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613A - 치과용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613A
KR20170107613A KR1020160030850A KR20160030850A KR20170107613A KR 20170107613 A KR20170107613 A KR 20170107613A KR 1020160030850 A KR1020160030850 A KR 1020160030850A KR 20160030850 A KR20160030850 A KR 20160030850A KR 20170107613 A KR20170107613 A KR 2017010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coupled
groove
man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605B1 (ko
Inventor
홍창식
Original Assignee
(주)보원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원덴탈 filed Critical (주)보원덴탈
Priority to KR102016003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6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rectilinea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악 치아모형 각각이 결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있어서, 판체 형태로 제1몸체가 형성되고, 제1몸체의 상부 중심에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제1몸체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지지부의 상단부는 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상단부에 후방측이 개방된 힌지체가 안착 설치되는 하악고정대; 상기 하악고정대의 힌지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봉 형태로 회전축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전방방향으로 판체 형태인 제2몸체가 하악고정대의 제1몸체와 상호 마주하게 형성되며, 제2몸체의 하부 중심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제2몸체의 후방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걸림부가 연장 형성되는 상악고정대; 상기 하악고정대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악고정대의 회전축을 하악고정대의 힌지체에 밀착 결합시키는 스프링; 상기 하악고정대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 사이 중심에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하악고정대와 상악고정대의 상·하 간격을 조절 및 상악고정대의 전후좌우 수평이동을 고정시키는 조절나사; 상기 상악고정대의 전방부에 하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악고정대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상악고정대의 전방부에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핀을 상악고정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 상기 지지핀의 하부 끝단부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수직 단면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악고정대의 전방부에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하악고정대의 제1고정홈과 상악고정대의 제2고정홈 각각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면의 반대측에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교합기{Articulator for dental}
본 발명은 치과용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악고정대가 축 중심으로 상하 회전운동 및 좌우수평 이동되어 정교한 조정이 가능하고, 상악고정대 및 하악고정대 각각에 치아모형을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외측에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의 결합부위를 규격화하여 고정판 또는 교합기의 교제없이 다양한 형태인 베이스부재를 상악고정대 및 하악고정대 각각에 결합시킬 수 있는 치과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치아는 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의 운동을 매개로 상하 치아가 교합됨에 따라 각종 음식물 등을 씹을 수 있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대략 원호형상을 이룬다.
한편 특정 치아에 손상을 입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교합작용에 이상이 생기면서 치아의 기능 장애를 불러오게 되며, 이러한 경우 손상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소정 보철물을 기존의 치아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를 사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합기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부재(1) 및 하부부재(2)의 단부 측에 각각 상악 치아모형 및 하악 치아모형을 석고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교합상태를 체크한 후, 해당 작업이 종료되면 석고를 파쇄하여 치아모형 및 교합기를 상호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합기는 석고를 매개로 치아모형이 교합기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교합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불가능함과 아울러 치아모형의 제작과정에서 과도하게 석고가 사용된 경우에는 교합기와의 결합을 위한 석고가 추가로 덧붙여지면서 교합기의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고를 이용하는 것은 치아모형을 제작 완료후 치아모형을 떼어내는 작업에 있어서 타격 등에 의한 치아모형의 파손 및 교합기 훼손의 우려가 크고, 석고 폐기로 인한 환경 오염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석고의 응고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며 석고 재료비 부담이 커진다.
