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2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223A
KR20100108223A KR1020100023792A KR20100023792A KR20100108223A KR 20100108223 A KR20100108223 A KR 20100108223A KR 1020100023792 A KR1020100023792 A KR 1020100023792A KR 20100023792 A KR20100023792 A KR 20100023792A KR 20100108223 A KR20100108223 A KR 20100108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ist
unit
mist dischar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845B1 (ko
Inventor
에이지 시나가와
겐지 고지마
마코토 오이카와
히데오 우에야마
이쿠오 이시바시
겐지 이마쿠보
가즈아키 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324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13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0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57Arrangements for discharg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using a gun or nozz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 무화 장치(36)를 냉장실(3)과 야채실(4) 사이의 칸막이판(8)에 설치한다. 저수 탱크(43) 내의 물(W)을 흡수 핀(48), 보수재(47) 및 도전성 시트(46)를 통해 미스트 방출부(49)에 공급한다. 미스트 방출부(49)에는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56)로부터 음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미스트 방출부(49)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강한 산화 작용이 있는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스트가 방출된다. 미스트는 미스트 방출구(52)로부터 야채실(4) 내로 공급되고, 미스트 발생 수단으로서 정전 무화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오존 등의 유해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균 작용이 있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저장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정전 무화 장치에서 발생한 미스트를 저장실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에 있어서 미스트 발생 장치(초음파식 무화 장치 또는 정전 무화 장치)를 저장실 중 야채실에 설치하고, 상기 미스트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한 미스트를 야채실에 공급함으로써 야채의 신선도 유지를 실시하는 구성이 고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4179398호 참조). 또한, 이와 같은 미스트 발생 장치를 야채 등에 부착된 농약 등의 유해 물질의 제거에 이용하거나(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16198호 참조), 또는 살균이나 탈취에 이용하는 것(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79714호 참조)도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미스트 발생 장치로서 초음파식 무화 장치를 이용한 것은 미스트의 입자 직경이 크고, 미스트 발생 장치의 저류수 중에 포함된 오염 성분도 미스트로서 비산되어 이것이 저장실에 공급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정전 무화 장치를 이용한 것에서는 미스트의 입자 직경을 가늘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수nm~수십nm 레벨). 그러나, 일본 특허공보 제4179398호에 개시되어 있는 정전 무화 장치에서는 미스트 발생용 무화 전극(미스트 방출부)과 대향 전극(대극)이 극 근방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무화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오존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오존 농도가 높은 가스는 인체에 유해하고, 사용자가 유해 가스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미스트 발생 수단으로 정전 무화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오존 등의 유해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균 작용이 있는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을 포함하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저장실에 공급할 수 있고, 청결하고 안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미스트 방출부와,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음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미스트 방전부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상기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미스트를 방출하기 위한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를 가진 구성의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를 상기 저장실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오존 등의 유해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미스트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냉장고 전체의 종단측면도,
도 2는 정전 무화 장치를 설치한 부근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정전 무화 장치를 설치한 부근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급수 기구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5는 야채 용기와 정전 무화 장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정전 무화 장치 설치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7은 도 6과는 다른 위치에서의 정전 무화 장치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전 무화 장치 부분의 종단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덮개를 폐쇄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전 무화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12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전 무화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13은 정전 무화 장치의 종단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전 무화 장치 설치 부분의 종단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칠드 케이스 등을 제거한 상태로 냉장용 냉각기의 커버 부분을 정면에서 본 도면,
도 17은 도 16의 X1-X1선을 따르는 종단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6에 상당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X2-X2선을 따르는 종단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전 무화 장치 설치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21은 정전 무화 장치의 급전 장치 부분의 종단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서 냉장고 본체(1)의 단열 상자체(2)는 외부 상자와 내부 상자 사이에 발포 단열재를 충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냉장고 본체(1)의 내부에는 위쪽부터 냉장실(3), 야채실(4), 그리고 제빙실(5)과 소냉동실(도시하지 않음)을 좌우에 병설하고, 최하부에 냉동실(7)을 설치하고 있다.
이 중 냉장실(3) 및 야채실(4)은 고내 온도가 1~4℃로 제어되는 냉장 온도 공간이고, 어느 쪽이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을 구성한다. 이들 냉장실(3) 및 야채실(4)은 동일한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므로 기본적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칸막이판(8)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다른 저장실의 제빙실(5), 소냉동실 및 냉동실(7)은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소냉동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온도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 대체실로 해도 좋다. 냉장 온도대의 하부의 야채실(4)과, 상기 야채실(4)의 바로 아래에 있는 냉동 온도대의 제빙실(5) 및 소냉동실 사이는 단열 간막이벽(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3)은 가로 개방식 회동 가능한 문(3a)에 의해 개폐되고, 다른 야채실(4), 제빙실(5), 소냉동실 및 냉동실(7)은 각각 서랍식 문(4a, 5a, 7a)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저장실(냉동실(3), 야채실(4), 제빙실(5), 소냉동실, 냉동실(7))에는 대응하는 문(3a, 4a, 5a, 7a)의 개폐를 검출하는 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빙실(5)에는 제빙 접시(11)를 구비한 자동 제빙 장치(12)(제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3)의 하부의 뒷부분(後部)에는 냉장용 냉각기(13)가 설치되고, 야채실(4)의 뒷부분에는 상기 냉장용 냉각기(13)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인 냉장실(3) 및 야채실(4) 내에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냉장용 팬(14)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의 후면에는 냉기 덕트(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기 덕트(15)에는 복수의 냉기 분출구(15a)가 형성되어 있고, 냉기 덕트(5) 내를 통과하는 냉기가 냉기 분출구(15a)로부터 냉장실(3) 내로 분출된다.
또한, 냉동실(7)의 뒷부분에는 냉동용 냉각기(16)가 설치되고, 제빙실(5) 및 소냉동실의 뒷부분에는 냉동용 냉각기(16)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인 제빙실(5), 소냉동실 및 냉동실(7)에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냉동용 팬(17)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의 뒤쪽 아래 부분(後底部)에는 기계실(18)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냉동 사이클의 컴프레서(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컴프레서(19)는 냉장용 냉각기(13)와 냉동용 냉각기(16)에 공용이다.
냉장실(3) 내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8)의 위쪽에 위치시키고, 좌단에 제빙용 급수 탱크(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20)의 우측 옆에 서랍식 소형물품(小物) 케이스(21)와 계란 케이스(22)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우측에 칠드실(23)이 설치되어 있다.
