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635A -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635A
KR20100103635A KR1020107016433A KR20107016433A KR20100103635A KR 20100103635 A KR20100103635 A KR 20100103635A KR 1020107016433 A KR1020107016433 A KR 1020107016433A KR 20107016433 A KR20107016433 A KR 20107016433A KR 20100103635 A KR20100103635 A KR 2010010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chain
chain
manufacturing
wall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657B1 (ko
Inventor
베른트 한센
Original Assignee
베른트 한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트 한센 filed Critical 베른트 한센
Publication of KR2010010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15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corrugated tubes
    • B29C49/0021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corrugated tubes using moulds or mould parts movable in a closed path, e.g.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403Purging or cleaning the 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42405Steri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407Procedures for start-up or material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Joining
    • B29C49/42802Joining a closure or a sealing foil to the article or pincing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08Fill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는, 단일 몰드부들(7)을 이용하고, 상기 몰드부들은 제조 라인(5)을 따라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몰드부들은 쌍을 지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조 몰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제조 몰드 내에서 컨테이너 제품들(11)이 성형되고, 상기 컨테이너 제품들은 이형 과정후에 제조 라인(5)을 따라 이동되는 컨테이너 체인(9)의 형태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컨테이너 체인(9) 상에 결합되는 이형 유닛(3)은 이형 과정을 지원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이형 유닛(3)은 동력 드라이브(17)를 갖고, 상기 동력 드라이브에 의하여 컨테이너 체인(9)이 제조 라인(5) 밖으로 나와 전후이동(5)이 가능하게 굴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Device for producing blowmolded container products from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개별 몰드 절반들에 의하여 플라스틱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들의 제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몰드 절반들은 제조 라인을 따라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몰드 절반들은 제조 몰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쌍을 지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조 몰드 내에서 컨테이너 제품들이 성형되고, 이형(demolding) 과정 후에 상기 컨테이너 제품들은 상기 제조 몰드로부터 제조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컨테이너 체인(container chain)의 형태로 배출되는 컨테이너 제품들의 제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형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제조 몰드 외부에서 배출되는 컨테이너 체인상에 작용하는 이형 유닛이 제공된다.
플라스틱 컨테이너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DE 199 26 329 A1). 그러한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튜브가 몰딩 디바이스내로 압출된다. 튜브의 한 단부는 가열밀봉에 의하여 폐쇄된다. 폐쇄된 단부 튜브는 이 튜브에 공압 구배를 작용시킴으로써 팽창되며, 2개의 대향한 개별 절반들을 포함하는 몰딩 디바이스의 몰딩벽들에 적용되어, 컨테이너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bottlepack® 방법을 실행하면서, 각각의 플라스틱 컨테이너는 살균조건하에서 몰딩 디바이스내로 적절한 장전용 맨드릴(charging mandrel)에 의하여 채워진다. 상기 장전용 맨드릴이 제거된 후에, 채워진 컨테이너는 밀폐식(hermetically) 밀봉되고, 규정된 헤드 지오메트리(specific head geometry)가 형성된다. 나중에 유체를 저장하게 되는 실제 플라스틱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몰딩 조들(jaws)의 형태로 된 2개의 개별 몰딩 절반들이 폐쇄 위치를 달성하도록 예를 들어 유압 또는 서보-전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개방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컨테이너 제품들의 매우 높은 사출속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DE 103 23 335 A1호는 멀티-스테이션 장치(multi-station arrangement)를 공개하며, 한 형식의 카루우젤(carousel)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가상의 원호에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다른 스테이션들 중에서 다양한 몰딩 단계들이 나누어지고, 이 카루우젤 장치는 플라스틱 제품을 매우 높은 사이클 주파수들로 사출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상기 플라스틱 제품들은 제조 라인을 따라 컨테이너 체인의 형태로 배출된다.
