화가 생김과 함께 이 온도변화를 착용자에게 확실히 감지시킬 수 있게 된다.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는 흡수체(56)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의 폭방향 위치는 폭방향 중앙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남아용의 경우,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는 길이방향에서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외장 시트(12)의 좌우 양측부의 접합부의 하단부를 잇는 선과 흡수체(56)가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배뇨구에 가깝고, 또 탄성 신축부재의 작용에 의해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가 항상 몸에 밀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어떠한 자세에서도 착용자에게 온도변화를 감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여아용의 경우에는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는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배뇨구에 가깝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남녀 겸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외장 시트(12)의 양측부의 접합부의 하단부를 잇는 선과 흡수체(56)가 교차하는 부분 및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포함하도록 배치하면, 배설시에 온도변화물질을 포함하는 층과 체액의 접촉이 보다 많이 행해져 온도변화물질에 의한 온도변화가 효과적으로 행해짐과 함께, 착용자의 지각이 온도변화에 따른 불쾌감을 가장 감지하기 쉬운 국부 영역에서 행해지게 되므로, 착용자에게 온도변화를 감지시켜 육아자 등이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온도변화물질(40)은 종이 기저귀(1)에 온도변화물질(40)의 분립체로서 배치하거나 혹은 그 성형체 또는 온도변화물질(40)을 담지시킨 시트형상물로서 배치할 수 있다. 즉, 분립의 온도변화물질(40)을 그대로 산포하거나 온도변화물질(40)을 용해시켜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으로 성형하거나 온도변화물질(40)을 부직포나 종이 등의 시트에 담지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시트형상물로 하기 위해서는,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분체상의 온도변화물질(40)을 정착시키거나 온도변화물질(40)의 수용액을 함침 혹은 도포한 후 건조시키거나 온도변화물질(40)을 융해한 것을 도포하거나 적층 시트의 층 사이에 온도변화물질(40)을 적층하거나, 또 이것을 가열함으로써 융해, 고착하는 것에 의해 온도변화물질(40)을 담지시키도록 한다.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의 상측의 층(44)에 배치되는 온도변화물질(40)은 입자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물질은, 용해성 정도가 동일한 수준이라면 용해 속도는 표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덩어리 상태의 물질보다 입자상의 물질 쪽이 용해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미세한) 입자상 중에서도 입자 구조 내에 공극이 많은 과립상(혹은 표면적이 큰 부정형상이나 미세 구멍을 가지는 형상인 것)인 것은 용해 속도가 더욱 빠르다. 온도변화물질의 용해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온도변화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의 상측의 층(44)에 배치되는 온도변화물질(40)은 (미세한) 입자상, 특히 과립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변화층(44)은 온도변화물질(40)의 성형체를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기재로 피복하거나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기재 사이에 끼우거나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온도변화물질(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1000g/㎡, 바람직하게는 300∼700g/㎡로 할 수 있다. 온도변화물질(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50g/㎡ 미만이면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나타나지 않으며, 100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체액 흡수시에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이 팽창하게 되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이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기 쉬워져 온도변화를 확실히 감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의 작용에 의해 온도변화된 체액이 흡수체 내에 확산되기 전에 고흡수성 폴리머에 유지되어, 착용자에게 감지 가능한 온도변화가 지속되게 된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예를 들면 입상가루로 되어, 온도변화물질(40)의 입상체 내에 혼입되거나 또는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 주위의 흡수체(56)에 혼입, 혹은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 위로부터 산포된다.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흡수체(56) 내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면 되지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흡수속도가 50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초 이하인 것을 이용하면, 확산되기 전에 온도변화된 체액의 대부분을 흡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온도변화의 지속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속도란 2g의 시료가 50g의 생리식염수를 흡수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며, JIS K 7224-1996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20∼200g/㎡, 바람직하게는 50∼10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20g/㎡ 미만이면 체액 흡수에 의한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의 팽출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20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의 과잉에 의해 까끌까끌한 위화감을 주게 된다.
수용성 물질(45)은 소변에 가용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 1회째 배뇨시에 이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의 상층에 소변을 체류시켜 온도변화물질(40)의 용해를 촉진시킨다고 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 수용성 물질(45)은 소변과의 접촉에 의한 용해 속도가 온도변화물질(40)의 용해 속도보다 비교적 느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물질(45)로는 예를 들면 수용성 수지, 당알코올 또는 전분 중 하나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알킬렌옥시드, 전분계 수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옥시드, 다당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비닐에테르계 폴리머, 셀룰로오스 유도체,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덱스트린,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이소부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당알코올로는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이소말트, 만니톨, 글리세린, 락티톨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전분으로는 감자 전분, 밀 전분, 옥수수 전분, 쌀 전분, 사탕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수용성 물질(45)은 그 수용성 물질(45)을 주원료로 한 시트형상(도 15 참조)의 성형체로서 배치되거나 또는 그 수용성 물질(45)을 담지시킨 시트형상물로서 배치된다. 즉, 수용성 물질(45)을 용해시켜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으로 성형하거나 수용성 물질(45)을 부직포나 종이 등의 시트에 담지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시트형상물로 하기 위해서는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분체상의 수용성 물질(45)을 정착시키거나 수용성 물질(45)의 수용액을 함침 혹은 도포한 후 건조시키거나 수용성 물질(45)을 융해한 것을 도포하거나 함으로써 수용성 물질(45)을 담지시키도록 한다.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으로는 수용성 물질(45)을 용해시켜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수용성 물질(45)이 용해될 때까지 액을 체류시키는 액체류성에 더하여 시트형상 성형체의 구조 특유의 액통과 저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 액통과 저해성을 실증하기 위해 투기속도의 비교 실험을 했다. 원래라면 투액속도의 비교 실험을 해야 하지만, 액체를 통과시키는 실험에서는 액체류성과 액통과 저해성의 2가지 요인이 작용하는 점에서, 액통과 저해성만 비교하기 위해 투기속도의 실험을 했다. 실험에서는 JIS P 8117에 기초하여 걸리식 덴소미터를 이용하여 소르비톨의 분립체를 에어레이드 부직포의 층 사이에 담지시킨 시트형상물(1장 350g/㎡, 3㎜ 두께)과, 이 시트형상물에 감자 전분을 원료로 한 오블라트(1장 19g/㎡, 0.0175㎜ 두께)를 적층한 오블라트 적층체와, 크레이프지(1장 20g/㎡, 0.1㎜ 두께·16겹)의 투기저항도(걸리)를 계측했다. 그 결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블라트 적층체의 투기저항도는 시트형상물이나 크레이프지의 투기저항도에 비해 현격하게 크며, 오블라트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시트형상물의 투기저항도는 크게 향상되어 액체의 통과를 저해하는 것을 실증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을 오블라트 등의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로 함으로써 수용성 물질(45)에 의해 액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층(46)의 종류 크레이프지
(초/16장/300cc)
시트형상물
(초/1장/300cc)
오블라트 적층체
(초/1장/300cc)
1 4.54 0.78 19.28
2 5.02 0.88 24.59
3 4.38 0.90 21.49
평균 4.65 0.85 21.79
또한, 수용성 물질(45)의 분립체를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의 적층 시트의 적어도 1층에 담지시킨 시트형상물(예를 들면 전술한 투기저항도 실험에서 이용한 시트형상물)에서도 수용성 물질(45)이 100℃ 전후에서의 융해가 가능한 물질이라면 가열해 용융시킨 후 냉각해 고화시킴으로써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로 할 수 있다.
