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691B1 -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691B1
KR100564691B1 KR1020040057832A KR20040057832A KR100564691B1 KR 100564691 B1 KR100564691 B1 KR 100564691B1 KR 1020040057832 A KR1020040057832 A KR 1020040057832A KR 20040057832 A KR20040057832 A KR 20040057832A KR 100564691 B1 KR100564691 B1 KR 10056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in
coupled
rotating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144A (ko
Inventor
김의남
Original Assignee
김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남 filed Critical 김의남
Priority to KR102004005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6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5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pivotable lower part, i.e. mandibule motion sim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 마운팅 지지대의 양측으로 끼워진 각각의 수직축에 회전대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판 가이드 사이로 힌지슬라이더를 갖는 상부 마운팅 지지대가 제 1이동수단 및 제 2이동수단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하부 마운팅 지지대 및 상부 마운팅 지지대에 각각의 마운팅 디스크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수단은 힌지슬라이더의 양측으로 형성된 핀삽입공에 각각의 힌지가이드핀이 삽입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힌지가이드핀은 슬라이드핀으로 결합된 슬라이더에 너클 조인트로 연결되어 상부 마운팅 지지대를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이동수단은 핀고정홀이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을 갖는 회전판이 상기 회전판 가이드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핀고정홀 사이에 슬라이더 및 스프링이 개재된 슬라이드핀을 끼워 슬라이더가 전후방향 이동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힌지가이드핀이 너클 조인트로 연결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 가이드에 체결된 제 1고정나사의 끝단이 회전판의 외주연부로 형성된 걸림홈에 맞닿아 회전판의 수평회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수단, 마운팅 지지대, 회전판, 슬라이드, 슬리이드핀

Description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DENTAL SEMI-ADJUSTABLE ARTICUL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제 1이동수단 2:제 2이송수단
3:하부 마운팅 지지대 4,4':회전대
5:상부 마운팅 지지대 6,6':마운팅 디스크
21:회전판 22:슬라이더
23:스프링 24:슬라이더핀
31,31':수직축 41,41':회전판 가이드
51:힌지슬라이더 52:핀삽입공
53:힌지가이드핀 54:너클 조인트
211:핀고정홀 212,212':고정편
213:걸림홈
본 발명은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턱 및 아래턱의 교합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교합기의 기능 운동에 따른 정확한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보철 제작에는 별도의 교합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교합기는 개인에 따라 서로 상이한 악관절(Temporo Mandibular Joint:TMJ) 운동에서 나타나는 수평각도 및 측방각도를 복제하여 환자가 할 수 있는 상,하,전,후,좌우측방의 기능운동을 반복작동시켜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즉, 인공치아를 각 치아의 고유위치에 배열하고, 악관절운동에 따른 하악운동(Mandibular Movement)을 재현하는데 사용되는 인공적인 기계적 악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합기는 통상, 금속구가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하는 가운데 이와 결합된 수평축이 전,후방으로 연동되어 이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수평축의 좌우측방 이동 및 금속구의 전후방 이동이 동시에 발생하게 될 경우, 슬라이더외의 마찰저항과 금속구내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접속부위의 마모로 인해 이동량의 편차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보철물의 두께에 오차를 가져오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위턱 및 아래턱의 어긋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교합기의 상,하,전,후,좌우측방의 이동을 적은 힘으로 정확하게 작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그 마모량을 줄여 정밀도가 높은 보철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마운팅 지지대의 양측으로 끼워진 각각의 수직축에 회전대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판 가이드 사이로 힌지슬라이더를 갖는 상부 마운팅 지지대가 제 1이동수단 및 제 2이동수단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하부 마운팅 지지대 및 상부 마운팅 지지대에 각각의 마운팅 디스크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수단은 힌지슬라이더의 양측으로 형성된 핀삽입공에 각각의 힌지가이드핀이 삽입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힌지가이드핀은 슬라이드핀으로 결합된 슬라이더에 너클 조인트로 연결되어 상부 마운팅 지지대를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이동수단은 핀고정홀이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을 갖는 회전판이 상기 회전판 가이드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핀고정홀 사이에 슬라이더 및 스프링이 개재된 슬라이드핀을 끼워 슬라이더가 전후방향 