칠드실(23)에는 칠드 케이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빙용 급수 탱크(20), 소형물품 케이스(21), 계란 케이스(22), 칠드실(23)의 전단은 칸막이판(8)의 전단보다도 뒤쪽에 위치하며, 칸막이판(8)의 앞부분(前部)(8a)의 위쪽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는 냉장실(3)의 문(3a)의 내면에 설치된 도어 포켓(25)(도 1 참조)을 위한 공간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20)의 뒤쪽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받이 용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빙용 급수 탱크(20)와 물받이 용기(28) 사이에는 제빙용 급수 탱크(20)의 물을 물받이 용기(28)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 기구(29)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받이 용기(28)의 아래쪽에는 펌프용 모터(30)가 설치되고,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20)에는 펌프(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펌프용 모터(30)에 의해 비접촉으로 펌프(31)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그 구동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펌프용 모터(30)의 선단부에는 상기 펌프용 모터(3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영구자석(32)이 설치되며, 상기 영구자석(32)의 회전에 의해 제빙용 급수 탱크(20) 내의 펌프(31)의 펌프 날개가 회전하여 펌프 동작이 실시된다.
펌프 동작이 실시되면 제빙용 급수 탱크(20) 내의 물이 퍼올려져 급수 파이프(33)를 통해 물받이 용기(28)에 공급된다. 물받이 용기(28)에 공급된 물은 급수 파이프(34)를 통해 상기 자동 제빙 장치(12)의 제빙 접시(11)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과 야채실(4) 사이를 간막이하는 상기 칸막이판(8)의 앞부분(前部)(8a)에 정전 무화 장치(36)가 설치되어 있고, 이하 이 정전 무화 장치(36)의 구성에 대해 도 6 및 도 7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전 무화 장치(3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8)의 앞부분(8a)에서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판(8)의 하면에는 정전 무화 장치(36)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판(37)이 장착되고, 칸막이판(8)에는 정전 무화 장치(36)의 무화 유닛(38)을 출입하기 위한 개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8)에는 상기 개구부(39)를 개폐하는 덮개(4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8)과 베이스판(37) 사이에는 무화 유닛(38)을 수용하기 위한 유닛 수용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무화 유닛(38)은 물(W)을 저장하는 저수 탱크(43)(저수부에 상당), 상기 저수 탱크(43)의 상부에 조립된 상부 케이스(44) 및 상기 상부 케이스(44)를 위쪽에서 덮는 유닛 덮개(45)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44)에는 도전성 시트(46), 보수재(47), 흡수 핀(48) 및 복수개의 미스트 방출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도전성 시트(46)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도전성 물질로서의 카본 섬유를 혼합하여 펠트상(부직포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보수성, 수분의 빨아올림 특성과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상부 케이스(44)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수재(47)는 예를 들면 우레탄 스폰지로 이루어지고, 보수성 및 수분의 빨아올림 특성이 우수하며, 상면이 도전성 시트(46)의 하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보수재(47)는 도전성 시트(46) 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흡수 핀(48)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꼬아 핀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보수성, 수분의 빨아올림 특성이 우수하다. 이 흡수 핀(48)은 상단부가 상기 보수재(47)를 관통하여 도전성 시트(46)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흡수 핀(48)의 하단부는 상부 케이스(44)의 통부(44a)를 통해 저수 탱크(43) 내의 물(W) 속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미스트 방출부(49)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도전성 물질로서의 카본 섬유를 혼합하고 꼬아 핀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핀형상 방출 부재를 복수개 병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흡수 핀(48)과 마찬가지로 보수성 및 수분의 빨아올림 특성을 가지며, 또한 도전성 시트(46)와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갖고 있다. 이 미스트 방출부(49)의 선단은 끝이 가늘어진 적절한 둥그스런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스트 방출부(49)에는 백금 나노콜로이드(Colloidal platinum)를 담지시키고 있다. 백금 나노콜로이드는 예를 들면 상기 백금 나노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처리액에 미스트 방출부(49)를 침지하여 이를 소성함으로써 담지시킬 수 있다. 이들 각 미스트 방출부(49)는 각각의 상단부가 도전성 시트(46)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미스트 방출부(49)의 하단부는 상부 케이스(44)를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44)의 아래쪽으로 늘어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44)에는 미스트 방출부(49)를 덮도록 방출부 커버(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출부 커버(50)에는 미스트 방출부(49)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출구(5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37)에는 상기 방출구(51)의 뒤쪽에 위치하는 미스트 방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미스트 방출구(52)는 야채실(4) 내의 상부에 연통되어 있다. 방출구(51)와미스트 방출구(52)는 연통되어 있고, 상기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미스트가 방출되면 상기 미스트는 도 6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출구(51)로부터 미스트 방출구(52)를 통해 야채실(4) 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흡수핀(48)은 저수 탱크(43) 내의 물(W)을 빨아올려 보수재(47) 및 도전성 시트(46)에 공급한다. 보수재(47)는 흡수 핀(48)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물을 상기 도전성 시트(46)에 공급한다.
도전성 시트(46)는 흡수핀(48) 및 보수재(47)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스트 방출부(49)에 공급한다. 이 경우, 흡수핀(48), 보수재(47), 도전성 시트(46)는 미스트 방출부(49)로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성한다.
무화 유닛(38)을 유닛 수용부(41)에 설치할 때는 상기 덮개(40)를 개방시킨 상태로 도 6에 화살표(B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39)로부터 유닛 수용부(41) 내에 삽입한 후,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정규의 설치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무화 유닛(38)을 유닛 수용부(41)로부터 꺼낼 때에는 도 6에 화살표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앞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무화 유닛(38)을 들어올려 개구부(39)로부터 꺼내도록 한다.
무화 유닛(38)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핀(54)이 뒤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급전 핀(54)은 기단부가 도전 부재(55)를 통해 상기 도전성 시트(46)에 접속되어 있다.
무화 유닛(38)을 유닛 수용부(41) 내의 정규 위치에 설치하면 급전 핀(54)의 선단부가 베이스판(37)측에 설치된 커넥터(58)에 삽입 접속된다. 커넥터(58)는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56)의 음극(57)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스트 방출부(49)에는 도전성 시트(46), 급전 핀(54) 및 커넥터(58)를 통해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56)의 음(-)의 고전압(-4~-10kV)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공개특허의 0026, 27로부터).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56)의 음의 고전압이 각 미스트 방출부(49)에 인가되면 전류는 가장 방전하기 쉬운 미스트 방출부(49)의 선단부로 모인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방출부(49)에서 자연 방전 현상이 발생하고, 이 방전 작용으로 발생하는 이온풍을 이용하여 미스트 방출부(49)의 표면에서 분열된 수분을 미세한 미스트로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전 무화 장치(36)는 미스트 방출부(49)에 대한 대극을 구비하지 않고, 따라서 오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방출되는 미스트에 오존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유닛 수용부(41) 내의 저부에는 무화 유닛(38)의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6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무화 유닛(38)의 설치 상태를 검출하는 유닛 검출 스위치(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37)의 앞부분에는 덮개 스위치(62) 및 레버(63)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4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덮개(40)의 가압부(押壓部)(64)를 통해 레버(63)가 회동되면 덮개 스위치(62)가 가압 조작되고, 덮개(40)가 개방되면 덮개 스위치(62)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덮개(40)의 개폐를 덮개 스위치(62)에 의해 검출한다.
