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264A -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264A
KR20100103264A KR1020090021805A KR20090021805A KR20100103264A KR 20100103264 A KR20100103264 A KR 20100103264A KR 1020090021805 A KR1020090021805 A KR 1020090021805A KR 20090021805 A KR20090021805 A KR 20090021805A KR 20100103264 A KR20100103264 A KR 2010010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main body
nail
mixture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시현
Original Assignee
백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시현 filed Critical 백시현
Priority to KR102009002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264A/ko
Publication of KR2010010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2Polishing devices for nails manu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01Manufacture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체 상에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색깔이 가미된 다양한 문양의 연마층을 형성시키는 제작방법에 있어서,
연마층에 사용되는 잉크를 경화속도가 빠르고 자체 접착성이 강한 우레탄 엘라스토머 계열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잉크자체가 접착제 역할까지 병행할 수 있어 기존 접착제도포 공정 및 접착제 건조공정을 없앨 수 있음으로써, 전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한쪽면 상에 각기 다른 연마성을 갖는 연마층을 함께 형성시키고 이를 잉크색깔 및 문양으로 구분시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톱, 연마, 실크스크린, 잉크, 우레탄 엘라스토머

Description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Grinding device for na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발톱 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잉크를 통해 색감이 부가된 연마부가 본체 상에 특정문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접착기능을 보유한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를 사용함에 따라 접착제 도포공정과, 접착제 건조공정이 필요 없어 전체 생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는 손톱이나 발톱의 미용에 관심이 높아져 다양한 형태의 손발톱 관리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전 일반적인 손발톱 미용은 메니큐어(manicure)를 바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시간이 지나면 군데군데 벗겨져 오히려 보기 흉해짐으로 지우고 다시 칠해야 했다.
또한 일반 메니큐어는 자체 화학성분에 의해 손톱건강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메니큐어에 의한 인위적인 색조 미용보다는 손톱 표면을 광택내어 자연스러움을 부각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손톱 표면의 광택은 별도의 연마구를 이용하는데, 공통적으로 판재 형태의 본체 표면에 미세 돌가루 형태의 연마층이 형성된 형태로, 연마층을 손톱표면에 문질러 갈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연마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반 실크스크린 인쇄 방식을 이용해 상기 연마층이 특정문양과 색깔을 갖도록 함으로써 외관성을 높이는 방식도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연마구의 제작방법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5466호 『손톱 미용기구』가 있는데,
제작방법은, 먼저 기판을 준비하고 기판 상에 실크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특정문양을 따라 잉크를 도포시키고, 잉크위에 연마재를 뿌린 후 잉크를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연마재를 접착시킨 뒤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종래기술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손톱연마구는 묽고 점성이 약한 수성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순수하게 색깔 표현 기능만 한다.
따라서 제작과정에서 반드시 연마재의 고착을 위한 별도로 접착제를 도포시켜야 하고 더불어 접착제의 건조를 위한 공정도 별도로 거쳐야만 한다.
이로 인해 전체 공정이 길어지게 되고 도포 및 건조를 위한 별도 장비 및 인력도 필요하여, 결국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성잉크는 자체 경화성이 낮아 건조시간이 오래걸리고, 이로 인해 별도로 건조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 연마구는 대게 연마재의 입자크기를 달리하여 손톱표면을 갈아내는 기능의 제1연마부와, 갈아낸 손톱표면에 광택을 내는 제2연마부가 구비되는데,
본체 한쪽 면에는 제1연마부가 구비되고 반대쪽 면에 제2연마부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각 연마부가 본체의 다른 면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해당연마부를 사용하기 위해 수시로 본체를 뒤집거나 돌려 사용해야 함으로 번거롭고, 그 과정에서 바닥에 떨어트리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작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별도 접착제도포 및 접착제 건조공정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연마재가 잉크상에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공정 및 장비가 간소해지고 필요인력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체의 한쪽면 상에 각기 다른 연마율을 갖는 연마부를 동시에 구비시키되 각 연마부의 식별이 육안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손발톱 연마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를 준비하는 공정 및 우레탄 엘라스토머 계열 잉크와 연마재를 혼합하는 혼합체 준비공정과, 상기 본체 상에 혼합체를 도포시켜 연마부를 형성시키는 연마부 형성공정과, 상기 연마부의 잉크를 건조시켜 연마재를 고착시키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작방법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체 준비공정은 연마재의 입자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혼합체를 준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마부 형성공정은 상기 여러 종류의 혼합체가 본체의 한쪽면 상에 각각 별개의 범위를 이루도록 도포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점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작과정에 의해 제작된 손발톱 연마구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와 연마재가 혼합된 상태의 연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한쪽 면 상에 각기 다른 연마성을 갖는 연마부가 함께 형성되고 각 연마부는 포함된 잉크색깔을 달리하거나 상호 다른 문양을 이루도록 하여 상호 식별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작방법 및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경화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를 사용함에 따라 색깔 기능과 더불어 자체적으로 연마재의 고착기능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음으로, 별도의 접착제도포공정 및 접착제 건조공정이 필요 없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 한쪽면 상에 여러 종류의 연마부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해당 기능의 연마부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를 수시로 뒤집어가면서 사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작과정 및 그 과정을 통해 제작된 연마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손발톱 연마구 제작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준비공정(S100a)과 혼합체 준비공정(S100b), 연마부 형성공정(S200), 연마부 건조공정(S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준비공정(S100a)은 연마구의 몸통역할을 하는 본체(100)를 제작 준비하는 과정으로, 본체(100)는 [도 2]처럼 접촉판(110) 이면에 지지판(120)이 중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판(110)은 후술하는 연마부가 형성되어 사용 시 손발톱 표면에 직 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판재형태를 가지며 쿠션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지지판(120)은 사용과정에서 상기 접촉판(110)이 휘거나 하는 등의 형상변형을 막기 위한 것으로, 접촉판(110)과 동일한 모양의 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접촉판(110) 이면에 본딩을 통해 부착된다.