이동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힌 지가이드핀이 너클 조인트로 연결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 가이드에 체결된 제 1고정나사의 끝단이 회전판의 외주연부로 형성된 걸림홈에 맞닿아 회전판의 수평회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A)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이동수단(1), 제 2이동수단(2), 하부 마운팅 지지대(3), 회전대(4)(4'), 상부 마운팅 지지대(5), 마운팅 디스크(6)(6') 및 제 1,2수평조절축(58)(58') 그리고 마운팅 플랫홈(7)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이동수단(1)은 후술하는 상부 마운팅 지지대(5)를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주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원통형인 힌지슬라이더(51)의 양측으로 형성된 핀삽입공(52)에 각각의 힌지가이드핀(53)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가이드핀(53)은 직경이 상이한 단차진 축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직경이 작은측이 핀삽입공(52)에 중간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직경이 큰쪽은 중앙부분에 후술하는 슬라이더(22)의 일부가 삽입된 형태를 취하는 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너클핀(541)에 의해 힌지가이드핀(53) 및 슬라이더(22)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너클 조인트(54)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슬라이더(51)는 마운팅 디스크(6')가 밑면에 결합된 상부 마운팅 지지대(5)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그 끝단에는 결합공(55)을 형성하여 축고정부재(56) 삽입된 가이드핀(57)을 갖는 제 1수평조절축(58)이 제 2고정나사(59)에 의해 임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마운팅 지지대(5)의 윗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2수평조절축(58')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이동수단(2)은 회전판(21)의 수평회동을 제어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22)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핀고정홀(211)이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212)(212')을 갖는 회전판(21)이 상기 회전판 가이드(4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편(212)(212)' 사이에 슬라이더(22) 및 스프링(23)이 개재된 슬라이드핀(2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2)에는 힌지가이드핀(53)이 너클 조인트(54)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 가이드(41)에 체결된 제 1고정나사(411)의 끝단이 회전판(21)의 외주연부로 형성된 걸림홈(213)에 맞닿아 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거나 해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2)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원터치 멈춤구(25)는 회전판(21)의 중심으로 형성된 관통공(251)에 다단의 형태를 갖는 고정노브(252)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21)의 외주연부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안내홀(253)에 제 1핀(254), 코일 스프링(255) 및 제 2핀(256) 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22)에 형성된 걸림턱(257)이 고정노브(252)의 선단에 의해 걸려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마운팅 지지대(3)는 마운팅 플랫홈(7)을 비롯하여 회전대(4)(4') 및 상부 마운팅 지지대(5) 등을 안정적이게 받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후방 양측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수직축(31)(31')이 결합되어 제 3고정나사(42)의 구속력의 해지 유무에 따라 회전대(4)(4')를 측방향으로 회동하거나, 회동된 위치에서 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부 중앙에는 마그네틱(61)이 끼워진 마운팅 디스크(6)가 고정되어 있고, 앞쪽으로는 단차진 형태를 갖는 가이드 결합홈(32)을 형성하되, 가이드 결합홈(32)의 끝단에 힌지홈(33)을 형성하여 힌지축(341)을 갖는 받침대(34)가 회동하여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힌지홈(33)의 앞쪽에는 경사 가이드(35)가 결합되어 제 1수평조절축(58)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회전대(4)(4')는 하부 마운팅 지지대(3)로 부터 상부 마운팅 지지대(5)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마운팅 지지대(5)가 상하전후 및 수평이동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이를 지탱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단에는 링형태를 갖는 회전판 가이드(4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 가이드(41)에는 제 1고정나사(411)가 그리고 그 하부에는 제 3고정나사(4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 프렛홈(7)은 마운팅 디스크(6)의 상부 일정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위치결정돌기(71)를 갖는 고정부재(72)의 상단에 중심선이 새겨진 패널(73)이 나사(74)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A)는 먼저, 회전판(21)의 고정편(212)(212') 사이에 슬라이드핀(24)으로 결합된 슬라이더(22)가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중심교합 상태를 부여하고, 제 1고정나사(411)를 풀어 회전판(21)을 회전시키면서 수평과로각을 맞춘후 다시 고정시킨다.
다음, 제 3고정나사(42)를 풀어 회전대(4)(4')를 회전시키면서 측방과로각을 맞추어 고정한 후 미도시한 상하악 작업모형의 교합선이 마운팅 디스크(6') 및 마운팅 디스크(6)의 중앙에 오도록 위치시킨 후 석고로 고정시킨다.