가열해 용융시킨 물질은 액상화하면 확산되려고 하기 때문에, 수용성 물질(45)의 분립체를 적층 시트의 층 사이에 담지시킨 시트형상물을 가열하는 것만으로는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가 형성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용융시의 점도는 5∼80P(포아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5P보다 낮으면 용융시에 온도변화물질(40)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버리고, 한편 점도가 80P보다 높으면 용융시의 유동성이 나빠 용해되어도 그 자리에서 체류하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도 양호한 시트형상의 용융 고화체가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일회용 기저귀는 통상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은 이 수지들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특히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은 통상 100∼130℃ 정도의 융점을 가지기 때문에, 이 경우의 수용성 물질(45)의 융점은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시에 융해되지 않도록 7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분한 액체류성을 가지도록, 융해하는 수용성 물질(45)의 분립체는 적층체 내에서 50∼300g/㎡ 정도 존재하고, 수용성 물질(45)을 가지는 주요한 층 내에서 50wt%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열에 의한 융해에 의해 형성한 수용성 물질(45)의 층의 구조는 적층 시트 내의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에서의 수용성 물질(45)의 배합률이나 가열시의 점도, 기타 제조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가열용융 후 냉각해 고화했다고 해서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로서의 액통과 저해성을 가진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 기능할 수 있는 통액 저해성을 가지는지 여부는 상기 투기속도의 실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가열에 의한 융해에 의해 형성한 수용성 물질(45)의 층을 가지는 적층 시트가 본 발명의 효과(통액 저해성)를 가지기 위해서는 적어도 5초/300cc 이상의 투기저항도가 필요하며, 20초/300cc 이상의 투기저항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100℃ 전후에서 융해 가능한 수용성 물질(45)이 체액과의 접촉에 의해 착용자가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변화를 일으키는 성질을 겸비하는 물질인 경우,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 자체도 용해에 의해 온도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보다 큰 온도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다공질이며 표면적이 큰 입자상물을 용융 후 고화하여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로 하면, 그 표면적은 현격하게 작아지고 용해 속도가 느려진다. 이것에 의해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은 액통과 저해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용해에 의해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가 액통과 저해성을 잃은 후에도 녹고 남은 수용성 물질(45)은 천천히 용해된다. 이와 같이, 가열용융되어 용융 고화체가 된 수용성 물질(45)(=온도변화물질)은 온도변화 작용이 장시간 일어나게 되고 가열용융되지 않는 온도변화물질(40)은 입자상이 유지되게 되므로 온도변화 작용이 빠르게 일어나게 되어, 온도변화 작용의 속효성과 지효성을 겸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100℃ 전후에서 융해 가능하고 체액과의 접촉에 의해 온도변화를 일으키는 성질을 가지는 수용성 물질로는 소르비톨이나 자일리톨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융점은 통상 약 95∼110℃ 정도(순도에 따라 약간 다르다)이다.
그리고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에 하층을 구성하는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을 특별히 형성하지 않아도,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만 존재한다면,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를 하층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것에 의해 온도변화물질(40)의 하층측 부분만 융해시킴으로써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여 시트형상의 성형체 구조를 가지는 층(4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온도변화물질(40)의 용융체가 가열용융되지 않는 온도변화물질의 입상체와 접착 또는 융착하고, 그 후 용융체가 고화하는 것에 의해 이 가열용융된 온도변화물질 및 가열용융되지 않는 온도변화물질을 시트 내에서 이동하거나 탈락하거나 하지 않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해져,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가 입자상물을 다량으로 포함한 시트형상 자재라 해도 기저귀 제조라인에서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으로서 감자 전분 등의 오블라트형상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 성형체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너무 높으면 하층의 시트재(흡수체 포피시트(58) 등)가 막히는 원인이 되어, 2회째 이후의 배뇨시에 흡수체(56)로의 수분 흡수가 저해되거나 소변이 주위로 확산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오블라트의 최적인 단위면적당 중량으로서 이하의 실험의 결과로부터 24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24g/㎡의 범위인 것을 사용한다. 실험에서는 흡수체 포피시트(58)로 둘러싼 흡수체(56)(펄프 214g/㎡, 폴리머 214g/㎡)의 상층에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으로서 감자 전분을 원료로 한 오블라트(1장 19g/㎡, 0.0175㎜ 두께)를 배치하고, 그 상층에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18g/㎡, 내구 친수성)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30)를 배치한 종이 기저귀 시험체를 준비하고, 오블라트의 중심부 위치에 200g의 추를 포함한 주입통을 세운 상태로 그 주입통에 75cc의 인공소변을 주입하여 주입통으로부터 인공소변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했다. 주입통은 아크릴 수지로 제조하고, 한 변이 10cm인 정사각형의 기부를 가지며, 그 위에 내경 25㎜ 원통주입부를 가지며 중량은 100g이다. (따라서 추를 포함한 중량은 300g이 된다.) 계측은 5분 간격으로 3회 주입을 반복했을 때의 각 회의 시간을 계측했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 주입시에서는 오블라트를 배치한 경우가 배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투액시간이 길어져, 소변을 체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실증할 수 있었다. 또한, 2회째 이후의 주입시에서는 오블라트를 배치한 것과 배치하지 않은 것에서 동등한 투액시간이었다. 이것에 의해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으로는 단위면적당 중량 19g/㎡ 정도인 것으로 충분히 필요한 액체류성이 얻어지는 것이 실증되었다.
