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442Y1 - 손발톱 연마구 - Google Patents

손발톱 연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42Y1
KR200288442Y1 KR2020020007987U KR20020007987U KR200288442Y1 KR 200288442 Y1 KR200288442 Y1 KR 200288442Y1 KR 2020020007987 U KR2020020007987 U KR 2020020007987U KR 20020007987 U KR20020007987 U KR 20020007987U KR 200288442 Y1 KR200288442 Y1 KR 200288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glass member
abrasive
adhesiv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용
Original Assignee
신우유니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유니온(주) filed Critical 신우유니온(주)
Priority to KR2020020007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42Y1/ko

Links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부재의 표면에 손발톱을 연마하는 연마층이 형성됨으로써 유리재질이 갖는 투명성과 굴절성으로 인하여 보다 화려한 외관과 미려한 질감을 갖는 손발톱 연마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는 유리부재의 표면이 샌딩 가공에 의하여 미세한 요철면이 형성되고, 이 요철면에 연마재 입자가 접착제로 고착 코팅되어 연마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부재는 투명하거나 여러 농도의 칼라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발톱 연마구{Nail file}
본 고안은 손발톱 연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부재의 표면에 손발톱을 연마하는 연마층이 형성됨으로써 유리재질이 갖는 투명성과 굴절성으로 인하여 보다 화려한 외관과 미려한 질감을 갖는 손발톱 연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발톱 연마구는 길게 자란 손톱이나 발톱을 깍게 되면 그 절단면이 거칠게 되므로 이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연마하는데 사용된다.
손발톱 연마구는 손톱깍기와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손톱깍기에 마련되어사용되기도 하지만, 전문화된 미용업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대중화되어 별도의 연마용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마구는 미용에 관련된 만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질감을 갖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마구들은 그 재료가 판형으로 된 금속부재의 일부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킨 것이거나, 합성수지 부재의 일부 표면에 연마재를 접착한 것들이어서, 사용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의 부재들이 변색이 되거나 광택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사용중에 인체의 땀성분이 상기 부재에 묻게 됨으로 인하여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표면이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부식 내지 변색되었으며, 특히 합성수지 부재인 경우 그 표면 경도가 약하여 작은 외력에도 쉽게 긁히게 되어 연마구 본래의 외관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마구들은 연마층이 형성된 부재의 재질이 금속, 플라스틱 또는 스펀지 등의 불투명한 재질들이어서, 소비자의 취향에 맞도록 다양한 질감을 표현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고, 근래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부재가 사용된 경우도 있으나 투명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외관이 쉽게 변질되어 투명도가 오래가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재질의 부재에 연마층을 형성하여 유리재질이 갖는 내식성, 투명성 및 굴절성을 이용하여 보다 화려한 외관과 미려한 질감을 갖는 한편 오래 사용하여도 본래의 외관이 유지될 수 있는 손발톱 연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A′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발톱 연마구 2 : 유리부재
3 : 연마층 4 : 손잡이부
5 : 연마재 6, 7 : 접착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부재의 적어도 일부표면에 연마층이 형성된 손발톱 연마구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샌딩 가공에 의하여 미세한 요철면이 형성된 유리부재로 되고; 상기 연마층은 상기 미세한 요철면에 연마재 입자가 접착제로 고착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부재는 투명하거나 여러 농도의 칼라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1)는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길고 납작한 막대 형상의 유리부재(2)와, 이 유리부재(2)의 일부 표면에 손톱 등을 연마하도록 형성된 연마층(3)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부재(2)는 무색 투명하거나 다양한 색상을 여러 농도로 가미시킨 칼라 유리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A′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일반적인 유리부재는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마재를부착하게 되면 유리와 접착제간의 강한 접착력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표면이 평평한 유리에 대하여 접착제와의 넓은 접촉 표면적이 형성되도록 유리의 표면에 샌딩 가공을 통하여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함으로써 유리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제는 견고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유리부재(2)에 연마층(3)이 형성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마스킹 테이프로 마스킹하여 샌딩가공 전 작업을 한 후, 유리부재(2)의 연마층(3)이 형성될 부분에 샌딩 가공을 하면 도 2a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작위의 미세한 요철면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샌딩 가공되는 유리부재(2)의 표면은 일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부일수도 있다.
유리부재(2)는 샌딩 가공 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도 2b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샌딩 가공된 유리 표면에 접착제(6)를 1차 도포하며, 도포된 접착제(6) 위에 일정한 입자크기를 갖는 연마재(5)를 살포한 후, 건조장치를 통하여 접착제(6)가 경화되도록 건조시킴으로써 연마재(5)가 1차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50 : 50으로 배합한 접착제(6)를 유리부재(2) 표면에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도포하며, 연마재(5)는 일정한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형태의 금강사가 사용된다. 또한 건조장치의 온도는 60℃∼120℃이며, 건조시간은 15분∼30분으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6)를 통하여 유리부재(2) 위에 1차 고정된 연마재(5)는 접착제(6) 내에 완전 묻히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다수의 연마재(5)는 접착제(6)로부터 일부 노출된다.
이때 접착제(6)로부터 연마재(5) 입자의 노출된 정도가 큰 경우에는 손발톱 손질시 연마재(5) 입자가 접착제(6)에 견고한 부착력을 가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손발톱에 거친 흠집을 유발시킨다.
그래서 도 2c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6)에 의하여 1차 고정된 연마재(5) 입자의 표면위로 다시 2차로 접착제(7)를 얇게 도포하여 코팅막을 형성하고, 이를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시켜 접착제(7)를 경화시킴으로써 연마재(5)가 2차로 고정되어, 유리부재(2) 표면에는 연마층(3)이 완성된다.
이렇게 접착제(6,7)를 1, 2차로 나눠 도포함으로써 연마재(5) 입자는 접착제(6,7)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착되고, 이러한 연마층(3)이 형성된 연마구가 손발톱 손질에 사용될 때 접착제(6,7)로부터 연마재(5) 입자의 이탈이 거의 없으며,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원하는 연마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연마층(3)이 완성된 유리부재(2)는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고, 원하는 규격으로 절단되며, 절단으로 인하여 날카롭게 된 유리 측면부분은 다이아몬드 휠 등의 연마기를 통하여 다듬어짐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손발톱 연마구(1)는 완성된다.
미 설명부호 4는 손잡이부(4)로서, 손발톱 연마구(1)를 통하여 손톱이나 발톱을 연마할 때 파지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미용도구로서의 손발톱 연마구(1)에 장식효과를 더욱 부여한다면, 다양한 색상의 안료가 접착제(6,7)에 첨가되어 사용됨으로써 유리부재(2)를 투과하여비쳐지는 색상이 굴절되어 다양하고 화려한 외관을 갖는 손발톱 연마구(1)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가 응용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연마층(3)이 형성된 유리부재(2)를 대신하여 판상의 금속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금속부재의 매끄러운 표면을 샌딩 가공하여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하고, 상기 설명되었던 유리부재(2)에 연마층(3)이 형성되는 같은 과정으로 금속부재에도 연마층을 형성하여 손톱 등을 손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발톱 연마구에 의하여, 투명 또는 칼라 유리재질의 부재에 연마층이 형성됨으로써 유리재질이 갖는 내식성과 투명성 및 굴절성을 이용하여 보다 화려하고 미려한 질감을 갖게 되는 한편 오래 사용되어도 본래의 외관이 유지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연마층이 형성된 손발톱 연마구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샌딩 가공에 의하여 미세한 요철면이 형성된 유리부재(2)로 되고;
    상기 연마층(3)은 상기 미세한 요철면에 연마재(5) 입자가 접착제로 고착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부재(2)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부재(2)는 여러 농도의 칼라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 연마구.
KR2020020007987U 2002-03-18 2002-03-18 손발톱 연마구 KR200288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87U KR200288442Y1 (ko) 2002-03-18 2002-03-18 손발톱 연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87U KR200288442Y1 (ko) 2002-03-18 2002-03-18 손발톱 연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42Y1 true KR200288442Y1 (ko) 2002-09-10

