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838B1 -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 Google Patents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838B1
KR101255838B1 KR1020120143847A KR20120143847A KR101255838B1 KR 101255838 B1 KR101255838 B1 KR 101255838B1 KR 1020120143847 A KR1020120143847 A KR 1020120143847A KR 20120143847 A KR20120143847 A KR 20120143847A KR 101255838 B1 KR101255838 B1 KR 10125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chamber
ultrasonic
liquid discharg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혁
이재호
박성호
김도훈
Original Assignee
나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8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providing acoustic coupling, e.g.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32Arrangements for suppress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or pressure variations, compensating for signal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에 관한 것으로, 매질 액체를 별도의 분사 장치를 통해 일정 분사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저장 챔버에 저장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매질 액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분사 압력에 의한 버블 발생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버블에 의한 초음파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난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버블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초음파 신호의 난반사를 흡수하여 초음파 센서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Probe Unit for Ultrasonic Test}
본 발명은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매질 액체를 별도의 분사 장치를 통해 일정 분사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저장 챔버에 저장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매질 액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분사 압력에 의한 버블 발생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버블에 의한 초음파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난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버블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초음파 신호의 난반사를 흡수하여 초음파 센서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란 가청 주파수 범위(20~200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 형태의 음파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초음파는 지향성을 갖는 경우 금속과 같은 물체 내부를 진행할 때 직진성을 가지며 공간과 물체의 경계면에서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초음파는 전자적 복사의 형태가 아닌 기계적 진동의 형태이므로 서로 다른 재질에서 다른 파장을 갖는다.
초음파 탐상 검사는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검사체의 내부 혹은 표면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피검사체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표면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부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피검사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초음파는 동일 매질(피검사체)에서는 직진하지만 다른 매질(결함)과 접하는 계면에서는 각 매질의 물리적 상태 및 성질(음향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하여 반사 또는 굴절하게 되므로, 먼저 탐촉자를 통해 초음파를 피검사체 내부로 전달하고, 이중 다시 반사되는 초음파를 탐촉자를 통해 수신하여 탐상기 CRT 상에 펄스신호 형태로 결함 지시를 나타내며, 이 신호를 분석하여 결함의 위치, 종류, 크기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초음파 탐상 검사를 수행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 장치는 일반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촉자와, 피검사체의 내부 결함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펄스 신호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탐촉자와 피검사체의 마찰 방지 및 초음파 신호 전달을 위한 매질로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공급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탐촉자와 수신부가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 구성되고 액체 공급 장치 등이 포함된 탐촉 유닛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탐상 검사 장치는 탐촉 유닛이 직접 피검사체에 접촉하여 초음파 신호을 발신 및 수신하게 되므로, 탐촉 유닛의 성능이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에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은 액체 공급 장치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분사 압력에 의한 버블이 발생하여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초음파 신호 발신 및 수신시 그 내부 구조상 다양한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117007호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질 액체를 별도의 분사 장치를 통해 일정 분사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저장 챔버에 저장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매질 액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분사 압력에 의한 버블 발생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버블에 의한 초음파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질 액체가 자중에 의해 액체 배출홀을 가득 채운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버블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의 신호 또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의 장착 위치를 피검사체와 인접하게 설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그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 초음파 센서의 장착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 하단부에 유동 단면적이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노즐부를 형성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유동 경로를 유동 중심을 향해 집중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난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버블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초음파 신호의 난반사를 흡수함으로써, 초음파 센서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매질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 챔버에 매질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공급 포트가 형성되는 하우징; 피검사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단면이 외부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저장 챔버에 저장된 매질 액체가 유입되어 하향 배출되도록 상하 방향의 액체 배출홀이 상기 저장 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센서 고정 블록; 및 상기 액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매질 액체를 매질로 하여 피검사체에 대한 초음파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액체 배출홀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은 상기 저장 챔버의 하부 공간을 제 1 및 제 2 저장 챔버로 양측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 챔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챔버로부터 각각 상기 액체 배출홀로 매질 액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액체 배출홀과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챔버를 각각 연통시키는 액체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배출홀은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다수개의 상기 액체 배출홀에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저장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 센서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블록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요철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유동 단면적이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의 노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질 액체를 별도의 분사 장치를 통해 일정 분사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저장 챔버에 저장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매질 액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분사 압력에 의한 버블 발생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버블에 의한 초음파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질 액체가 자중에 의해 액체 배출홀을 가득 채운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버블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의 신호 또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의 장착 위치를 피검사체와 인접하게 설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그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 초음파 센서의 장착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 하단부에 유동 단면적이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노즐부를 형성함으로써, 매질 액체의 유동 경로를 유동 중심을 향해 집중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질 액체의 배출 과정에서 난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버블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초음파 신호의 난반사를 흡수함으로써, 초음파 센서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용 탐촉 유닛(10)은 피검사체(P) 내부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피검사체(P)에 접촉하며 초음파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하는 장치로서, 물과 같은 매질 액체를 내부에 저장하여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방식으로 별도의 분사 압력 없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간에 저장 챔버(101)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센서 고정 블록(200)과, 센서 고정 블록(200)에 고정 결합되는 초음파 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에 물과 같은 매질 액체(W)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 챔버(101)가 형성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저장 챔버(101)에 매질 액체(W)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공급 포트(131)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 챔버(101)가 형성되도록 센서 고정 블록(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결합하는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은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저장 챔버(101)가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10) 및 제 2 하우징(120)의 상단에는 하우징 커버(130)가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30)에 의해 저장 챔버(101)의 개방된 상면이 폐쇄된다.
