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331A -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331A
KR20100104331A KR1020090022680A KR20090022680A KR20100104331A KR 20100104331 A KR20100104331 A KR 20100104331A KR 1020090022680 A KR1020090022680 A KR 1020090022680A KR 20090022680 A KR20090022680 A KR 20090022680A KR 20100104331 A KR20100104331 A KR 2010010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diseases
garlic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573B1 (ko
Inventor
김윤영
Original Assignee
김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영 filed Critical 김윤영
Priority to KR102009002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5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초, 당근, 마늘, 포공영 및 쑥의 추출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여 조성된 건강 약차에 관한 것으로, 예로부터 건강에 좋은 다양한 약성을 가지는 약재를 이용하여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하며, 건강하고 활력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약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장초 추출액 45~55중량%, 당근 추출액 10~20중량%, 마늘 추출액 10~20중량%, 포공영 추출액 7~15중량%, 쑥 추출액 7~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가 제공된다.
그리고 각각의 재료를 세척하고, 고장초 45~55중량%, 당근 10~20중량%, 마늘 10~20중량%, 포공영 7~15중량%, 쑥 7~15중량%로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 재료를 추출기에 넣어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시켜 8~13 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하고 맑은 원액만을 얻는 제 4단계; 상기 원액을 95~110℃의 범위로 가열하여 살균하는 제 5단계; 상기 살균된 원액을 포장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건강 약차, 고장초, 당근, 마늘, 포공영, 쑥