Family

ID=7311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987U KR200288442Y1 (ko) 2002-03-18 2002-03-18 손발톱 연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4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26A (ko) * 2002-08-29 2004-03-11 신선경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KR100558076B1 (ko) * 2002-07-04 2006-03-07 신우유니온(주) 손톱손질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10812B1 (ko) 2006-03-03 2007-04-25 권혁수 각질연마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456B1 (ko) 2006-07-21 2007-05-31 김재영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076B1 (ko) * 2002-07-04 2006-03-07 신우유니온(주) 손톱손질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1726A (ko) * 2002-08-29 2004-03-11 신선경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KR100710812B1 (ko) 2006-03-03 2007-04-25 권혁수 각질연마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456B1 (ko) 2006-07-21 2007-05-31 김재영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36359A (en) Foam plastic element for cleaning, scouring and/or polishing purposes and the like
KR20070116406A (ko) 손상이 거의 없는 프렌치네일 장식을 갖는 개선된 인조손톱
KR100723456B1 (ko)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6428407B1 (en) Coated abrasive tool and construction method
US6162117A (en) Nail buffing tool
KR200288442Y1 (ko) 손발톱 연마구
US6913025B2 (en) Callus-removing skin-f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2545284A (ja) ペイントフィルムを補修する方法および補修されたペイントフィルムを含む物品
KR100519704B1 (ko) 손발톱연마용 줄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7572484B1 (en) Methods for making abrasive articles having decorative patterns
KR200436647Y1 (ko) 손톱 미용기구 겸용 장식용 액세서리
JP3040920U (ja) 抗菌剤入り爪磨き具
KR200338751Y1 (ko) 합성수지제 손톱손질구
US20100221982A1 (en) Kit having two types of clay
KR200260216Y1 (ko) 미용용 연마구
WO2000019858A1 (fr) Ongle artificiel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200246275Y1 (ko) 손발톱 소제기
KR950005070B1 (ko) 손톱 소제용 줄칼
KR20040021726A (ko)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KR100982026B1 (ko) 손톱 광택구 제조방법
CN211709071U (zh) 一种多重植砂的涂附磨具
KR200293386Y1 (ko) 자개 네일 아트 구조재
KR200437347Y1 (ko) 손톱 미용기구가 부착된 화장품 용기
JPS58137472A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KR20220124861A (ko) 손톱 광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