상기 저수 탱크(43) 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형상을 이루는 여과 필터(65)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여과 필터(65) 내에 이온 교환 수지(66)가 수용되어 있다. 유닛 덮개(45)에는 상기 여과 필터(65)에 대응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주수구(注水口)(67)가 설치되어 있다.
유닛 덮개(45)에는 주수구(67)를 개폐하는 주수 덮개(6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주수 덮개(68)를 분리한 상태에서 주수구(67)로부터 저수 탱크(43)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43)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광촉매(69)가 도포되어 있다. 유닛 수용부(41) 내의 저부에는 자외선을 발하는 광원(예를 들면 자외선 LED)(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원(70)은 점등 시에 저수 탱크(43)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광촉매(69)는 상기 자외선을 받아 활성화되며, 제균 작용을 발휘한다.
상기 야채실(4)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용기(72)와, 상기 하부 용기(72)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용기(7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용기(73)는 하부 용기(72) 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가 작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용기(72)의 뒷부분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용기(73)의 전단부가 상기 베이스판(37)의 상기 미스트 방출구(52)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미스트 방출구(52)로부터 야채실(4) 내로 미스트가 방출되면 상기 미스트는 하부 용기(72)와 상부 용기(73)의 양쪽에 공급되게 된다(도 6 참조).
냉장고 본체(1)의 뒷부분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75)(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장치(75)는 냉동 사이클의 컴프레서(19)나 냉장용 팬(14), 냉동용 팬(17), 자동 제빙 장치(12), 급수 기구(29)의 펌프용 모터(30), 정전 무화 장치(36) 및 광원(70) 등 냉장고 본체(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제어 장치(75)는 특히 정전 무화 장치(36)에 대해서는 각 저장실의 문 스위치가 문의 폐쇄를 검출하고, 또한 정전 무화 장치(36)의 상기 덮개 스위치(62)가 덮개(40)의 폐쇄를 검출하며, 또한 유닛 검출 스위치(61)가 무화 유닛(38)의 설치 상태를 검출한 상태에서만 정전 무화 장치(36)로의 통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저장실의 문이 개방되거나 덮개(40)가 개방되거나 또는 무화 유닛(38)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정전 무화 장치(36)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 장치(75)는 소정 시간마다 광원(70)을 일정 시간 점등 제어한다.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무화 유닛(38)이 유닛 수용부(41) 내에 설치되고, 유닛 수용부(41)의 덮개(40)가 폐쇄되며, 또한 각 저장실의 문이 폐쇄된 상태로 정전 무화 장치(36)가 구동되면 각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는 미세한 미스트가 방출되고, 상기 미스트가 미스트 방출구(52)로부터 야채실(4)의 상부 용기(73) 및 하부 용기(72) 내에 공급된다.
미스트는 강한 산화 작용을 가진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고, 상기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스트가 야채실(4)의 상부 용기(73) 및 하부 용기(72) 내에 공급되어 이들의 살균이나 탈취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미스트에 의해 상부 용기(73) 및 하부 용기(72) 내에 수용된 야채실의 신선도 유지 등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시간마다 광원(70)을 일정 시간 점등 제어하여 저수 탱크(43) 내의 광촉매(69)가 활성화되고, 저수 탱크(43) 내의 제균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정전 무화 장치(36)는 물이 없어지면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없어지므로 정기적으로 물을 보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에 따라 미스트 방출부(49)의 표면에 점액과 같은 오염이 부착하여 막힘이 발생하면, 미스트의 방출 성능이 저하되므로 예를 들면 1년에 1회 정도 미스트 방출부(49)를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냉장실(3)의 문(3a)을 개방한 후, 칸막이판(8)의 앞부분(8a)의 덮개(40)를 슬라이드시켜 유닛 수용부(41)의 개구부(39)를 개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유닛 수용부(41) 내에 손을 삽입하여 정전 무화 장치(36)의 무화 유닛(38)을 구비하고,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들어 올려 유닛 수용부(41)로부터 꺼낸다. 이 때 커넥터(58)와 급전 핀(54)의 접속이 분리된다.
그리고 물을 보급할 뿐인 경우에는 주수 덮개(68)를 분리한 상태로 주수구(67)로 물을 보급한다. 또한 미스트 방출부(49)도 청소할 경우에는 저수 탱크(43)로부터 상부 케이스(44)를 분리하고, 또한 상부 케이스(44)로부터 방출부 커버(50)를 분리하여 미스트 방출부(49)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물을 보급할 뿐인 경우에는 무화 유닛(38)을 유닛 수용부(41)에 설치한 상태 그대로 주수 덮개(68)만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물의 보급이나 청소가 끝나면 무화 유닛(38)을 원래대로 조립한 후, 무화 유닛(38)을 유닛 수용부(41) 내에 수용하여 정규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급전 핀(54)을 커넥터(58)에 삽입 접속한다. 그 후 덮개(40)를 앞쪽으로 슬라이드하여 개구부(39)를 폐쇄하고, 냉장실(3)의 문(3a)을 폐쇄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장실(3)과 야채실(4) 사이의 칸막이판(8)에 오존을 발생하지 않는 구성의 정전 무화 장치(36)를 설치하고, 상기 정전 무화 장치(36)의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를 주로 야채실(4)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강한 산화 작용을 가진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스트가 야채실(4)에 공급되어 상기 야채실(4) 내의 제균이나 탈취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미스트에 의해 야채 등의 신선도 유지 등도 기대할 수 있다.
정전 무화 장치(36)로서는 미스트 방출부(49)에 대한 대극을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미스트 방출부와 대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 종래 구성의 것과 달리 오존 등의 유해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전 무화 장치(36)는 물(W)을 저류(貯留)하는 저수 탱크(43)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 탱크(43)에 저류된 물(W)을 흡수 핀(48), 보수재(47) 및 도전성 시트(46)를 통해 각 미스트 방출부(49)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스트 방출부(49)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의 미스트 발생량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43)는 무화 유닛(38)을 포함한 전체를 유닛 수용부(41)에 대해 착탈 가능하므로 저수 탱크(43)로의 물의 보급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저수 탱크(43)에 맞춰 미스트 방출부(49)도 착탈 가능하므로 상기 미스트 방출부(49)의 청소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저수 탱크(43) 내에 여과 필터(65)를 설치했으므로 저수 탱크(43) 내에 보급되는 물을 정화할 수 있고, 청결한 물을 미스트 방출부(49)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스트 방출부(49) 등에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미스트의 방출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과 필터(65) 내에 이온 교환 수지(66)를 수납했으므로 저수 탱크(43) 내에 저류되는 물(W)에 포함된 미네랄성분은 상기 이온 교환 수지(66)에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스트 방출부(49) 등에 스케일이 축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미스트의 방출량의 저하를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들에 의해 미스트 방출부(49)의 사용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정 시간마다 광원(70)을 일정 시간 점등 제어하여 저수 탱크(43) 내의 광촉매(69)가 활성화되고, 저수 탱크(43) 내의 제균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청결한 물을 미스트 방출부(49)에 공급할 수 있다.