컨테이너 제품들을 위한 적절한 합성 플라스틱 재료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이고, 이는 그러한 제조 시스템들에서 아주 양호하게 가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컨테이너들을 위한 재료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면, 각각의 컨테이너 제품내로 채워지게 될 충전재가 121℃에서 가압처리(autoclave)되어야 할 액체인 경우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어 충전재가 고민감성 약제 구성물을 포함할 때 그런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종래 기술은 반드시 컨테이너 튜브의 충전 오리피스가 적어도 오리피스를 형성할 때부터 클린룸에서 관련 컨테이너를 충전하기까지 살균 배리어(barrier)에 의해 덮여있게 한다. 이 경우에, DE 10 2004 004 755 A1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살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체 운반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충전 오리피스의 방향으로 상기 배리어에 의하여 살균 매체가 운반된다면 양호한 결과들을 달성할 수 있다. 살균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른 또는 추가의 전략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제품을 위한 튜브의 제조 중에 또는 충전재의 충전 공정 중에 단순하게 높은 가공 온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과정은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서 제공되는 폴리에틸렌의 온도 감도와 충돌한다.
폴리에틸렌의 가공온도보다 더 높은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가공 온도 때문에 그리고 121℃의 가능한 높은 가압처리 온도 때문에, 살균 필요조건들은 간단하고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당한 가공 문제점들은 폴리프로필렌의 사용에 장애가 된다.
프로필렌 재료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되는 상당히 높은 출구 온도들 때문에, 그리고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들에 비하여 더 강성의 표면 마무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조 몰드의 각각의 벽들로부터 컨테이너들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문서 DE 21 65 816 C3호는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제조되며 성형된 연속적 및 인접한 컨테이너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제조 몰드 외부에서 배출되는 컨테이너 체인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이 컨테이너 체인에 제조 몰드의 운동 속도보다 느린 드로-오프(draw-off) 속도를 부여하는 운반디바이스를 갖는 이형 유닛을 제안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 컨테이너들은 탄성 수축을 경험하고, 이 탄성 수축이 몰드의 벽들로부터 상기 컨테이너들의 분리를 촉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특히 높은 사이클 주파수들이 달성될 때 이형 공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제품들을 폴리프로필렌 재료로서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전체적으로 갖는 장치에 의하여 달성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는 동력 드라이브를 구비한 이형 유닛을 설명하고 있으며, 상기 동력 드라이브에 의하여 컨테이너 체인이 제조 라인 밖으로 나와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굴절(deflecting)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체인에 대하여, 몰드의 벽들로부터의 분리가 효율적인 작동에 필요한 높은 사이클 주파수들에서도 보장되도록 출구 영역에서 요동(shaking) 또는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들에 비추어, 본 디바이스는 컨테이너 체인이 적어도 필수적으로 상기 이형 유닛의 상기 동력 드라이브에 의하여 개별 몰드 절반들의 개폐 운동의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도록 양호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컨테이너 체인은 운반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진동 운동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디바이스는, 이형 유닛이 드라이버 장치를 갖고, 상기 드라이버 장치는 상기 동력 드라이브에 구동 연결되고(drive-coupled) 그리고 2개의 지탱 표면들을 갖고, 제조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컨테이너 체인이 상기 지탱 표면들상에서 안내되며 그리고 상기 지탱 표면들을 거쳐 굴절력들이 상기 컨테이너 체인에 전달될 수 있도록 양호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 장치는 통과 채널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통과 채널의 벽 섹션들(sections)은 이동하는 컨테이너 체인을 위한 스커트(skirt)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 체인에 굴절력들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지탱 표면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디바이스는 통과 채널이 이동성 벽 섹션들을 갖고, 상기 벽 섹션들은 상기 컨테이너 체인의 폐쇄된 스커트에 해당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드라이버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 체인과 결합하고 해제되도록 가압될 수 있는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호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디바이스는 제조의 시작시에, 통과 채널의 개방된 벽 섹션들을 갖는 드라이버 장치가 컨테이너 체인까지 이동되고 다음에 통과 채널이 컨테이너 체인을 위한 스커트를 형성하기 위해 폐쇄된다는 점에서 특히 용이한 방법으로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드라이버 장치는 상기 동력 드라이브로서 작용하는 모터에 구동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통과 채널의 고정성 벽 섹션들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스커트를 개폐할 수 있는 통과 채널의 이동성 벽 섹션들이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작은 