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094A - 회식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회식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094A
KR20100103094A KR1020090021526A KR20090021526A KR20100103094A KR 20100103094 A KR20100103094 A KR 20100103094A KR 1020090021526 A KR1020090021526 A KR 1020090021526A KR 20090021526 A KR20090021526 A KR 20090021526A KR 20100103094 A KR20100103094 A KR 20100103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cup
upp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265B1 (ko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염동빈
이상우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26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Abstract

본 발명은 술과 같은 음료수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량 공급하기 위한 회식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판(2)과, 상판(2)을 지지하는 지지대(300)로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컵 안착부가 형성된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3)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과, 상기 상판(2)의 일측에 설치된 음료저장통(5)과, 상기 컵 안착부가 정위치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싱수단(6)과, 상기 음료저장통(5)의 밸브유닛(52)의 개폐를 제어하여 음료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컵 안착부는 컵(100)이 삽입되는 용기(7)와, 상기 용기(7)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8a,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이블, 회전, 음료

Description

회식용 테이블{Rotation Table}
본 발명은 회식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회전 구동되는 상판에 컵을 안착시키고, 일측에 설치된 음료공급기를 통해 자동으로 컵에 음료를 따르도록 한 후 상판을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송될 수 있도록 한 회식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인의 참석하는 회식 등과 같은 자리에서는 각 참석자의 좌석배치가 원격상태로 이격되는 경우가 불가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특히 원격적으로 배치된 참석자간에 서로 술잔을 주고 받게 되거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안주나 부식 등을 선택하고 싶을 때 좌석을 이탈할 수 밖에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회식 회합의 분위기 자체가 어수선해지거나 무질서하게 흐르게 되는 경우 다반사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격적으로 배치된 참석자간의 무리한 교류(술잔을 주고 받거나, 특정 안주나 부식 등을 선택하는 행위)를 행하는 과정에서 불안한 자세로 인하여 술잔에 술을 정량적으로 따르기 어려워 흘러 넘치게 따르게 되거나, 안주 등을 주변에 흘리게 됨에 따라 회식 회합의 테이블이 비위생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세팅된 다양한 음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식용 회전 테이블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수동 조작용 회전 테이블의 경우 원격적으로 배치된 참석자간에 서로 술잔을 주고 받게 되는 행위를 하기에는 여전히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설치된 음료공급기를 통해 음료를 편리하게 따를 수 있고, 상판의 회전에 의해 음료가 담긴 컵이 테이블에 둘러앉은 특정인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컵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음료공급기와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음료를 따를때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한 회식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식용 테이블의 일 실시양태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컵 안착부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된 음료저장통과, 상기 컵 안착부가 정위치되었음 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음료저장통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음료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컵 안착부는 컵이 삽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장치는 음료 종류에 따라 승강되는 높낮이를 상기 제어부에 사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용기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축설된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용기의 하부에 선단이 연결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출입되는 실린더로 구성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의 측면에 구비된 위치결정용 검출부재와, 상기 위치결정용 검출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인덱스 회전 테이블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재는 리미트 스위치 모듈 또는 포토센서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센싱수단의 제어신호와 연계하여 개폐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사전에 배출량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식용 테이블에 따르면, 다수 인원이 참석하는 회식 모임 등에서 원격적으로 배치된 참석자간에도 서로 술잔을 주고 받게 되거나, 원거리에 배치된 안주 등과 같은 음식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 행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회식 회합 분위기를 보다 질서있고 차분하게 진행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회식용 테이블에 따르면, 술과 같은 음료수를 기계적인 정량 공급이 가능하도록 동작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회식 회합 테이블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식용 테이블(A)은, 크게는 상판(2)과, 상판(2)을 지지하는 지지대(30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상판(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컵 안착부가 형성된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3)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과, 상기 상판(2)의 일측에 설치된 음료저장통(5)과, 상기 컵 안착부가 정위치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싱수단(6)과, 상기 음료저장통(5)의 밸브유닛(52)의 개폐를 제어하여 음료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컵 안착부는 컵(100)이 삽입되는 용기(7)와, 상기 용기(7)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8)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3)은 상기 지지대(300)에 내장되는 스텝모터와 같은 구동모터(43)와, 회전판(3)의 중앙 하부에 볼트결합되는 조인트부재(42)와, 상기 조인트부재(42)의 하부에 수직결합된 스핀들축(44)과, 상기 스핀들축(44)과 상기 구동모터(43)의 출력축(432)을 연결하는 유니온부재(46)로 