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795A -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 Google Patents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795A
KR20100102795A KR1020090021029A KR20090021029A KR20100102795A KR 20100102795 A KR20100102795 A KR 20100102795A KR 1020090021029 A KR1020090021029 A KR 1020090021029A KR 20090021029 A KR20090021029 A KR 20090021029A KR 20100102795 A KR20100102795 A KR 2010010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nsducer
bubble
holder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216B1 (ko
Inventor
조주연
Original Assignee
(주)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슨 filed Critical (주)메디슨
Priority to KR102009002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16B1/ko
Priority to EP09172490A priority patent/EP2228012A1/en
Priority to US12/582,549 priority patent/US20100234734A1/en
Priority to JP2010047047A priority patent/JP2010214102A/ja
Publication of KR2010010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7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the acoustic interface between the transducer and the tissue
    • A61B8/4281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the acoustic interface between the transducer and the tissue characterised by sound-transmitting media or devices for coupling the transducer to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5Features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probe, e.g. ergonomic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61Features of the scanning mechanism, e.g. for moving the transducer within the housing of the prob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2Mechanical acoustic impedances; Impedance matching, e.g. by horns; Acoustic reson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72Wireless pro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진단시 프로브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 매질의 기포로 인하여 프로브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커버와 트랜스듀서 사이에 정체된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기기, 프로브, 하우징, 액상 매질, 트랜스듀서, 홀더, 기포

Description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PROBE OF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본 발명은 초음파 진단기기에 사용되는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브 내의 액상 매질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여 프로브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진단기기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의 음파(2∼20MHz), 즉 초음파를 피검사체에 쏘아 반사된 초음파로 피검사체의 내부를 영상화시키는 장치이다. 초음파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의 경계에서 반사율이 다르므로, 피검사체의 내부 영상화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진단기기는,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프로브(probe)라는 기구로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내부로 송신하고, 피검사체의 내부 조직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다시 프로브로 수신하며, 이를 컴퓨터로 재구성하면 초음파가 투과한 부위의 단면상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단면상은 초음파 진단기기의 모니터로 출력되고, 상기 모니터의 단면상을 검토하면 내부 조직의 크기나 모양, 위치, 색상 등을 파악할 수 있어 피검사체의 내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브는 트랜스듀서의 종류에 따라 리니어, 컨벡스 또는 서큘러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는 획득되는 영상에 따라 2차원 단면 영상용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용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프로브는, 초음파의 발생 및 초음파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트랜스듀서, 트랜스듀서의 전방에 배치되어 피검사체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트랜스듀서와 접촉부 사이에 충진되어 트랜스듀셔의 초음파를 접촉부에 전파하는 액상 매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액상 매질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액상 매질의 내부에 기포가 이미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작업자의 미숙 또는 프로브의 복잡한 내부 구조 등으로 인하여 액상 매질의 주입시 기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로브의 내부에 충전된 액상 매질에 기포가 포함되면, 프로브프로 작동시 액상 매질을 통한 초음파의 전파가 기포에 의해 방해를 받아 트랜스듀서에서 접촉부로 초음파가 정상적으로 전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의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단기기의 진단 성능도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초음파 진단시 액상 매질 내의 기포로 인한 프로브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 초음파의 전파에 방해되지 않는 부위로 액상 매질 내의 기포를 안내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프로브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일부가 노출되게 배치되고 초음파 진단시 초음파를 발생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셔를 지지하는 홀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밀폐 공간에 충전되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초음파를 상기 커버로 전파하는 액상 매질,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의 기포를 포집한 후 상기 초음파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부위로 상기 기포를 배출시키는 기포제거부재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가 상기 초음파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부위로 배출되면,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의 액상 매질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기포에 의한 초음파의 전파 방해를 방지하여 상기 프로브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홀더는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홀더에 대응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상기 트랜스듀서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는 상기 트랜스듀서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포제거부재도 상기 액상 매질과 접촉되는 트랜스듀서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홀더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상기 