또한 석고를 매개로 치아모형이 교합기에 결합시 치아모형과 교합기의 분리 가 어려워 가공장치에서 스캔 및 가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부 그립퍼를 사용하여 기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체결수단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교합을 수회 반복 실시하는 과정에서 체결력이 약해져 교합자세가 변경되는 등 교합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01345호로서,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가 알려져 있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원하는 교합위치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에서 지렛대의 원리로 확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나 조임 볼트가 모두 3개로 이루어져 있어 정확한 고정과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646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394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악고정대가 축 중심으로 상하 회전운동 및 좌우수평 이동되어 정교한 조정이 가능하고, 상악고정대 및 하악고정대 각각에 치아모형을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외측에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의 결합부위를 규격화하여 고정판 또는 교합기의 교제없이 다양한 형태인 베이스부재를 상악고정대 및 하악고정대 각각에 결합시킬 수 있는 치과용 교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악 치아모형 각각이 결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있어서, 판체 형태로 제1몸체가 형성되고, 제1몸체의 상부 중심에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제1몸체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지지부의 상단부는 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상단부에 후방측이 개방된 힌지체가 안착 설치되는 하악고정대; 상기 하악고정대의 힌지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봉 형태로 회전축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전방방향으로 판체 형태인 제2몸체가 하악고정대의 제1몸체와 상호 마주하게 형성되며, 제2몸체의 하부 중심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제2몸체의 후방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걸림부가 연장 형성되는 상악고정대; 상기 하악고정대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악고정대의 회전축을 하악고정대의 힌지체에 밀착 결합시키는 스프링; 상기 하악고정대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 사이 중심에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하악고정대와 상악고정대의 상·하 간격을 조절 및 상악고정대(20)의 전후좌우 수평이동을 고정시키는 조절나사; 상기 상악고정대의 전방부에 하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악고정대를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상악고정대의 전방부에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핀을 상악고정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 상기 지지핀의 하부 끝단부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수직 단면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악고정대의 전방부에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하악고정대의 제1고정홈과 상악고정대의 제2고정홈 각각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면의 반대측에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교합기는 상악고정대가 축 중심으로 상하 회전운동 및 좌우수평 이동되어 정교한 조정이 가능하고, 외측에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가 고정판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자석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됨은 물론, 간편하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모형이 결합된 베이스부재가 교합기의 고정판에 용이하게 탈부착됨으로 치아 가공장치에서 치아 모형을 가공시 쉽게 치아모형이 결합된 베이스부재를 분리하여 스캔 및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에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의 결합부위를 규격화하여 고정판 또는 교합기의 교제없이 다양한 형태인 베이스부재를 상악고정대 및 하악고정대 각각에 결합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베이스부재가 하나의 교합기에 결합됨으로 인해 교합기 사용법이 작업자가 손에 익어 제작능률의 저하가 예방되며 작업시간 단축 및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교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합기에 치아모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교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교합기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치과용 교합기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부재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상·하악 치아모형(100,200) 각각이 결합되는 본 발명에 치과용 교합기는 하악고정대(10), 상악고정대(20), 스프링(30), 조절나사(40), 지지핀(50), 고정나사(60), 이동판(70), 고정판(80), 베이스부재(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악모형이 결합되는 하악고정대(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태로 제1몸체(11)가 형성되고, 제1몸체(11)의 상부 중심에 제1고정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3)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3)의 상단부는 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면(14)이 형성되고, 경사면(14)의 상단부에 후방측이 개방된 힌지체(15)가 안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악 치악모형(100)이 결합되는 상악고정대(20)는 하악고정대(10)의 힌지체(1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봉 형태로 회전축(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체(15)의 후방측이 개방됨으로 인해 상악고정대(20)가 회전축(21) 중심으로 좌우수평 이동시 회전축(21)의 양측 끝단부가 힌지체(15)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상기 회전축(21)의 전방방향으로 판체 형태인 제2몸체(22)가 하악고정대(10)의 제1몸체(11)와 상호 마주하게 형성되며, 제2몸체(22)의 하부 중심에 제2고정홈(23)이 형성되고, 제2몸체(22)의 후방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걸림부(24)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악고정대(20)의 회전축(21)을 하악고정대(10)의 힌지체(15)에 밀착 결합시키는 스프링(30)이 하악고정대(10)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13)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악고정대(10)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13) 사이 중심에 조절나사(40)가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나사결합된다.