정전 무화 장치(36)의 무화 유닛(38)을 칸막이판(8)의 앞부분(8a)에 설치했으므로 상기 무화 유닛(38)에 대한 물의 보급이나 무화 유닛(38)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무화 유닛(38)의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방출되는 미스트가 야채실(4)의 상부 용기(73)와 하부 용기(72)의 양쪽에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상부 용기(73)에도 하부 용기(72)에도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다.
미스트 방출부(49)에 백금 나노콜로이드를 담지시켜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방출되는 미스트에 히드록시 라디칼이 생성되기 쉬워지고, 제균 기능이나 탈취 기능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스트 방출부(49)에 도전성 물질(카본)을 포함시킨 것에 의해 미스트 방출부(49)의 도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저장실(냉장실(3), 야채실(4), 제빙실(5), 소냉동실, 냉동실(7))의 문(3a, 4a, 5a, 6a, 7a) 중 어느 하나의 문이 개방되면 정전 무화 장치(36)의 통전이 차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고전압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냉장실(3)의 문(3a)이 개방될 때에 정전 무화 장치(36)의 통전이 차단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전 무화 장치(36)를 수용한 유닛 수용부(41)의 덮개(40)의 개폐를 검출하는 덮개 스위치(62)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40)가 개방되었을 때도 정전 무화 장치(36)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닛 수용부(41)에 유닛 검출 스위치(61)를 설치하므로 무화 유닛(38)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정전 무화 장치(36)가 통전되지 않고 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정전 무화 장치(77)의 무화 유닛(78)을 설치한 부분을 정면측에서 본 종단 정면도이다.
이 도 8에서 무화 유닛(78)을 수용하는 유닛 수용부(79)는 칸막이판(8)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유닛 수용부(79)의 위치는 제 1 실시형태의 유닛 수용부(41)와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무화 유닛(78)은 유닛 수용부(79)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닛 수용부(79)의 상면 개구부(8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81)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면 개구부(80)에는 덮개(81)의 개폐를 검출하는 덮개 스위치(82)가 설치되어 있다.
무화 유닛(78)의 유닛 케이스(84)는 상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용기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저수 탱크(85)(저수부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저수 탱크(85)에는 무화용 물(W)이 저류되어 있다. 저수 탱크(85) 내에는 용기 형상을 이루는 여과 필터(86)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여과 필터(86) 내에 이온 교환 수지(87)가 수용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84)의 상면에는 저수 탱크(85)를 위쪽에서 덮도록 유닛 덮개(8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닛 덮개(88)에는 상기 여과 필터(86)의 위쪽에 위치하는 주수구(89)를 개폐하는 주수 덮개(9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저수 탱크(85)로 물을 보급할 경우에는 주수 덮개(90)를 분리한 상태로 주수구(89)로부터 여과 필터(86) 내로 급수한다. 이 때, 보급된 물(W)은 여과 필터(8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된다. 또한, 여과 필터(86) 내에는 이온 교환 수지(87)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물(W)에 포함된 미네랄성분은 이온 교환 수지(87)에 흡착되어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저수 탱크(85) 내에 수용된 물(W)은 저수 탱크(85) 내에서 정화되고, 상기 정화된 물(W)이 후술하는 흡수 핀(91)에 공급되게 된다.
유닛 케이스(84) 내의 우측부에는 핀 유지 케이스(9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핀 유지 케이스(92)에는 흡수 핀(91), 도전성 시트(93), 보수재(94) 및 복수개의 핀형상을 이루는 미스트 방출부(95) 및 급전 핀(9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흡수 핀(91), 도전성 시트(93), 보수재(94), 미스트 방출부(95)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의 흡수 핀(48), 도전성 시트(46), 보수재(47), 미스트 방출부(49)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시트(93)는 핀 유지 케이스(92) 내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수재(94)는 상면이 도전성 시트(93)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보수재(94)는 도전성 시트(93) 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각 미스트 방출부(95)는 각각의 상단부가 보수재(94)를 관통하여 도전성 시트(93)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각 미스트 방출부(95)의 하단부는 핀 유지 케이스(92)를 관통하여 유닛 케이스(84) 내에 늘어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84)의 저벽부에는 이들 미스트 방출부(9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방출구(97)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 핀(91)은 상단부가 상기 보수재(94)에 접촉되고, 하단부는 핀 유지 케이스(92)를 관통하여 저수 탱크(85) 내의 물(W)중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흡수 핀(91)은 저수 탱크(85) 내의 물을 빨아올려 보수재(94)에 공급한다. 보수재(94)는 흡수 핀(9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물을 상기 도전성 시트(93) 및 각 미스트 방출부(95)에 공급한다. 이 경우 흡수 핀(91), 보수재(94) 및 도전성 시트(93)는 미스트 방출부(95)로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성한다.
상기 급전 핀(96)의 상단부는 보수재(94)를 관통하여 도전성 시트(93)에 접촉하고, 급전 핀(96)의 하단부는 핀 유지 케이스(92)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선단부는 뒤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급전 핀(96)은 가로로 봐서 L자형을 이루고, 무화 유닛(78)을 유닛 수용부(79) 내에 수용한 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후단부가 커넥터(98)에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98)에는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56)(도 6 참조)의 음극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56)의 음의 고전압이 급전 핀(96)에 인가되면 상기 음의 고전압이 도전성 시트(93) 및 수분을 통해 각 미스트 방출부(95)에도 인가된다. 그 결과 각 미스트 방출부(95)에서 자연 방전 현상이 발생하고, 미스트 방출부(95) 표면의 수분이 분열하여 미세한 미스트로서 방출되게 된다.
이 정전 무화 장치(77)에서도 음의 고전압으로 인가된 미스트 방출부(95)에 대한 대극(對極)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유닛 수용부(79)의 저벽부에는 상기 방출구(97)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미스트 방출구(99)가 형성되어 있고, 각 미스트 방출부(95)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는 상기 미스트 방출구(99)를 통해 아래쪽의 야채실(4) 내에 공급되게 된다.
야채실(4) 내에 공급된 미스트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용기(73)와 하부 용기(72) 양쪽에 위쪽으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저수 탱크(85) 내의 저면에 광촉매를 설치하고, 유닛 수용부(79)측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광원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정전 무화 장치(101)의 무화 유닛(10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8)의 상면에 있어서 소형물품 케이스(103)의 뒤쪽, 또 제빙용 급수 탱크(20)와 물받이 용기(28)의 우측 가로가 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소형물품 케이스(103)는 제 1 실시형태의 소형물품 케이스(21) 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무화 유닛(102)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8)측에 고정되는 유닛 베이스(104)와, 상기 유닛 베이스(104)에 대해 앞쪽으로부터의 슬라이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닛 케이스(105)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베이스(104)는 상면 및 전면이 개구된 거의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앞부분에 가로로 봐서 L자형을 이루는 덮개(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106)는 하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덮개(106)에서 도 11에 도시한 폐쇄 상태에서 상부가 되는 부분에 후단부가 개구된 절개부(107)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우측부에 가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절개부(107)는 후술하는 급수 파이프(109)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유닛 베이스(104)의 우측벽의 상부에는 가압 부재(108)에 의해 조작되는 덮개 스위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스위치(110)는 덮개(106)의 개폐를 검출한다.
