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71B1 -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71B1
KR101510871B1 KR20140074589A KR20140074589A KR101510871B1 KR 101510871 B1 KR101510871 B1 KR 101510871B1 KR 20140074589 A KR20140074589 A KR 20140074589A KR 20140074589 A KR20140074589 A KR 20140074589A KR 101510871 B1 KR101510871 B1 KR 101510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holder
fluid
hous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석
Original Assignee
박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석 filed Critical 박민석
Priority to KR2014007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6Bottle lifting devices actuated by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10) 정면에 구비되는 구동 버튼(20)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하우징(10) 내부의 홀더 구동 모터(30), 홀더 구동 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플레이트(40), 캠 플레이트(40)와 마주보는 하우징(10) 정면의 안쪽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50), 상기 캠 플레이트(40)에 편심 고정된 제1 고정돌기(41)와 상기 승강판(50)에 고정된 제2 고정돌기(51)에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60), 승강판(50)의 상부에서 하우징(10)의 정면측 바깥면으로 고정결합되어 스파우트(141)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홀더(70)로서 구비되는 홀더 승강부; 일정 높이의 스파우트 홀더(7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정량의 유체가 하향 토출되는 노즐(80)과, 이 노즐(80)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체 공급관(90) 및 유체를 탱크로부터 펌핑하여 유체 공급관(90)으로 공급하는 펌프(100)로 이루어지는 유체 공급부; 버튼 조작 신호에 의해 홀더 구동 모터(30)와 펌프(100)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구비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spout pouch}
본 발명은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스파우트 파우치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유체가 주입되도록 하면서 유체 주입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하강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작동성과 간소화한 구성 및 콤펙트한 외형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우트 파우치는 유리병이나 캔과 달리 연질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부피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유체 저장 용기이다.
스파우트 파우치는 이런 합성수지 소재의 팩에 그 상측의 주입구를 경질의 플라스틱인 스파우트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용기를 찢거나 빨대 등을 사용하지 않고 스파우트를 통해 안전하게 유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스파우트 파우치를 이용한 사용의 편리함이 있어 사용 분야는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만, 스파우트 파우치는 주로 음료 등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음료 및 식품 회사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0883145호(2009.02.04.명칭: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는 스파우트 파우치에 유체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스파우트 파우치의 스파우트를 파지하는 스파우트홀더를 형성한 안착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노즐이 본체캐비닛에서 이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노즐을 통해 스파우트 파우치로 일정량의 유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안착부에 스파우트가 파지되는 상태에 따라 이동부인 웜-웜기어 또는 랙-피니언에 의해 노즐이 일정 높이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가 일정량 스파우트 파우치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안착부에서의 스파우트 파우치의 파지 여부는 센서나 스위치와 같은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정확히 감지되도록 해야만 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해서 이송부에 의해 노즐을 승강시키게 되므로 노즐에 연결된 유체 공급 라인을 함께 승강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노즐이 승강하는 높이만큼 웜 또는 랙을 구비해야만 하고, 이들 웜 또는 랙의 승강을 위한 가이드와 같은 복잡한 구조가 필요로 되면서 노즐이 구비되는 본체캐비닛의 사이즈가 커져야만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등록특허 제0883145호(2009.02.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체 주입구인 스파우트 파우치의 스파우트가 안치되는 홀더를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하면서 승강 구동 구조를 간소화시킨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을 고정시켜 구비함으로써 노즐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 라인을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여 안정된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구동 버튼의 조작에 의해 1회의 주입공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작동성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는, 하우징 정면에 구비되는 구동 버튼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하우징 내부의 홀더 구동 모터, 홀더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플레이트, 캠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하우징 정면의 안쪽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 상기 캠 플레이트에 편심 고정된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승강판에 고정된 제2 고정돌기에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 승강판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정면측 바깥면으로 고정결합되어 스파우트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홀더로서 구비되는 홀더 승강부; 일정 높이의 스파우트 홀더의 하우징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정량의 유체가 하향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 이 노즐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체 공급관 및 유체를 탱크로부터 펌핑하여 유체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유체 공급부; 구동 버튼 조작 신호에 의해 홀더 구동 모터와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는 버튼 조작에 의해 스파우트 파우치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일정량의 유체가 주입되도록 한 후 다시 스파우트 파우치를 하강시킴에 의해 유체 주입 공정이 완료되게 함으로써 승강 구동 구조를 최대한 간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을 노즐과 함께 고정되게 설치되게 함으로써 안정된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파우트 파우치의 스파우트를 스파우트 홀더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튼만 누르게 되면 스파우트 파우치에 유체가 채워진 상태로 원위치에 복귀하여 유체 주입 공정이 완료되므로 안정되고 정확하게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캠 플레이트와 코일 스프링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승강판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펌프를 예시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에 스파우트 파우치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에서 스파우트 파우치를 상부로 이동시켜 유체가 주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은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홀더 승강부와 유체 공급부 및 제어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홀더 승강부는 다시 하우징(10)과 구동 버튼(20)과 홀더 구동 모터(30)와 캠 플레이트(40)와 승강판(50)과 코일 스프링(60) 및 스파우트 홀더(70)로서 이루어진다.