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조절나사(40)의 끝단부에 상악고정대(20)의 걸림부(24) 상부측이 걸림됨으로 하악고정대(10)와 상악고정대(20)의 전방측 상·하 간격을 조절되며, 상악고정대(20)의 전후좌우 수평이동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악고정대(20)의 전방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악고정대(20)의 전방측 지지높이를 조절하는 지지핀(50)이 하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악고정대(20)의 전방측 지지높이에 맞추어 이동된 지지핀(50)을 상악고정대(20)에 고정하기 위해 악고정대(20)의 전방부에 일측에 고정나사(60)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지지핀(50)을 상악고정대(20)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악고정대(20)의 전방측 지지높이를 용이하게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핀(50)의 외주연에 다수의 눈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50)을 작업자가 잡고 상악고정대(20)를 회전축(21) 중심으로 전후수평 및 좌우수평 이동시 상악고정대(20)가 턱관절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하악고정대(10)의 전방부에 상부에 지지핀(50)의 하부 끝단부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이동판(70)이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70)의 수직 단면이‘V’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악고정대(10,20) 각각에 후술되는 베이스부재(90)가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간편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고정판(80)이 하악고정대(10)의 제1고정홈(12)과 상악고정대(20)의 제2고정홈(23) 각각에 결합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80)은 원형 판체 형태로 형성되고, 하악고정대(10)의 제1고정홈(12) 또는 상악고정대(20)의 제2고정홈(23)과 결합되는 면에 제1고정홈(12) 또는 제2고정홈(23)에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8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81)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중심에 제1자석(82)이 구비되고, 제1자석(82)의 외측으로 이격된 면에 한쌍의 제2결합돌기(8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80)은 합성수지재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판(80)이 파손되어 교체시 교체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80)에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결합된 베이스부재(9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부재(90)는 도 4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결합공(91a)이 형성되는 판체 형태로 제3몸체(91)가 형성되며, 결합공(91a) 각각에 삽입되는 핀 형태인 제1고정핀(92a)이 하부에 다수 설치되는 판체 형태로 제3몸체(91)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판(92)이 형성되고, 제1고정판(92)의 상부에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구비되는 제3몸체(91)의 반대쪽 면 중심에 고정판(80)의 제1자석(82)과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제2자석(93)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80)과 베이스부재(90)가 제1,2자석(82,93)의 자성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 분리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자석(93)의 외측으로 이격된 면에 고정판(8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결합돌기(83)가 삽입 결합되도록 한쌍의 제1결합홈(94)이 형성되며, 고정판(8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결합돌기(83)가 베이스부재(90)에 형성된 한쌍의 제1결합홈(94)에 삽입 결합됨으로 인해 고정판(8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90)가 이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모형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
도 11은 상기 베이스부재(90)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90)는 판체 형태로 제4몸체(95)가 형성되며, 제4몸체(95)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테두리를 따라 제2결합홈(95a)이 형성되고, 제2결합홈(95a)에 삽입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96a)가 형성되는 판체 형태로 제2고정판(96)이 형성되어 제4몸체(95)의 상부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판(96)의 상부에 대합치용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형성되며, 대합치용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구비되는 제4몸체(94)의 반대쪽 면 중심에 제3자석(98)이 설치되며, 제3자석(98)의 외측으로 이격된 면에 한쌍의 제2결합홈(9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으로 인해 상악고정대(20)가 축 중심으로 상하 회전운동 및 좌우수평 이동되어 정교한 조정이 가능하고, 외측에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90)가 고정판(80)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83) 및 제1,2자석(82,93)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됨은 물론, 간편하게 분리된다.
또한 외측에 치아모형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90)와 베이스부재(90)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80)의 결합부위를 규격화하여 고정판(80) 또는 교합기의 교제없이 다양한 형태인 베이스부재(90)를 상악고정대(20) 및 하악고정대(10) 각각에 결합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다양한 베이스부재(90)가 하나의 교합기에 결합됨으로 인해 교합기 사용법이 작업자가 손에 익어 제작능률의 저하가 예방되며 작업시간 단축 및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10 : 하악고정대 20 : 상악고정대
30 : 스프링 40 : 조절나사
50 : 지지핀 60 : 고정나사
70 : 이동판 80 : 고정판
90 : 베이스부재 100 : 상악 치아모형
200 : 하악 치아모형

Claims (5)

  1. 상·하악 치아모형(100,200) 각각이 결합되는 치과용 교합기에 있어서,
    판체 형태로 제1몸체(11)가 형성되고, 제1몸체(11)의 상부 중심에 제1고정홈(12)이 형성되며, 제1몸체(11)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상부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3)가 연장 형성되고, 지지부(13)의 상단부는 후방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면(14)이 형성되며, 경사면(14)의 상단부에 후방측이 개방된 힌지체(15)가 안착 설치되는 하악고정대(10);
    상기 하악고정대(10)의 힌지체(1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봉 형태로 회전축(21)이 형성되고, 회전축(21)의 전방방향으로 판체 형태인 제2몸체(22)가 하악고정대(10)의 제1몸체(11)와 상호 마주하게 형성되며, 제2몸체(22)의 하부 중심에 제2고정홈(23)이 형성되고, 제2몸체(22)의 후방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걸림부(24)가 연장 형성되는 상악고정대(20);
    상기 하악고정대(10)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13) 사이에 설치되어 상악고정대(20)의 회전축(21)을 하악고정대(10)의 힌지체(15)에 밀착 결합시키는 스프링(30);
    상기 하악고정대(10)의 후방측 상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부(13) 사이 중심에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하악고정대(10)와 상악고정대(20)의 정바측 상·하 간격을 조절 및 상악고정대(20)의 전후좌우 수평이동을 고정시키는 조절나사(40);
