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278Y1 - 치과기공용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과기공용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278Y1
KR200220278Y1 KR2020000029482U KR20000029482U KR200220278Y1 KR 200220278 Y1 KR200220278 Y1 KR 200220278Y1 KR 2020000029482 U KR2020000029482 U KR 2020000029482U KR 20000029482 U KR20000029482 U KR 20000029482U KR 200220278 Y1 KR200220278 Y1 KR 200220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fixing
articulator
bas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수
Original Assignee
엄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수 filed Critical 엄재수
Priority to KR2020000029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278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기공용 작업모형을 손쉽게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교합 조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베이스(20)의 일단으로부터 기립된 컬럼(24)측에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착탈가능하고 일방에서 탄지된 아암축(30)을 갖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상에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작업모형(T2)을 고정하는 하부고정수단과;
상기 아암축(30)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70)과;
상기 지지축(70)의 말단에 연결된 볼조인트(80)와;
상기 볼조인트(8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면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략 상기 베이스(2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설된 그립퍼 지지판(90)과;
상기 그립퍼지지판(90)에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작업모형(T1)을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기공용 교합기{Dentistry dental technician bit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치과기공용 교합기(咬合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합기에 치과기공용 작업모형을 손쉽게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교합 조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기공용 교합기는 치과에서 제작된 치열의 작업모형을 물려놓고 치과기공자가 의도하고자 하는 의치제작 등을 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종래의 교합기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와, 베이스(1)의 일단에 입설된 컬럼(2), 이 컬럼(2)에 아암축(3a)으로 회전가능하고 일측방에서 탄성력을 지지된 상부턱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교합기는 치과에서 제작된 작업모형과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교합기에는 도 1과 같이 작업모형(T1,T2)을 석고(plaster)(4)를 이용하여 각기 베이스(1)와 상부턱 프레임(3)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럴 경우 석고가 굳는데 필요한 응고시간으로 인한 교합작업의 시간낭비가 필연적으로 따르고, 응고 후 분리가 쉽지 않았다.
이로 인해 강제적으로 교합기를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강하게 치게 됨으로서 교합기 또는 작업모형이 파손 및 훼손되고, 석고를 폐기하게 되어 환경오염도 부담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교합기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모형을 정확하게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모형의 탈거 작업이 어렵고, 석고 폐기에 따른 환경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석고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합기에 치과기공용 작업모형을 손쉽게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교합 조정을 용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베이스(20)의 일단으로부터 기립된 컬럼(24)측에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착탈가능하고 일방에서 탄지된 아암축(30)을 갖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상에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작업모형(T2)을 고정하는 하부고정수단과;
상기 아암축(30)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70)과;
상기 지지축(70)의 말단에 연결된 볼조인트(80)와;
상기 볼조인트(8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면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략 상기 베이스(2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설된 그립퍼 지지판(90)과;
상기 그립퍼지지판(90)에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작업모형(T1)을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서 본 저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에서 본 단면 확대도.
도 6은 종래 교합기에 작업모형이 장착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아암축 51,52 : 이동블록
53,54 : 하부그립퍼 60 : 축지지대
70 : 지지축 80 : 볼조인트
90 : 그립퍼지지판 101,102 : 이동블록
103,104 : 상부그립퍼 106 : 고정나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서 본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선에서 본 단면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일단으로부터 기립된 컬럼(24)측에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착탈가능하고 일방에서 탄지된 아암축(30)을 갖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상에는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작업모형(T1)을 고정하는 하부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부고정수단은, 이동블록(51,52), 하부그립퍼(53,54) 및 고정나사(5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록(51,52)은,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20)의 대향하는 안내홈 (20a,2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록(51,52)에 고정나사(55a,55b)를 통해 상기 하부그립퍼(53,54)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그립퍼(53,54)는 하부작업모형(T2)을 파지하기에 적합한 곡면(53a,54a)을 갖고 이때, 곡면에는 파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 또는 원뿔형 같은 여러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고정나사(56)는 오른나사(56a)와 왼나사(56b)를 구비하여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된 지지판(23a,23b)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이동블록 (51,52)과 각기 오른나사(56a)와 왼나사(56b)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나사(56)를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블록(51,52)이 베이스(20)의 중앙으로 하부그립퍼(53,54)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블록(51,52)간의 폭이 좁혀지고, 반대로 고정나사(5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블록 (51,52)이 베이스(20)의 측방으로 하부그립퍼(53,54)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블록 (51,52)간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 아암축(30)에는 축지지대(60)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축지지대(60)에 전·후 이동,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지지축(70)이 조립되어 있다.
