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448A - 치아모형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아모형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448A
KR20100102448A KR1020090020833A KR20090020833A KR20100102448A KR 20100102448 A KR20100102448 A KR 20100102448A KR 1020090020833 A KR1020090020833 A KR 1020090020833A KR 20090020833 A KR20090020833 A KR 20090020833A KR 20100102448 A KR20100102448 A KR 2010010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 member
cast
dental
arti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046B1 (ko
Inventor
김영문
홍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기업
(주)보원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기업, (주)보원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기업
Priority to KR102009002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46B1/ko
Priority to US13/254,142 priority patent/US8419425B2/en
Priority to CN2009801580374A priority patent/CN102348428A/zh
Priority to PCT/KR2009/006975 priority patent/WO2010104261A1/ko
Publication of KR2010010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회전 및 진퇴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부재와, 아암부재를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바이어스부와, 아암부재에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결합구와, 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결합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치아모형 교합기에 의하면, 치아모형 캐스트가 프레임에 대해 착탈되는 결합구를 통해 결합할 수 있고,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에 대해서는 고정위치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어 교합위치 고정 정렬이 용이하면서도 고정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치아모형, 교합기, 로드, 진퇴

Description

치아모형 교합기{articulator for dental model}
본 발명은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하악 치아모형 캐스트의 교합 위치 고정 작업성이 좋은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턱관절의 운동을 통해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치아의 손상이 발생하면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의 기능장애가 발생한다. 이 경우 손상된 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를 사용한다.
교합기는 치아모형을 장착하고 턱관절 운동을 시뮬레이션 하여 실제 보철물 삽입시 기존 치아와 융화되도록 보철물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교합기는 아주 간단한 개폐식 기구에서부터 아주 복잡하고 정교한 기구에 이르기까지 다른 형태로 제작되어 대단히 종류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조절 정도에 의하여 분류하면 비조절성 교합기, 반조절성 교합기, 완전조절형 교합기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비조절성 교합기는 접번식 교합기와 평균식 교합기(Average Movement Articular)로 구분되며, 접번식 교합기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교합기로서 구조적으로 조절은 전혀 할 수 없고 상하 개폐운동만 할 수 있거나 제한된 범위의 측방운동만을 할 수 있다.
또한, 평균식 교합기는 과로각도(Condylar Guidance Angle)가 평균치인 30°에 비슷하게 이루어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람마다 과로각도가 상이하지만 개인별 조절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교합기에 모형을 부착할 때는 상하악간의 중심위 교합기록만이 필요하므로 어떤 방법으로도 과로를 조절할 수는 없으나 상악구조를 움직일 수 있어 측방운동의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반조절성 교합기는 과로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계적 특징이 있으며, 중심위 교합기록과 전방위 교합기록 및 측방위 교합기록 등에 의하여 교합기를 조절할 수 있어 비조절성 교합기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나은 의치 또는 수복물을 제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완전조절성 교합기는 교합기 가운데 가장 정교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반조절성 교합기보다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 교합기를 사용하는 데에는 훨씬 더 복잡한 준비와 조작이 필요한 관계로 상용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치과기공소나 치과기공실에서는 이러한 교합기들을 각기 특성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비조절성 교합기중 접번식 교합기는 거의 사용이 없는데 반해 평균식 교합기는 임시 의치(TemporaryDenture)나 간단한 치관교의치(Crown and Bridge)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치과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반조절성 교합기는 특히 총의치(Complete Denture) 및 국부의치(Partial Denture) 제작에 가장 적 절한 교합기로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교합기 중 평균식 교합기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220295호에 개시된 교합기는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상부 모형 부착구에 대해 석고등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한 후 하부 모형 부착구를 통해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석고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교합기는 석고 등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경화되는데 많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정 결합된 이후는 쉽게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의 교합 위치를 정밀하게 정렬하여 고정시켜야 하는데, 교합위치가 어긋났을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치아모형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교합위치에 대한 보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치아모형 교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및 진퇴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부재와; 상기 아암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바이어스부와; 상기 아암부재에 상기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결합구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결합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상기 아암부재, 상기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분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의 상단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후퇴되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3서포트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부분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암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후방이 