프로브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상 매질 내의 기포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상기 홀더의 사이에는, 상기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가 하측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프로브를 배치시키면,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는 비중 차이로 인해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홀더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 이동된 기포는 상기 배출통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포제거부재는, 상기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를 포집하는 기포 포집부, 및 상기 홀더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 포집부가 포집한 기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포 포집부가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배출부로 포집하고, 상기 기포 배출부는 상기 기포 포집부가 포집한 기포를 상기 액상 매질을 통한 초음파의 전파가 방해를 받지 않는 부위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전파가 방해를 받지 않는 부위는,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커버 이외의 부위로써,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기포 배출부는, 상기 커버에 대향되는 홀더의 일측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홀더의 타측면으로 상기 홀더에 관통되게 형성된 기포배출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포 배출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가 유입된 후 상기 홀더를 지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상기 하우징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포배출구 또는 상기 배출통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는 상기 개구부의 맞은 편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포 포집부는,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돌기, 및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존재하는 상기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배출부에 안내하는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브의 작동시 상기 커버가 하측을 향한 상태이면, 상기 액상 매질과 상기 기포의 비중 차이 또는 상기 트랜스듀서의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는 상기 제1 가이드돌기를 따라 하우징의 개구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의 개구부로 유동된 기포는, 상기 배출통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커버와 상기 홀더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면, 상기 기포와 상기 액상 매질의 비중 차이보다 표면 장력이 크게 작용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기포의 일부가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정지된 후 그 상태로 장시간 정체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커버가 상측을 향하거나 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프로브를 작동시키면, 상기 기포의 일부에 작용되는 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어 상기 기포의 일부는 상기 트랜스듀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되는 기포는 상기 제2 가이드돌기를 따라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로 포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포 포집부는,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를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양단부가 벌어지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포 포집부의 제1 가이드돌기와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홀더에 포물선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는, 트랜스듀서와 커서 사이에 배치된 액상 매질 내의 기포를 초음파의 전파가 방해를 받지 않는 부위로 기포제거부재가 배출하므로, 트랜스듀서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액상 매질에 존재하는 기포의 방해를 받지 않고 커버와 피검사체로 원활하게 전파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상기 프로브의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초음파 진단기기의 진단 성능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듀서와 홀더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트랜스듀서와 홀더를 따라 액상 매질의 기포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상부로 유동된 기포는, 배출통로부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는, 커버와 홀더의 사이에 장시간 정체된 기포가 기포 포집부에 포집된 후 기포 배출부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되므로, 프로브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 시간과 작업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초음파 진단기기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제거부재는 기포 배출부와 기포 포집부의 간단한 구조만으로 커버와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프로브에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가 구비된 초음파 진단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의 주요부를 배치 방향에 따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브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포제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기기(1)는, 초음파 진단이 수행되는 진단기 본체(10)와, 상기 진단기 본체(10)가 안착되는 데스크(22)를 구비한 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기 본체(10)는, 초음파 진단에 필요한 각종 명령과 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12), 초음파 진단시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14), 피검사체의 표면에 밀착되어 피검사체의 내부로 초음파를 발사한 후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프로브(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검사체가 사람이고 초음파 진단기기(1)가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00)는 외부 케이스(110), 하우징(120), 트랜스듀서(130), 홀더(140), 커버(150), 액상 매질(160), 및 기포제거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프로브(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외부 케이스(110)에는 진단기 본체(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또는 무선통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브(100)가 케이블로 진단기 본체(10)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하우 징(120)은 외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트랜스듀서(130), 홀더(140), 액상 매질(160), 및 기포제거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체(A)의 상측에서 프로브(100)가 이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설정한다. 즉, 하우징(120)의 하부에 개구부가 배치되고, 하우징(120)의 내부는 홀더(140)의 상측에 위치되며, 트랜스듀서(130)의 초음파는 하측으로 발사된다.