홀더 승강부의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외부를 이루는 구성이며, 하우징(10)의 정면에는 일측으로 구동 버튼(20)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하부측으로 홀더 구동 모터(30)가 감속기(31)와 함께 구비된다.
홀더 구동 모터(30)는 180°씩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사용하며, 홀더 구동 모터(30)에는 하부에 감속기(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하우징(10) 내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캠 플레이트와 코일 스프링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즉 홀더 구동 모터(30)에 결합되는 감속기(31)를 통해 수평으로 구동축(32)이 인출되며, 이 구동축(32)에는 캠 플레이트(40)가 축결합된다.
캠 플레이트(40)에는 판면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하면서 하우징(10)의 전방측으로 수평 돌출되게 제1 고정돌기(41)가 구비되도록 한다.
다만, 캠 플레이트(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일단은 구동축(32)에 축고정되고, 타단은 제1 고정돌기(41)가 구비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원형판으로 형성하여 중앙이 구동축(32)에 축고정되면서 일측의 주연단부에 제1 고정돌기(41)가 구비되게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캠 플레이트(40)의 전방측 하우징(10)의 안쪽면에는 승강홀(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한 가이드 플레이트(12)에 안내되어 장공의 승강홀(11)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승강판(50)이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승강판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판(50)에는 캠 플레이트(40)를 구동축(32)에 축고정하는 위치와 동일 수직선상의 일정 높이에는 안쪽으로 돌출되게 제2 고정돌기(51)가 형성된다.
이때 동일 수직선상의 제1 고정돌기(41)와 제2 고정돌기(51)간으로는 코일 스프링(6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즉, 제1 고정돌기(41)는 캠 플레이트(40)에서 승강판(50)측으로 돌출되고, 제2 고정돌기(51)는 승강판(50)에서 캠 플레이트(40)측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제1 고정돌기(41)와 제2 고정돌기(51)의 동일 수직선상에 코일 스프링(60)의 상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40)의 회전에 의해 코일 스프링(60)을 통해 승강판(50)이 승강하게 되므로 승강판(50)의 승강 높이는 캠 플레이트(40)의 제1 고정돌기(41)가 회전하는 직경과 동일하다.
한편, 승강판(50)의 상단부에는 하우징(10)의 바깥측면을 따라 승강 이동하도록 ㄱ자 형상의 스파우트 홀더(70)가 하우징(10)의 내측으로부터 핀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스파우트 홀더(70)는 수직의 판면이 하우징(10)의 바깥측면을 따라 승강 이동되며, 수평의 판면은 요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파우치의 스파우트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파우트 홀더(70)를 승강판(50)과 연결하는 핀(71)이 하우징(10)에 형성한 승강홀(11)을 관통하면서 실질적으로 승강홀(11)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파우트 파우치를 승강시키는 홀더 승강부에 대해 스파우트 파우치에 유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유체 공급부이다.
유체 공급부는 다시 크게 노즐(80)과 유체 공급관(90) 및 펌프(100)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체 공급부는 종전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본 발명의 유체 공급부에서 노즐(80)은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유체 공급부의 노즐(80)은 하우징(10)의 정면에서 승강홀(11)과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부에는 스파우트 홀더(70)에 삽입 고정되는 스파우트 파우치의 스파우트에 형성한 주입홀과 동일 수직선상의 위치로 하향 돌출되게 노즐 팁(81)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노즐(80)의 하우징(10)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단부에는 유체 공급관(90)의 일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유체 공급관(90)의 타단은 펌프(100)에 연결된다.
펌프(10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게 할 수도 있으나, 외부에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펌프(10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펌프(100) 내부를 일정 직경으로 권회하도록 튜브(101)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 튜브(101)의 안쪽으로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암이 일정 각도로 돌출되도록 하는 회전암(102)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암(102)의 각 암 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가압롤러(103)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 복수의 가압롤러(103)들이 튜브(101)를 일정 깊이로 눌려지도록 한다.
이때 튜브(101)의 외주연은 펌프(100)의 가이드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펌프(100)는 일정 시간동안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홀더 승강부와 유체 공급부는 제어부에 의해서 구동이 제어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0은 전원 스위치이고, 부호 120은 컨트롤 패널이며, 130은 펌프 구동 모터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의 작용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우선 전원 스위치(110)를 온(on)상태가 되도록 하고, 컨트롤 패널(120)의 다양한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값을 입력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스파우트 홀더(70)에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스파우트(141)가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되게 한다.