열린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걸림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구는 상기 아암부재의 중앙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구형 결합핀이 형성된 결합안내부와; 제1바디부분과, 상기 제1바디부분의 배면에 상기 구형 결합핀에 억지 끼움에 의해 착탈될 수 있는 반구형 수용홈이 형성된 제1끼움부 및 상기 제1바디부분의 전면에 상기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제1결합 돌출턱을 갖는 메인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구는 제2바디부분과, 상기 제2바디부분의 배면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형성된 로드와, 상기 제2바디부분의 전면에 상기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2결합 돌출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에 의하면, 치아모형 캐스트가 프레임에 대해 착탈되는 결합구를 통해 결합할 수 있고,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에 대해서는 고정위치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어 교합위치 고정 정렬이 용이하면서도 고정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모형 교합기에 치아모형 캐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합기(100)는 프레임(110), 아암부재(130), 제1 결합구(150), 제2결합구(170) 및 탄성바이어스부(190)를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후술되는 아암부재(130)가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제2결합구(170)를 진퇴가능하게 지지되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110)은 합성수지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소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10)을 설명의 편의상 구분하면, 베이스 부분(111), 제1 내지 제3서포트 부분(111)(112a)(112b)(113) 및 제1 및 제2 걸림부분(115)(11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베이스 부분(111)은 지지대상체에 지지될 수 있게 밑면이 평평한 형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부분으로 후술되는 제2결합구(170)의 로드(175)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11a)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11a)은 베이스 부분(111)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속이빈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112a)(112b)은 베이스 부분(111)의 양측에서 각각 대칭구조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일정 높이에서는 상호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14는 제1및 제2서포트부분(112a)(112b)과 베이스부분(111)을 상호 연결하여 제1 및 제2서포트 부재(112a)(112b)의 횡방향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분으로 프레임(110)의 사이즈가 작을 때는 생략될 수 있다.
제3서포트 부분(113)은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112a)(112b)의 상단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후퇴되게 일체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112a)(112b)과 함께 폐궤도를 이루는 'ㄷ'자 띠형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3서포트 부분(113)의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112a)(112b)의 상단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은 후술되는 아암부재(130)의 후방으로의 후퇴를 가이드함과 아울로 좌우방향으로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단차를 갖는 구속 가이드 턱(1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걸림부분(115)(116)은 제1 및 제2 서포트부분(112a)(112b)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아암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게 후방이 열린 수용홈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3서포트 부분(113)의 중앙에는 탄성바이어스부(190)를 이루는 압박핀(192)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서포트 부분(113)의 중앙에는 압박핀(192)의 진퇴를 가이들 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연장된 보조 가이드부분(113a)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재(130)는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걸림부분(115)(116)의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재(130)를 구분하면, 제1외경을 갖는 중앙부분(131)과, 중앙부분(131) 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제1외경보다 작은 제2외경을 갖는 제1 및 제2사이드부분(132a)(132b)과, 제1 및 제2사이드부분(132a)(132b)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되 제2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3 및 제4사이드부분((133a)(133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중앙부분(131)에서 제1 및 제2사이드부분(132a)(132b)까지의 길이는 제3서포트부분(113)의 구속 가이드턱(114)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스톱퍼(135)는 중앙부분(13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보조 가이드부분(113a)의 하부 일정부분까지 진입될 수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135)는 아암부재(1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150)가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제1결합구(150)는 아암부재(130)의 중앙부분(131)에 설치되어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210)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구(150)를 구분하면, 구형 결합핀(152)이 형성된 결합안내부(151) 및 구형 결합핀(152)에 착탈되며 상악 치아모평 캐스트(210)에 결합하기 위한 메인 결합부(155)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결합안내부(151)는 아암부재(130)의 중앙부분(131)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장부(153)의 중앙에 구형 결합핀(152)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인 결합부(155)는 제1바디부분(156), 제1끼움구(157) 및 제1결합 돌출턱(15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바디부분(156)은 사각 판형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끼움구(157)는 제1바디부분(156)의 배면에 형성되어 구형 결합핀(152)에 억지 끼움에 의해 착탈될 수 있는 반구형 수용홈(157a)이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 돌출턱(158)은 제1바디부분(156)의 전면 중앙에 횡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210)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바이어스부(190)는 아암부재(130)를 프레임(110)에 대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탄성바이어스부(190)를 구분하면, 압박핀(192) 및 스프링(194)을 구비한다.