하우징 커버(130)에는 저장 챔버(101) 내부 공간으로 매질 액체(W)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공급 포트(1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초음파 센서(400)에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 홀(132)이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130)의 하면에는 액체 공급 포트(131)를 통한 매질 액체(W)의 공급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 블록(140)이 장착될 수 있고, 가이드 블록(140)에는 액체 공급 포트(131)와 연통되도록 가이드 홀(141)이 형성된다. 따라서, 매질 액체(W)는 외부의 액체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액체 공급 포트(131) 및 가이드 홀(141)을 통해 저장 챔버(101) 내부로 공급된다.
센서 고정 블록(200)은 피검사체(P)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단면이 외부 노출되는 형태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저장 챔버(101)에 저장된 매질 액체(W)가 유입되어 하향 배출되도록 상하 방향의 액체 배출홀(210)이 저장 챔버(101)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액체 배출홀(210)의 상단에 초음파 센서(400)가 고정 결합된다. 이때, 액체 배출홀(210)을 통해 배출되는 매질 액체(W)는 초음파 센서(40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에 대한 매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질 액체(W)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매질 액체(W)는 액체 배출홀(210)에 가득 채워진 상태로 연속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센서(400)는 초음파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센서 고정 블록(200)의 액체 배출홀(210) 상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초음파 센서(400)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신호는 액체 배출홀(210)을 통해 배출되는 매질 액체(W)를 매질로 하여 피검사체(P)에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피검사체(P)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반사 신호 또한 액체 배출홀(210)의 매질 액체(W)를 매질로 하여 초음파 센서(400)에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은 매질 액체(W)를 별도의 분사 장치를 통해 일정 분사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매질 액체(W)를 단순히 저장 챔버(101)에 저장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매질 액체(W)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질 액체(W)의 배출 과정에서 분사 압력에 의한 버블 발생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초음파 탐상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버블에 의한 초음파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 고정 블록(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챔버(101)의 하부 공간을 양측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저장 챔버(101)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챔버(101)의 하부 공간은 센서 고정 블록(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 1 저장 챔버(101-1) 및 제 2 저장 챔버(101-2)가 분할 형성된다. 센서 고정 블록(200)의 양측면에는 제 1 저장 챔버(101-1) 및 제 2 저장 챔버(101-2)로부터 각각 액체 배출홀(210)로 매질 액체(W)가 유입되도록 액체 배출홀(210)과 제 1 저장 챔버(101-1) 및 제 2 저장 챔버(101-2)를 각각 연통시키는 액체 유동홀(220)이 형성된다.
