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65B1 -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 Google Patents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65B1
KR102369965B1 KR1020200183438A KR20200183438A KR102369965B1 KR 102369965 B1 KR102369965 B1 KR 102369965B1 KR 1020200183438 A KR1020200183438 A KR 1020200183438A KR 20200183438 A KR20200183438 A KR 20200183438A KR 102369965 B1 KR102369965 B1 KR 10236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utton
metal
molten metal
transmit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규용
박연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인산업
Priority to KR102020018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9/00Producing buttons or semi-finished parts of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3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3Articles for displaying or advertising
    • B29L2031/7232Signs, symbols, plates, panels,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은 금속질감을 나타내기 위한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되 그 기능을 나타냄과 아울러 하부에 위치한 조명의 불빛이 투과되는 투광부에는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야간 시인성이 향상됨은 물론 별도의 도금층 제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에 관한 것으로,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은, 문자 또는 기호로 구성되어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면서 하부의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10)를 형성하기 위한 1차금형에 투명하면서 메탈도금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1차용탕을 공급하여 투광부(10)를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S10); 상기 투광부(10)를 1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1차 탈형단계(S20); 상기 투광부(10)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부(20)를 형성하기 위한 2차금형에 투광부(10)를 배치한 후 메탈도금이 가능한 2차용탕을 공급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베이스부(20)를 사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S30); 상기 투광부(10)가 일체화된 베이스부(20)를 2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2차 탈형단계(S40); 및 상기 투광부(10)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베이스부(20)를 도금용탕에 투입하는 도금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Manufacturing Method of Flood Light Button using Double Injection Molding and The Button}
본 발명은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질감을 나타내기 위한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되 그 기능을 나타냄과 아울러 하부에 위치한 조명의 불빛이 투과되는 투광부에는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야간 시인성이 향상됨은 물론 별도의 도금층 제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마트 키와 같은 자동차 용품에도 다양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버튼에는 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나 문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기계적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도록 전자회로에 그 힘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서 오디오 및 공조컨트롤러와 각종 스위치류의 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버튼은 구현방법에 따라서 푸쉬 타입과 힌지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근래에는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푸쉬버튼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캡과 노브로 구성되어 있던 부품을 일체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버튼 중에는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설치된 조명의 불빛이 투과되도록 구성된 투광버튼이 있다. 이러한 투광버튼은 투광부와 베이스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는 불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금속질감이 나타나도록 메탈도금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광버튼 제조방법은 투광부와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버튼 전체를 도금용탕에 투입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후, 투광부의 도금층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투광부의 도금층 제거를 위한 추가 공정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호나 문자의 형태로 나타나는 표시부의 내부 공간으로 제2용탕이 충분히 유입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국내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버튼의 기능을 표시하는 형상부가 그 표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형상부의 내외측에 인접한 부분에 브리지 홀이 각각 형성된 1차 수지부와; 상기 브리지 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형상부의 높이와 동일한 두께로 상기 형상부 내외부의 표면을 덮으며 1차 수지부와 결합되는 2차 수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사출버튼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 내부의 1차 수지부에 결합공이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2차 수지부는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고착되는 보강돌출부를 구비하도록 자동차 히터 컨트롤부의 이중사출버튼을 제조함으로써, 광원의 빛이 투영되는 1차 수지부의 형상부에 미치는 브리지부의 영향을 배제하여, 기능표시부의 형상이 보다 명확해지고 외관이 미려한 버튼을 만들 수 있는, 자동차 히터 컨트롤부의 이중사출버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차량용 푸쉬버튼의 전면을 형성하는 캡과 리브를 1차 사출성형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후에 상기 캡의 후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노브를 2차 사출성형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후에 푸쉬버튼을 성형한 금형에서 상기 리브의 측면에 적용된 밀핀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분리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후에 상기 캡과 리브에 투과성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4공정과, 상기 제4공정후에 상기 캡과 리브에 불투과성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5공정과, 상기 제5공정후에 상기 캡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투과성의 심볼형상을 가공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캡과 일체로 이루어진 리브의 형상에 의하여 빛 투과 영역인 캡을 불투과 소재로 이루어진 노브보다 먼저 사출성형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불투과 소재가 캡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서 제품 불량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차량용 푸쉬버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버튼 몸체부; 및 상기 버튼 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버튼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표면부 상에 위치하는 기호 인쇄부; 및 상기 기호 인쇄부를 제외한 나머지 버튼 표면부 상에 위치하는 금속 도금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기호버튼과, 금속 도금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 및 금속이 도금되지 