체적을 갖는 컨테이너들, 예를 들어 앰풀들(ampules)의 경우에, 제조 공정은 통상적으로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이 조합되어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train)을 형성하게 되는 대면적 컨테이너 체인을 형성하도록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이 동시에 성형되도록 그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디바이스는 지지 프레임의 길이가 상기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길고, 상기 이동성 벽 섹션들은 상기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에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영역들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도록 그러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디바이스는 이형 유닛이 상기 제조 라인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는 정지위치(rest position)와, 상기 컨테이너 체인 또는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에서 이형 공정을 지원하는 작업위치(working position) 사이로 위치가 조정가능하도록 디바이스 프레임상에 장착되도록 양호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몰드의 출구영역은, 이형 유닛이 피스톤 조정 장치 때문에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게 하면서 이형 유닛이 정지위치로 있을 때, 유지보수 또는 조정 조치들을 위해 자유로이 접근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조정을 위해, 디바이스 캐리어는 이형 유닛의 컴포넌트이고,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상에 드리이버 장치를 위한 가이드 트랙들과 동력 드라이버로서 작용하는 모터가 모두 장착되고,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는 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상에 장착되고, 상기 축은 상기 제조 라인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가이드 트랙들의 안내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형 유닛을 정지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로 피봇운동시키기 위하여, 양호하게 선형(linear) 드라이브의 형태로 피봇 드라이브가 제공되고, 상기 피봇 드라이브는 그 피봇 지탱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 뿐만 아니라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의 피봇 지탱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상에 위치하는 관절식(articulated) 지점에 관절연결된 방법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와 연관지어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하나의 실시예를 매우 간략한 개요의 개략도로서, 작동상태가 작업위치에 있는 이형 유닛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예의 제조 라인의 바로 하나의 부속섹션의 도면으로서, 제조 몰드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성 개별 몰드 절반들이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앰풀의 라인을 따라 컨테이너 제품이 제조 몰드 내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실시예의 바로 이형 유닛의 평면도로서, 넓은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의 형태로서 제조 몰드로부터 배출되는 컨테이너 체인이 횡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을 위해 계획되어 있고 그리고 일점쇄선들로 그려져 있는 폐쇄된 벽 섹션들을 갖는 통과 채널은 폐쇄된 스커트를 형성하고, 실선들은 이동성 벽 섹션들이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지칭한다.
도 4는 도 3에서의 이형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 경우에, 이형 유닛은 작업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통과 채널의 벽 섹션들은 개방위치에 있다.
도 1에서, 도면에서 상단에 위치하는 제조 세그먼트(segment)는 전체적으로 부호 (1)로서 표시되고; 그리고 하향 방향에서 상단 제조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있는 연속적 이형 유닛은 전체적으로 부호(3)으로 표시된다. 제조 세그먼트(1)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bottlepack® 시스템에 따라 블로우성형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특히 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몰딩 단계들이 제조 라인(5)을 따라 다수의 스테이션들에서 실시된다. 카루우젤 구성에서와 같이, 도 1에 몇 개만이 나타나 있는 개별 몰드 절반들(7)은 폐쇄된 제조 몰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상 원호 경로를 따라 쌍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그리고 몰드를 개방시키기 위해 다시 서로 멀어지게 이동된다. bottlepack® 방법에 따라 작용하는 시스템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도 1에 있는 제조 세그먼트(1)의 기술적 세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생성하는(resulting) 컨테이너 체인(9)이 제조 라인(5)을 따라 제조 세그먼트(1)로부터 배출되고, 다음에 이형 유닛(3)으로 이동되는 것을 명백히 도시하고 있다. 컨테이너 체인(9)이 대면적을 덮는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인 것이 도 3에서 명백히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단지 몇 개만이 도 3에 나타나 있는 앰풀 형상(도 2)을 갖는 다수의 개별 컨테이너들(11)이 컨테이너 체인(9)에서 서로 옆에 놓여 있다. 출구영역에서 서로 멀리 이동하는 개별 몰드 절반들(7)로부터 컨테이너들(11)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이형 유닛(3)은 컨테이너 체인(9)에 도 1에서 쌍촉 화살표(13)로 지시된 바와 같이 굴절 운동을 부여한다. 이 목적을 위해, 이형 유닛(3)은 드라이버 장치(15)를 갖고, 이 드라이버 장치는 몰드의 벽 섹션들로부터 컨테이너들(11)을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전기 구동 모터(17)와 구동연결되어 컨테이너 체인(9)의 굴절운동을 발생한다.