구성된 구동수단(4)이 설치된 것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43)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3)이 일정한 스텝 간격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에는 컵(100)이 안착되는 용기(7)가 결합되는 복수의 요홈(32)이 형성되며, 상기 각 요홈(32)은 상기 회전판(3)의 회전 스텝 간격과 일치하는 등간격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용기(7)의 주위에는 상기 승강장치(8)가 설치되는데, 승강장치(8)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음료저장통(5)은 상판(2)의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5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밸브유닛(52)이 장착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1개로부터 수개까지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음료저장통(5)은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원할하게 배출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54)에 의해 상판(2)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브유닛(52)은 상기 센싱수단(6)의 제어신호와 연계하여 개폐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사전에 배출량을 상이하게 설정하기 위해 개폐되는 시간격이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다.
즉, 상기 음료수의 종류는 소주, 맥주, 청량음료로 구분되며,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컵(100)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배출량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인데, 그 개폐되는 시간격은 맥주 > 청량음료 > 소주 순서로 설정된다.
상기 센싱수단(6)은, 컵(100)이 안착된 용기(10)가 정위치(즉, 음료를 배출시키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싱수단(6)은, 상기 용기(7)의 주위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검출부재(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상기 위치결정용 검출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판(3)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재는 리미트 스위치 모듈 또는 포토센서 유닛이 사용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접촉식 센서와 비접촉식 센서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43)와 센싱수단(6) 및 밸브유닛(52), 승강장치(8)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리모트 콘트롤러(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0)를 이용하여 회전판(3)의 회전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음료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수 정량공급 동작모드에 더하여 응용 동작모드로서, 예를 들면 구동모터(43)의 역회전 제어신호의 출력에 의해 회전판(3)을 역회전 스텝 구동시키는 역회전 동작모드, 밸브유닛(52)의 폐쇄시킨 상태에서 회전판만 스텝 구동하도록 하여 음료수 공급을 배제시킨 상태에서 주위의 안주 선택만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선택 동작모드 등과 같은 변형 응용된 동작모드를 콘트롤러(10)의 제어회로에 미리 입력하여 이를 수행하게 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장치(8)는, 컵(100)이 담긴 용기(7)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음료저장통(5)의 밸브유닛(52)으로부터 배출 낙하되는 음료가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 종류에 따라 승강되는 높낮이를 상기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다.
즉, 맥주인 경우 컵(100)이 크고 길므로 승강높이는 상대적으로 낮아도 된다. 소주인 경우 컵(100)이 작으므로 승강높이는 상대적으로 높아져야 한다. 그 외 청량음료와 같은 음료수인 경우에는 컵(100)이 크지만 높이가 다소 낮으므로 상기 맥주 및 소주의 설정되는 높이의 중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승강장치(8)는, 용기(7)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2가지의 실시예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 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8a)는, 용기(7)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81a)와, 상기 랙기어(81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82a)가 축설된 모터(83a)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83a)의 구동시 피니언기어(82a)의 정,역회전에 의해 랙기어(81a)를 갖는 용기(7)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높이로 제어된다.
상기 용기(7)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부가 막혀 있어 컵(10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원통체이며, 상기 회전판(3)의 요홈(32)에 삽입되어 상,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타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8b)는, 용기(7)의 하부에 선단이 연결된 로드(84b)와, 상기 로드(84b)가 출입되는 실린더(85b)로 구성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장치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드(84b)의 출입에 따른 용기(7)의 승강높이는 제어부에 사전에 설정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제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판(3)의 요홈(32)에 용기(7)를 삽입하고, 상기 용기(7)에 각자의 컵(100)을 올려놓고 다수의 인원이 착석한다.
이후, 음료저장통(5)에 음료를 충전하고, 특정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0)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음료의 종류를 선택한 후 회전판(3)을 회전시키면 구동모터(43)의 스텝 구동에 의해 회전판(3)이 미리 입력되어 결정된 스텝 간격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즉, 어느 하나의 용기가 정위치에 도달하면 센싱수단(6)이 이를 감지하게 되고 구동모터(43)의 작동을 정지시켜 회전판(3)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에 입력된 음료의 종류가 '소주'인 경우 밸브유닛(52)과 컵(100)의 거리가 멀어 음료 배출시 외부로 튀기게 되므로, 밸브유닛(52)이 개방되기 전에 승강장치(8)가 작동하여 용기를 상승시킴으로서 컵(100)과 밸브유닛(52)이 가까워지게 조절된다.
이렇게 컵(100)의 위치가 조절된 후 밸브유닛(52)이 개방되어 음료를 배출시켜 컵(100)에 따르게 된다.
상기 밸브유닛(52)의 개방에서부터 폐쇄되는 시간격은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므로, '소주'에 해당되는 시간격만큼만 개폐됨으로써 적정량의 음료가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승강장치(8)가 구동되어 컵(100)이 하강한 후 회전판(3)이 스텝 회전 되다가 해당 구성원에게 도달되면 회전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거리에 떨어져 앉은 구성원에게 배석자에게 단순 용이한 동작으로 음료수를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의 타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상판 4 - 지지대
5 - 음료저장통 6 - 센싱수단
7 - 용기 8 - 승강장치
10 - 리모트 콘트롤러 32 - 요홈
42 - 조인트부재 43 - 구동모터
44 - 스핀들부재 46 - 유니온부재
54 - 브라켓
S...센싱수단