상기 유닛 케이스(105)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부에 저수 탱크(111)(저수부에 상당)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수 탱크(111) 내에 이온 교환 수지를 수용한 여과 필터(86)가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플로트 부재(112)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 부재(112)는 플로트부(113), 일단부가 플로트부(113)에 연결된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아암부(114)와, 상기 아암부(114)의 선단부에 고착된 영구자석(115)을 구비하고, 아암부(114)의 중간부가 축(116)에 의해 저수 탱크(11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저수 탱크(111) 내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부(113)의 위치는 높고, 영구자석(115)의 위치는 낮다. 그리고, 저수 탱크(111) 내의 수위가 낮아지면, 도 13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부(113)의 위치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영구자석(115)의 위치는 높아진다.
상기 유닛 베이스(104)의 좌측 벽 내에는 2개의 자기 센서(117, 118)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자기 센서(117, 118)와 플로트 부재(112)를 이용하여 플로트 부재(112)의 영구자석(115)의 위치를 자기 센서(117, 118)에 의해 검출하여 저수 탱크(111) 내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115)의 자속의 유무를 자기 센서(117, 118)에 의해 검출하여 유닛 케이스(105)가 유닛 베이스(104)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유닛 케이스(105)의 상부에는 유닛 덮개(1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유닛 덮개(120)에는 상기 여과 필터(86)의 위쪽에 위치하는 주수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105)의 우측부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유지 케이스(9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핀 유지 케이스(92)에는 도전성 시트(93), 보수재(94), 복수개의 미스트 방출부(95), 흡수 핀(91) 및 급전 핀(9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도 급전 핀(96)은 하부가 뒤쪽을 향해 굴곡되어 있고, 전체로서는 L자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유닛 베이스(104)의 저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커넥터(122)가 설치되어 있고, 핀 유지 케이스(92)를 장착한 유닛 케이스(105)를 유닛 베이스(104)에 앞쪽에서 삽입할 때 급전 핀(96)의 선단부가 커넥터(122)에 앞쪽으로부터 삽입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미스트 방출부(95)의 하단부는 유닛 케이스(105)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유닛 베이스(104)의 저벽부에는 미스트 방출부(9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방출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8)에는 상기 방출구(123)에 대응하는 부위에 미스트 방출구(124)(도 1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미스트 방출부(95)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는 방출구(123) 및 미스트 방출구(124)를 통해 아래쪽 야채실(4) 내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정전 무화 장치(101)의 무화 유닛(102)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4) 내의 상부 용기(73)의 좌측 뒷부분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화 유닛(102)의 각 미스트 방출부(95)는 모두 상부 용기(73)로 위쪽으로부터 향하게 되고, 미스트 방출구(124)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는 상부 용기(73)에만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용기(74)의 저부에 슬릿형 통기부(125)를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용기(73) 내에 공급된 미스트를 상기 통기부(125)를 통해 하부 용기(72) 내에도 공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정전 무화 장치(101)의 무화 유닛(102)으로의 자동 급수 구조에 대해 주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빙용 급수 탱크(20)에 정전 무화 장치(101)용 전용 급수 기구(127)를 설치하고 있다.
이 급수 기구(127)는 상기 급수 기구(29)와 마찬가지로 물받이 용기(28)의 아래쪽에 설치된 펌프용 모터(128), 상기 펌프용 모터(128)에 의해 회전되는 영구자석(129), 제빙용 급수 탱크(20)에 설치되어 영구자석(129)에 의해 회전되는 펌프(130) 및 상기 펌프(130)에 의해 퍼올려진 물을 상기 무화 유닛(102)의 주수구(121)로부터 저수 탱크(111)로 인도하는 급수 파이프(10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수 파이프(109)의 선단부는 주수구(121)로 위쪽으로부터 향하고 있다(도 11, 도 12 참조). 이 급수 기구(127)에 의해 제빙용 급수 탱크(20) 내의 물을 무화 유닛(102)으로 필요한 양만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급수 기구(127)의 펌프용 모터(128)도 상기 제어 장치(75)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빙용 급수 탱크(20)의 물을 급수 기구(127)에 의해 정전 무화 장치(101)의 무화 유닛(102)으로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정전 무화 장치(101)로의 급수를 자동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전 무화 장치(101)로 일일이 급수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빙용 급수 탱크(20)는 정전 무화 장치(101)의 저수부를 겸하고 있다.
정전 무화 장치(101)의 무화 유닛(102)은 칸막이판(8)의 뒷부분에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제빙용 급수 탱크(20)로부터 물받이 용기(28)로 급수하는 급수 경로의 근처가 되어 자동 급수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무화 유닛(102)의 미스트 방출부(95)는 야채실(4)의 상부 용기(73)의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상부 용기(73)의 저부에 통기부(12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미스트 방출부(95)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를 상부 용기(73)에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통기부(125)를 통해 하부 용기(72)에도 공급할 수 있다.
저수 탱크(111) 내에 설치된 영구자석(115)을 가진 플로트 부재(112), 유닛 베이스(104)에 설치된 자기 센서(117, 118)에 의해 저수 탱크(111) 내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75)가 저수 탱크(111) 내의 물(W)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 그 알림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닛 베이스(104)에 대해 유닛 케이스(105)가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유닛 베이스(104)에 대해 유닛 케이스(105)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정전 무화 장치(101)로의 통전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와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즉, 제 1 실시형태의 급수 기구(29)의 급수 파이프(33)의 중간부에 전환 밸브(132)를 설치하고, 또한 이 전환 밸브(132)에 분기 파이프(133)를 설치하며, 상기 분기 파이프(133)의 선단부를 제 3 실시형태의 상기 무화 유닛(102)의 주수구(121)를 향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전환 밸브(132)에 의해 제빙용 급수 탱크(20)의 물을 급수 파이프(33)를 통해 물받이 용기(28)측으로 공급하는 경우와 분기 파이프(133)를 통해 무화 유닛(102)측으로 공급하는 경우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환 밸브(132)도 제어 장치(75)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제 4 실시형태에서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정전 무화 장치(135)는 냉장실(3) 내의 뒷부분에 있어서 칠드실(23)의 위쪽, 또 냉기 덕트(15)의 냉기 분출구(15a)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정전 무화 장치(135)의 무화 유닛(136)을 수용하는 유닛 베이스(137)는 칠드실(23)의 위쪽에 설치된 하부 선반판(138)상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베이스(137)는 후면 및 전면이 개구되어 있고, 전면에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39)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139)는 상단부가 축(140)으로 유닛 베이스(13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축(140)을 지점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닛 베이스(137)의 상부에는 덮개(139)의 개폐를 검출하는 덮개 스위치(14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선반판(138)에는 스토퍼부(1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142)는 덮개(139)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덮개(139)를 개방시킬 때는 그 규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139)에는 미스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미스트 방출구(143)가 형성되어 있다.