주입횟수 없음(s) 있음(s)
1회째 22.41 44.56
2회째 48.40 46.53
3회째 61.72 63.27
한편 상층의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이 액유지성을 가지는 것(흡수성능을 가지는 기재에 온도변화물질(40)을 담지시킨 시트형상물 등)으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수용성 물질(45)을 포함하는 층(46)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높게 하면 온도변화물질(40)을 포함하는 층(44)의 액유지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런데 온도변화에 관련되는 구조는, 온도변화용 별도 부재(47)가 배치되는 형태를 대신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가 3층 이상의 다층 구조, 도시예에서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표면 시트(30)측의 흡수체의 층, 즉 상층 흡수체(56A)에 온도변화물질(40)이 포함됨과 함께 그 하층의 흡수체의 층, 즉 중간 흡수체(56B)에 수용성 물질(45)이 포함된 것이 되며, 그 하층에 하층 흡수체(56C)가 적층된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중간 흡수체(56B)를 수용성 물질(45)을 주원료로 한 성형체, 혹은 수용성 물질(45)을 담지시킨 투액성의 시트형상물로 하고, 이것을 포함한 3층(이상)의 흡수체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것에 의해 구성해도 되지만, 중간 흡수체(56B)를 수용성 물질(45)의 입자상물을 포함하는 층, 혹은 수용성 물질(45)의 입자상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경우는 엄밀하게는 "중간 흡수체"가 아니라 단순한 "중간층"이지만, 편의상 "중간 흡수체"라 부른다)으로 하고, 중간 흡수체(56B)를 적어도 그 상하의 층과 적층한 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용성 물질(45)을 융해시키고, 이것을 고화시키는 것에 의해 중간 흡수체(56B)에 시트형상 성형체와 동일한 구조를 부여해도 된다. 이 후자의 경우, 하층 흡수체(56C)를 적층한 후, 하층 흡수체(56C) 위로부터 수용성 물질(45)의 입자상물을 산포 혹은 투사하여 중간 흡수체(56B)를 형성해도 되고, 하층 흡수체(56C) 위에 수용성 물질(45)의 입자상물을 포함한 흡수체를 적층하여 중간 흡수체(56B)를 형성해도 된다. 온도변화물질(40)은 미리 상층 흡수체가 포함하도록 형성한 것을 적층해도 되지만, 온도변화물질(40)의 융점이 수용성 물질(45)과 동일한 정도이거나 가까운 경우에는 가열 후에 상층 흡수체(56A)의 상면에 온도변화물질(40)의 입자상물을 산포 혹은 투사하면 온도변화물질(40)을 융해시키는 일이 없다. 물론, 상층 흡수체(56A)에는 온도변화물질(40)의 입자물을 포함하고, 중간 흡수체(56B)에는 수용성 물질(45)의 입자상물을 포함한 상태로 흡수체를 하층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용성 물질(45)의 대부분을 용융 고화층으로 형성하고, 온도변화물질(40)의 대부분을 입자상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변화물질의 융착에 관한 실시형태>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에서의 폭방향 중앙부 중 적어도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에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고, 또 흡수체(56)에서의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 주위에는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지 않은 형태도 제안된다. 온도변화물질은 흡수체(56)에 융착되어 있으면 이동하는 일이 없어져, 소정의 영역(이 경우는 고간부)에서 확실히 기능하게 된다. 또한, 융착되지 않은 부분과 비교하여 탄성(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을 확실히 유지하는 온도변화물질 융착부분에 주름이나 꺾임 등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이 신체에 양호하게 피트된다.
여기서 강성이란 굽힘강성(강도)을 의미하며, JIS K 7171(플라스틱-굽힘강성의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측정에는 텐실론 시험기(압자 선단부의 곡률반경 R1=5.0±0.1㎜, 지지 플레이트 선단부의 곡률반경 R2=5.0±0.2㎜)를 이용해 내장체(20)의 제품 전후방향의 굽힘강성을 측정한다. 시험편은 내장체(20)로부터 측정에 영향을 주는 탄성 신축부재를 없애고 이것을 기저귀 길이방향 80㎜, 기저귀 폭방향 50㎜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제작한다. 굽힘강성치의 단위 중 50㎜는 시험편 짧은 변의 길이이고, 시험시의 압자로 휘게 한 시험편의 폭이다. 각각 단면 원호상의 선단부를 가지며, 양 선단부의 선단(상단) 사이의 간격을 위치를 가지런히 하여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상에, 상기 시험편을, 그 길이방향이 각 플레이트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걸치도록 얹어놓고, 그 시험편에 약간 접하도록 압자 선단부를 배치한다. 로드셀 5kg(레인지 196cN), 속도 30㎜/min의 조건으로 압자를 강하시켜 하중·휨 곡선을 얻는다. 얻어진 굽힘응력의 최대치를 굽힘강성치(cN/50㎜)로 한다. 또한, 측정 대상이 되는 부위가 상기 샘플링 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작은 스케일의 시험편으로 측정하고 치수비에 기초해 비례계산으로 환산한다.
흡수체(56)에서의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강성은 15∼50cN/50㎜, 특히 20∼35cN/50㎜가 바람직하고, 그 주위의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지 않은 부분의 강성은 5∼35cN/50㎜, 특히 10∼25cN/50㎜가 바람직하며, 보통의 경우, 융착부분(48)과 그 주위 부분의 강성차는 10∼25cN/50㎜ 정도이다.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은, 흡수체(56)가 적어도 배쪽 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간측으로 0.15∼0.80L(L은 제품 길이)의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적어도 배쪽 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간측으로 0.25∼0.45L인 범위(40Y)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남녀의 배뇨위치에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이 위치하게 된다. 즉, 배뇨시에 소변이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에 확실하게 닿게 된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은 서혜부를 따라 또 서혜부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허리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중 부호 49가 폭 확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을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간부에서의 세로주름 및 서혜부를 따른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피트성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폭 확대 부분(49)보다 후측은 도시한 형태에서는 일정한 폭으로 되어 있지만, 다리둘레를 따른 곡선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흡수체(56)의 고간부에 다리둘레를 따른 조임부(56N)를 마련하는 경우, 조임부(56N)의 전후방향 길이가 0.2∼0.3Y(Y는 흡수체(56)의 전후방향 길이)이며, 조임부(56N)에서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폭이 0.6∼0.75X(X는 흡수체(56)의 전체폭으로, 상기 W2와 같다)이며, 배쪽 부분에서의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40W)은 0.4∼0.7X이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 중 폭 확대 부분(49)의 고간측 끝이, 조임부(56N)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과 동위치이거나 이것보다 배쪽에 위치하고 있고,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후단은 조임부(56N)의 후단과 동위치 또는 이것보다 등쪽에 위치함과 함께 그 폭(40X)이 배쪽 부분에서의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40W)의 0.7배 이하, 또 0.5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위치가 배쪽 부분에서 사이드 실부의 하단보다 허리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56)의 치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흡수체(56)가 다리둘레에 피트되기 쉬워진다. 또한, 배쪽 부분에서의 융착부분(48)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40W)이 상기 범위 내에 있고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 중 폭 확대 부분(49)의 고간측 끝이 전후방향에서 상기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보행으로 인해 서혜부를 따라 발생하는 주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후단을 전후방향에서 상기 범위 내로 억제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둔감한 엉덩이측에 불필요하게 온도변화물질을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후단의 폭(40X)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고간부에서의 세로주름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된 흡수체(56)는 입자상(분체상 포함) 또는 섬유상 등 적절한 형상의 온도변화물질을 흡수체(56) 상면의 소정 부위에 얹은 후, 혹은 흡수체(56) 내부의 소정 부위에 침입시킨 후, 온도변화물질을 흡수체(56)와 함께 가열하고 온도변화물질만 용융 상태로 하여 흡수체(56)의 섬유에 부착시킨 후, 냉각하여 온도변화물질을 고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흡수요소(50)에서의 흡수체 포피시트(58)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적어도 표면측층에 포함한 흡수체(56)의 표면측층에 온도변화물질이 배치되며, 온도변화물질이 흡수체의 표면 또는 표면측층에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표면 시트(30)를 통과하여 흡수체(56)의 표면에 도달한 소변은,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표면측층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되고, 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 흡수체(56)의 표면측층의 온도가 물품 표면측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장착자에게 온도변화를 지각시키게 된다.