Claims (6)

  1. 상판(2);
    상기 상판(2)을 지지하는 지지대(300);
    상기 상판(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컵 안착부가 형성된 회전판(3);
    상기 회전판(3)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
    상기 상판(2)의 일측에 설치된 음료저장통(5);
    상기 컵 안착부가 정위치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싱수단(6);
    상기 음료저장통(5)의 밸브유닛(52)의 개폐를 제어하여 음료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컵 안착부는 컵(100)이 삽입되는 용기(7)와, 상기 용기(7)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8a,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식용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8a)는,
    상기 용기(7)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81a);
    상기 랙기어(81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82a)가 축설된 모터(83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식용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8b)는,
    상기 용기(7)의 하부에 선단이 연결된 로드(84b);
    상기 로드(84b)가 출입되는 실린더(85b)로 구성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식용 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6)은,
    상기 용기(7)의 주위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검출부재;
    상기 위치결정용 검출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판(3)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식용 테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는 리미트 스위치 모듈 또는 포토센서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식용 테이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52)은 상기 센싱수단(6)의 제어신호와 연계하여 개폐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배출량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식용 테이블.
KR1020090021526A 2009-03-13 2009-03-13 회식용 테이블 KR10107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26A KR101073265B1 (ko) 2009-03-13 2009-03-13 회식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26A KR101073265B1 (ko) 2009-03-13 2009-03-13 회식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94A true KR20100103094A (ko) 2010-09-27
KR101073265B1 KR101073265B1 (ko) 2011-10-12

Family

ID=4300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526A KR101073265B1 (ko) 2009-03-13 2009-03-13 회식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2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466A (zh) * 2013-04-26 2013-07-24 江南大学 基于环形磁场驱动的餐桌电动转盘
KR101479571B1 (ko) * 2013-02-27 2015-01-06 주식회사 에프비씨 꼬치 제조장치용 트레이의 정위치 정지장치
CN105361435A (zh) * 2015-09-13 2016-03-02 深圳市大名鼎鼎投资有限公司 一种多功能餐桌
CN109805758A (zh) * 2019-03-21 2019-05-28 常州领航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饮料机用升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726A (zh) * 2019-09-10 2019-12-13 陈善胡 一种无线移动餐桌旋转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693B2 (ja) 1997-04-04 1999-09-20 株式会社アペックス 全自動パック抽出機
KR200389542Y1 (ko) 2005-04-08 2005-07-14 (주)테크날시스템 테이블 승강장치
KR100759998B1 (ko) 2006-08-01 2007-09-18 박성수 테이블형 음료 자동 판매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571B1 (ko) * 2013-02-27 2015-01-06 주식회사 에프비씨 꼬치 제조장치용 트레이의 정위치 정지장치
CN103211466A (zh) * 2013-04-26 2013-07-24 江南大学 基于环形磁场驱动的餐桌电动转盘
CN105361435A (zh) * 2015-09-13 2016-03-02 深圳市大名鼎鼎投资有限公司 一种多功能餐桌
CN109805758A (zh) * 2019-03-21 2019-05-28 常州领航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饮料机用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265B1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265B1 (ko) 회식용 테이블
US9856128B2 (en) Motorized liquid dispenser
EP2192079B1 (en) Beer bubbling device
US7708241B2 (en) Wine decanting appliance and method for decanting
US10531761B2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74949B2 (en) Motorized liquid dispenser
ES2390856T3 (es) Un aparato automático de dispensación de múltiples cervezas doméstico
US20190029464A1 (en) Automatic tea maker
KR100966294B1 (ko) 음료수 정량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
KR101510871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WO2003033397A1 (en) Beverage dispense apparatus
JP3606622B2 (ja) 発泡飲料の自動定量注出装置
US10577233B2 (en) Can puncturing device and method
CN112244595A (zh) 一种自动倒茶送茶装置
JPH08255287A (ja) 発泡飲料の自動定量注出装置
KR101804037B1 (ko) 자동 맥주 디스펜서의 탭 구조
CN2797205Y (zh) 一次性水杯及茶叶收容配给装置
JPH03114799U (ko)
CN115624485B (zh) 一种全自动中药煎煮系统
US20230210301A1 (en) Support stand for filling beverage containers
AU2019100915A4 (en) Mobile Height Adjustable Workstation
KR20100081138A (ko) 높이 조절 가능한 받침대를 갖는 정수기
JP7137307B2 (ja) 飲料サーバー及び注出方法
JP2005263305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580347B2 (ja) 液体充填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