않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이중 사출 방법을 통해 버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버튼의 표면부에 금속이 도금되지 않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기호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의 표면부에 금속 도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금속 도금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 및 금속이 도금되지 않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이중 사출 방법을 통해 버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튼의 몸체부는 금속이 도금되지 않는 고분자 소재이고, 상기 버튼의 표면부는 금속 도금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인 것인 자동차용 기호 버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003-0096774 A KR 10-2006-0004182 A KR 10-2019-0081859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질감을 나타내기 위한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되 그 기능을 나타냄과 아울러 하부에 위치한 조명의 불빛이 투과되는 투광부에는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아 야간 시인성이 향상됨은 물론 별도의 도금층 제거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 제조방법은, 문자 또는 기호로 구성되어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면서 하부의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를 형성하기 위한 1차금형에 투명하면서 메탈도금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1차용탕을 공급하여 투광부를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투광부를 1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1차 탈형단계; 투광부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형성하기 위한 2차금형에 투광부를 배치한 후 메탈도금이 가능한 2차용탕을 공급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베이스부를 사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 투광부가 일체화된 베이스부를 2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2차 탈형단계; 및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도금용탕에 투입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1차용탕은 투명한 PC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용탕은 도금 가능한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2차 성형단계에서는 투광부를 형성하는 문자 또는 기호의 내부 공간으로 2차용탕이 주입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기호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를 연결하는 브릿지홀을 투광부에 형성한 후 제2용탕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2차용탕은 블랙색상을 가지고, 상기 도금용탕은 메탈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은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면서 빛이 투과되는 투광부와 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을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조되고 투광부가 투명하면서 메탈도금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금공정을 수행한 후 투광부의 메탈도금층을 제거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야간 시인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에 따르면,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부의 문자 또는 기호 등이 명확하게 나타남에 따라 표시부를 통해 버튼의 기능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의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에서 브릿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에 대한 도면은 해당 구성요소의 특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해당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의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버튼에서 브릿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또는 기호로 구성되어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면서 하부의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10)를 형성하기 위한 1차금형에 투명하면서 메탈도금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1차용탕을 공급하여 투광부(10)를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S10)와; 상기 투광부(10)를 1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1차 탈형단계(S20)와; 상기 투광부(10)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부(20)를 형성하기 위한 2차금형에 투광부(10)를 배치한 후 메탈도금이 가능한 2차용탕을 공급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베이스부(20)를 사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S30)와; 상기 투광부(10)가 일체화된 베이스부(20)를 2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2차 탈형단계(S40)와; 상기 투광부(10)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베이스부(20)를 도금용탕에 투입하는 도금단계(S50); 및 상기 투광부(10) 및 베이스부(20)에 대하여 여러가지 마무리가공을 수행하는 마무리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의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11)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몸체(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버튼 하부에 위치한 조명의 불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의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21)과 상기 투광부(10)의 지지몸체(12)를 감싸주는 베이스(22)로 이루어지며, 조명의 불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용탕은 투명한 PC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투명한 투광부(10)를 형성하여 버튼 하부에 위치한 조명의 불빛이 원활하게 투과되면서도 표면(11)에 메탈도금층(3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차용탕은 도금 가능한 ABS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표면(21)에 메탈도금층(30)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금가능한 ABS 수지와 PC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투광부(10)에 그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15)가 형성되고 그 문자 또는 기호(15)에 밀폐 구조의 내부 공간(15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2차 성형단계에서 투광부(10)의 문자 또는 기호(15)의 내부 공간(15a)으로 2차용탕이 주입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기호(15)의 내부 공간(15a)과 외부 공간(15b)을 연결하는 브릿지홀(16)을 투광부(10)에 형성한 후 제2용탕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버튼의 베이스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제2용탕이 투광부(10)에 형성되는 문자 또는 기호(15)의 주위로 주입됨과 아울러 브릿지홀(16)을 통해 투광부(10)의 문자 또는 기호(15)의 내부 공간에도 주입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투광부(10)의 문자 또는 기호(15)가 선명하게 나타나게 되어 식별력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20)를 형성하기 위한 2차용탕은 블랙색상을 가지고, 상기 메탈도금층(30)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용탕은 메탈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20)가 블랙색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메탈도금층(30)의 두께가 얇더라도 버튼 하부의 조명이 상부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투광버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0)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베이스부(20)의 표면(21)에만 메탈도금층(30)이 형성되고, 투광부(10)의 표면(11)에는 메탈도금층(30)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외관품질과 야간 시인성이 향상되며, 자동차의 윈도우용 버튼 등으로 사용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투광부