이러한 지지판(120)은 아크릴 수준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벼우며 절단가공이 용이한 포멕스(Foamex)재질을 사용한다.
이렇게 접촉판(110)과 지지판(120)을 절단하기 쉬운 재질로 만들기 때문에 본체(100)를 도면처럼 측면에 곡선이 형성된 모양으로 만들고자 하더라도,
사출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넓은 판재형태인 접촉판과 지지판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만들고자 하는 외곽모양을 따라 칼날이 배치된 목형을 단순히 눌러 절단하는 방식(톰슨가공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한번의 프레싱으로 여러 개의 본체를 동시에 제작할 수도 있게 된다.
참고로 본체(100)는 반드시 지지판(120)이 구비된 상태로 제작될 필요는 없고 접촉판(110)의 재질 등에 따라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본체준비공정(S100a)이 완료되면 혼합체 준비공정(S100b)을 실시하는데,
상기 혼합체 준비공정(S100b)은 후술하는 연마부(200)를 미리 준비하는 과정 으로, 연마부의 색깔표현을 위한 잉크와 미세돌가루 형태의 연마재를 섞은 혼합체(200-1)를 만드는 과정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타 일반 잉크에 비해 자체 경화성이 좋고 접착성이 강한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Urethane elastomer)을 사용한다.
이러한 잉크는 사용하고자 하는 색깔별로 따로 준비하고, 연마재도 입자크기에 따라 별도로 준비한 후, 원하는 색깔에 원하는 입자크기의 연마재를 넣고 섞는다.
예를들어 빨간색 혼합체는 입자밀도가 약 600grit(샌드페이퍼 등에서 연마재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치수)정도의 표면절삭용 연마재가 사용되고, 파란색에는 입자밀도가 약 4000grit 정도의 광택용 연마재가 혼합된 상태로 준비된다.
앞에서는 본체 준비공정(S100a) 후 혼합체 준비공정(S100b)이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두 공정의 실시 순서는 중요하지 않고 바뀌거나 동시에 이루어져도 상관없다.
이렇게 혼합체 준비공정(S100b)이 완료되면 연마부 형성공정(S200)을 실시한다.
상기 연마부 형성공정(S200)은 준비된 혼합체(200-1)를 본체(100)의 접촉판(110) 상에 도포시켜 연마층, 즉 연마부(200)를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혼합체(200-1)의 도포형태는 단순히 접촉판(110) 표면에 골고루 펼쳐 도포시키거나,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을 이용해 특정문양을 이루도록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을 이용한 방식은 먼저 특정문양이 형성된 무늬판(500)을 접촉판(110)상에 올려놓고 그 위에 상기 혼합체(200-1)를 부은 후 혼합체(200-1)를 별도의 긁개(600)로 얇게 펴면서 긁어내면 무늬판(500)의 각 문양구멍(510)(520) 내에만 남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무늬판(500)을 떼어내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접촉판(110) 상에 상기 혼합체(200-1)로 이루어진 연마부(200)가 특정문양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참고로 연마부(200)의 문양 형성방법은 반드시 실크스크린 기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가능한 다른 기법 중에서 얼마든지 선택적용 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체를 붇는 과정에서 [도 2]처럼 무늬판(500)의 각 문양구멍 중 사각형의 문양구멍(510)에 먼저 미세연마재가 혼합된 혼합체를 붓고, 그 후 삼각형의 문양구멍(520)이 형성된 부분에는 굵은 연마재가 혼합된 혼합체를 부을 경우, [도 4] 및 [도 5]처럼 접촉판(110)의 한면 상에 각기 다른 연마율을 같는 제1연마부(210) 및 제2연마부(220)가 동시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2연마부(210)(220)는 일단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문양의 차이로 상호 식별이 되며, 각 연마부(210)(220)에 사용되는 잉크색깔을 달리 할 경우 더욱 분명하게 식별될 수 있어 혼동이 방지된다.