Description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ion of health beverage}
본 발명은 고장초, 당근, 마늘, 포공영 및 쑥의 추출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여 조성된 건강 약차에 관한 것으로, 예로부터 건강에 좋은 다양한 약성을 가지는 약재를 이용하여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하며, 건강하고 활력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약차에 관한 것이다.
고장초, 당근, 마늘, 포공영 및 쑥 등은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과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공급하는 식품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몸을 건강하게 하는 보신재로 뛰어난 산야초들이다.
이와 같이 뛰어난 약성을 가진 산야초는 각종 음료, 전통 장류식품,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약성 식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각종 식음료로 만들거나, 건조시켜 분말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알콜에 침지시켜 유효 성분을 용출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정신적 육체적 피로가 누적되어 스트레스성 질환이나 혈액 순환기 계통의 질환 등 현대인들에게 발병되기 쉬운 성인병 등에 특히 유용하게 작용하는 건강 음료로서의 약차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신적, 육체적인 피로에 의한 스트레스와 각종 성인병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예로부터 자양강장의 효과와 성인병 예방 등의 질병 치료에 특유한 효과가 있는 고장초, 당근, 마늘, 포공영, 쑥을 가장 이상적인 약효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양강장 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성인병에 효과가 있는 다양한 약재를 가장 이상적인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정신적 육체적 피로가 누적되어 발병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이나 혈액 순환기 계통의 질환 등 현대인들에게 발병되기 쉬운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활기찬 육체적 정신적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는, 고장초 추출액 45~55중량%, 당근 추출액 10~20중량%, 마늘 추출액 10~20중량%, 포공영 추출액 7~15중량%, 쑥 추출액 7~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건강 약차는 인체에 유익하고, 성인병의 치료와 예방에 좋은 여러 생약재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한 건강 기능 음료의 특성을 뛰어넘어 몸을 보하고,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큰 효능을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이 선택한 생약재의 조화로운 약리작용과, 상기의 혼합 비율에 의해 가장 이상적인 상승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각 재료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를 함유한 본 발명의 건강 약차를 음용할 경우 그 각각의 재료의 효능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의 성분들과 더하여 그 기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각 재료는 다음과 같은 특성 및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들을 혼합하여 약차로 제조할 경우에 작용이 향상되고, 음료로서의 맛과 향은 물론이고 건강을 유지시키고 향상시키는 기능성 또한 높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많은 비율로 사용되는 고장초는 물가에서 자생하는 수초류로서 볏과식물에 속하는 식물이다. 열매는 흉년에 밥을 지어먹기도 하며 위장을 고르게 하고 갈증을 없애준다. 잎은 오장에 이롭고 그 순은 고순(菰筍)이라 하며 대소변을 편하게 하며 풍열, 풍기, 구갈, 붉은 얼굴, 눈의 충혈, 주독에서 오는 붉은코 등을 치료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뿌리 근처의 줄기는 이뇨작용, 소아 풍창, 화상, 열탕에 데인데, 독사에 물린데에 태워서 그 재를 바르면 치유된다고 한다.
상기와 같은 고장초를 본 발명에선 45~55중량%의 높은 비율로 혼합되는데, 이는 고장초의 약리 작용이 다른 재료들과 가장 이상적으로 발휘하도록 함이다.
당근은 비타민 A가 풍부하여 시력을 보호하고, 눈 망막의 간상 세포에 존재하는 시홍이라는 붉은색 감광물질의 구성 성분을 이루기도 한다. 당근의 적색 또는 황색 색소는 카로틴인데 인체에서 쉽게 비타민A로 변한다. 비타민A가 부족하면 점막이 각질화되어 떨어지고 암에도 잘 걸린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은 비타민A가 부족하면 폐암에 걸리기 쉽다. 이처럼 비타민A가 많은 식품인 당근을 사용함으로써 야맹증 예방에 큰 도움을 줄뿐 아니라 발육촉진, 피부보호 그리고 항암효과까지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화되어감으로써 발생되는 각질화와 암 발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당근을 10~20중량%로 혼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당근의 상기 혼합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 당근에 의한 단맛이 본 발명의 감미재로 작용하게 된다. 즉, 당근의 사용량이 10~20중량%가 되었을 때, 같은 양으로 혼합되는 마늘의 의한 매운 맛 등을 중화시킬 수 있고, 단맛을 주어 음료 및 약차로서의 기능을 좋게 한다.
마늘은 상기의 당근과 같이 10~2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다. 마늘 100g에는 단백질 3.0g, 지방질 0.5g, 칼슘 32mg, 철분 1.6mg, 비타민B1 0.33mg, 비타민B2 0.52g, 니아신 0.1mg, 비타민C 7mg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신진대사 촉진기능으로 피로회복, 강장효과, 간장기능 강화 등의 효능이 있고, 이상대사의 개선기능으로 당뇨병, 신경통, 위궤양, 항암작용, 간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그 외에 혈액순환 촉진, 신경 안정작용, 기생충 구제 및 바이러스 감염 예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알리신이라는 효능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항균작용 및 고혈압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유용한 작용을 하고,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를 예방하며, 항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포공영(Dandelion; Taraxacum playtcarpum H. DAHLST.)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인 민들레의 전초로서,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콜린, 이눌린(inulin) 및 펙틴 등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는 타락솔(taraxol), 타락세롤(taraxerol), Φ-타락사스테롤, 타락사스테롤, β-아미린(β-amyrin),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sitosterol), 콜린, 유기산, 과당,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포공영의 약리 작용으로는 청열(淸熱), 해독(解毒), 위염(胃炎)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약으로 종창, 유방염, 인후염, 옹종(맹장염, 폐농양, 복막염)에 쓰이고, 안구충혈, 급성간염, 황달, 열로 인해 소변을 보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되며, 억균작용, 면역기능강화, 담즙분비작용, 간기능보호작용, 이뇨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위장을 튼튼하게 피를 맑게 하고 열을 내려는데, 이는 리놀산 성분이 정혈작용을 돕기 때문이다. 또한 간염, 간경화 및 각종 간질환을 예방하는데 이는 콜린성분이 있어 간장에 지방이 쌓이지 않게 해주며 담즙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천식, 젖 앓이, 식중독,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각종 눈병을 치유한다. 그리고 항암작용이 있어 암세포를 제거하고 각종 화농성 질환과 종양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포공영은 다양한 질병에 작용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것이 밝혀 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7~15중량%의 범위로 혼합된다.
쑥은 성질이 따뜻하여 허한성(虛寒性)의 출혈병증(부녀자의붕루), 월경통, 월경부조, 태동불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다. 쑥의 주성분은 칼슘, 섬유,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등이다. 봄철에 나타나는 피부건조, 호흡기 질환, 각종 알러지성 증상, 위장병 등을 예방치료한다.
명의별록에서는 쑥은 백병을 구한다고 하고, 본초강목에는 속을 덥게 하고 냉을 쫓으며 없애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약용식물사전에는 토사를 다스리고, 자궁출혈, 코피 등에 지혈로 효험이 있으며, 신경통, 감기, 식욕부진, 간염, 습진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위장을 튼튼히 해서 식욕을 돋구고 천식에도 좋으며 쑥탕은 부종을 없애주는 등 피부독소를 제거해주며 피가 나는 상처에 쑥을 붙이면 지혈 효과도 나타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각각의 약재는 그 단독으로도 뛰어난 효능을 가지지만, 본 발명과 같이 고장초, 당근, 마늘, 포공영, 쑥이 함께 사용될 때 그 효과가 가장 월등함을 보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혼합비율은 무수히 많은 조합에 의해 가질 수 있는 혼합비에 비하여 가장 높은 효능과, 마실 때의 식감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진 약재를 이용한 건강 약차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우선, 제 1실시예는 모든 재료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추출액을 얻는 방법이고, 제 2실시예는 각각의 재료별로 추출액을 얻고, 각각의 추출액을 일정 비율 로 혼합하는 방법이다.
제 1실시에는 혼합하여 추출하는 방법이다.
제1단계는 각각의 재료를 세척하고, 고장초 45~55중량%, 당근 10~20중량%, 마늘 10~20중량%, 포공영 7~15중량%, 쑥 7~15중량%로 혼합한다.
상기의 재료는 모두 생재를 사용하거나, 모두 건재를 사용하거나 하여 중량을 계량한다. 즉 생재와 건재는 같은 중량이라도 그 성분 함량이 다르므로 반드시 동일한 종류끼리 계량하여 사용하다.
제 2단계는 상기 혼합 재료를 추출기에 넣어 추출하는 단계이다.
생재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생재의 함수율이 높으므로, 혼합 생재 2~3kg에 대하여 물 1리터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기에서 혼합 추출액을 얻는다.
건재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 건재 2~3kg에 대하여 물 5리터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기에서 추출한다.
상기 각각의 재료는 추출이 용이하도록 잘게 절단하여 사용하고, 상기 비율대로 물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10~30분 잘 섞이도록 교반을 행한다.
그리고 침지한 약재를 일반적인 가열 추출기에 넣고, 약성이 상실되지 않는 저온 범위인 80~100℃에서 고형분이 20~30중량%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는 보통 20~48시간이 소요되는데, 추출기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얻는 방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의 압력이나 온도는 본 발명에서 큰 의미는 없다. 다만, 고형분이 20~30중량%가 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제 3단계는 상기의 단계에서 얻은 혼합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얻은 추출액은 감압 증류하거나, 제 2단계의 조건으로 농축하여 8~13 Brix의 당도가 되도록 한다.
제 4단계는 8~13 Brix로 농축된 추출액을 여과기를 통과시켜 여과하여 맑은 원액만을 얻는 단계이다.
여과는 이물질이 액상에서 추출되지 않는 정도로 하면 되고, 외관이 나빠지지 않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해 부패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며, 이물질에 의해 음용시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5단계는 농축되고 여과된 원액을 95~110℃의 범위로 가열하여 살균하는 단계이다.
제 6단계는 살균된 원액을 포장하는 단계로서, 파우치 포장, 유리병, 종이 팩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제 2실시예는 각각의 재료를 따로 추출한 후 혼합하는 방법이고, 이 이외의 조건 등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재료가 추출되어 농축되고 여과되며, 이러한 추출액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살균된 후 포장된다. 물론 각각의 추출액이 살균된 후 혼합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개별적으로 농축된 추출액의 혼합비율로서, 고장초 추출액 45~55중량%, 당근 추출액 10~20중량%, 마늘 추출액 10~20중량%, 포공영 추출액 7~15중량%, 쑥 추출액 7~15중량%가 혼합되어 조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은 짙은 갈색을 띤 액상으로 특유의 향이 있고, 이미와 이취가 없는 훌륭한 건강 약차가 된다.