상기 트랜스듀서(130)는 초음파 진단기기(1)의 초음파 진단시 초음파를 발생함과 아울러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기기이다. 트랜스듀서(130)는 하우징(120)의 개구부에 하부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130)는 하우징(120)의 개구부의 중앙에 진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140)는 트랜스듀서(130)를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즉, 홀더(140)는 하우징(120)의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는 트랜스듀서(130)를 전후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랜스듀서(13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와 트랜스듀서(130)는 하우징(120)의 개구부에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140)의 상부와 하우징(120)의 개구부 사이에는, 액상 매질(160) 내의 기포(B)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통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160)의 기포(B)는, 프로브(100)의 작동시 액상 매질(160)과 기포(B)의 비중 차이 또는 트랜스듀 서(130)의 진동으로 인하여 트랜스듀서(130)와 홀더(140)의 하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된 기포(B)는 배출통로부(14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피검사체(A)와 접촉되어 트랜스듀서(130)의 초음파를 전달하는 부재이다. 커버(150)는 하우징(120)의 개구부에 밀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50)와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액상 매질(160)을 충전하기 위한 밀폐 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50)는 트랜스듀서(130)와 홀더(140)에 대응하는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 매질(160)은 트랜스듀서(130)의 초음파를 커버(150)로 전파(傳播)또는 전달하는 유동 가능한 매개 물질이다. 액상 매질(160)은 커버(150)와 하우징(120)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C)에 충전된다. 액상 매질(160)은 오일 또는 식염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상 매질(160)로 오일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기포제거부재(170)는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160)의 기포(B)를 포집한 후, 초음파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부위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상기 초음파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부위는, 트랜스듀서(130)에서 커버(150)까지 형성된 공간을 제외한 부위이다. 예를 들면, 트랜스듀서(130)에서 방출되는 초음파의 전파방향의 역방향에 존재하는 부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초음파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부위를 홀더(140)의 상측, 즉 하우징(120)의 내부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기포제거부재(170)는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160)의 기포(B)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B)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배출되면,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B)가 제거되어 기포(B)에 의한 초음파의 전파 방해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제거부재(170)는 액상 매질(160)에 접촉되는 트랜스듀서(130)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100)가 도 4와 같이 피검사체(A)의 상부에서 사용되면, 트랜스듀서(130)와 커버(150) 사이에 배치된 액상 매질(160) 내의 기포(B)는 트랜스듀서(130)와 홀더(140)의 하면을 따라 기포제거부재(17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부재(170)는, 홀더(140)에 형성되고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의 기포(B)를 포집하는 기포 포집부(174), 및 홀더(140)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기포 포집부(174)가 포집한 기포(B)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포 배출부(172)는, 홀더(140)의 하면에서부터 홀더(140)의 상면으로 홀더(140)에 관통되게 형성된 기포배출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기포 배출부(172)는 홀더(140)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4을 기준으로 기포 배출부(172)는 트랜스듀서(130)의 가장 낮은 부위보다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홀더(140)의 상부에 존재하는 기포(B)가 기포 포집부(174)에 더욱 많이 포집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포 배출부(172)가 홀더(140)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로 설명하였지만, 홀더(140)에 구비된 별도의 관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포 포집부(174)는,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형성되고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B)를 하우징(120)의 개구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돌기(174a), 및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에서 하우징(120)의 개구부를 향해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개구부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160)의 기포를 기포 배출부(172)에 안내하는 제2 가이드돌기(17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돌기(174a)와 제2 가이드돌기(174b)는 홀더(140)의 하면에서 돌출된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174a)는, 도 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00)가 배치되면,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B)를 홀더(140)의 상부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기포는 액상 매질(160)과의 비중 차이 및 트랜스듀서(130)의 진동에 의하여 트랜스듀서(130)와 홀더(140)의 하면을 따라 홀더(140)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돌기(174a)는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형성되므로, 홀더(140)의 상부로 유동되는 기포(B)가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돌기(174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00)가 배치되면, 홀더(140)와 커버(150)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B)를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기포는 액상 매질(160)과의 비중 차이에 의하여 홀 더(14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돌기(174b)는 하우징(120)의 개구부를 향해 벌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홀더(140)를 따라 유동되는 기포(B)를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로 모을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174a)와 제2 가이드돌기(174b)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돌기(174a)와 제2 가이드돌기(174b)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기포 포집부(174)는,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와 트랜스듀서(130) 사이를 구획함과 아울러 하우징(120)의 개구부를 향해 양단부가 벌어지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물선 형상의 기포 포집부(174)는, 포물선의 변곡점에 해당하는 부위가 기포 배출부(172)의 입구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기포 배출부(172)를 향해 오목한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20)은 개구부와 대향되는 상부에 하우징(120)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7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포 배출부(172) 또는 배출통로부(14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B)는 개구부의 맞은 편에 형성된 배출구(176)를 통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단기기(1)의 프로브(100)에 대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음파 진단기기(1)의 초음파 진단시 프로브(100)는 커버(150)를 피검사체(A)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트랜스듀서(130)가 초음파를 발생한다. 트랜스듀서(130)의 초음파는 액상 매질(160)를 통해 전파되어 커버(150)에 전달되고, 커 버(150)에 전달된 초음파는 피검사체(A)로 전달된다. 이후, 피검사체(A)에서 되돌아오는 초음파는 커버(150)와 액상 매질(160)를 거쳐 트랜스듀서(13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트랜스듀서(130)가 감지한 초음파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피검사체(A)의 내부 조직에 관한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와 도3 및 도 5를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시 프로브(100)는 피검사체(A)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데, 프로브(100)의 하측에 피검사체(A)가 존재하고 액상 매질(160)의 내부에 기포(B)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160)의 기포는, 트랜스듀서(130)의 진동 및 액상 매질(160)과의 비중 차이로 인하여 상측으로 유동된다.