이때 캠 플레이트(40)는 제1 고정돌기(41)가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게 되며, 따라서 제1 고정돌기(41)와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연결된 승강판(50)도 스파우트 홀더(70)를 고정하는 핀(71)이 승강홀(11)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버튼(20)을 누르게 되면 홀더 구동 모터(30)가 구동하면서 캠 플레이트(40)는 180°를 회전하게 되며, 캠 플레이트(40)의 회전에 의해 코일 스프링(60)이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60)의 상단부가 연결된 승강판(50)을 도 8과 같이 상승시키게 된다.
캠 플레이트(40)를 회전시켜 승강판(50)이 상승되면 승강판(50)과 핀 연결된 스파우트 홀더(70)가 상승하면서 스파우트 홀더(70)에 고정된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스파우트(141)에 형성된 주입홀에 노즐(80)의 노즐 팁(81)이 일부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펌프(100)가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게 되면 펌프(100)의 회전암(102)이 회전하면서 암 단부의 가압롤러(103)에 의해 튜브(101)를 가압하도록 한다.
펌프(100)의 가압롤러(103)들이 회전암(102)에 의해서 튜브(101)를 가압하면서 회전하게 되면 회전 방향으로 유체가 튜브(101)를 따라 이동하는 펌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펌핑에 의해 외부의 탱크로부터 유체를 튜브(101)를 통해 유체 공급관(90)으로 공급하게 된다.
유체 공급관(90)을 통하여 노즐(80)에 공급되는 유체는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스파우트(141)에 일부 삽입된 노즐 팁(81)을 통해 토출되어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내부에 주입된다.
제어부에 이미 설정된 시간동안 펌프(100)의 회전암(10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유체가 스파우트 파우치(140)에 충진되면 펌프(100)의 구동은 중지되도록 한다.
다만 펌프(100)의 회전암(102)을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한 다음 다시 연속해서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하도록 하면 노즐(80)을 통해 주입되던 유체의 선단이 노즐(80)의 내부 또는 유체 공급관(90)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100)의 구동이 중지되면 홀더 구동 모터(30)가 재차 구동되면서 캠 플레이트(40)를 180° 회전시켜 승강판(50)이 다시 하향 이동하도록 한다.
승강판(50)의 이동에 의해 스파우트 홀더(70)에 고정시킨 스파우트 파우치(140)가 하강하면서 스파우트 파우치(140)를 삽입시키던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한다.
스파우트 홀더(70)가 최대한 하강하면 스파우트 홀더(70)로부터 유체를 일정량 채워지도록 한 스파우트 파우치(140) 분리시키고, 다시 내부가 빈 스파우트 파우치(140)가 스파우트 홀더(70)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파우트 파우치(140)를 교체시키면서 구동 버튼(20)을 누르게 되면 재차 유체를 스파우트 파우치(140)에 연속해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유체가 채워진 상태에서 스파우트 홀더(70)로부터 분리한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스파우트(141)에는 캡이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스파우트 홀더(70)에 스파우트 파우치(140)를 고정시켜 스파우트 파우치(140)가 승강되게 하면서 유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므로 노즐(80)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 라인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캠 플레이트(40)의 회전에 의해 승강판(50)을 승강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60)은 승강판(50)의 승강 시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구동력 전달과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 버튼(20)의 조작에 의해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상승과 유체 주입 그리고 스파우트 파우치(140)의 하강이 자동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써 항상 정확한 작동성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외형을 더욱 콤펙트화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으므로 소량으로 생산해서 공급되는 유체에 대해서도 단순한 진공 비닐팩을 대체해서 스파우트 파우치(140)를 이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내용물을 섭취하는 소비자로 하여금 편리한 사용을 제공할 수가 있도록 한다.