이때, 액체 배출홀(210)은 센서 고정 블록(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고, 초음파 센서(400)는 다수개의 액체 배출홀(210) 상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피검사체(P)에 대한 초음파 탐상 검사시 다수개의 초음파 센서(400)를 통해 동시에 넓은 영역에서 초음파 탐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고정 블록(200)의 상부에는 별도의 지지 블록(3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액체 배출홀(210)의 상단에 결합된 초음파 센서(400)를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음파 센서(400)는 액체 배출홀(210)의 상단을 밀봉 폐쇄하는 형태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매질 액체(W)가 배출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저장 챔버(101)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액체 공급 포트(131)를 통해 매질 액체(W)가 공급되고, 공급된 매질 액체(W)는 센서 고정 블록(200)에 의해 분할된 제 1 저장 챔버(101-1)와 제 2 저장 챔버(101-2)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 1 저장 챔버(101-1)와 제 2 저장 챔버(101-2)로 유입되어 저장된 매질 액체(W)는 각 저장 챔버(101)의 바닥면부터 저장되며 수위가 올라가다가 센서 고정 블록(200)의 액체 유동홀(220)의 높이까지 수위가 올라가면 액체 유동홀(220)을 통해 액체 배출홀(210)로 유입된다. 이때, 액체 배출홀(210)은 하부 개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액체 배출홀(210)로 유입된 매질 액체(W)는 액체 배출홀(210)을 통해 하부측으로 외부 배출된다.
이와 같이 액체 배출홀(210)을 통해 매질 액체(W)가 배출되는 과정 동안, 저장 챔버(101)에는 계속적으로 외부로부터 매질 액체(W)가 공급되므로, 액체 배출홀(210)을 통한 매질 액체(W)의 배출은 계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때, 액체 공급 포트(131)를 통해 저장 챔버(101)로 공급되는 매질 액체(W)의 공급 유량이 액체 배출홀(210)을 통한 매질 액체의 배출 유량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매질 액체(W)의 공급 유량이 더 크게 형성되면, 제 1 저장 챔버(101-1) 및 제 2 저장 챔버(10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유동홀(220)이 형성된 높이 이상 매질 액체(W)가 저장된다. 도 4에는 센서 고정 블록(200)에 의해 분할된 제 1 저장 챔버(101-1)와 제 2 저장 챔버(101-2) 공간에만 매질 액체(W)가 저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그 상부 공간에도 매질 액체(W)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질 액체(W)가 액체 유동홀(220)의 높이 이상 저장 챔버(101)에 저장되면, 매질 액체(W)의 자중 압력에 의해 액체 배출홀(210) 내부 공간에 가득찬 상태로 외부 배출된다. 즉, 액체 배출홀(210)의 배출 유량보다 저장 챔버(101)에 공급되는 공급 유량이 더 크게 되면, 매질 액체(W)는 액체 배출홀(210)에 가득찬 상태로 연속적으로 외부 배출된다.
이 경우, 매질 액체(W)가 액체 배출홀(210)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분사 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단순히 저장 챔버(101)에 저장된 매질 액체(W)가 자중에 의해 액체 배출홀(210)로 배출되므로, 매질 액체(W)의 배출 과정에서 버블 발생이 최소화된다. 또한, 매질 액체(W)가 액체 배출홀(210)에 가득찬 상태로 연속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액체 배출홀(210)의 상단 초음파 센서(400)로부터 발생한 초음파 신호는 액체 배출홀(210)에 가득찬 매질 액체(W)를 매질로 하여 원활하게 피검사체(P)로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피검사체(P)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 또한 원활하게 초음파 센서(4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매질 액체(W)가 자중에 의해 액체 배출홀(210)을 가득 채운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버블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400)의 신호 또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과 달리 초음파 센서(400)의 장착 위치를 피검사체(P)와 인접하게 설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그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초음파 센서(400)의 장착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체(P)의 종류 및 검사 환경 등을 고려하여 더욱 다양한 구조로 탐촉 유닛을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배출홀(210)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유동 단면적이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즉 그 내경이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노즐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211)가 형성되면, 액체 배출홀(210)을 통해 배출되는 매질 액체(W)의 유동 경로가 도 4 및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배출홀(210) 외부에서 유동 중심을 향해 집중되는 형태로 유도되므로, 매질 액체(W)가 피검사체(P) 표면에 충돌하는 과정에서 난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버블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노즐부(211)를 통해 매질 액체(W)의 유동 경로를 집중시킬 수 있어 매질 액체(W)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더욱 유리하다 할 것이다.