11...표면
12...지지몸체
15...문자 또는 기호
15a...내부 공간
15b...외부 공간
16...브릿지홀
20...베이스부
21...표면
22...베이스
30...메탈도금층

Claims (5)

  1. 문자 또는 기호(15)로 구성되어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면서 하부의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10)를 형성하기 위한 1차금형에 투명하면서 메탈도금이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1차용탕을 공급하여 버튼의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11)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몸체(12)로 이루어지는 투광부(10)를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S10);
    상기 투광부(10)를 1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1차 탈형단계(S20);
    상기 투광부(10)를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도록 버튼의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21)과 상기 투광부(10)의 지지몸체(12)를 감싸주는 베이스(22)로 이루어진 베이스부(20)를 형성하기 위한 2차금형에 투광부(10)를 배치한 후 메탈도금이 가능한 블랙색상의 2차용탕을 공급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베이스부(20)를 사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S30);
    상기 투광부(10)가 일체화된 베이스부(20)를 2차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냉각시키는 2차 탈형단계(S40); 및
    상기 투광부(10)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메탈도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베이스부(20)를 메탈색상의 도금용탕에 투입하는 도금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1차용탕은 투명한 PC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용탕은 도금 가능한 ABS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 또는 기호(15)에 밀폐 구조의 내부 공간(15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2차 성형단계에서 투광부(10)의 문자 또는 기호(15)의 내부 공간(15a)으로 2차용탕이 주입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기호(15)의 내부 공간(15a)과 외부 공간(15b)을 연결하는 브릿지홀(16)을 투광부(10)에 형성한 후 제2용탕을 주입하여, 문자 또는 기호(15)의 내부공간(15a)에 제2용탕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베이스부(20)의 표면(21)에는 메탈도금층(30)이 형성되고, 투광부(10)의 표면(11)에는 메탈도금층(3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버튼.
KR1020200183438A 2020-12-24 2020-12-24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KR10236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38A KR102369965B1 (ko) 2020-12-24 2020-12-24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38A KR102369965B1 (ko) 2020-12-24 2020-12-24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965B1 true KR102369965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38A KR102369965B1 (ko) 2020-12-24 2020-12-24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9911A (ja) * 1986-05-28 1987-12-04 Alps Electric Co Ltd キ−トツプの製造方法
KR20030096774A (ko) 2002-06-17 2003-12-31 우리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히터 컨트롤부의 이중사출버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4182A (ko) 2004-07-08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푸쉬버튼 및 제조방법
KR100664702B1 (ko) * 2004-10-04 2007-01-04 윤경렬 전자기기의 금속버튼 및 그 제조방법
JP4888797B2 (ja) * 2010-02-18 2012-02-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キーボタン
KR20190081859A (ko)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기호 버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1858A (ko) *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기호 버튼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23361B2 (ja) * 2016-08-01 202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9911A (ja) * 1986-05-28 1987-12-04 Alps Electric Co Ltd キ−トツプの製造方法
KR20030096774A (ko) 2002-06-17 2003-12-31 우리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히터 컨트롤부의 이중사출버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4182A (ko) 2004-07-08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푸쉬버튼 및 제조방법
KR100664702B1 (ko) * 2004-10-04 2007-01-04 윤경렬 전자기기의 금속버튼 및 그 제조방법
JP4888797B2 (ja) * 2010-02-18 2012-02-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キーボタン
JP6723361B2 (ja) * 2016-08-01 202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81859A (ko)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기호 버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1858A (ko) * 2017-12-29 201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기호 버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027B1 (en) Key top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structure
EP1316978B1 (en) Key sheet
KR101985374B1 (ko) 자동차용 스마트 가니쉬 및 그 양산방법
US6066225A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panel fascia made of at least three materials for vehicle heating
US5338396A (en) Method of fabricating in-mold graphics
US6713698B2 (en) Key top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727551B1 (ko) 금속조 합성 수지 링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출성형 금형
CN111741865B (zh) 模制件和制造模制件的方法
KR102369965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JP4635706B2 (ja) 表示装置用加飾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US20230294341A1 (en) Molding having a translucent surfac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lding having a translucent surface layer
KR20220092705A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CN111619068B (zh) 汽车氛围灯饰条及其生产方法
KR20240010341A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투광버튼의 제조방법
US9469079B2 (en) Film insert molded product
KR102369964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하이그로시 버튼의 제조방법 및 그 버튼
EP1352774B1 (en) Control panel
JP2002178362A (ja) 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23858A (ja) プラスチック外殻の製造方法及びベーゼル
KR100602667B1 (ko) 차량용 푸쉬버튼의 제조방법
JP4235005B2 (ja) フィルムキーシート
KR20050003963A (ko) 합성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CN2541897Y (zh) 可透光的按键
CN217521889U (zh) 副仪表开关iml按键双色模遮光结构
CN107530950B (zh) 用于制造用于机动车的构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