무화 유닛(136)은 보조 탱크(144), 핀형을 이루는 복수개의 미스트 방출부(145), 도전성 시트(146), 보수재(147), 흡수 핀(148) 및 방출부 커버(149)를 구비하고, 유닛 베이스(137)에 대해 앞쪽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미스트 방출부(145), 도전성 시트(146), 보수재(147), 흡수 핀(148)은 제 1 실시형태의 미스트 방출부(49), 도전성 시트(46), 보수재(47) 및 흡수 핀(48)과 동일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미스트 방출부(145)는 하단부가 도전성 시트(146)에 접촉하고,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이루는 상단부가 위로 향해져 있다. 도전성 시트(146) 아래에 보수재(147)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 핀(148)은 상단부가 보수재(147)를 관통하여 도전성 시트(146)에 접촉하고, 하단부가 보조 탱크(144) 내에 저류된 물(W) 속에 삽입되어 있다.
보수재(147)에는 상기 보수재(147)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 흡수성이 우수한 흡수재(150)의 일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흡수재(150)의 타단부는 냉장용 냉각기(13)의 아래쪽에 설치된 물받이부(151) 내에 삽입되어 있다. 물받이부(151)는 냉장용 냉각기(13)의 성에 제거 시의 제상수를 받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받이부(151)에 받아진 물(제상수)은 흡수재(150)를 통해 상기 보수재(147)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보수재(147)에는 물받이부(151) 내의 물이 흡수재(150)를 통해 공급되고, 또한 보조 탱크(144) 내의 물이 흡수 핀(148)을 통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미스트 방출부(145)에는 물받이부(151) 내의 물과 보조 탱크(144) 내의 물 양쪽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흡수 핀(148), 흡수재(150), 보수재(147), 도전성 시트(146)는 미스트 방출부(145)로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성한다.
상기 방출부 커버(149)는 미스트 방출부(145)를 덮도록 배치되고, 미스트가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무화 유닛(136)에는 뒤쪽을 향해 돌출된 급전 핀(154)이 설치되어 있다. 무화 유닛(136)을 정규 위치에 설치함에 따라 상기 급전 핀(154)이 유닛 베이스(137)측에 설치된 커넥터(155)에 삽입 접속된다. 커넥터(155)는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56)의 음극(157)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도 미스트 방출부(145)에는 도전성 시트(146), 급전 핀(154) 및 커넥터(155)를 통해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56)의 음의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56)의 음의 고전압이 각 미스트 방출부(145)에 인가되면 각 미스트 방출부(145)에서 발생한 자연 방전 현상에 의해 미스트 방출부(145)의 표면의 수분이 분열하여 미세한 미스트로서 방출된다.
이 정전 무화 장치(135)에서도 음의 고전압으로 인가된 미스트 방출부(145)에 대한 대극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상기 구성에서 정전 무화 장치(135)가 구동되면 각 미스트 방출부(145)로부터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세한 미스트가 방출된다. 상기 미스트는 냉기 덕트(15)의 냉기 분출구(15a)로부터 냉장실(3) 내로 분출되는 냉기의 흐름과 함께 덮개(139)의 미스트 방출구(143)를 통해 냉장실(3)의 전방을 향해 공급된다(화살표 C 참조). 냉장실(3) 내에 공급된 미스트는 냉기와 함께 아래쪽 야채실(4)에도 공급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전 무화 장치(135)가 냉장실(3) 내에서 냉기 분출구(1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미스트 방출부(145)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를 냉장실(3) 및 야채실(4)에도 공급할 수 있고, 이들의 제균 및 탈취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스트에 의해 야채 등의 신선도 유지 등도 기대할 수 있다.
정전 무화 장치(135)에서 사용하는 물로서 물받이부(151)에서 받은 제상수도 이용하므로 정전 무화 장치(135)로의 급수를 자동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전 무화 장치(135)로 급수하는 수고를 최대한 덜 수 있으며, 또한 보조적으로 보조 탱크(144)로 물을 저류해 둘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냉장실(3)의 하부 뒷부분의 냉장용 냉각기(13)의 앞부분에는 단열재로 제작된 단열재 커버(160)를 통해 합성수지제 냉장용 냉각기 커버(이하, "R에버 커버"라고 함)(161)가 설치되어 있다. R에버 커버(161)는 나사(162)(도 16의 파선 참조)에 의해 냉장실(3)의 뒷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사(162)의 장착 부분은 앞쪽에서 시일(162a)에 의해 덮혀 있다.
단열재 커버(160)에는 냉장용 냉각기(13)의 전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개구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R에버 커버(161)의 전면에는 이슬 받이통(164)이 R에버 커버(16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용 냉각기(13)는 주지와 같이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파이프(13a)와 다수장의 냉각판(13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냉매 파이프(13a)는 사행(蛇行)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슬 받이통(164)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전 무화 장치(36)의 뒷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통(165)과, 상기 세로통(165)로부터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상승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통(166)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경사통(166)은 측면에서 봐서 L자형 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R에버 커버(161)의 전면에 결로된 이슬을 받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경사통(166)은 상기 세로통(165)을 향해 하강 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이들 경사통(166)에서 받아진 결로수는 세로통(165)를 향해 흐른다.
냉장실(3)의 저부를 구성하는 상기 칸막이판(8)에는 결로수 안내통(167)(도 17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로수 안내통(167)은 후단부가 상기 세로통(165)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결로수 안내통(167)의 앞부분은 칸막이판(8)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덮개(40) 아래에도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정전 무화 장치(36)의 유닛 덮개(45)와 덮개(40) 사이에 삽입되도록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유닛 덮개(45)와 덮개(40) 사이에는 결로수 안내통(167)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틈이 형성되어 있다. 결로수 안내통(167)의 선단부의 출구(167a)는 유닛 덮개(45)에 형성된 주수용 개구부(168)로 위쪽으로부터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냉장용 냉각기(13)를 덮는 단열재 커버(160)에는 개구부(16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장용 냉각기(13)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상기 개구부(163)를 통해 R에버 커버(161)에 접촉하기 쉬워지고, R에버 커버(161)가 냉각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R에버 커버(161)의 전면에는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상기 결로는 물방울이 되어 R에버 커버(161)의 전면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아래로 떨어진 결로수는 이슬 받이통(164)의 경사통(166)에서 받는다.
경사통(166)에서 받아진 결로수는 세로통(165)을 향해 흐른 후, 상기 세로 통(165) 및 결로수 안내통(167)을 통과하고, 결로수 안내통(167)의 출구(167a)로부터 정전 무화 장치(36)의 개구부(168)를 통해 도전성 시트(46)상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도전성 시트(46)에 공급된 물(결로수)도 미스트 방출부(49)에 공급되고,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미스트로서 방출되게 된다.