이렇게 연마부 형성공정(S200)이 완료되면 형성된 연마부(200)를 건조시키는 연마부 건조공정(S300)을 실시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는 자체 경화성이 일반 잉크에 비해 뛰어남으로 약 15분 내외 자연건조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자체 접착성도 높기 때문에 건조되면서 연마재가 본체 표면상에 견고하게 고착됨으로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렇게 연마부 건조공정(S300)까지 완료되면 [도 3]처럼 본체(100) 상에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와 연마재를 혼합한 연마부(200)가 형성되며, [도 5]처럼 본체(100) 한쪽면 상에 두가지 기능의 연마부(210)(220)가 함께 형성된 구조의 손발톱 연마구(1000)가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접착기능을 갖는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 반드시 실시되었던 접착제 도포공정과 접착제 건조공정도 없앨 수 있어 전체적인 공정과 장비가 간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 한쪽면 상에 여러 가지 기능의 연마부를 동시에 형성시킴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해당 기능의 연마부를 찾아 본체를 수시로 이리저리 돌려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작과정 중 본체준비공정과 혼합체 준비공정, 그리고 연마부 형성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연마부 형성공정 및 연마부 건조공정을 통해 연마부 형성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 는 본체의 접촉판 한면 상에 두가지 기능의 연마부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Claims (5)

  1. 본체를 준비하는 공정 및 우레탄 엘라스토머계 잉크와 연마재를 혼합하는 혼합체 준비공정과,
    상기 본체 상에 상기 혼합체를 도포시켜 연마부를 형성시키는 연마부 형성공정과,
    상기 연마부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 형성공정은,
    실크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연마부가 특정문양을 이루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의 제작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체 준비공정은,
    연마재의 입자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혼합체를 준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마부 형성공정은,
    본체의 한쪽면 상에 상기 여러 종류의 혼합체가 각각 별개의 범위를 갖도록 도포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의 제작방법.
  4.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우레탄엘라스토머 계열 잉크와 연마재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체를 도포하여 형성한 연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본체 한쪽면 상에 각기 다른 연마성을 갖는 복수의 연마부로 형성되고 각 연마부는 포함된 잉크색깔을 달리하거나 서로 다른 문양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호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
KR1020090021805A 2009-03-13 2009-03-13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KR2010010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05A KR20100103264A (ko) 2009-03-13 2009-03-13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05A KR20100103264A (ko) 2009-03-13 2009-03-13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64A true KR20100103264A (ko) 2010-09-27

Family

ID=4300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805A KR20100103264A (ko) 2009-03-13 2009-03-13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3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9505A1 (en) * 2021-07-12 2023-01-12 Chulha KIM Foot exfoliator with high-gloss nail polisher, and electric foot exfoliation k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9505A1 (en) * 2021-07-12 2023-01-12 Chulha KIM Foot exfoliator with high-gloss nail polisher, and electric foot exfoliation k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0682B2 (ja) ブリング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CA2387293A1 (en) Improved engineered abrasives
CN110405645A (zh) 一种超柔软涂层砂布及其制造方法
CN104589203B (zh) 一种具有绒毛结构的研磨片及其制备方法
KR20100103264A (ko) 손발톱 연마구 및 그 제작방법
JP2844439B2 (ja) バレル研磨機を用いた漆器の加飾方法
KR20010037098A (ko) 손톱 미용기구와 그 제조방법
CN107571166B (zh) 一种砂纸及其制备方法
KR101359629B1 (ko) 인조 손톱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025744A1 (en) Nail file
CN205166655U (zh) 一种新型三合一抛光垫
CN100559989C (zh) 指甲修整器具
KR101370762B1 (ko) 손발톱 손질용구용 연마 원단 및 연마 원단 제조방법
KR20030025355A (ko) 옻칠 납골함의 제작방법
KR20030008353A (ko) 미용용 연마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88442Y1 (ko) 손발톱 연마구
KR100710243B1 (ko) 천연무늬목을 가지는 가구용 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073896B1 (ko) 자개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구두 제조 방법
KR200260216Y1 (ko) 미용용 연마구
JP6744637B2 (ja) 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構造体
KR100588523B1 (ko) 문양색상 불변 손톱미용구 및 그 제조방법.
TWI408010B (zh) Paint jade manufacturing method
US20060033229A1 (en) Pumice ston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KR200175466Y1 (ko) 손톱 미용기구
KR100982026B1 (ko) 손톱 광택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