또 한편, 액체 배출홀(210)의 내주면에는 도 4 및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요철부(2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반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초음파 센서(40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 신호의 발신 및 수신 과정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초음파 센서(400)로부터 발생되어 액체 배출홀(2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피검사체(P)로 전달되는 초음파 신호는 액체 배출홀(210)의 내주면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400)의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데, 액체 배출홀(210)의 내주면에 요철부(212)를 형성함으로써, 초음파 신호의 난반사를 흡수할 수 있어 초음파 센서(400)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01: 저장 챔버
110: 제 1 하우징 120: 제 2 하우징
130: 하우징 커버 200: 센서 고정 블록
210: 액체 배출홀 211: 노즐부
212: 요철부 220: 액체 유동홀
300: 지지 블록 400: 초음파 센서

Claims (7)

  1. 내부 공간에 매질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 챔버에 매질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공급 포트가 형성되는 하우징;
    피검사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단면이 외부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저장 챔버에 저장된 매질 액체가 유입되어 하향 배출되도록 상하 방향의 액체 배출홀이 상기 저장 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센서 고정 블록; 및
    상기 액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매질 액체를 매질로 하여 피검사체에 대한 초음파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액체 배출홀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은 상기 저장 챔버의 하부 공간을 제 1 및 제 2 저장 챔버로 양측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 챔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챔버로부터 각각 상기 액체 배출홀로 매질 액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액체 배출홀과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챔버를 각각 연통시키는 액체 유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홀은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다수개의 상기 액체 배출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저장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 고정 블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 센서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블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요철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홀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유동 단면적이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의 노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KR1020120143847A 2012-12-11 2012-12-11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KR10125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847A KR101255838B1 (ko) 2012-12-11 2012-12-11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847A KR101255838B1 (ko) 2012-12-11 2012-12-11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838B1 true KR101255838B1 (ko) 2013-04-17

Family

ID=4844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847A KR101255838B1 (ko) 2012-12-11 2012-12-11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8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782A (ko) 2015-04-30 2016-11-09 (주)하기소닉 공간분해능이 향상된 분리형 초음파 탐촉자
KR101739030B1 (ko) * 2014-12-15 2017-05-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CN110296912A (zh) * 2019-06-19 2019-10-01 北京理工大学 基于超声的粉尘云团扩散动态湍流动能的检测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207A (ja) * 1996-11-07 1998-05-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超音波探触子
JPH10339720A (ja) 1997-06-09 1998-12-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超音波探触子および超音波検査装置
KR101002434B1 (ko) 2010-07-27 2010-12-21 나우기연주식회사 자동 초음파 탐상 검사 장치
KR101117007B1 (ko) 2008-11-17 2012-03-1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곡면탐촉이 가능한 초음파 프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207A (ja) * 1996-11-07 1998-05-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超音波探触子
JPH10339720A (ja) 1997-06-09 1998-12-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超音波探触子および超音波検査装置
KR101117007B1 (ko) 2008-11-17 2012-03-1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곡면탐촉이 가능한 초음파 프로브
KR101002434B1 (ko) 2010-07-27 2010-12-21 나우기연주식회사 자동 초음파 탐상 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30B1 (ko) * 2014-12-15 2017-05-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KR20160129782A (ko) 2015-04-30 2016-11-09 (주)하기소닉 공간분해능이 향상된 분리형 초음파 탐촉자
CN110296912A (zh) * 2019-06-19 2019-10-01 北京理工大学 基于超声的粉尘云团扩散动态湍流动能的检测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838B1 (ko) 초음파 탐상 검사용 탐촉 유닛
CN101305270B (zh) 用于检测容器中液位的装置
KR101113216B1 (ko) 초음파 진단기기의 프로브
KR101878273B1 (ko) 초음파 탐침
US20190078927A1 (en) Sensor
US10634543B2 (en) Ultrasonic concentration detector and liquid feature detector
US9945816B2 (en) Ultrasonic NDT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pecting surfaces of variable geometry of metal bodies
JP2018082781A5 (ko)
US8667847B2 (en)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for pipe or tube end portion
CN105571675B (zh) 一种输气管道安全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US10234319B2 (en) Sound wave detection-based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for liquid volume inside container
KR101139592B1 (ko) 접촉매질 막 유지를 위한 종파 탐촉자 웨지 및 이를 이용한 종파 탐촉자
JP2020143938A (ja) 超音波式漏れ検査装置
CN105547414B (zh) 一种输气管道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2026339B1 (ko) 부표식 레이저 수위계
JP7230301B2 (ja) 超音波式漏れ検査装置
JPH06249697A (ja) 超音波液面計
RU892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дефектоскопии рельсов
JP4370857B2 (ja) 超音波式測定装置
CN111519404A (zh) 洗衣机
JP2008202849A (ja) 蒸気調理器
JP2024013126A (ja) 超音波式の漏れ検査装置
CN108415628B (zh) 一种电容传感器
RU1789917C (ru) Способ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контрол изделий
CN113654624A (zh) 一种超声波式液位传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