이 경우, R에버 커버(161), 이슬 받이통(164), 결로수 안내통(167)도 미스트 방출부(49)로의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성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정전 무화 장치(36)에서 사용하는 물로서 R에버 커버(161)의 이슬 받이통(164)에서 받은 결로수도 이용하므로 정전 무화 장치(36)로의 급수를 자동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전 무화 장치(36)로 급수하는 수고를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해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R에버 커버(161)를 고정하는 나사(162)의 장착 부분을 냉장용 냉각기(13)의 냉매 파이프(13a)의 근방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에버 커버(161)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슬 받이통(164)의 좌우의 경사통(166)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뒤쪽을 향해 돌출된 통형상의 나사 장착부(17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 장착부(170)가 단열재 커버(160)에 형성된 개구부(171)를 관통하며, 또한 냉매 파이프(13a)의 근방을 통해 냉장실(3)의 뒷부분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 장착부(170)에 장착된 나사(162)를 냉장실(3) 뒷부분의 내부 상자(172)에 장착하고 있다. 또한, 나사 장착부(170)의 전면에는 시일(162a)을 부착하고, 상기 시일(162a)에 의해 나사 장착부(170)의 전면 개구부를 덮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R에버 커버(161)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장착부(170)를 냉장용 냉각기(13)의 냉매 파이프(13a)의 근방에 배치하여 나사(162) 및 나사 장착부(170)를 통해 R에버 커버(161)가 냉각되기 쉬워지고, 이에 의해 R에버 커버(161)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도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R에버 커버(161)의 이슬 받이통(164)에서 받은 결로수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정전 무화 장치(36)로의 급수를 자동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전 무화 장치(36)로 급수하는 수고를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칸막이판(8)상에 설치되는 제빙용 급수 탱크(180)의 상부에는 급수 탱크 덮개(18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빙용 급수 탱크(180)는 자동 제빙 장치(제빙 장치)(12)(도 1 참조)의 제빙 접시(11)로 공급하는 물을 저류하는 것으로 칸막이판(8)상의 냉장실(3)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빙용 급수 탱크(180)와 자동 제빙 장치(12)용 물받이 용기(28) 사이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급수 기구(2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탱크 덮개(181)의 뒷부분(도 20에서 우측부)의 상면에는 정전 무화 장치(182)의 무화 유닛(183)이 설치되어 있다. 무화 유닛(183)은 유닛 케이스(184)와, 상기 유닛 케이스(184) 내에 배치된 도전성 시트(185) 및 보수재(186), 흡수부를 구성하는 흡수 핀(187), 복수개의 미스트 방출부(18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도전성 시트(185), 보수재(186), 흡수 핀(187) 및 미스트 방출부(188)는 제 1 실시형태의 도전성 시트(46), 보수재(47), 흡수핀(48) 및 미스트 방출부(49)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수 핀(187)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는 유닛 케이스(184) 내에서 보수재(186)를 관통하여 도전성 시트(185)에 접촉하고, 하단부는 급수 탱크 덮개(181)를 관통하여 제빙용 급수 탱크(180) 내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흡수 핀(187)의 하단부는 제빙용 급수 탱크(180) 내의 저부 부근까지 도달하고 있다.
흡수 핀(187)은 특히 수분의 빨아올림 특성이 우수하고, 제빙용 급수 탱크(180) 내의 물을 빨아올려 보수재(186) 및 도전성 시트(185)를 통해 미스트 방출부(188)로 공급한다.
이 경우, 흡수 핀(187), 보수재(186) 및 도전성 시트(185)는 미스트 방출부(188)로의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빙용 급수 탱크(180)는 미스트 방출부(188)로 공급하는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를 구성한다.
무화 유닛(183)의 뒷부분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다리 형상의 급전 핀(190)이 뒤쪽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전 핀(190)은 도시하지 않은 도전 부재를 해제하여 상기 도전성 시트(18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빙용 급수 탱크(180)의 뒤쪽에 있는 냉기 덕트(15)에는 전원 케이스(19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 케이스(191) 내에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92)가 수납되어 있으며, 또한 일 단부가 이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92)에 접속되는 전극 핀(193)이 앞쪽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전극 핀(193)은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92)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케이스(191)의 앞부분에는 전극 핀(193)을 포위하도록 보호 통부(1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무화 유닛(183)을 급수 탱크 덮개(181)상에 설치한 상태로 제빙용 급수 탱크(180)를 칸막이판(8) 위를 앞쪽에서 뒤쪽(도 20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 슬라이드시켜 정규 위치에 설치함에 따라 무화 유닛(183)의 급전 핀(190)이 보호 통부(194) 내에 삽입되고, 또한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92)측의 전극 핀(193)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 접속 상태에서 무화 유닛(183)의 미스트 방출부(188)에는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192)로부터 음의 고전압(-4~-10kV)이 전극 핀(193), 급전 핀(190), 도시하지 않은 도전 부재, 도전성 시트(185)를 통해 인가되고, 이에 기초하여 미스트 방출부(188)로부터 미세한 미스트가 방출되게 된다.
유닛 케이스(184)에는 미스트 방출부(18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출구(195)가 형성되어 있고, 미스트 방출부(188)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는 상기 방출구(195)로부터 냉장실(3) 내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제빙용 급수 탱크(180)를 설치 위치에서 분리하기 위해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급전 핀(190)과 전극 핀(193)의 접속이 해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전 무화 장치(182)의 무화 유닛(183)을 제빙용 급수 탱크(180)의 급수 탱크 덮개(181)에 설치하고, 무화 유닛(183)의 흡수 핀(187)을 제빙용 급수 탱크(180) 내에 삽입하며, 상기 흡수 핀(187)이 빨아올린 제빙용 급수 탱크(180) 내의 물을 미스트 방출부(188)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제빙용 급수 탱크(180)를 정전 무화 장치(182)의 저수부로도 이용할 수 있고, 제빙용 급수 탱크(180)로의 1회의 급수 작업으로 자동 제빙 장치(12)와 정전 무화 장치(182)의 2개의 시스템으로의 급수가 가능해지며, 급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182)로서는 제빙용 급수 탱크(180)를 저수부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저수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제 9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야채실(4)에서 칸막이판(8)의 아래쪽(정전 무화 장치(36)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판(37)의 아래쪽)에는 상기 칸막이판(8)의 하면을 따르도록 커버(20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커버(200)와 칸막이판(8) 및 베이스판(37) 사이의 공간부를 냉기 통로(201)로 하고 있다. 이 냉기 통로(201)는 도 22에 화살표(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야채실(4)의 뒷부분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분출되는 냉기를 야채실(4) 앞부분에 수납되는 페트병(202) 등으로 보내 이들을 차갑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37)에는 무화 유닛(38)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미스트 방출구(203)를 설치하고 있다. 이 미스트 방출구(203)는 무화 유닛(38)의 미스트방출부(49)(도 6 참조)의 아래쪽, 이 경우 거의 바로 아래이고, 또한 상기 냉기 통로(201)로 위쪽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무화 유닛(38)의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미스트가 방출되면, 상기 미스트는 베이스판(37)의 미스트 방출구(203)로부터 냉기 통로(201)로 방출되고, 냉기 통로(201)를 뒷부분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흐르는 냉기(화살표(D) 통로)를 따라서 야채실(4)의 앞부분을 향해 흘러 야채실(4) 내로 공급된다.
