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717A -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717A
KR20100107717A KR1020090025962A KR20090025962A KR20100107717A KR 20100107717 A KR20100107717 A KR 20100107717A KR 1020090025962 A KR1020090025962 A KR 1020090025962A KR 20090025962 A KR20090025962 A KR 20090025962A KR 20100107717 A KR20100107717 A KR 20100107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insert
injection
injection molding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이동율
배아현
송준규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717A/ko
Priority to US12/659,643 priority patent/US20100247813A1/en
Publication of KR2010010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1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은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서트를 투명 재질의 모재가 둘러싸도록 사출성형 됨으로써, 인서트는 모재 상에 어느 정도 플로팅(foating) 된 듯한 느낌을 관찰자에게 줄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INJECTION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모재의 내부에 마련되는 인서트의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또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모재(母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원하는 패턴(pattern) 혹은 문자를 플로팅(floating)감(感)이 구현되도록 모재에 형성시키는 레이저 가공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때, 플로팅감이란 패턴, 문자 등의 내부형상의 부양감(浮揚感), 즉 모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떠 있는 느낌을 말한다.
그러나, 레이저 가공기술은 색감, 부피감 등의 표현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레이저 가공기술 외에도, 패턴의 플로팅감을 구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유리에 열을 가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유리공예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리공예기술은 수공예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가 많이 소비되어 대량생산에 부적합하고, 내부에 정교한 패턴을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패턴을 항상 일정한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 즉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플로팅감이 구현된 정교한 패턴을 구비하는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은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도록 사출성형되는 투명의 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는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금속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는 유색의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모재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는 제1모재와, 상기 제1모재와 함께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는 제2모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은 텔레비젼 케이스, 에어컨 케이스, 휴대폰 케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에서는, 투명수지로 사출성형된 제1모재를 마련하고,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상기 제1모재에 마련하고, 상기 인서트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1모재와 결 합되어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는 투명의 제2모재를 사출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제1모재 상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는 별도 제작되어 상기 제1모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사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장치는 이동금형과, 상기 이동금형과 결합되어 제1모재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고정금형과, 상기 이동금형과 결합되어 인서트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고정금형과, 상기 이동금형과 결합되어 제2모재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고정금형을 포함하며, 1차 사출위치에서 상기 이동금형을 상기 제1고정금형과 결합시켜 투명재질의 상기 제1모재를 성형하고, 상기 이동금형을 상기 1차 사출위치에서 2차 사출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2고정금형과 결합시켜 상기 인서트를 성형하고, 상기 1차 사출위치에 마련된 상기 제1고정금형을 상기 제3고정금형으로 교체하고, 상기 이동금형을 상기 2차 사출위치에서 상기 1차 사출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3고정금형과 결합시켜 투명재질의 상기 제2모재를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1모재 및 상기 제2모재는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서트를 마련하고, 상기 인서트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1모재를 사출성형하고, 상기 인서트의 타측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2모재를 사출성형하고, 상기 제1모재와 상기 제2모재는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가 현저히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정교한 패턴을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장치(100)는 이동금형(110), 제1고정금형(120), 제2고정금형(130) 및 제3고정금형(140)을 포함한다. 도면부호 g1, g2 및 g3는 각 고정금형에 형성된 게이트를 나타내며, 게이트(g1, g2, g3)를 통해 용융수지가 성형공간으로 주입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21, 131, 141은 각각 용융수지를 금형 내로 공급하는 주입실린더를 나타낸다.
이동금형(110)은 제1고정금형(120)과 결합되어 제1모재(11a)가 성형되는 성 형공간을 형성하고, 이 성형공간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가 충진되어 제1모재(11a)가 성형(도 1a 참조)된다.
이 후, 이동금형(110)은 제2고정금형(130) 측으로 이동(도 1b 참조)되고, 이동된 이동금형(110)은 제2고정금형(130)과 결합되어 인서트(12)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며, 이 성형공간에 유색 재질의 수지가 충진되어 제1모재(11a) 상에 인서트(12)가 성형(도 1c 참조)된다.