도 2와 도 4 및 도 5에는 기포(B)의 상승 유동을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즉, 커버(150)와 트랜스듀서(130)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160)의 기포는, 기포 포집부(174)의 하측으로 볼록한 면을 따라 홀더(140)의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측으로 유동된 기포(B) 중 홀더(140)의 상측으로 유동된 기포(B), 배출통로부(142)를 통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상측으로 유동된 기포(B) 중 홀더(140)의 상부와 커버(150) 사이에 정체된 기포는 표면 장력에 의해 계속 정체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기기(1)의 초음파 진단이 완료되면, 프로브(100)가 진단기 본체(10) 또는 카트(20)에 뒤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진단기기(1)의 초음파 진단시 프로브(100)는 도 4와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상하가 뒤집힌 방향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로브(100)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면, 홀더(140)의 상부와 커버(150) 사이에 정체된 기포(B)는 트랜스듀서(130)를 향해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2와 도 5에는 기포(B)의 상승 유동을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즉, 홀더(140)의 상부와 커버(150) 사이에 정체된 기포(B)는, 홀더(140)의 표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고, 기포 포집부(174)의 상측으로 오목한 면을 따라 기포 배출부(172)로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40)의 상부와 커버(150) 사이에 정체된 기포(B)의 대부분이 기포 배출부(17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로브(100)의 위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반대방향으로 바꾸면, 기포 배출부(172)로 유입된 기포(B)는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B)는 하우징(120)의 상부로 유동된 후, 배출구(176)를 통해 하우징(120)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 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브가 구비된 초음파 진단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브의 배치 방향을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브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포제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초음파 진단기기 10: 진단기 본체
16: 프로브(probe) 20: 카트
30: 프로브 본체 40: 초음파 송수신기
50: 변위 측정기 60: 탄성부재

Claims (8)

  1.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일부가 노출되게 배치되고, 초음파 진단시 초음파를 발생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셔를 지지하는 홀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밀폐 공간에 충전되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초음파를 상기 커버로 전파하는 액상 매질;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액상 매질의 기포를 포집한 후 상기 초음파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부위로 상기 기포를 배출시키는 기포제거부재;
    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홀더는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트랜스듀서와 상기 홀더에 대응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트랜스듀서의 양측에 배치되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상기 홀더의 사이에는, 상기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부가 형성된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거부재는, 상기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를 포집하는 기포 포집부, 및 상기 홀더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포 포집부가 포집한 기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부를 구비한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배출부는, 상기 커버에 대향되는 홀더의 일측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홀더의 타측면으로 상기 홀더에 관통되게 형성된 기포배출통로로 형성된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상기 하우징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포집부는,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돌기, 및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존재하는 상기 액상 매질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배출부에 안내하는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포집부는, 상기 기포 배출부의 입구와 상기 트랜스듀서 사이를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양단부가 벌어지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된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KR1020090021029A 2009-03-12 2009-03-12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KR10111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29A KR101113216B1 (ko) 2009-03-12 2009-03-12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EP09172490A EP2228012A1 (en) 2009-03-12 2009-10-08 Probe for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US12/582,549 US20100234734A1 (en) 2009-03-12 2009-10-20 Probe For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JP2010047047A JP2010214102A (ja) 2009-03-12 2010-03-03 超音波診断機のプロー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29A KR101113216B1 (ko) 2009-03-12 2009-03-12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95A true KR20100102795A (ko) 2010-09-27
KR101113216B1 KR101113216B1 (ko) 2012-02-20

Family

ID=4134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029A KR101113216B1 (ko) 2009-03-12 2009-03-12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34734A1 (ko)
EP (1) EP2228012A1 (ko)
JP (1) JP2010214102A (ko)
KR (1) KR1011132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90A (ko) * 2015-03-11 2016-09-21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헤드