이형 유닛(3)과 드라이버 장치(15)의 전체적인 기술적 세부가 도 3 및 도 4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 장치(15)는 지지 프레임(19)과 함께, 컨테이너들(11)을 갖는 컨테이너 체인(9)을 위한 통과 채널(21)(도 3)의 고정성 벽 섹션들을 형성한다. 지지 프레임(19) 상에 제공된 이동성 벽 섹션들(23)은 도 3에 실선들로 도시되어 있는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컨테이너 체인(9)은 디바이스를 시동하기 위해 개방된 통과 채널(21)내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동성 벽 섹션들(23)은 지지 프레임(19)의 단부들에서 힌지점을 형성하는 각형 프레임 레그들(25)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 레그들(25)의 길이는, 이동성 벽 섹션들(23)이 도 3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로 구부러질 때 컨테이너 체인(9)의 형상-끼워맞춤 스커트가 통과 채널(21)내에 형성되도록 컨테이너 체인(9)의 컨테이너들(11)의 두께 치수들에 맞게 적용되어 있다.
드라이버 장치(15)의 지지 프레임(19)은 도 1 및 도 4에 쌍촉 화살표(13)를 따라 이동하는 굴절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 트랙들(27) 상에서 안내된다. 모터(17)와 같이, 상기 가이드 트랙들은 또한 디바이스 캐리어(29) 상에 장착되고, 다음에 이 디바이스 캐리어는 피봇축(33)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도록 이형 유닛(3)의 디바이스 프레임(31)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피봇 장착부로부터의 일정 거리에서,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실린더 형태로 된 선형 드라이브(35)는 디바이스 캐리어(29) 상에 있는 지점(28)에서 힌지연결된다. 다음에 이러한 작동 실린더는 피봇 지탱부(33)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힌지점(37)에서 디바이스 프레임(31) 상에 지지된다.
이형 유닛(3)의 디바이스 캐리어(29)가 디바이스 프레임(31) 상에 피봇가능한 방법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이형 유닛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작업위치로부터, 조정 및 유지보수뿐만 아니라 시동을 위한 준비를 위해, 동력 드라이브(35)를 후퇴함에 의한 정지위치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정지위치에서 드라이버 장치(15)가 컨테이너 체인(9)의 출구 영역 외부에 위치해 있다. 디바이스를 시동하기 위해, 디바이스 캐리어(19)는 동력 드라이브(35)를 후퇴시킴으로써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작동상태에서 시작하여, 개방위치에 있는 벽 섹션들(23)은 통과 채널(21)을 폐쇄하기 위하여, 즉 컨테이너 체인(9)의 스커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폐쇄위치로 피봇이동된다. 도 3은 모터(17)가 편심 디바이스(41)를 갖는 출력 기어(39)를 가지고 있는 것을 명백히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편심 디바이스는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며 그리고 조정가능한 푸시로드들(43)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19)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 시스템은 지지 프레임(19)과 따라서 통과 채널(21)내에 위치한 컨테이너 체인(9)에 전후 요동 운동을 부여한다. 동시에, 길이 10 내지 20 mm 범위에 있고 예를 들어 초당 1회 왕복(one shuttle per second)을 하는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컨테이너 체인(9)에서의 요동 운동들은, 비록 사용자가 특히 이형하기가 어렵고 높은 가공온도들을 필요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재료들과 같은 재료들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이형될 재료가 상당한 강성인 경우에, 몰드의 벽들로부터 성형된 컨테이너들(11)의 확실한 분리를 보장한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 또는 공압출된 다중층 복합재(composite) 대신에, 폴리프로필렌 재료들을 사용하는 발생하는 장점들을 개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또한 폴리프로필렌 재료가 고온(121℃)에서 가압처리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한 것이며, 동시에 언급된 다중층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것보다 단 하나의 압출헤드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재료를 얻을 수 있는 상당한 유익이 있다