압박핀(192)은 스프링(194)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게 아암부재(130)에 접촉되는 일단에 헤드(192a)가 마련되어 있고, 헤드(192a)의 타단은 외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 삽입홀에 삽입후에는 형상복원에 의해 이탈이 억제될 수 있게 화살촉 형태의 가지(192b)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결합구(170)는 프레임(110)에 형성된 관통공(111a)을 통해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220)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구(170)를 구분하면, 제2바디부분(176), 제1 및 제2 로드(175) 및 제2결합돌출턱(178)으로 되어 있다.
제2바디부분(176)은 사각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드(175)는 제2바디부분(176)의 배면에 프레임(1110)에 형성된 관통공(111a)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원기둥 형태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드(175)는 후술되는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공(111a)을 통해 진퇴시켜 교합위치가 결정되면 순간 접착제를 관통공(111a)과 제1 및 제2 로드(175) 사이에 주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111a)과의 유격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 돌출턱(178)은 제2바디부분(176)의 전면에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22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결합구(150)의 제1결합 돌출턱(158) 및 제2결합구(170)의 제2결합 돌출턱(17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바디부분(156)(176)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210)와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220)는 별도의 삽입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외측면에서 감싸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순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면 된다.
프레임(110), 아암부재(130), 제1결합구(150) 및 제2결합구(170)는 합성수지 소재 즉,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교합기(100)는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210)와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220)를 각각 제1 결합구의 제1결합돌출턱(158) 및 제2결합구(170)의 제2결합돌출턱(178)이 삽입되게 순간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먼저 접합한 후 프레임(110) 및 아암부재(130)에 결합하면 된다. 이때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220)에 대해서는 로드(175)를 진퇴시키면서 교합위치를 조정한 후 교합위치가 확정되면 순간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로드(175)와 관통공(111a) 사이에 투입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220)에 대해서도 고정하고자 할 경우 구결합핀에 순간 접착제를 주입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모형 교합기에 치아모형 캐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치아모형 교합기에 치아모형 캐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Claims (4)

  1.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및 진퇴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부재와;
    상기 아암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바이어스부와;
    상기 아암부재에 상기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1결합구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제2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아암부재, 상기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분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 부분의 상단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후퇴되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3서포트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부분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암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후방이 열린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걸림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는
    상기 아암부재의 중앙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구형 결합핀이 형성된 결합안내부와;
    제1바디부분과, 상기 제1바디부분의 배면에 상기 구형 결합핀에 억지 끼움에 의해 착탈될 수 있는 반구형 수용홈이 형성된 제1끼움부 및 상기 제1바디부분의 전면에 상기 상악 치아모형 캐스트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제1결합 돌출턱을 갖는 메인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구는
    제2바디부분과, 상기 제2바디부분의 배면에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형 관통공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로드와, 상기 제2바디부분의 전면에 상기 하악 치아모형 캐스트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2결합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KR1020090020833A 2009-03-11 2009-03-11 치아모형 교합기 KR10101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33A KR101016046B1 (ko) 2009-03-11 2009-03-11 치아모형 교합기