10 : 하우징 11 : 승강홀
20 : 구동 버튼 30 : 홀더 구동 모터
40 : 캠 플레이트 50 : 승강판
60 : 코일 스프링 70 : 스파우트 홀더
80 : 노즐 90 : 유체 공급관
100 : 펌프 110 : 전원 스위치
120 : 컨트롤 패널 130 : 펌프 구동 모터
140 : 스파우트 파우치 141 : 스파우트

Claims (7)

  1. 하우징 정면에 구비되는 구동 버튼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하우징 내부의 홀더 구동 모터, 홀더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플레이트, 캠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하우징 정면의 안쪽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 상기 캠 플레이트에 편심 고정된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승강판에 고정된 제2 고정돌기에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 승강판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정면측 바깥면으로 고정결합되어 스파우트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홀더로서 구비되는 홀더 승강부;
    일정 높이의 스파우트 홀더의 하우징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정량의 유체가 하향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 이 노즐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체 공급관 및 유체를 탱크로부터 펌핑하여 유체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유체 공급부;
    구동 버튼 조작 신호에 의해 홀더 구동 모터와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서 이루어지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제2 고정돌기는 제1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캠 플레이트가 축고정되는 위치와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홀더는 수직의 판면이 하우징의 바깥측면을 따라 승강 이동되도록 하고, 수평의 판면은 요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파우치의 스파우트가 삽입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홀더는 승강판과 고정 연결되도록 한 핀이 하우징에 형성한 승강홀을 관통하여 승강홀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하우징의 정면에서 승강홀과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스파우트 홀더에 삽입 고정되는 스파우트 파우치의 스파우트에 형성되는 주입홀과 동일 수직선상의 위치로 하향 돌출되게 노즐 팁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내부를 일정 직경으로 권회하도록 구비되는 튜브와, 이 튜브의 안쪽에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암이 일정 각도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전암과, 회전암의 각 암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롤러로 구비되어 회전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암에 연결한 복수의 가압롤러들이 튜브를 일정 깊이로 눌려지게 하면서 튜브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일정 시간동안 일방향으로 회전암을 회전시켜 노즐로 유체를 공급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되도록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KR20140074589A 2014-06-18 2014-06-18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KR101510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589A KR101510871B1 (ko) 2014-06-18 2014-06-18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589A KR101510871B1 (ko) 2014-06-18 2014-06-18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71B1 true KR101510871B1 (ko) 2015-04-10

Family

ID=5303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4589A KR101510871B1 (ko) 2014-06-18 2014-06-18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602A (ko) 2015-07-08 2017-01-18 박민석 파우치 고정구조
CN109131994A (zh) * 2018-09-26 2019-01-04 浙江域桥电器有限公司 一种水雾塑封机
KR102409665B1 (ko) * 2021-07-13 2022-06-15 신성호 음수 공급 장치
KR102500808B1 (ko) * 2022-06-13 2023-02-16 신성호 음수 공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865A (ko) * 2006-05-30 2007-12-05 세진테크 주식회사 스파우트파우치 자동충전 포장기
KR100883145B1 (ko) * 2007-07-13 2009-02-10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KR101066796B1 (ko) 2010-09-03 2011-09-22 (주) 덕산 액상물 주입장치
JP2013090955A (ja) 2013-02-04 2013-05-16 Takazono Sangyo Co Ltd 水薬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865A (ko) * 2006-05-30 2007-12-05 세진테크 주식회사 스파우트파우치 자동충전 포장기
KR100883145B1 (ko) * 2007-07-13 2009-02-10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KR101066796B1 (ko) 2010-09-03 2011-09-22 (주) 덕산 액상물 주입장치
JP2013090955A (ja) 2013-02-04 2013-05-16 Takazono Sangyo Co Ltd 水薬供給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602A (ko) 2015-07-08 2017-01-18 박민석 파우치 고정구조
KR101820106B1 (ko) * 2015-07-08 2018-02-28 박민석 파우치 고정구조
CN109131994A (zh) * 2018-09-26 2019-01-04 浙江域桥电器有限公司 一种水雾塑封机
CN109131994B (zh) * 2018-09-26 2024-04-09 浙江域桥电器有限公司 一种水雾塑封机
KR102409665B1 (ko) * 2021-07-13 2022-06-15 신성호 음수 공급 장치
KR102500808B1 (ko) * 2022-06-13 2023-02-16 신성호 음수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71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EP2192079B1 (en) Beer bubbling device
US20070029005A1 (en) Automatic liquid metering apparatus
WO2018113024A1 (zh) 一种液体输出设备及液体输出控制方法
CN2912465Y (zh) 一种液体自动定量供给装置
CN102987921A (zh) 茶篮升降机构及其茶机
WO2019010848A1 (zh) 锁紧酿造装置和饮料酿造装置及饮品机
US20110167877A1 (en) Washing Appliance
US10913038B2 (en) Bottom-to-top liquid filling system
US11297975B2 (en) Hydrogen water generator
CN203000575U (zh) 茶篮升降机构及其茶机
CN110921608A (zh) 一种自动式取酒器
CN111956073A (zh) 一种咖啡机的自动接取装置
US20200345169A1 (en) Extraction device and extracting method
CN203555590U (zh) 咖啡饮水机
KR101178064B1 (ko) 소독액 분사장치
KR100817834B1 (ko)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
KR20200131715A (ko) 수소수기
CN105534309B (zh) 水壶外置式的饮水机
KR101521228B1 (ko) 자동 판매기
CN211111034U (zh) 一种自动式取酒器
EP2311752A1 (en) Container for drinks, in particular wine, of the 'bag-in-box' type
CN207627057U (zh) 压力烹饪器具
CN215457335U (zh) 一种茶吧机消毒仓升降装置
CA2424479C (en) Coffee brew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