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186A -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186A
KR20100105186A KR1020090024082A KR20090024082A KR20100105186A KR 20100105186 A KR20100105186 A KR 20100105186A KR 1020090024082 A KR1020090024082 A KR 1020090024082A KR 20090024082 A KR20090024082 A KR 20090024082A KR 20100105186 A KR20100105186 A KR 2010010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image
subjects
refere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874B1 (ko
Inventor
권오현
유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87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04N23/684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b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mages sequentially ta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움직임이나 새로운 피사체의 등장 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입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촬상소자와, 일 이미지 데이터와 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부터의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이 판단부와,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대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피사체의 움직임이나 새로운 피사체의 등장 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파일로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도를 결정하고 촬영할 시, 촬영하는 순간 및/또는 촬영하기 직전에 촬영 대상인 피사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움직이거나 새로운 피사체가 등장하거나 할 경우, 최종적으로 획득하게 되는 이미 지는 사용자가 구도를 결정할 당시 획득하고자 의도하였던 이미지와 상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다시 촬영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사체의 움직임이나 새로운 피사체의 등장 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촬상소자와, 일 이미지 데이터와 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부터의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이 판단부와,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대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 득하며,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촬상소자는 일정 시간마다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상기 촬상소자가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 후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미지들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입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촬상소자와, 일 이미지 데이터와 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부터의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이 판단부와,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대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시에는 상기 촬상소자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하며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촬상소자는 일정 시간마다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시에는 상기 촬상소자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하며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상기 촬상소자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 후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미지들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촬상소자에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 촬상소자에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와, (d)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반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촬상소자에서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i)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ii)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으면,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e)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거친 후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촬상소자에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 촬상소자에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 하여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며,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와, (d)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반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i)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 터를 이용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ii)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으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e)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반셔터 상태일 시 개시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풀셔터 상태일 시 발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피사체의 움직임이나 새로운 피사체의 등장 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 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를 구비함으로써, 피사체의 움직임이나 새로운 피사체의 등장 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를 구비하고 있으면 족하다.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파일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 플레이부(80)에 상기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A/D 변화부(40), 촬상소자 제어부(31) 등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30),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를 구비하면 족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 등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은 기준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프레임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4b는 촬영하는 순간 및/또는 촬영하는 순간 직전에, 새로운 피사체인 (지나가는) 사람이 나타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차이 판단부(52)는 일 이미지 데이터와 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부터의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가 일 이미지이고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프레임이미지(FI1)가 타 이미지라면, 차이 판단부(52)는 기준이미지(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1프레임이미지(FI1) 내 피사체들의 상 대적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만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가 일 이미지이고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FI2)가 타 이미지라면, 차이 판단부(52)는 기준이미지(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2프레임이미지(FI2)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하다고 판단한다.
데이터 대체부(54)는 차이 판단부(52)가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 차이 판단부(52)가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에는, 데이터 대체부(54)는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 즉, 기존 일 이미지 데이터를 폐기하고, 타 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가 일 이미지이고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프레임이미지(FI1)가 타 이미지라면, 차이 판단부(52)는 기준이미지(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1프레임이미지(FI1)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것이다. 이에 따라 데이터 대체부(54)는 제1프레임이미지(FI1) 데이터로 기준이미지(RI) 데이터를 대체한다. 즉, 제1프레임이미지(FI1)가 새로운 기준이미지가 된다. 물론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 기준이미지(RI) 내에서의 피사체의 상대적 위치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새로 운 기준이미지가 되는 제1프레임이미지(FI1) 내에서의 피사체의 상대적 위치는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조명 등의 변화, 노출이나 조리개값, 셔터스피드 등의 변화로 인하여 이미지의 분위기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새로운 기준이미지가 되는 제1프레임이미지(FI1)와 종래 기준이미지(RI)는 동일한 이미지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준이미지가 업데이트된다고 볼 수 있다.