제1모재(11a) 및 인서트(12)가 형성된 이동금형(110)은 제3고정금형(140) 측으로 이동(도 1d 참조)되고, 이동된 이동금형(110)은 제3고정금형(140)과 결합되어 제2모재(11b)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며, 이 성형공간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가 충진되어 제2모재(11b)가 성형(도 1e 참조)된다. 이때, 제2모재(11b)는 제1모재(11a)와 함께 인서트(12)를 에워싸도록 성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10)은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유색의 인서트(12)와, 인서트(12)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인서트(12)를 에워싸도록 사출성형되는 투명의 모재(11)를 포함한다. 이때, 소정의 패턴은 2차원 뿐만 아니라 3차원으로 표현되는 문자, 그림, 형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재(11)는 각각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모재(11a) 및 제2모재(11b)를 구비한다. 참고로, 도 2의 도면부호 13은 제1모재(11a)와 제2모재(11b)의 경계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사출물에서 경계면(13)은 육안으로 거의 식별되지 아니한다. 이때, 경계면(13)의 식별이 더욱 어려워지도록, 제1모재(11a)와 제2모재(11b)는 동일한 종류의 수지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사출물에서는, 유색의 인서트(12)는 모재(11)의 바닥면(도 2 기준)으로부터 어느 정도 떠 있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사출물이 체계화된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가 종래의 레이저가공 등과 비교하여 현저히 절감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서는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서트(12)의 형상을 매우 정교하면서도 일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품질을 가지는 사출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휴대폰의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20)는 소정의 문자를 형성하는 유색재질의 인서트(22)와, 인서트(22)를 에워싸도록 사출성형되는 투명한 재질의 모재(21)와, 디스플레이부(26)가 형성되도록 모재(21)의 배면에 프린트되는 인쇄부(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모재(21)는 각각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경계면(23)이 거의 식별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제1모재(21a)와 제2모재(21b)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색의 인서트(22)는 흰색으로 프린트된 인쇄부(24)로부터 어느 정도 떠 있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어, 제품의 고급스러움 및 심미성이 더욱 향상된다. 참고로, 기존의 휴대폰 케이스에서는 이미지 혹은 문자를 모재의 전면 또는 배면에 인쇄하는 방식 으로 표현하였는 바, 본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에서와 같이 고급스러움을 표현할 수 없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사출물은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텔레비젼, 냉장고, 에어콘, 전자렌지,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기기의 외장 케이스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소품, 광고부재 등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색의 수지(resin)로 제1모재에 사출성형되는 인서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인서트는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금속 등의 재료로 별도 제작된 후에 제1모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인서트는 모재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재와 인서트는 모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어두운 장소에서는 모재 속에 마련된 인서트의 형상이 잘 인식되지 아니하지만, 모재에 빛을 비추면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인서트의 형상이 드러날 수 있고, 이에 의해 더욱 높은 수준의 고급스러움이 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먼저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서는 제1모재(11a)가 별도로 사출성형되어 이동금형(210)에 설치(도 4a 참조)되고, 제1모재(11a)가 설치된 이동금형(210)은 제2고정금형(230)과 결합되어 인서트(12)의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형성하며, 이 성형공간에 수지가 충진되어 인서트(12)가 성형(도 4b 참조)된다. 이동금형(210)은 제3고정금형(240) 측으로 이동(도 5c 참조)된 후, 이동금형(210)은 제3고정금형(240)과 결합되어 제2모재(11b)의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형성한다. 이 성형공간에 수지가 충진되어 제2모재(11b)가 성형(도 5d 참조)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할 때, 1차 사출위치(도 5a 내지 도 5f 기준으로 상측)에서 이동금형(310)을 제1고정금형(320)과 결합시켜 제1모재(11a)를 성형하고(도 5a 참조), 이동금형(310)을 1차 사출위치에서 2차 사출위치(도 5a 내지 도 5f 기준으로 하측)로 이동(도 5b 참조)시킨 후에 제2고정금형(330)과 결합시켜 인서트(12)를 성형하고(도 5c 참조), 1차 사출위치에 마련된 제1고정금형(320)을 제3고정금형(340)으로 교체하고(도 5d 참조), 이동금형(310)을 2차 사출위치에서 1차 사출위치로 이동(도 5e 참조)시킨 후에 제3고정금형(340)과 결합시켜 제2모재(11b)를 성형(도 5f 참조)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서트(12)를 마 련하고, 인서트(12)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1모재(11a)를 사출성형하고, 인서트(12)의 타측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2모재(11b)를 사출성형 한다. 이때, 제1모재(11a)와 제2모재(11b)는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인서트(12)를 에워싸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서는 인서트(12)가 미리 제조되고, 미리 제조된 인서트(12)의 양측에 투명한 재질의 제1모재(11a) 및 제2모재(11b)가 사출성형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비록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재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성형되지만, 사출물의 구조에 따라 모재는 3부분 이상의 나누어져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인서트의 색상, 형태,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물론, 인서트를 사출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인서트의 형태에 따라 사출성형 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고정금형들은 이동금형에 대해 병렬로 배치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정금형들의 배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고정금형들은 2개씩 짝을 이루어 회전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사출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팅감이 구현된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사출물 11 모재
12 인서트 110 이동금형
120 제1고정금형 130 제2고정금형
140 제3고정금형

Claims (11)