이형 유닛(3)의 위치를 작업위치와 정지위치 사이로 조정하기 위해 작동실린더의 형태로 된 전술한 선형 드라이브(35) 대신에, 다른 종류의 드라이브 및 기어 수단, 예를 들어 스핀들 드라이브 및 그런 종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형 유닛(3)이 작업위치 및/또는 정지위치 또는 필요한 중간위치들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로킹기구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개별 몰드 절반들(7)에 의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들(11)의 제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몰드 절반들은 제조 라인(5)을 따라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몰드 절반들은 제조 몰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쌍을 지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조 몰드 내에서 상기 컨테이너 제품들(11)이 성형되고, 이형 과정 후에 상기 컨테이너 제품들은 상기 제조 몰드로부터 상기 제조 라인(5)을 따라 이동되는 컨테이너 체인(9)의 형태로 배출되어서, 상기 이형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제조 몰드 외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컨테이너 체인(9) 상에 작용하는 이형 유닛(3)이 제공되는, 상기 제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형 유닛(3)은 동력 드라이브(17)를 갖고, 상기 동력 드라이브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 체인(9)이 상기 제조 라인(5) 밖으로 나와 전후이동(5)이 가능하게 굴절(deflect)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체인(9)은 적어도 필수적으로 상기 이형 유닛(3)의 상기 동력 드라이브(17)에 의하여 개별 몰드 절반들(7)의 개폐 운동의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유닛(3)은 드라이버 장치(15)를 갖고, 상기 드라이버 장치는 상기 동력 드라이브(17)에 구동 연결되고 그리고 지탱 표면들을 갖고, 상기 제조 라인(5)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컨테이너 체인(9)이 상기 지탱 표면들 상에서 안내되며 그리고 상기 지탱 표면들을 거쳐 굴절력들이 상기 컨테이너 체인(9)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장치(15)는 통과 채널(21)을 갖고, 상기 통과 채널의 벽 섹션들(19, 23, 25)은 이동하는 상기 컨테이너 체인(9)을 위한 스커트(skirt)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 체인(9)에 굴절력들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지탱 표면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채널(21)은 이동성 벽 섹션들(23, 25)을 갖고, 상기 벽 섹션들은 상기 컨테이너 체인(9)의 폐쇄된 스커트에 해당하는 폐쇄 위치로,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장치(15)가 상기 컨테이너 체인(9)과 결합하고 해제되도록 가압될 수 있는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장치(15)는 상기 동력 드라이브로서 작용하는 모터(17)에 구동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19)을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통과 채널(21)의 고정성 벽 섹션들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상기 통과 채널(21)의 이동성 벽 섹션들(23, 25)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성 벽 섹션들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9)은 가이드 트랙들(27) 상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들은 상기 제조 라인(5)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편심 디바이스(41)에 의하여 상기 모터(17)에 연결되고, 상기 편심 디바이스가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후 변위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복수의 컨테이너들(11)이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을 형성하도록 조합되어 있는 대면적 컨테이너 체인(9)을 위한 통과 채널(2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9)의 길이는 상기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길고, 상기 이동성 벽 섹션들(23, 25)은 상기 컨테이너 체인 트레인에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 프레임(19)의 단부 영역들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벽 섹션들(23, 25)은 각형 프레임 레그들을 갖고, 상기 프레임 레그들은 한 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9) 상에서 관절식(articulated) 지점을 형성하는 짧은 레그(25)를 각각 갖고, 상기 짧은 레그의 길이는 전후 운동의 방향에서 측정된 상기 통과 채널(21)의 폭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프레임 레그들은 상기 짧은 레그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긴 프레임 레그(23)를 갖고, 상기 긴 프레임 레그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 체인(9)의 넓은 측면에 이 측면과 대면하는 지탱 표면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유닛(3)은 상기 제조 