이 때, 미스트 방출구(203)는 미스트 방출부(49)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또한 냉기 통로(201)로 위쪽으로부터 향하고 있으므로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방출된 미스트가 베이스판(37)의 내저면 등에 충돌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고, 미스트가 베이스판(37)의 내저면 등에 부착하여 감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방출부(49)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는 냉기 통로(201)를 뒷부분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흐르는 냉기에 들어가므로 냉기 통로(201)측으로 유출되기 쉬워지고, 미스트가 베이스판(37)의 내저면 등에 충돌하여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더 많은 미스트를 야채실(4) 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3 : 냉장실(저장실) 4 : 야채실(저장실)
8 : 칸막이판 12 : 자동 제빙 장치(제빙 장치)
13 : 냉장용 냉각기(냉각기) 15a : 냉기 분출구
20 : 제빙용 급수 탱크(저수부) 29 : 급수 기구
36 : 정전 무화 장치 38 : 무화 유닛
40 : 덮개 43 : 저수 탱크(저수부)
46 : 도전성 시트(급수부) 47 : 보수재(급수부)
48 : 흡수 핀(급수부) 49 : 미스트 방출부
54 : 급전 핀 56 :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
62 : 덮개 스위치 65 : 여과 필터
66 : 이온 교환 수지 72 : 하부 용기
73 : 상부 용기 75 : 제어 장치
77 : 정전 무화 장치 78 : 무화 유닛
81 : 덮개 82 : 덮개 스위치
85 : 저수 탱크(저수부) 86 : 여과 필터
87 : 이온 교환 수지 91 : 흡수 핀(급수부)
93 : 도전성 시트(급수부) 94 : 보수재(급수부)
95 : 미스트 방출부 96 : 급전 핀
101 : 정전 무화 장치 102 : 무화 유닛
106 : 덮개 111 : 저수 탱크(저수부)
125 : 통기부 127 : 급수 기구
132 : 전환 밸브 135 : 정전 무화 장치
136 : 무화 유닛 139 : 덮개
141 : 덮개 스위치 144 : 보조 탱크(저수부)
145 : 미스트 방출부 146 : 도전성 시트(급수부)
147 : 보수재(급수부) 148 : 흡수핀(급수부)
150 : 흡수재(급수부) 151 : 물받이부(저수부)
154 : 급전 핀 156 : 전원 장치
161 : 냉장용 냉각기 커버(R에버 커버(급수부))
164 : 이슬 받이통(급수부) 167 : 결로수 안내통(급수부)
180 : 제빙용 급수 탱크(저수부) 182 : 정전 무화 장치
183 : 무화 유닛 185 : 도전성 시트(급수부)
186 : 보수재(급수부) 187 : 흡수 핀(흡수부, 급수부)
188 : 미스트 방출부 201 : 냉기 통로
203 : 미스트 방출구

Claims (18)

  1.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미스트 방출부,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음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상기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미스트를 방출하기 위한 직류 고전압 전원 장치를 가진 구성의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미스트를 상기 저장실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무화 장치는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저수부에 저류된 물을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착탈 가능한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착탈에 맞춰 상기 미스트 방출부도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에 이온 교환 수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로서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아래쪽에 칸막이판을 통해 설치된 야채실을 구비하고,
    상기 정전 무화 장치를 상기 칸막이판의 앞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은, 하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용기보다도 작은 상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미스트가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양쪽에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제빙 장치로 공급하는 물을 저류하는 제빙용 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의 물을 상기 정전 무화 장치의 급수부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로서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아래쪽에 칸막이판을 통해 설치된 야채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는 상기 칸막이판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정전 무화 장치를 상기 칸막이판의 뒷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은, 하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방출부는 상기 상부 용기로 위쪽으로부터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용기에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로서 냉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정전 무화 장치를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분출하는 냉기 분출구의 앞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후면에 냉각기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냉각기의 아래쪽에 상기 냉각기의 제상수를 받는 물받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전 무화 장치의 상기 급수부는 상기 물받이부의 물을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빙 장치로 공급하는 물을 저류하는 제빙용 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정전 무화 장치의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 내에 삽입되는 흡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부가 빨아올린 상기 제빙용 급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로서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아래쪽에 칸막이판을 통해 설치된 야채실을 구비하고, 상기 정전 무화 장치는 상기 칸막이판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판의 아래쪽에 상기 칸막이판의 하면을 따라서 상기 야채실 내에 냉기를 흐르게 하는 냉기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정전 무화 장치의 상기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미스트를 상기 야채실에 방출하는 미스트 방출구는, 상기 미스트 방출부의 아래쪽 또한 상기 냉기 통로로 위쪽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백금 나노콜로이드를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도전성 물질을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문의 개방시에 상기 정전 무화 장치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무화 장치는 밀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개방시에 상기 정전 무화 장치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00023792A 2009-03-27 2010-03-17 냉장고 KR101162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9161 2009-03-27
JPJP-P-2009-079161 2009-03-27
JP2009135017 2009-06-04
JPJP-P-2009-135017 2009-06-04
JP2009232440A JP5931320B2 (ja) 2009-03-27 2009-10-06 冷蔵庫
JPJP-P-2009-232440 200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223A true KR20100108223A (ko) 2010-10-06
KR101162845B1 KR101162845B1 (ko) 2012-07-06

Family

ID=4277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3792A KR101162845B1 (ko) 2009-03-27 2010-03-17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2845B1 (ko)
CN (1) CN1018464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2596B (zh) * 2011-08-03 2015-03-18 株式会社东芝 洗衣机
JP6362830B2 (ja) * 2012-08-23 2018-07-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家電機器
JP6411753B2 (ja) * 2013-03-12 2018-10-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及びカメラ装置
CN108955029B (zh) * 2018-05-25 2020-09-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制冰储水盒的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89382B (zh) * 2004-07-22 2010-05-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收纳库和具有该收纳库的冷藏库
GB2459595B (en) * 2007-04-26 2011-03-23 Panasonic Corp A Refrigerator with Means to Provide Mist into a Storage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6433A (zh) 2010-09-29
KR101162845B1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8931B2 (ja) 冷蔵庫
JP5684418B2 (ja) 冷蔵庫
KR101162845B1 (ko) 냉장고
JP5537057B2 (ja) 冷蔵庫
JP6936906B2 (ja) 冷蔵庫
JP6479109B2 (ja) 冷蔵庫
JP6067614B2 (ja) 冷蔵庫
JP6449134B2 (ja) 冷蔵庫
JP2012207911A (ja) 冷蔵庫
JP2019056553A (ja) 冷蔵庫
JP2011002206A (ja) 冷蔵庫
JP2011052921A (ja) 冷蔵庫
JP201104326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