Claims (2)

  1. 고장초 추출액 45~55중량%, 당근 추출액 10~20중량%, 마늘 추출액 10~20중량%, 포공영 추출액 7~15중량%, 쑥 추출액 7~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2. 각각의 재료를 세척하고, 고장초 45~55중량%, 당근 10~20중량%, 마늘 10~20중량%, 포공영 7~15중량%, 쑥 7~15중량%로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 재료를 추출기에 넣어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시켜 8~13 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하고 맑은 원액만을 얻는 제 4단계; 상기 원액을 95~110℃의 범위로 가열하여 살균하는 제 5단계; 상기 살균된 원액을 포장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의 제조 방법.
KR1020090022680A 2009-03-17 2009-03-17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80A KR101080573B1 (ko) 2009-03-17 2009-03-17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80A KR101080573B1 (ko) 2009-03-17 2009-03-17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31A true KR20100104331A (ko) 2010-09-29
KR101080573B1 KR101080573B1 (ko) 2011-11-09

Family

ID=4300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680A KR101080573B1 (ko) 2009-03-17 2009-03-17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9786A (zh) * 2013-10-31 2014-03-05 安徽博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慢性疲劳综合征、防止劳卒死的泡袋剂
KR101381277B1 (ko) * 2013-01-25 2014-04-04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KR20200035804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낫토나제산청지리산효소연구원 줄풀(학명 zizania. latiflia 엑기스와 콜라겐을 합성한 줄풀음료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22B1 (ko) 2013-05-10 2014-10-07 권영정 줄풀 증류액을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1995807B1 (ko) 2018-12-12 2019-07-03 주식회사 비티씨 트리신 함량이 증가된 고장초 효소 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미백, 주름 개선, 항염증, 항알러지, 보습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089B1 (ko) 2005-03-11 2006-02-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건강 기능성식품
KR100826902B1 (ko) 2006-01-04 2008-05-06 박미숙 기능성 한방 발효액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77B1 (ko) * 2013-01-25 2014-04-04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CN103609786A (zh) * 2013-10-31 2014-03-05 安徽博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慢性疲劳综合征、防止劳卒死的泡袋剂
KR20200035804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낫토나제산청지리산효소연구원 줄풀(학명 zizania. latiflia 엑기스와 콜라겐을 합성한 줄풀음료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573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KR101202988B1 (ko) 건강 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05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0565B1 (ko) 고장초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483255B1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8212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5981853A (zh) 一种营养功能丰富的温和的暖茶饮料配方
KR101731899B1 (ko)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458B1 (ko) 당귀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155B1 (ko) 복방차료제를 함유하는 숙취완화용 드링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37140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건강음료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381277B1 (ko)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KR20120012066A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362132A (zh) 一种保健洗液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20140103668A (ko) 홍삼과 마누카 꿀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
KR102428523B1 (ko) 삼지구엽초, 야관문 및 홍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20030079289A (ko)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341886B1 (ko)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253B1 (ko) 오자, 오가피, 야관문 및 계피를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