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을 흡수체(56)의 표면 또는 표면측층에 배치하는(얹거나 침입시키는) 형태는, 예를 들면 두께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56)를 형성한 후, 그 표면의 소정 부위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을 산포 또는 투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일부의 온도변화물질이 흡수체(56) 내에 침입하고, 흡수체(56)의 표면측층은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상태로 포함하는 층이 되어, 이 층 위에 실질적으로 온도변화물질만의 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온도변화물질의 일부는 흡수체에 혼합된 상태로 융착되게 되어 융착부분(48)이 과도하게 단단해질 우려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배뇨 직후의 온도변화를 보다 강하게 감지시키기 위해, 온도변화물질을 산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혼합층을 형성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모든 온도변화물질(40)을 흡수체(56)의 상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형태는 흡수체(56) 내에 통상 함유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 흡수체(56)의 표면측층에 포함되는 것을, 온도변화한 소변을 흡수 유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는 흡수체(56)의 이면측보다 표면측 쪽이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으면 온도변화한 소변을 흡수체(56)의 표면측에 보다 많이 유지할 수 있어, 물품 표면에서의 온도변화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수체(56)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지거나 흡수체(56)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아지거나 하는 것처럼 밀도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물품 표면의 온도변화를 크게 하는 효과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도구배는 흡수체(56) 내에 침입하기 어려운 대입경분이 많은 입도 분포를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를 흡수체(56)의 폭방향 중앙부 중 적어도 고간부로부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에만 형성된 상층(56A)과, 그 이면측에 접하는 하층(56B)을 가지는 2층 구조로 하고, 상층(56A)의 전체(두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에 걸쳐 온도변화물질을 융착시키고 상층(56A)만으로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을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조는 펄프 등의 단섬유에 온도변화물질을 혼합한 것을 원료로 하여 상층(56A)을 적섬 형성하거나 또는 온도변화물질을 포함한 시트를 절단 또는 절곡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형성한 후, 상층(56A)만 또는 상층(56A)과 하층(56B)을 일체적으로 가열·냉각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들에서의 가열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2∼도 25에 나타내는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수단은 고온 공기의 통과에 의해 가열시키는 에어스루 드라이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수단에서는, 온도변화물질을 소정 부분에 배치한 흡수체(56)를 벨트 컨베이어(301)로 반송하면서 반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통해지는 열풍(302)에 의해 가열한 후, 마찬가지로 반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통해지는 바람(303)에 의해 냉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수단은 온도변화물질을 소정 부분에 배치한 흡수체(56)를 고온 공기가 공급되는 가열실(310) 내에 형성된 석션 롤(311)에 감아 이송하면서 석션 롤(311)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해지는 열풍(312)에 의해 가열한 후, 가열실(310) 밖에 형성된 쿨링 롤(313)에 감아 이송함으로써 냉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가열 수단은 온도변화물질을 소정 부분에 배치한 흡수체(56)를 가열 롤(320)에 감아 이송하는 것에 의해 가열 롤(320)의 열을 접촉에 의해 온도변화물질에 전달하여 한 면측으로부터 가열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내는 가열 수단은 온도변화물질을 소정 부분에 배치한 흡수체(56)를 적어도 일방이 가열 롤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롤(330, 331, 340, 341) 사이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가열 롤의 열을 접촉에 의해 온도변화물질에 전달하여 가열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동 도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롤(330, 331)을 표면이 평활한 스무스 롤로 하여 흡수체(56)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게 해도 되고, 동 도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롤(340)을 표면에 소정 패턴의 요철을 가지는 엠보스 롤로 하여 흡수체(56)의 일방의 면에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특히 후자의 경우, 엠보스 롤(340)의 볼록부 패턴을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의 영역에만 함께 형성해 두고 그 영역만 가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융착부분(48)이 형성되는 것은 엠보스 롤(340)의 볼록부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만이므로 온도변화물질은 엠보스 롤(340)의 볼록부 패턴보다 넓은 범위에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흡수체(56)를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흡수체(56)의 소정 영역에만 온도변화물질을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흡수체의 전체면에 온도변화물질을 배치하고 소정 영역만 부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융착부분(48)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변화물질의 가열용융은 흡수체(56)의 제조시뿐만 아니라 그 후 제조과정의 적절한 단계, 예를 들면 내장체(200)의 조립 완료상태(제품상태까지의 조립 완료 전), 또는 제품상태까지의 조립 완료 후에 내장체나 기저귀 전체에 대해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가열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전술한 도 22∼도 25에 나타내는 수단을 응용할 수 있다.
온도변화물질은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것이므로, 융점이 온도변화물질과 함께 가열되는 부재보다 낮은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회용 기저귀는 통상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은 이들 수지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특히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은 통상 100∼130℃ 정도의 융점을 가지기 때문에 온도변화물질의 융점은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품 보관시에 온도변화물질이 융해되지 않도록 7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변화물질로는 융점이 통상 약 95∼110℃ 정도(순도에 따라 약간 다르다)인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을 들 수 있다.
또한, 온도변화물질 용융시의 점도가 낮으면 흡수체(56)의 섬유 간극에 침투하기 어려워지므로 흡수체(56)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된다. 이 관점에서, 온도변화물질로는 용융시의 온도(예를 들면 70∼130℃)에서의 점도가 5∼80포아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56)에 융착된 온도변화물질은 한 번 융해하여 액상화한 후 고화되기 때문에 표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물질에서의 소변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온도변화 속도가 억제되고 지속성이 향상된다. 단, 일률적으로 온도변화 속도가 느려지면 착용자가 온도변화를 지각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물질로서 부피밀도가 낮은 입자상물을 이용하여 그 모두를 용융시키지 않고 일부를 용융시켜 부피밀도가 높은 고체로 하고, 나머지는 부피밀도가 낮은 입자상물 그대로 남기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은 동일한 정도의 입경이라면 부피밀도가 낮을수록 표면적이 크고 소변과의 접촉 효율이 높기 때문에, 온도변화 속도가 빨라진다. 특히 온도변화물질이 소변에 용해하여 온도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는 이 경향이 현저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변화물질의 일부만 용융시키는 경우, 입자상을 유지하는 온도변화물질은 온도변화 작용이 빨리 생기고, 용융 고화한 온도변화물질은 온도변화 작용이 늦게 생기기 때문에 속효성과 지효성을 겸비한 온도변화를 얻을 수 있다.