만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가 일 이미지이고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FI2)가 타 이미지라면, 차이 판단부(52)는 기준이미지(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2프레임이미지(FI2)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 대체부(54)는 제2프레임이미지(FI2)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기준이미지(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기준이미지(RI) 데이터를 이용해 제2프레임이미지(FI2) 데이터를 수정하고, 이 수정된 데이터로 기준이미지(RI) 데이터를 대체한다. 즉, 결과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 새로운 피사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정함으로써, 제2프레임이미지(FI2) 내의 피사체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도 3에 도시된 기준이미지(RI) 내의 피사체의 상대적 위치관계와 동일하게 만든다. 그리고 수정된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 이 경우 조명 등의 변화, 노출이나 조리개값, 셔터스피드 등의 변화로 인하여 기준이미지(RI)와 수정된 제2프레임이미지의 분위기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새로운 기준이미지가 되는 수정된 제2프레임이미지와 종래 기준이미 지(RI)는 동일한 이미지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준이미지가 업데이트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30)가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촬상소자(30)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가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에 대한 데이터인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후 프레임이미지들을 획득할 시 각 프레임이미지 내의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기준이미지(RI) 내의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 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조리개 값 변경, 노출값 변경 등에 따른) 이미지의 분위기는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촬상소자(30)가 일정 시간마다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촬상소자(30)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는, 해당 시점에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를 통해 기준이미지와 동일한 구도 등의 프레임이미지들을 획득하면서 해당 프레임이미지들로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하다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촬상소자(30)가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는, 해당 시점에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 후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사항들을 간략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눌리는 것은 반셔터와 풀셔터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셔터가 절반 정도 눌려 반셔터 신호가 발생할 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상소자(30)에서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기준이미지(RI)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셔터가 완전히 눌려 풀셔터 신호가 발생하기까지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30)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80)에 실시간 동영상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브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촬상소자(30)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는 그 시점의 기준이미지와 막 생성된 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프레임이미지를 수정하여 이를 기준이미지로 삼음으로써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하거나, 프레임이미지를 수정하지 않고 이를 기준이미지로 삼음으로써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한다. 어떤 경우든지 업데이 트된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는 반셔터 시 획득한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구도를 결정한 후 반셔터를 누르고 그 이후 풀셔터를 눌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반셔터가 눌려진 이후 피사체들이 움직이거나 (갑자기 디지털 촬영장치 앞으로 지나가는 사람 등과 같이) 새로운 피사체가 나타나게 되면, 반셔터를 눌렀을 때 촬영자가 의도했던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셔터를 눌렀을 시 획득한 기준이미지와 동일한 구도의 최종적인 스틸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최초 기준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점을 반셔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적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풀셔터를 두 번 누르도록 하여 첫 번째 풀셔터가 눌렸을 시 기준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기준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둘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부(80)에 라이브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라이브 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시의 각 프레임이미지는 촬상소자(30)가 생성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가 아니라, 각 시점의 기준이미지일 수 있다. 즉, 촬상소자(30)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는 피사체들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피사체가 추가되었을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라이브뷰 동영상에서는 새로운 피사체가 추가되거나 하지도 않고 기준이미지를 획득할 시의 피사체들의 위치와 동일하게 피사체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촬상소자에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거치고, 촬상소자에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그 후,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만일 차이가 있다면,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S40 단계). 차이가 없다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S46 단계). 이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의도했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아울러 기준이미지 데이터도 업데이트한다.
그 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 구체적으로는 (최종적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0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없었다면 다시 새로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 를 획득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S60 단계).