    상기 상악고정대(20)의 전방부에 하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악고정대(20)를 지지하는 지지핀(50);
    상기 상악고정대(20)의 전방부에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핀(50)을 상악고정대(20)에 고정하는 고정나사(60);
    상기 지지핀(50)의 하부 끝단부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수직 단면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악고정대(10)의 전방부에 상부에 설치되는 이동판(70);
    상기 하악고정대(10)의 제1고정홈(12)과 상악고정대(20)의 제2고정홈(23) 각각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80);
    상기 고정판(8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면의 반대측에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9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50)의 외주연에 다수의 눈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80)은 원형 판체 형태로 형성되고, 하악고정대(10)의 제1고정홈(12) 또는 상악고정대(20)의 제2고정홈(23)과 결합되는 면에 제1고정홈(12) 또는 제2고정홈(23)에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81)가 형성되며, 제1결합돌기(81)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 중심에 제1자석(82)이 구비되고, 제1자석(82)의 외측으로 이격된 면에 한쌍의 제2결합돌기(83)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90)는 다수의 결합공(91a)이 형성되는 판체 형태로 제3몸체(91)가 형성되며, 결합공(91a) 각각에 삽입되는 핀 형태인 제1고정핀(92a)이 하부에 다수 설치되는 판체 형태로 제3몸체(91)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판(92)이 형성되고, 제1고정판(92)의 상부에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형성되며,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구비되는 제3몸체(91)의 반대쪽 면 중심에 제2자석(93)이 설치되고, 제2자석(93)의 외측으로 이격된 면에 한쌍의 제1결합홈(9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90)는 판체 형태로 제4몸체(95)가 형성되며, 제4몸체(95)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테두리를 따라 제2결합홈(95a)이 형성되고, 제2결합홈(95a)에 삽입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96a)가 형성되는 판체 형태로 제2고정판(96)이 형성되어 제4몸체(95)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제2고정판(96)의 상부에 대합치용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형성되고, 대합치용 상악 또는 하악 치아모형(100,200)이 구비되는 제4몸체(94)의 반대쪽 면 중심에 제3자석(98)이 설치되며, 제3자석(98)의 외측으로 이격된 면에 한쌍의 제2결합홈(9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합기.
KR1020160030850A 2016-03-15 2016-03-15 치과용 교합기 KR10178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50A KR101783605B1 (ko) 2016-03-15 2016-03-15 치과용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50A KR101783605B1 (ko) 2016-03-15 2016-03-15 치과용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613A true KR20170107613A (ko) 2017-09-26
KR101783605B1 KR101783605B1 (ko) 2017-10-11

Family

ID=6003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50A KR101783605B1 (ko) 2016-03-15 2016-03-15 치과용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006A (ko) 2018-05-03 2019-11-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치아모형 조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85779B1 (ko) * 2019-11-11 2020-03-06 정다이 맞춤형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 장치의 제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44B1 (ko) * 2017-02-28 2018-05-24 장석경 교합기용치아모델 베이스 툴
KR102161707B1 (ko) 2018-11-26 2020-10-15 박동효 디지털 방식 및 아날로그 방식 겸용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 치열 모형 제작방법
KR102352945B1 (ko) 2020-01-22 2022-01-19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102352943B1 (ko) 2020-01-22 2022-01-19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059A (ja) * 1998-10-13 2000-07-04 Shiken:Kk 歯科技工用作業模型とその成形方法及び咬合器
KR100564691B1 (ko) 2004-07-23 2006-03-30 김의남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WO2006091982A2 (en) 2005-02-25 2006-08-31 Yunoh Jung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0927245B1 (ko) * 2008-03-13 2009-11-16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1302701B1 (ko) 2013-05-15 2013-09-03 김종화 인공치아 교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006A (ko) 2018-05-03 2019-11-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치아모형 조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85779B1 (ko) * 2019-11-11 2020-03-06 정다이 맞춤형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 장치의 제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605B1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JP5688619B2 (ja) 咬合器
KR101657990B1 (ko) 인공치아 교합기
US20120164595A1 (en) Articulator
KR100976044B1 (ko) 교합기
US4358269A (en) Plasterless mounting dental articulator
KR101180623B1 (ko) 석고 치아모형 그립퍼를 갖는 교합기
KR101016046B1 (ko) 치아모형 교합기
US4371338A (en) Dental articulator having simplified means for mounting dental casts
US7112061B2 (en) Dental articulator
KR101529231B1 (ko)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KR20150032033A (ko) 교합기
KR100955320B1 (ko) 교합기
KR101142049B1 (ko) 교합기
KR100927245B1 (ko) 교합기
KR102352945B1 (ko)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JP3645189B2 (ja) 義歯製作装置
US6780011B2 (en) Dental articulator with extended motion range
KR200445105Y1 (ko) 조작력이 용이한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1432421B1 (ko)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100633016B1 (ko)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KR102275783B1 (ko) 교합기용 인공치아 배열장치
KR20030070722A (ko) 교합기
CN210056293U (zh) 牙齿咬合器用可拆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