라인(5)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는 정지위치와, 상기 컨테이너 체인(9)에서 이형과정을 지원하는 작업위치 사이로 위치가 조정가능하도록 디바이스 프레임(31)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들(27)과 상기 모터(17)는 디바이스 캐리어(29) 상에 장착되고,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는 축(33)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31) 상에 장착되고, 상기 축은 상기 제조 라인(5)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가이드 트랙들(27)의 안내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유닛(3)을 정지위치와 작업위치 사이로 전달하기 위하여, 선형 드라이브(35)가 피봇 드라이브로서 제공되고, 상기 피봇 드라이브는 그 피봇축(33)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29) 뿐만 아니라 상기 디바이스 캐리어(29)의 피봇축(33)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31) 상에 위치하는 관절식 지점(37)에 관절연결된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디바이스.
KR1020107016433A 2008-01-25 2009-01-20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 KR101571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6073.9 2008-01-25
DE102008006073A DE102008006073A1 (de) 2008-01-25 2008-01-25 Vorrichtung zum Herstellen blasgeformter Behältererzeugnisse aus Kunststoff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635A true KR20100103635A (ko) 2010-09-27
KR101571657B1 KR101571657B1 (ko) 2015-11-25

Family

ID=4062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433A KR101571657B1 (ko) 2008-01-25 2009-01-20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137096B2 (ko)
EP (1) EP2231383B1 (ko)
JP (1) JP5453316B2 (ko)
KR (1) KR101571657B1 (ko)
CN (1) CN101909855B (ko)
AT (1) ATE507057T1 (ko)
AU (1) AU2009207835B2 (ko)
BR (1) BRPI0906374B1 (ko)
CA (1) CA2712065C (ko)
DE (2) DE102008006073A1 (ko)
DK (1) DK2231383T3 (ko)
ES (1) ES2362263T3 (ko)
HK (1) HK1146477A1 (ko)
MX (1) MX2010008077A (ko)
PL (1) PL2231383T3 (ko)
PT (1) PT2231383E (ko)
RU (1) RU2481948C2 (ko)
WO (1) WO20090925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596A (ko) * 2014-01-31 2016-10-05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컨테이너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0101A1 (de) * 2012-10-16 2014-04-2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hältererzeugnissen aus kunststoffmaterialien
US11027862B2 (en) * 2014-06-23 2021-06-08 Woodstock Sterile Solutions, Inc. Cold blow-fill-seal packaging system and process
DE102015012939A1 (de) 2015-10-01 2017-04-06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mikrobiologischen Belastung von Behältererzeugnissen
DE102015012937A1 (de) 2015-10-01 2017-04-06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r mikrobiologischen Kontaminaten von Behältererzeugnissen
DE102015014133A1 (de) 2015-10-31 2017-05-0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Formwerkzeug
DE102017007443A1 (de) 2017-08-05 2019-02-07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lasform-, Füll- und Schließverfahren sowie danach hergestelltes Behältererzeugnis, insbesondere Ampullenerzeugnis
CN109624050B (zh) * 2019-01-31 2020-06-30 唐山兴达成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隔墙板自动化生产线用拆扳机及其控制方法
DE102022118938A1 (de) 2021-08-12 2023-02-16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40868U (de) * 1961-07-11 1961-11-02 Formplastic G M B H Maschine zum fuellen und verschliessen von aus kunststoff-folien hergestellten behaeltern.