US13/254,142 US8419425B2 (en) 2009-03-11 2009-11-25 Dental model articulator
CN2009801580374A CN102348428A (zh) 2009-03-11 2009-11-25 牙模咬合器
PCT/KR2009/006975 WO2010104261A1 (ko) 2009-03-11 2009-11-25 치아모형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33A KR101016046B1 (ko) 2009-03-11 2009-03-11 치아모형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448A true KR20100102448A (ko) 2010-09-24
KR101016046B1 KR101016046B1 (ko) 2011-02-23

Family

ID=4272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33A KR101016046B1 (ko) 2009-03-11 2009-03-11 치아모형 교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9425B2 (ko)
KR (1) KR101016046B1 (ko)
CN (1) CN102348428A (ko)
WO (1) WO20101042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62A1 (ko) * 2014-11-03 2016-05-12 이동우 교합기
KR102105277B1 (ko) * 2019-12-11 2020-04-27 김영수 교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410B1 (ko) 2010-09-17 2012-07-12 김성후 교합기
CN112770693B (zh) * 2018-09-27 2022-06-03 株式会社日进 咬合器
CA3056872A1 (en) 2018-10-01 2020-04-01 National Dentex, Llc Adapter kit for dental model articulat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949A (en) * 1896-09-01 Dental articulator
US912748A (en) * 1907-09-28 1909-02-16 George B Snow Dental articulator.
US981430A (en) * 1910-07-07 1911-01-10 Patrick Alfred Kennedy Dental articulator.
US4045873A (en) * 1976-06-28 1977-09-06 Burnett Walter L Dental articulator
US4496320A (en) * 1983-08-22 1985-01-29 Rab Tec Products Corp. Connection of tray to dental articulator
US5842857A (en) 1998-06-12 1998-12-01 Andrews; Lawrence F. Caddy for a dental articulator
KR200220278Y1 (ko) 2000-10-23 2001-04-16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US6394804B1 (en) * 2001-04-04 2002-05-28 J&P Group, Llc Articulator for dental casts
US6780011B2 (en) * 2002-03-22 2004-08-24 Evgeny Davidov Dental articulator with extended motion range
US20040043354A1 (en) * 2002-08-27 2004-03-04 Hsien-Tzu Chou Dental articulator with multiple methods to support the dental models
KR20060074406A (ko) * 2004-12-27 2006-07-03 김동길 교합기의 치 모형결합구조
KR20080076600A (ko) * 2007-02-16 2008-08-20 김응오 치아모형 교합기
KR100902318B1 (ko) 2007-04-02 2009-06-12 엔.골드아트 주식회사 3차원 동작이 가능한 교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62A1 (ko) * 2014-11-03 2016-05-12 이동우 교합기
KR102105277B1 (ko) * 2019-12-11 2020-04-27 김영수 교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2957A1 (en) 2012-04-05
KR101016046B1 (ko) 2011-02-23
WO2010104261A1 (ko) 2010-09-16
CN102348428A (zh) 2012-02-08
US8419425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4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JP5194020B2 (ja) 歯科モデル、咬合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016046B1 (ko) 치아모형 교합기
US739918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KR101823549B1 (ko) 무치악 환자용 교합 채득 도구
US11759297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JP2013521096A (ja) 咬合器
KR100976044B1 (ko) 교합기
US6089863A (en) Flexible mold and dental model formed therefrom
WO2005099614A1 (ja)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7425129B2 (en) Centric stop mechanism for dental model
KR20120029636A (ko) 교합기 및 이를 위한 치아모형틀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142049B1 (ko) 교합기
US6394804B1 (en) Articulator for dental casts
KR100927245B1 (ko) 교합기
KR100955320B1 (ko) 교합기
WO2006091982A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20220287806A1 (en) Disposable dental articulator
KR20190080585A (ko)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KR20000015767A (ko) 치아모형교합기
KR101456619B1 (ko) 선택적 인공치아의 제조가 가능한 교합기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WO20071088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