부피밀도가 낮은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로는 과립, 표면 요철이 많은 형상의 입자, 표면이나 내부에 미세한 구멍을 가지는 입자 등의 다공질 입자가 적합하다. 부피밀도의 정도는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진밀도의 50% 이하인(외관의 체적에 대해 50% 이상의 공극(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르비톨의 경우 진밀도는 1.50g/㎤이므로, 바람직한 부피밀도는 0.75g/㎤ 이하이고, 0.50∼0.70g/㎤가 보다 바람직하며, 0.55∼0.65g/㎤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지름이 크면 외관의 부피밀도는 작지만 표면적은 크지 않기 때문에, 입자상의 온도변화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그 평균입경(JIS K 1474-2007 메디안지름)이 200∼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체(56)가 2층 구조이고 상층(56A)에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48)을 가지는 경우, 상층(56A)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또 상층(56A)의 섬유밀도가 하층(56B)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밀도차를 갖게 하는 경우, 상층(56A)의 섬유밀도는 하층(56B)의 4.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층(56A)의 섬유밀도를 2.25∼6.75g/㎥로 하고, 하층(56B)의 섬유밀도를 0.5∼1.5g/㎥ 정도로 하면 된다. 도 26에 섬유밀도비의 변화에 대한 액유지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냈다. 이 실험에서는 하층으로서 밀도 1.0g/㎥의 에어스루 부직포(치수 10×15cm, 단위면적당 중량 25g/㎡)와 상층으로서 각종 밀도의 펄프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치수 10×15cm, 단위면적당 중량 200g/㎡)을 준비하고 미리 상층의 중량을 계측한 후, 수평면상에 하층 및 상층을 이 순서로 겹친 상태로, 비커로 10ml의 물을 2cm의 높이로부터 10초에 걸쳐 상층 위에 붓고, 주수하고 나서 5분 경과한 후에 흡수된 상층의 중량을 계측하고, 이들 흡수 후 중량으로부터 흡수전 중량을 빼서 구해지는 흡수량을 주입수량으로 나누어 상층의 액체유지율로 했다. 이 결과로부터, 섬유밀도의 차가 작은 조건에서는 상층의 액체유지율은 40% 정도이지만, 상층의 섬유밀도가 하층의 섬유밀도의 4.0배가 되는 부근을 경계로 하여 상층의 액체유지율은 크게 상승하기 시작하고, 상층의 섬유밀도를 하층의 섬유밀도의 4.5배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층이 위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액체유지율이 50%를 초과하게 되어 상층에 흡수된 소변이 하층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층(56A)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력을 발휘하여 소변을 흡수하기까지, 최초 배뇨의 대부분을 상층(56A) 내에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층(56A) 내의 소변은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될 때까지 온도변화물질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하층(56B)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큰 온도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충분히 온도변화한 소변이 상층(56A)에서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온도변화를 효과적으로 전함과 함께 소변의 피부에 대한 역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층(56A)은 적어도 1회분의 배뇨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초기 흡수량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온도변화가 발생하는 최초 1회의 배뇨는 모두 상층(56A)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변화한 소변이 하층(56B)으로 이동하여 온도변화를 헛되게 하는 일이 없다. 배뇨 1회 분의 초기 흡수량을 설정함에 있어서, 상층(56A)이 펄프를 베이스로 하는 경우에는 상층(56A)의 펄프량은 5∼10g이 적당하고, 상층(56A)에서의 섬유, 고흡수성 폴리머 및 온도변화물질의 중량 비율은 각각 15∼30% 정도, 5∼40% 정도 및 30∼80%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층(56A)에서의 섬유, 고흡수성 폴리머 및 온도변화물질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각각 150∼300g/㎡, 50∼400g/㎡, 300∼800g/㎡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트레이닝 팬티로는, 최초 1회의 배뇨로 착용자가 배뇨를 지각하여 부모에게 알릴 수 있으면 기저귀는 교환되기 때문에 그 이상의 흡수량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착용자가 지각할 수 없거나, 부모에게 알릴 수 없거나, 교환이 늦어지거나 한 경우에는 2회째 이후의 배뇨도 흡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형태에서는 상층(56A)의 흡수량이 포화에 이른 후, 계속해서 하층(56B)에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초기 흡수량이란 섬유집합체나 고흡수성 폴리머(SAP) 등의 흡수 재료가 본래의 흡수력을 발휘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흡수 유지할 수 있는 물(혹은 소변 등의 체액)의 양이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나 수용성의 온도변화물질은 1g당 초기 흡수량을 1cc로 하고,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나 올레핀계 합성섬유는 장시간 흡수시켜도 흡수량이 거의 변함없기 때문에 1g당 보수량을 1g당 초기 흡수량으로 하며, 이것들을 각 소재 사용량에 따라 적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체(56)의 상층(56A)에서의 초기 흡수량(흡수체 포피시트(58)의 흡수분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은 70c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cc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최초 배뇨의 대부분을 상층(56A)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층(56A)을 구성하는 섬유의 친수도 및/또는 보수량을 하층(56B)을 구성하는 섬유의 친수도 및/또는 보수량보다 높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층(56A)을 구성하는 섬유의 보수량은 8cc/g 이상, 특히 10cc/g 이상이 바람직하고, 하층(56B)을 구성하는 섬유의 보수량은 8cc/g 이하, 특히 5cc/g 이하가 바람직하다.
(섬유 1g당 보수량의 측정 방법)
1. 200cc 비커에 20℃의 이온교환수 200cc를 넣는다.
2. 그 속에 섬유집합체 1g을 넣고 유리막대로 30초간 교반한다.
3. 내경 62㎜의 브흐너 깔대기를 지지대에 세팅하고 비커 내의 시료 및 물을 10초 동안 흘려 넣어 자연 여과한다.
4. 저면이 직경 60㎜이고, 무게 1450g인 원통형 추를 시료 위에 얹고 1분간 방치한다. (10cm 사방당 하중은 5kg가 된다.)
5. 섬유의 중량을 재고, 전후의 중량차로부터 섬유의 보수량(1g=1cc로 함)을 구하여, 이 보수량을 섬유 1g당으로 환산하여 섬유 1g당 보수량으로 한다.