GB1169259A (en) * 1967-09-27 1969-11-05 Regis Machinery Sussex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filled moulded containers
DE1813048C3 (de) * 1968-12-06 1973-09-20 Gerhard 7013 Oeffingen Hansen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an Behalt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 stoff befindlichen Abfallteilen
US3699199A (en) * 1970-12-30 1972-10-17 Hercules Inc Continuous blow molding process with reduction of length compensation
DE3033821C2 (de) * 1980-09-09 1982-09-09 Gerhard 7166 Sulzbach-Laufen Han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Behälters aus einem heißsiegelbaren Kunststoffschlauch und durch das Verfahren und mittels der Vorrichtung hergestellter Behälter
JPS61209126A (ja) * 1985-03-13 1986-09-17 Kyoraku Co Ltd 中空成形方法
US4911633A (en) * 1988-08-15 1990-03-27 Comfort Gordon A Apparatus for plastic tubing manufacture
JP2569378B2 (ja) * 1990-08-21 1997-01-08 東京硝子精機株式会社 合成樹脂連続成型機に於ける切断及び選別装置
DE19926329A1 (de) 1999-06-09 2000-12-21 Bernd Hans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hältern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DE10323335A1 (de) 2003-05-23 2004-12-16 Hansen, Bernd, Dipl.-Ing. Herstellvorrichtung
DE102004004755A1 (de) 2004-01-30 2005-08-25 Bernd Han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CN2843818Y (zh) * 2005-10-10 2006-12-06 汪祥建 塑料拉吹机脱模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596A (ko) * 2014-01-31 2016-10-05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컨테이너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0008077A (es) 2010-08-04
EP2231383A1 (de) 2010-09-29
DE102008006073A1 (de) 2009-07-30
CA2712065A1 (en) 2009-07-30
DK2231383T3 (da) 2011-08-15
PT2231383E (pt) 2011-05-31
CA2712065C (en) 2015-12-08
BRPI0906374B1 (pt) 2018-11-21
AU2009207835B2 (en) 2013-05-09
DE502009000597D1 (de) 2011-06-09
BRPI0906374A2 (pt) 2015-07-07
HK1146477A1 (en) 2011-06-10
CN101909855A (zh) 2010-12-08
US20100310701A1 (en) 2010-12-09
JP2011509854A (ja) 2011-03-31
PL2231383T3 (pl) 2011-09-30
CN101909855B (zh) 2013-06-19
US8137096B2 (en) 2012-03-20
JP5453316B2 (ja) 2014-03-26
RU2010133886A (ru) 2012-02-27
RU2481948C2 (ru) 2013-05-20
KR101571657B1 (ko) 2015-11-25
ES2362263T3 (es) 2011-06-30
EP2231383B1 (de) 2011-04-27
WO2009092554A1 (de) 2009-07-30
AU2009207835A1 (en) 2009-07-30
ATE507057T1 (de) 201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635A (ko) 플라스틱 재료로서 블로우성형된 컨테이너 제품의 제조 디바이스
PT2212094E (pt) Máquina de moldagem por sopro e mecanismos associados
JP2011509854A5 (ko)
JP2010526690A (ja) 容器をブロー成形するための装置
WO2023165088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KR102260030B1 (ko)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컨테이너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WO2023165087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WO2023165084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WO2023165085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CN113683044B (zh) 一种吹灌封设备
US5576034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bodies from thermoplastic material by an extrusion blow molding process
JP4319863B2 (ja) 回転式成形機
KR102192486B1 (ko) 플라스틱 재료들로 이루어진 용기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ITMI20131557A1 (it)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contenitori in materiale termoplastico
KR101000732B1 (ko) 몰딩 장치
EP1818158A2 (en) Machine for moulding plastic containers with linear-rack means for moving the mould-carrying unit
US3501809A (en)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articles
US2023022674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US20060165831A1 (en) Molding device
RU137231U1 (ru) Механизм запирания полуформ пресс-формы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ыдува пэт-тары
CN116080044A (zh) 一种塑料容器加工用的多角度吹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