물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인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S5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서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S62 단계),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64 단계), 차이가 있으면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S66 단계), 차이가 없으면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할 수도 있다(S68 단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는 시점)에서의 조명 등의 변화, 노출이나 조리개값, 셔터스피드 등의 변화가 고려된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는 스틸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에 있어서, S50 단계 직전에,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 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S10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반셔터 상태일 시 개시하며, S50 단계에서의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풀셔터 상태일 시 발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촬상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촬상소자에 따라서 라이브뷰 동영상을 위한 프레임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인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들에 있어서는, 촬상소자로서 CMOS 등을 이용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에나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에나 언제든지 촬상소자의 동일한 행들(예컨대 촬상소자의 모든 행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만일 촬상소자로서 CCD 등을 이용하여, 예컨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에는 촬상소자의 홀수 번째 행들(예컨대 도 7에서와 같이 나타낸 경우 line 1, line 3, line 5, ..., line 11의 행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만을 이용하고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에는 촬상소자의 모든 행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한다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의 화질과 스틸이미지 데이터의 화질이 상이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나 그 제어방법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결과적으로 최종적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점에 이용하는 기준이미지 데이터(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최종적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량과 상이하여 적절하게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얻는다고 하더라도, 스틸이미지 내에서 수정된 영역은 그 해상도가 저하되어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CCD 등과 같은 촬상소자를 이용할 시에는 하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기본적인 구조 자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같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차이 판단부(52) 및 데이터 대체부(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30)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와 캡춰용 기준이미지는 피사체의 위치 등의 구도는 동일하지만 그 해상도가 상이하다. 예컨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촬상소자에서 홀수 번째 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획득한 것이고,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는 모든 라인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촬상소자(30)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촬상소자(30)는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프레임이미지의 해상도는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의 해상도와 같을 수 있다.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면,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차이 판단부(52)는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LRI)를 가진 상태에서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프레임이미지(FI1)를 얻게 되면, 차이 판단부(52)는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L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1프레임이미지(FI1)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만일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LRI)를 가진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FI2)를 얻게 되면, 차이 판단부(52)는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LRI)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2프레임이미지(FI2)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하다고 판단한다.
데이터 대체부(54)는 차이 판단부(52)가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 차이 판단부(52)가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에는, 데이터 대체부(54)는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 즉, 기존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폐기하고,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한다.
이를 통해 최초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상대적 위치와 각 프레임이미지(새로이 업데이트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상대적 위치가 동일하게 하면서도, 조명 등의 변화, 노출이나 조리개값, 셔터스피드 등의 변화로 인한 이미지의 분위기 변화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차이 판단부(52)가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시에는, 촬상소자(30)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한다. 이 캡춰용 이미지의 해상도는 캡춰용 기준이미지의 해상도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대체부(54)는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데이터 대체부(54)는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 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조리개 값 변경, 노출값 변경 등에 따른) 이미지의 분위기는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데이트 과정을 거치다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이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촬 상소자(30)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는, 해당 시점에서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 후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사항들을 간략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눌리는 것은 반셔터와 풀셔터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셔터가 절반 정도 눌려 반셔터 신호가 발생할 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셔터가 완전히 눌려 풀셔터 신호가 발생하기까지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30)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80)에 실시간 동영상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브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촬상소자(30)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는 그 시점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와 막 생성된 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프레임이미지를 수정하여 이를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로 삼음으로써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하거나, 프레임이미지를 수정하지 않고 이를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로 삼음으로써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프레임이미지를 수정하여 이를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로 삼음으로써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는,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하고 이를 수정하여 이를 캡춰용 기준이미지로 삼음으로써, 캡춰용 기준이미지도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업데이트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는 반셔터 시 획득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게 되고, 또한 업데이트된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는 반셔터 시 획득한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구도를 결정한 후 반셔터를 누르고 그 이후 풀셔터를 눌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반셔터가 눌려진 이후 피사체들이 움직이거나 (갑자기 디지털 촬영장치 앞으로 지나가는 사람 등과 같이) 새로운 피사체가 나타나게 되면, 반셔터를 눌렀을 때 촬영자가 의도했던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셔터를 눌렀을 시 획득한 캡춰용 기준이미지와 동일한 구도의 최종적인 스틸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최초 라이브용 및 캡춰용 기준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점을 반셔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적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풀셔터를 두 번 누르도록 하여 첫 번째 풀셔터가 눌렸을 시 라이브뷰용 및 캡춰용 기준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라이브뷰용 및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둘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부(80)에 라이브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라이브 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시의 각 프레임 이미지는 촬상소자(30)가 생성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가 아니라, 각 시점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일 수 있다. 즉, 촬상소자(30)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차이 판단부(52)와 데이터 대체부(54)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는 피사체들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피사체가 추가되었을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라이브뷰 동영상에서는 새로운 피사체가 추가되거나 하지도 않고, 최초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를 획득할 시의 피사체들의 위치와 동일하게 피사체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촬상소자에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를 거치고, 촬상소자에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이어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를 거치다.