또한, 시료가 부직포 등의 시트형상물인 경우에는 1g의 시트를 길이 20㎜×폭 2㎜, 두께 2㎜ 이하로 커트한 것을 이용해 측정한다.
<단열층에 관한 실시형태>
도 27∼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와 액불투과성 시트(11)(이면측 시트에 상당함) 사이에는 단열층(57)이 형성된 형태도 제안된다. 단열층(57)은 기본적으로 흡수요소(50)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단열층(57)을 흡수요소(50)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일부의 소재나 치수, 함유량, 물성 등을 흡수요소(50)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단열층(57)은 각종 부직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특히 단열층(57)을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는 흡수요소(50)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단열층(57)의 섬유밀도가 0.5∼1.5g/㎥가 되고, 흡수체(56)의 섬유밀도가 2.25∼6.75g/㎥의 범위 내에서 단열층(57)의 섬유밀도의 4.5배 이상이 되도록 흡수체(56) 및 단열층(57)을 구성하는 형태이다.
도 35에 섬유밀도비의 변화에 대한 액유지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냈다. 이 실험에서는 단열층으로서 밀도 1.0g/㎥의 에어스루 부직포(치수 10×15cm, 단위면적당 중량 25g/㎡)와, 흡수체로서 각종 밀도의 펄프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치수 10×15cm, 단위면적당 중량 200g/㎡)를 준비하고 미리 흡수체의 중량을 계측한 후, 수평면상에 단열층 및 흡수체를 이 순서로 겹친 상태로, 비커로 10ml의 물을 2cm의 높이로부터 10초에 걸쳐 흡수체 위에 붓고, 주수하고 나서 5분 경과한 후에 흡수된 흡수체의 중량을 계측하고, 이들 흡수 후 중량으로부터 흡수 전 중량을 빼서 구해지는 흡수량을 주입수량으로 나누어 흡수체의 액체유지율로 했다. 이 결과로부터, 섬유밀도의 차가 작은 조건에서는 흡수체의 액체유지율은 40% 정도이지만, 흡수체의 섬유밀도가 단열층의 섬유밀도의 4.0배가 되는 부근을 경계로 하여 흡수체의 액체유지율은 크게 상승하기 시작하고, 흡수체의 섬유밀도를 단열층의 섬유밀도의 4.5배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흡수체가 위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흡수체의 액체유지율이 50%를 초과하게 되어 흡수체에 흡수된 소변이 단열층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흡수체(56)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력을 발휘하여 소변을 흡수하기까지, 최초 배뇨의 대부분을 흡수체(56) 내에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체(56) 내의 소변은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될 때까지 온도변화물질(40)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큰 온도변화가 발생하고, 단열층(57)으로는 소변이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충분히 온도변화한 소변이 흡수체(56)에서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온도변화를 효과적으로 전함과 함께 소변의 피부에 대한 역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는 적어도 1회분의 배뇨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초기 흡수량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온도변화가 발생하는 최초 1회의 배뇨는 모두 흡수체(56)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성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렵고, 온도변화한 소변이 단열층(57)으로 이동하여 온도변화를 헛되게 하는 일이 없다. 배뇨 1회분의 초기 흡수량을 설정함에 있어서, 흡수체(56)가 펄프를 베이스로 하는 경우에는 흡수체(56)의 펄프량은 5∼10g이 적당하고, 흡수체(56)에서의 섬유, 고흡수성 폴리머 및 온도변화물질(40)의 중량 비율은 각각 15∼30% 정도, 5∼40% 정도 및 30∼80%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흡수체(56)에서의 섬유, 고흡수성 폴리머 및 온도변화물질(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각각 150∼300g/㎡, 50∼400g/㎡, 300∼800g/㎡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트레이닝 팬티로는, 최초 1회의 배뇨로 착용자가 배뇨를 지각하여 부모에게 알릴 수 있으면 기저귀는 교환되기 때문에 그 이상의 흡수량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착용자가 지각할 수 없거나, 부모에게 알릴 수 없거나, 교환이 늦어지거나 한 경우에는 2회째 이후의 배뇨도 흡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흡수체(56)의 흡수량이 포화에 이른 후, 계속해서 단열층(57)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해 두면 샘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초기 흡수량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흡수체(56)에서의 초기 흡수량(흡수체 포피시트(58)의 흡수분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은 70c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cc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최초 배뇨의 대부분을 흡수체(56) 내에 유지하기 위해, 흡수체(56)를 구성하는 섬유의 친수도 및/또는 보수량을 단열층(57)을 구성하는 섬유의 친수도 및/또는 보수량보다 많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흡수체(56)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수량은 8cc/g 이상, 특히 10cc/g 이상이 바람직하고, 단열층(57)을 구성하는 섬유의 보수량은 8cc/g 이하, 특히 5cc/g 이하가 바람직하다. 섬유 1g당 보수량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단열층(57)은 흡수체(56)와 함께 흡수체 포피시트(58)에 의해 쌀 수도 있지만, 도시한 형태와 같이 흡수체(56)와는 별도로 단열층보다 섬유밀도가 높은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단열층 포피시트(59)에 의해 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흡수체(56)를 투과한 소변이 단열층(57) 측에 도달했다고 해도 그 소변이 단열층 포피시트(59)에 흡수 유지되어 단열층(57) 내에 유지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단열층 포피시트(59)로는 기본적으로 흡수체 포피시트(58)와 동일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그 경우, 흡수체 포피시트(58)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소재나 치수, 함유량, 물성 등을 흡수체 포피시트(58)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단열층(57)은 흡수체(56)로 온도변화한 소변을 흡수하지 않도록 액유지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흡수체(56)와 마찬가지로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층(57)을 복수 층 형성할 수 있다. 각 단열층(57)을 섬유집합체로 형성하는 경우, 표면측의 단열층(57)과 이면측의 단열층(57)은 동일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동일한 밀도로 형성해도 되고, 섬유의 종류 혹은 밀도, 또는 그 양쪽을 다르게 해도 되며, 적어도 양쪽이 흡수체(56)보다 섬유밀도를 낮게 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한층 더 양호해진다.
단열층(57)의 치수 및 위치는 단열성의 관점으로부터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단열층(57)은 흡수체(56)의 이면 중 전후방향, 폭방향 모두 70% 이상의 치수를 가지며(즉 전후방향 및 폭방향의 중앙부를 포함), 50% 이상의 면적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층(57)은 흡수체(56)보다 넓은 면적을 가져도 되며, 특히 흡수체(56)의 이면 전체를 덮게 되어 있으면 단열 효과는 더욱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온도변화물질(40)은 표면 시트(30)와 단열층(57) 사이라면 함유 위치(두께방향 및 표면을 따르는 방향)나 함유의 형태에 상관없이 단열층(57)에 의한 단열 효과는 발휘된다. 이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차례대로 설명한다.