  1.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도록 사출성형되는 투명의 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금속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유색의 재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모재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제1모재와, 상기 제1모재와 함께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는 제2모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6. 제1항에 있어서,
    텔레비젼 케이스, 에어컨 케이스, 휴대폰 케이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7. 투명수지로 사출성형된 제1모재를 마련하고,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상기 제1모재에 마련하고,
    상기 인서트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1모재와 결합되어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는 투명의 제2모재를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제1모재 상에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별도 제작되어 상기 제1모재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10. 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사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장치는 이동금형과, 상기 이동금형과 결합되어 제1모재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고정금형과, 상기 이동금형과 결합되어 인서트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고정금형과, 상기 이동금형과 결합되어 제2모재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고정금형을 포함하며,
    1차 사출위치에서 상기 이동금형을 상기 제1고정금형과 결합시켜 투명재질의 상기 제1모재를 성형하고,
    상기 이동금형을 상기 1차 사출위치에서 2차 사출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2고정금형과 결합시켜 상기 인서트를 성형하고,
    상기 1차 사출위치에 마련된 상기 제1고정금형을 상기 제3고정금형으로 교체 하고,
    상기 이동금형을 상기 2차 사출위치에서 상기 1차 사출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3고정금형과 결합시켜 투명재질의 상기 제2모재를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의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1모재 및 상기 제2모재는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11.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서트를 마련하고,
    상기 인서트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1모재를 사출성형하고,
    상기 인서트의 타측에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2모재를 사출성형하고,
    상기 제1모재와 상기 제2모재는 플로팅감이 구현되도록 상기 인서트를 에워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25962A 2009-03-26 2009-03-26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7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62A KR20100107717A (ko) 2009-03-26 2009-03-26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2/659,643 US20100247813A1 (en) 2009-03-26 2010-03-16 Injection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62A KR20100107717A (ko) 2009-03-26 2009-03-26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17A true KR20100107717A (ko) 2010-10-06

Family

ID=4278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962A KR20100107717A (ko) 2009-03-26 2009-03-26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47813A1 (ko)
KR (1) KR20100107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78B1 (ko) * 2010-10-29 2013-01-17 최원동 패턴이 형성된 사출품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663A1 (fr) * 2022-02-15 2023-08-18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élément de garnissage intérieur de véhicule et élément de garnissage intérieu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3995A (en) * 1940-06-04 1944-07-18 Colt S Mfg Co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747230A (en) * 1952-04-24 1956-05-29 Finn H Magnus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encased articles
EP1312472B1 (en) * 2000-08-18 2009-02-11 Teijin Chemicals, Ltd. Sheet-form layered structure with attractive appearance and utilization thereof
NZ510577A (en) * 2001-03-15 2003-01-31 Cim Prec Molds Hk Ltd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cavity and core plates having removable inserts sliding within guides
US7003267B2 (en) * 2002-05-14 2006-02-21 Siemens Communications, Inc. Internal part design, molding and surface finish for cosmetic appear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78B1 (ko) * 2010-10-29 2013-01-17 최원동 패턴이 형성된 사출품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7813A1 (en)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737B2 (en) Physical texture digital display system
CN102654587A (zh) 光学元件及其制造方法
CN101570047A (zh) 注模、使用注模制造的导光板以及具有其的液晶显示设备
JP6561191B1 (ja) 模型部品、及び、模型部品の製造方法
EP2599620B1 (en) Plastic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36698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7717A (ko) 사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51475B (zh) 电子设备及其壳体制作方法
US20090324908A1 (en) Plastic article having decorative pattern and method for making the plastic article
JP2012232503A (ja) インモールド成形品、携帯端末装置、および該インモールド成形品における加飾方法
KR101080996B1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H10323858A (ja) プラスチック外殻の製造方法及びベーゼル
JP2006227081A (ja) レンチキュラー効果印刷物及びその屈折部形成用の成形型
WO2010101021A1 (ja) 樹脂成型物製造方法、樹脂成型物、樹脂成型物ユニット
JP2005022327A (ja) 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34810A (ko)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입체간판 제작방법
KR100691500B1 (ko) 도광판의 제작방법
JP2004317801A (ja) 面状立体視認化装置
JP2008188831A (ja) 樹脂成形品
KR20240010341A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KR102369965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JP2008036913A (ja) 電子機器類のケース製造方法
GB2277475A (en) Moulding display device from opaque and light transmitting resins
CN220582299U (zh) 一种外观无色差的多材料注塑壳体
KR20220092705A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