이때 축지지대(60)는 아암축(30)의 연장부로서 축지지대(60)와 아암축(30)은 일체로 또는 분리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대(60)는 도 2,5에서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지지구멍(61)과 일측으로 개방된 조임구멍(62) 및 조임구멍(62)측에 연장된 상,하조임턱(63,64)을 구비하고, 도 5와 같이 조임구멍(62)의 직경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부 조임턱(63)에 삽입되어 하부 조임턱(64)에 나사결합된 조임볼트(66)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볼트(66)를 풀어놓으면 상부턱(63)과 하부턱(64)과의 간격이 벌어져 조임구멍(62)의 내주면이 축지지대(60)를 조였던 힘이 제거되어 축지지대(60)가 전,후 이동 및 회전이 자유롭게 되며, 다시 조임볼트(66)로 조이면 상부턱(63)과 하부턱(64)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조임구멍(62)의 직경은 작아지고 지지축(70)이 조임구멍(62)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본 발명은 축지지대(60)에 지지구멍(61)을 삭제하여, 이 지지구멍(61)에 대체하여 조임구멍(62)이 지지구멍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축(70)의 말단에 볼조인트(80)가 볼트(79)로 연결되어 있고, 이 볼조인트(80)의 구면에는 그립퍼지지판(90)이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그립퍼지지판(90)과 볼조인트(80)는 구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 (70)의 방해를 받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원추각 내에서 원하는 어느 방향으로도 공간상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그립퍼지지판(90)은 회전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볼트(2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립퍼지지판(90)의 상면에 볼조인트(80)를 통해 삽입된 고정판(200)을 배치하고, 이 고정판(200)에 삽입되어 그립퍼 지지판(90)측으로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볼트(202)의 체결력에 의해 그립퍼지지판(90)이 볼조인트(80)의 구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볼트(202)는 2개가 사용되었는데, 어느 하나의 것을 조절하여도 고정력의 확보는 가능하다.
상기 그립퍼지지판(90)에는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작업모형을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고정수단은, 상기한 하부고정수단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즉, 상기 그립퍼지지판(90) 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블록(101,102)과, 상기 이동블록(101, 102)에 각기 힌지 결합되어 하부작업모형을 파지하는 상부그립퍼(103,104)와, 상기 이동블록(101,102)에 각기 오른나사(106a)와 왼나사(106b)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그립퍼 지지판(90)상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상부그립퍼(103,104)를 이동시키는 고정나사(106)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10은 아암축(30)을 스프링(11)력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지지핀이고, 부호 12는 아암축(30)의 하향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20)의 상면 및 그립퍼지지판(90)에 구비된 각각의 하부그립퍼 (53,54)와 상부그립퍼(103,104)들 간의 마주보는 간격을 벌려놓는다. 이때 각기 고정나사(56,106)를 조정한다.
다음, 하부작업모형(T2)을 베이스(20)의 하부그립퍼(53,5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고정나사(56)를 도 3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나사(56)에 오른나사(56a)와 왼나사(56b)로 결합된 고정블록(51,52)이 그 마주보는 폭을 좁히면서 이송되고 동시에 고정블록(51,52)에 힌지 결합된 하부그립퍼(53,54)가 연동하여 하부작업모형(T2)을 움켜잡게 된다.
이때 하부작업모형(T2)의 형상에 관계없이 하부그립퍼(53,54)가 적당히 고정나사(55a,55b)를 축으로 움직여 고정나사(56)의 조임력에 의해 완전히 하부작업모형(T2)을 고정한다.
다음, 상부작업모형(T1)을 그립퍼지지판(90)의 상부그립퍼(103,10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고정나사(106)를 도 4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나사(106)에 오른나사(106a)와 왼나사(106b)로 결합된 고정블록(101,102)이 마주보는 폭을 좁히면서 이송되고 동시에 고정블록(101,102)에 힌지 결합된 상부그립퍼 (103,104)가 연동하여 상부작업모형(T1)을 움켜잡게 된다.
이때도 상부작업모형(T1)의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그립퍼(103,104)가 적당히 고정나사(105a,105b)를 축으로 움직여 고정나사(106)의 조임력에 의해 완전히 상부작업모형(T1)을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 작업모형(T1,T2)을 정확히 교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임볼트(66)를 풀어 놓고, 지지축(70)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여 이루어진다. 즉, 조임볼트(66)의 체결력을 풀어 확장된 조임구멍(62)으로 인해 지지축 (70)을 이동시켜 전,후이동을 조절한 후 조임볼트(66)를 고정한다.
다음, 아암축(30)을 컬럼(24)측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조절한다. 이때 아암축(30)의 이동후 고정은 스프링(11)력을 받는 지지핀(110)의 지지력으로 고정 유지된다.
한편, 상부작업모형(T1)은 고정볼트(202)의 체결력을 줄여 그립퍼지지판(90)이 볼조인트(80)로부터 구면운동 가능하게 되므로서 그 위치를 조절받게 된다.