도 31은 제1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형태는 전술한 도 3에 나타내는 온도변화물질의 함유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이 경우, 흡수체(56)의 이면측이 단열층(57)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외부 기온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한 여름이나 겨울의 난방장치 부근)나 낮은 경우(겨울 옥외 등)라 해도 흡수체(56)에 유지된 소변의 온도가 유지되어 원하는 온도변화가 얻어지게 된다. 그 외에는 전술한 도 3에 나타내는 온도변화물질의 함유 구조와 동일하다.
도 32는 제2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형태는 전술한 도 10에 나타내는 온도변화물질의 함유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자세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3은 제3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형태는 전술한 도 11에 나타내는 온도변화물질의 함유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상세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제3의 바람직한 형태는 흡수요소(50) 내에 온도변화물질(40)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형태이지만, 이것과 다른 제4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 34에 나타내는 온도변화물질의 함유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세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단열층에 관한 실험)
샘플로, 도 27에 나타내는 구조의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2종류 제작했다. 한 쪽 샘플(실시예 1)은 단열층(57)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토우를 개섬한 섬유집합체로 형성하고, 그 섬유밀도는 0.8g/㎤, 섬도는 4.4dtex로 했다. 다른 쪽 샘플(실시예 2)은 단열층(57)이 섬유밀도 3.7g/㎤인 플랩펄프(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단열층(57)을 가지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샘플을 제작했다. 각 예에 있어서 단열층의 종류 및 유무 이외의 사양은 하기와 같이 공통으로 했다.
(공통 사양)
액투과성 표면 시트(30): 두께 2㎜, 단위면적당 중량 25g/㎡의 PE/PP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는 에어스루 부직포.
흡수체(56): 섬유밀도 3.7g/㎤의 플랩펄프(고흡수성 폴리머를 분산 함유).
흡수체(56)의 치수: 전후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으로 205㎜의 위치로부터 후측으로 190㎜의 위치까지, 또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으로 70㎜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70㎜의 위치까지. 면적은 55,300㎟. 두께는 2㎜.
흡수체 포피시트(58): 두께 1㎜, 단위면적당 중량 15g/㎡의 크레이프지.
온도변화물질(40)의 종류: 소르비톨(용해열은 마이너스 26cal/g, 도와화성공업 주식회사 제조 "소르비트")
온도변화물질(40)의 용해도(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 70g.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치수: 전후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으로 160㎜의 위치로부터 후측으로 40㎜의 위치까지, 또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으로 50㎜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50㎜의 위치까지의 직사각형 범위. 면적은 20,000㎟.
온도변화물질(40)에 의해 흡수체(56)에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의 총량: 208cal(소르비톨 400gsm의 경우).
온도변화물질(40)을 가지는 부분의 단위면적당 열량변화: 1.04cal/㎠(소르비톨 400gsm의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 35초.
흡수체(56)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 150g/㎡(흡수체(56)의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치수: (흡수체(56)의 전체).
(실험 방법 및 실험 결과)
각 샘플로 온도 37℃의 따뜻한 물을 넣은 비커를 싸고(샘플 내면을 비커에 접촉시키고), 온도 20℃, 습도 50%RH의 분위기하에서 유지하여 비커 내의 따뜻한 물의 온도를 온도계로 소정 시간마다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도 36에 나타냈다. 이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샘플은 비교예에 비해 단열성이 높고, 보다 장시간에 걸쳐 기저귀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온도변화물질에 의한 온도변화를 행했을 때의 온도변화 유지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은 팬티형이나 테이프식, 혹은 패드형의 흡수성 물품 등, 광범위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허리둘레부 11: 액불투과성 시트
12F: 배쪽 외장 시트 12B: 등쪽 외장 시트
200: 내장체 30: 표면 시트
40: 온도변화물질 50: 흡수요소
52: 섬유 54: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6: 흡수체 58: 흡수체 포피시트
60: 측부 배리어 커프스 62: 배리어 시트
70: 등쪽 신축 시트

Claims (14)

  1.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이면측 시트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와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흡수체 포피시트로 싸서 이루어지는 흡수요소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흡수 부분을, 고간부를 포함한 부위에 구비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액투과성 표면 시트 사이에,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변화물질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온도변화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흡수체는 이면측보다 표면측 쪽이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고, 그 표면 상에 소변과의 접촉에 의해 소변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온도변화물질을 함유하는 온도변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물질을 함유하는 부분의 둘레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체의 둘레가장자리에 대해 중앙측으로 이간되어 있고, 그 전후 양측 및 폭방향 양측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부분을 구비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투과성 표면 시트는 두께가 0.5㎜ 이하이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10∼40g/㎡인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 포피시트는 두께가 0.2㎜ 이하이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5∼25g/㎡인 크레이프지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상기 온도변화층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부분과 겹치는 부분에는 다른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은 소변에 용해되는 것에 의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소변을 냉각하는 것으로, 또한 온도 20℃인 100ml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g 이상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300∼800g/㎡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을 함유하는 부분의 면적은 2,500∼20,000㎟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에 의해 상기 흡수체에 생길 수 있는 열량변화의 총량은 50cal 이상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을 함유하는 부분의 단위면적당 열량변화는 1cal/㎠ 이상이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속도가 50초 이하이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0∼400g/㎡이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부분의 면적은 2,500∼20,000㎟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층의 하층에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구비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수용성 물질을 주원료로 한 성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수용성 물질을 담지시킨 투액성의 시트형상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 중, 적어도 상기 고간부로부터 상기 배쪽 부분에 걸친 부분에 상기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고, 또 상기 흡수체에서의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 주위에는 상기 온도변화물질이 융착되지 않은 일회용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전개상태에서의 배쪽 부분의 허리 끝 가장자리로부터 배쪽 부분의 허리 끝 가장자리까지의 전후방향 길이로서 정해지는 제품길이를 L로 했을 때,
    적어도 상기 배쪽 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간측에 0.15∼0.80L의 범위에 걸쳐 상기 흡수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배쪽 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간측에 0.25∼0.45L의 범위에 걸쳐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은 서혜부를 따라 또 서혜부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허리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고간부에 다리둘레를 따른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개상태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전후방향 길이를 Y, 폭을 X로 했을 때, 상기 조임부 전후방향 길이가 0.2∼0.3Y이고, 상기 조임부에서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폭이 0.6∼0.75X이며,
    상기 배쪽 부분에서의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은 0.4∼0.7X이며,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 중 상기 폭이 확대되는 부분의 고간측 끝이 상기 조임부의 가장 폭의 좁은 부분과 동위치이거나 또는 그것보다 배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후단은 상기 조임부의 후단과 동위치 또는 그것보다 등쪽에 위치함과 함께, 그 폭이 상기 배쪽 부분에서의 상기 온도변화물질의 융착부분의 허리측 끝 가장자리의 폭의 0.7배 이하이고, 또 0.5X 이하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요소와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된 일회용 흡수성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섬유밀도가 2.25∼6.75g/㎥인 섬유집합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층은 섬유밀도가 0.5∼1.5g/㎥인 섬유집합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수체의 섬유밀도가 상기 단열층의 섬유밀도의 4.5배 이상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상기 흡수체와는 별도로 상기 단열층보다 섬유밀도가 높은 섬유집합체로 형성된 단열층 포피시트에 의해 싸여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상기 흡수체의 이면중 50% 이상의 면적을 덮고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20107016757A 2007-12-28 2008-12-26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1528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40939A JP4394719B2 (ja) 2007-12-28 2007-12-28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JP-P-2007-340939 2007-12-28