차이가 있다면,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고(S41 단계),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S42 단계),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S44 단계). 차이가 없다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한다(S47 단계).
그 후, 사용자로부터 신호, 구체적으로는 (최종적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0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없었다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 획득 단계(S20)를 다시 거쳐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거친다.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다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S61 단계).
물론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인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S5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S63 단계),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65 단계), 차이가 있으면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스 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한다(S67). 만일 차이가 없다면,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단계(S69)를 거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는 시점)에서의 조명 등의 변화, 노출이나 조리개값, 셔터스피드 등의 변화가 고려된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는 스틸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인 스틸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에 있어서, S50 단계 직전에,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S11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반셔터 상태일 시 개시하며, S50 단계에서의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풀셔터 상태일 시 발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기준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프레임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촬상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프레임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52: 차이 판단부 54: 데이터 대체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6)

  1. 입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촬상소자;
    일 이미지 데이터와 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부터의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이 판단부; 및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대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촬상소자는 일정 시간마다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상기 촬상소자가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 후의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이미지들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입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촬상소자;
    일 이미지 데이터와 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부터의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의 차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이 판단부; 및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상기 일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타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시,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대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시에는 상기 촬상소자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하며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촬상소자는 일정 시간마다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가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시에는 상기 촬상소자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하며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상기 촬상소자가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는, 해당 시점에서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일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타 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 후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이미지들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가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차이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 대체부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a) 촬상소자에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촬상소자에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반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촬상소자에서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i)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 터의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ii)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최종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으면, 상기 최종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e)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거친 후 상기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a) 촬상소자에서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촬상소자에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며,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 및
    (d)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을 시, 상기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상기 라이브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반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의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거나,
    촬상소자에서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i)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ii)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캡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기준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와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캡춰용 이미지 내 피사체들의 상대적 위치에 차이가 없으면, 상기 캡춰용 이미지 데이터를 스틸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e)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라이브 뷰용 기준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기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반셔터 상태일 시 개시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가 풀셔터 상태일 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90024082A 2009-03-20 2009-03-20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59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82A KR101599874B1 (ko) 2009-03-20 2009-03-20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82A KR101599874B1 (ko) 2009-03-20 2009-03-20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86A true KR20100105186A (ko) 2010-09-29
KR101599874B1 KR101599874B1 (ko) 2016-03-04

Family

ID=4300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82A KR101599874B1 (ko) 2009-03-20 2009-03-20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8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77A (ja) * 1997-06-12 1999-01-0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多重シャッタによる動背景除去機構を持つ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撮影方法ならびに撮影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0085810A (ko) * 2002-05-02 2003-11-07 주식회사 윈포넷 영상데이터의 변화값 추출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저장방법
JP2007134886A (ja) * 2005-11-09 2007-05-31 Nec Corp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像ノイズ除去方法
KR20070114599A (ko) * 2006-05-29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77A (ja) * 1997-06-12 1999-01-0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多重シャッタによる動背景除去機構を持つ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撮影方法ならびに撮影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0085810A (ko) * 2002-05-02 2003-11-07 주식회사 윈포넷 영상데이터의 변화값 추출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저장방법
JP2007134886A (ja) * 2005-11-09 2007-05-31 Nec Corp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像ノイズ除去方法
KR20070114599A (ko) * 2006-05-29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874B1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3193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07014B2 (ja) 動体検出装置及び方法
JP4732303B2 (ja) 撮像装置
JP6474693B2 (ja) 焦点検出装置、焦点検出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90085989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8262049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
JP201219566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86349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4479845B2 (ja)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画像補正プログラム
JP6588664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作動プログラム
US1056767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for maintaining continuity between frames of moving image data
JP201314110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60512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6675917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100105186A (ko) 디지털 촬영장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15023514A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69003A (ja) 表情データベース登録方法及び表情データベース登録装置
JP5471917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
JP5163333B2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6547742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5663989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
JP201815141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94469A (ja) 撮像装置
JP200923196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6092708A (ja) 画像撮像装置、インターバル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