그립퍼지지판(90)의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볼트(202)의 체결력을 증가시켜 그립퍼지지판(90)을 볼조인트(80)의 구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작업모형(T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작업모형(T1)을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어 하부작업모형(T2)의 치열에 정확히 교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합작업이 끝난 후 모형작업이 완료되면 고정나사(56,106)를 풀어서 간단히 상,하부작업모형(T1,T2)을 탈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모형을 종래의 결합재인 석고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교합에 필요한 시간 및 교합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석고로 인한 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다. 또 석고 결합부분이 삭제되어 작업 완료후 종래와 같이 교합기를 별도의 도구로 처야하는 타격행위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모형이나 교합기가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모형을 어떠한 위치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교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베이스(20)의 일단으로부터 기립된 컬럼(24)측에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착탈가능하고 일방에서 탄지된 아암축(30)을 갖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상에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작업모형(T2)을 고정하는 하부고정수단과;
    상기 아암축(30)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70)과;
    상기 지지축(70)의 말단에 연결된 볼조인트(80)와;
    상기 볼조인트(8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면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략 상기 베이스(2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설된 그립퍼 지지판(90)과;
    상기 그립퍼지지판(90)에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여 이동조절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작업모형(T1)을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20)상에 대향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블록(51,52)과;
    상기 이동블록(51,52)에 각기 힌지 결합되어 하부작업모형(T2)을 파지하는 하부그립퍼(53,54)와;
    상기 이동블록(51,52)에 각기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부그립퍼(53,54)를 이동시키는 고정나사(5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수단은,
    상기 그립퍼지지판(90) 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블록(101,102)과;
    상기 이동블록(101,102)에 각기 힌지결합되어 상부작업모형(T1)을 파지하는 상부그립퍼(103,104)와;
    상기 이동블록(101,102)에 각기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그립퍼 지지판(90)상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상부그립퍼(103,104)를 이동시키는 고정나사(10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지지판(90)의 상면에 볼조인트(80)를 통해 삽입된 고정판(200)을 배치하고, 이 고정판(200)에 삽입되어 그립퍼 지지판(90)측으로 나사결합된 고정볼트(202)의 체결력에 의해 그립퍼지지판(90)이 볼조인트(80)의 구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치과기공용 교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그립퍼(103,104) 및 하부그립퍼(53,54)의 내면에는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 또는 다수의 돌기를 갖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택일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20000029482U 2000-10-23 2000-10-23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220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82U KR200220278Y1 (ko) 2000-10-23 2000-10-23 치과기공용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82U KR200220278Y1 (ko) 2000-10-23 2000-10-23 치과기공용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278Y1 true KR200220278Y1 (ko) 2001-04-16

Family

ID=7309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82U KR200220278Y1 (ko) 2000-10-23 2000-10-23 치과기공용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27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345B1 (ko) 2005-03-12 2006-07-18 (주)알파덴트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WO2010104261A1 (ko) * 2009-03-11 2010-09-16 (주)보원덴탈 치아모형 교합기
KR101142049B1 (ko) 2009-09-03 2012-05-17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2210208B1 (ko) * 2019-09-11 2021-01-29 예동해 치아모형 교합기의 치아모형 결합장치
KR102651529B1 (ko) * 2023-05-25 2024-03-26 (주)화이트치과기공소 교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345B1 (ko) 2005-03-12 2006-07-18 (주)알파덴트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WO2010104261A1 (ko) * 2009-03-11 2010-09-16 (주)보원덴탈 치아모형 교합기
US8419425B2 (en) 2009-03-11 2013-04-16 Bowon Dental Co., Ltd. Dental model articulator
KR101142049B1 (ko) 2009-09-03 2012-05-17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2210208B1 (ko) * 2019-09-11 2021-01-29 예동해 치아모형 교합기의 치아모형 결합장치
KR102651529B1 (ko) * 2023-05-25 2024-03-26 (주)화이트치과기공소 교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JPH05337132A (ja) 再位置付けツール
KR100601345B1 (ko)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220278Y1 (ko)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170107613A (ko) 치과용 교합기
US4854868A (en) Dental articulator
US6485302B2 (en) Dental articulator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KR101180623B1 (ko) 석고 치아모형 그립퍼를 갖는 교합기
US5267858A (en) Average movement articulator capable of being set for free movement
JPH07104649B2 (ja) 歯科用義歯―頭蓋模型
US20060188838A1 (en) Dental articulator
CA2492228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4758155A (en) Dental articulator mount
JP6951808B2 (ja) 咬合器
KR200445105Y1 (ko) 조작력이 용이한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JP2688737B2 (ja) 咬合器
JPH071135Y2 (ja) 咬交器
US4536161A (en) Articulator
JP3954568B2 (ja) 咬合器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JPS624340Y2 (ko)
JP2558423B2 (ja) 歯咬合器
US20020110779A1 (en) Dental mold and articulator for use in aligning dental models
JP2534619Y2 (ja) 建設機械の掴み爪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