JP2008051294A JP5191250B2 (ja) 2008-02-29 2008-02-29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JP-P-2008-049943 2008-02-29
JPJP-P-2008-051292 2008-02-29
JP2008049943A JP4415053B2 (ja) 2008-02-29 2008-02-29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8-051294 2008-02-29
JP2008051292A JP4435240B2 (ja) 2008-02-29 2008-02-29 使い捨て吸収性物品
PCT/JP2008/073763 WO2009084642A1 (ja) 2007-12-28 2008-12-26 使い捨て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573A true KR20100108573A (ko) 2010-10-07
KR101528952B1 KR101528952B1 (ko) 2015-06-15

Family

ID=4082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757A KR101528952B1 (ko) 2007-12-28 2008-12-26 일회용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53487B2 (ko)
EP (1) EP2241299B1 (ko)
KR (1) KR101528952B1 (ko)
CN (1) CN101917948B (ko)
WO (1) WO2009084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6038B2 (en) * 2006-03-03 2013-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JP5674303B2 (ja) * 2009-11-06 2015-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534839B2 (ja) * 2010-01-29 2014-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870732B2 (en) 2010-04-09 2014-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ucking side panels of absorbent articles
US9017241B2 (en) 2010-04-09 2015-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ucking side panels of absorbent articles
US9545342B2 (en) * 2010-09-08 2017-01-17 Fit Assist Medical Inc. Multifunctional medical monitoring system
US9005738B2 (en) 2010-12-08 2015-04-14 Buckeye Technologies Inc. Dispersible nonwoven wipe material
US9439549B2 (en) * 2010-12-08 2016-09-13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Dispersible nonwoven wipe material
US10562281B2 (en) * 2011-08-02 2020-02-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oling signal device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CN103284844B (zh) * 2012-02-28 2016-05-18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吸收性用品
JP5608708B2 (ja) * 2012-06-11 2014-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095479B2 (en) * 2012-07-30 2015-08-04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coated element and related methods
JP5936560B2 (ja) 2013-01-18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18703B2 (ja) * 2013-10-04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4906615B (zh) * 2014-03-10 2019-08-02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除臭片材及其制造方法
MX2017007795A (es) 2014-12-19 2017-09-18 Sca Hygiene Prod Ab Articulo absorbente.
KR20170097700A (ko) * 2014-12-19 2017-08-28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흡수 물품
CN106236392A (zh) * 2016-09-14 2016-12-21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防漏吸收制品
JP6192794B1 (ja) * 2016-11-08 2017-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544560B1 (en) 2016-11-23 2023-08-2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folded edges to enclose elastic ele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with folded edges
JP2020500631A (ja) 2016-12-19 2020-01-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吸収性コアを有する吸収性物品
CN112004505B (zh) 2018-04-30 2023-05-0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吸收制品和具有改进的侧缝粘结的吸收制品的制造方法
CN112912044A (zh) * 2018-11-12 2021-06-04 宝洁公司 包含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CN113164302B (zh) * 2018-12-04 2022-07-01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CN111184607A (zh) * 2020-02-21 2020-05-22 湖北丝宝股份有限公司 一种吸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775A (en) * 1992-06-12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
US5681298A (en) * 1994-12-22 1997-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creating a temperature change
US5649914A (en) * 1994-12-22 1997-07-22 Kimberly-Clark Corporation Toilet training aid
US6572600B1 (en) * 2000-02-15 2003-06-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with deactivatable adhesive
US6791004B2 (en) * 2000-02-15 2004-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thermal cell actuator
US6565549B1 (en) * 2000-02-15 2003-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thermally activatable adhesives
EP1250941A1 (en) * 2001-04-17 2002-10-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a mint odor-free cooling agent
US6642427B2 (en) * 2001-05-14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change element
US20050222546A1 (en) * 2004-04-01 2005-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fastenable side seams and a wetness sensation member
US20070191797A1 (en) 2006-02-10 2007-08-16 Roe Donald C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US7250548B2 (en) * 2003-06-16 2007-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temperature change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cover and between absorbent assembly portions
US20060024132A1 (en) * 2004-08-02 2006-02-02 Seman Todd J Tactile warning system
US20060142713A1 (en) * 2004-12-29 2006-06-29 Long Andrew M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20060293632A1 (en) * 2004-12-29 2006-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non-abrasive temperature change member
US7956235B2 (en) * 2004-12-29 2011-06-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8129582B2 (en) * 2004-12-29 2012-03-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8378166B2 (en) * 2005-04-04 2013-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time variable appearing graph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952B1 (ko) 2015-06-15
EP2241299A1 (en) 2010-10-20
WO2009084642A1 (ja) 2009-07-09
EP2241299A4 (en) 2012-01-18
US20100280472A1 (en) 2010-11-04
US8853487B2 (en) 2014-10-07
CN101917948A (zh) 2010-12-15
EP2241299B1 (en) 2013-12-04
CN101917948B (zh)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573A (ko) 일회용 흡수성 물품
US11759372B2 (en) Absorbent structure with permanent and temporary attachments
JP2005534421A (ja) 吸収体物品用多機能薄葉紙
JP2004500165A (ja) 吸水性積層材を折り重ねて作られた吸水コア
KR20110021955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KR20110118649A (ko)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JP4746833B2 (ja) 女性用失禁パッド
KR101553428B1 (ko) 일회용 흡수성 물품
EP1712214A1 (en) Absorbent article
JP5283462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528853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19125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43524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0068989A5 (ko)
JP2010081954A5 (ko)
JP5305725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579313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9207564A5 (ko)
JP5502287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394719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01527425B1 (ko) 일회용 기저귀
JP7360293B2 (ja) 吸収性物品
JP4415053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10107379A (ko) 흡수성 물품
JP200916013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