WO2019132366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메도니카 전립선 질환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시술 시 직장벽의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26914B1 (ko) * 2022-10-27 2023-04-28 주식회사 엠아이티 초음파 검사 장치
WO2024029691A1 (ko) * 2022-08-03 2024-02-08 주식회사 뷰온 초음파 검사 장치의 프로브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6490B2 (en) * 2008-05-30 2013-08-13 W.L. Gore & Associates, Inc. Real time ultrasound probe
CN102608217B (zh) * 2012-03-08 2014-01-08 中国铁道科学研究院基础设施检测研究所 具备温控功能的轮式探头
US20130331740A1 (en) * 2012-06-08 2013-12-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Ultrasonic head trap
USD733321S1 (en) * 2014-01-10 2015-06-30 Celleration, Inc. Ultrasonic treatment device
USD733319S1 (en) 2014-01-10 2015-06-30 Celleration, Inc. Ultrasonic treatment wand
KR102591372B1 (ko) * 2015-10-27 2023-10-2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CN107449721B (zh) * 2017-08-09 2023-02-17 利多(香港)有限公司 用于鞘流后池清洗装置的隔离池
KR102144671B1 (ko) * 2020-01-16 2020-08-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안경을 활용한 인공지능형 초음파 자가 진단을 위한 초음파 스캐너 자세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진단 방법
KR102127976B1 (ko) 2020-01-22 2020-06-29 최형찬 초음파 진단기의 선명도가 개선된 프로브용 커버 조립체
WO2022128724A1 (en) * 2020-12-18 2022-06-23 Koninklijke Philips N.V.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probe for the same
EP4014882A1 (en) * 2020-12-18 2022-06-22 Koninklijke Philips N.V.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probe for the same
KR102626121B1 (ko) 2021-07-12 2024-01-17 (주)이끌레오 구동부의 방수 구조를 구비하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FR3142339A1 (fr) 2022-11-30 2024-05-31 Echopen Factory Sonde échographique polyvalente à plusieurs transducteurs monoéléments à balayage mécanique oscilla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271A (en) * 1981-01-14 1982-02-16 Honeywell Inc. Purging and expansion mechanism
JPS58152547A (ja) * 1982-03-05 1983-09-1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体腔内超音波診断装置
US4567895A (en) * 1984-04-02 1986-02-04 Advanced Technology Laboratories, Inc. Fully wetted mechanical ultrasound scanhead
US4807634A (en) * 1986-02-04 1989-0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chanical type ultrasonic scanner
US5531119A (en) 1994-04-19 1996-07-02 Capistrano Labs, Inc. Ultrasound probe with bubble trap
JPH10272134A (ja) 1997-03-31 1998-10-13 Toshiba Corp 超音波プローブ
US7241270B2 (en) * 2000-08-24 2007-07-10 Timi 3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enabling use of a medical instrument
JP2005334107A (ja) * 2004-05-25 2005-12-08 Aloka Co Ltd 超音波探触子
KR20080006293A (ko) * 2006-07-12 2008-01-16 주식회사 메디슨 기포 제거 장치를 구비한 초음파 프로브
DE102008002848A1 (de) * 2007-05-15 2008-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Mit einem Fluid füllbare Katheterspitze zur Ultraschallbildgebung
US8721553B2 (en) * 2007-05-15 2014-05-13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fillable ultrasound imaging catheter tip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90A (ko) * 2015-03-11 2016-09-21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헤드
WO2019132366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메도니카 전립선 질환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시술 시 직장벽의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29691A1 (ko) * 2022-08-03 2024-02-08 주식회사 뷰온 초음파 검사 장치의 프로브 모듈
KR102526914B1 (ko) * 2022-10-27 2023-04-28 주식회사 엠아이티 초음파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14102A (ja) 2010-09-30
EP2228012A1 (en) 2010-09-15
US20100234734A1 (en) 2010-09-16
KR101113216B1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216B1 (ko)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JP6174658B2 (ja) 対象体の断層光音響撮像用の手持ち式装置及び方法
RU2717206C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датчик и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детектор с ультразвуковым датчиком
JP2019025217A (ja) 音響波装置
JP2008018247A (ja) 気泡除去手段を備えた超音波プローブ
JP2012515901A (ja) 超音波探触子
CN1938755A (zh) 带有多个流体腔的超声探测头
JP5374086B2 (ja) 骨強度診断装置及び骨強度測定方法
CN114451916A (zh) 声透结构、弹性检测装置、探头、系统及方法
CN1198088A (zh) 超声波诊断装置
WO2023246721A1 (zh) 一种弹性检测装置、方法及系统
CN114271855A (zh) 一种超声检测探头
JP5871604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CN114767162B (zh) 瞬时弹性成像检测振动装置、探头、方法及系统
CN217040173U (zh) 一种弹性检测装置
KR101255838B1 (ko)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JP4827682B2 (ja) 超音波ドプラ診断装置のための感度試験装置
JP2016022326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WO2021149127A1 (ja) 赤血球分化モニタリング装置および赤血球分化モニタリング方法
JP2005334107A (ja) 超音波探触子
US20140121525A1 (en) Ultrasound probe
JP2018079009A (ja) 音響波受信装置
JP2000035419A (ja) 超音波探傷測定装置
JP2017077408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JP2017063928A (ja) 超音波測定装置及び超音波プロ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