이때, 제 2고정나사(59)를 조절하여 제 1수평조절축(58)이 경사가이드(35)에 접촉되도록 한 후 고정을 시키는 것으로 교합기에 상하악 작업모형을 고정하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상부 마운팅 지지대(5)에 결합된 제 2수평조절축(58')을 손으로 잡아 들게 되면 힌지슬라이더(51)의 핀삽입공(52)에 힌지가이드핀(53)이 결합된 상태로 있고, 힌지가이드핀(53)의 일측이 너클 조인트(54)로 슬라이더(22)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하회전이 됨과 동시에 핀삽입공(52)으로 부터 일정거리 즉, 회전대(4)(4')가 측방으로 회전되어 있을 경우, 그 길이만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부 마운팅 지지대(5)는 회전판(21)이 고정된 각도에 따라 힌지슬라이더(22)가 일정각도로 회동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핀(24)에 끼워진 슬라이더(22)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22)가 용이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22)의 이동을 제한 할 경우에는 회전판(21)의 바깥쪽에 삽입된 고정노브(252)를 상부 마운팅 지지대(5)를 향해 누름과 동시에 그 힘에 의해 안내홀(253)에 삽입된 스프링(255)이 오무려지면서 순간적으로 제 1핀(254)이 안내홀(253)로 들어가게 되어 고정노브(252)의 구속력이 해지됨에 따라 그 선단이 삽입되면서 걸림턱(257)에 닿아 슬라이더(22)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구속된 슬라이더(22)의 이동을 해지할 경우, 고정노브(252)를 바깥쪽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위턱 및 아래턱의 어긋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교합기의 상,하,전,후,좌우측방의 이동을 적은 힘으로 정확하게 작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그 마모량을 줄여 정밀도가 높은 보철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하부 마운팅 지지대(3)의 양측으로 끼워진 각각의 수직축(31)(31')에 회전대(4)(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대(4)(4')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판 가이드(41)(41') 사이로 힌지슬라이더(51)를 갖는 상부 마운팅 지지대(5)가 제 1이동수단(1) 및 제 2이송수단(2)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하부 마운팅 지지대(3) 및 상부 마운팅 지지대(5)에 각각의 마운팅 디스크(6)(6')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A)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수단(1)은 힌지슬라이더(51)의 양측으로 형성된 핀삽입공(52)에 각각의 힌지가이드핀(53)이 삽입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힌지가이드핀(53)은 슬라이드핀(24)으로 결합된 슬라이더(22)에 너클 조인트(54)로 연결되어 상부 마운팅 지지대(5)를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이동수단(2)은 핀고정홀(211)이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212)(212')을 갖는 회전판(21)이 상기 회전판 가이드(4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핀고정홀(211) 사이에 슬라이더(22) 및 스프링(23)이 개재된 슬라이드핀(24)을 끼워 슬라이더(22)가 전후방향 이동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22)에 상기 힌지가이드핀(53)이 너클 조인트(54)로 연결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 가이드(41)에 체결된 제 1고정나사(411)의 끝단이 회전판(21)의 외주연부로 형성된 걸림홈(213)에 맞닿아 회전판(21)의 수평회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1)은 슬라이더(22)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원터치 멈춤구(25)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원터치 멈춤구(25)는 회전판(21)의 중심으로 형성된 관통공(251)에 다단의 형태를 갖는 고정노브(252)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회전판(21)의 외주연부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안내홀(253)에 제 1핀(254), 코일 스프링(255) 및 제 2핀(256)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2)에 걸림턱(257)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운팅 지지대(3)는 가이드 결합홈(32)의 내측 끝단으로 형성된 힌지홈(33)에 힌지축(341)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다리(3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KR1020040057832A 2004-07-23 2004-07-23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KR10056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832A KR100564691B1 (ko) 2004-07-23 2004-07-23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832A KR100564691B1 (ko) 2004-07-23 2004-07-23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144A KR20060008144A (ko) 2006-01-26
KR100564691B1 true KR100564691B1 (ko) 2006-03-30

Family

ID=3711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832A KR100564691B1 (ko) 2004-07-23 2004-07-23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6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605B1 (ko) 2016-03-15 2017-10-11 (주)보원덴탈 치과용 교합기
KR101816497B1 (ko) 2017-10-12 2018-01-09 이상진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KR101825893B1 (ko) 2017-10-12 2018-02-05 이상진 하악운동의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KR101825894B1 (ko) 2017-10-13 2018-02-05 이상진 정중환축관절 회전운동 모사가 가능한 지그타입 교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291A (en) 1997-06-26 2000-01-18 Synthese Dentale Forschungs-Und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Dental articulator
JP2000042004A (ja) 1998-07-31 2000-02-15 Ajs:Kk 歯科咬合器
JP2003235873A (ja) 2001-12-14 2003-08-26 Katsutoshi Matsumoto 咬合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291A (en) 1997-06-26 2000-01-18 Synthese Dentale Forschungs-Und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Dental articulator
JP2000042004A (ja) 1998-07-31 2000-02-15 Ajs:Kk 歯科咬合器
JP2003235873A (ja) 2001-12-14 2003-08-26 Katsutoshi Matsumoto 咬合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605B1 (ko) 2016-03-15 2017-10-11 (주)보원덴탈 치과용 교합기
KR101816497B1 (ko) 2017-10-12 2018-01-09 이상진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KR101825893B1 (ko) 2017-10-12 2018-02-05 이상진 하악운동의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KR101825894B1 (ko) 2017-10-13 2018-02-05 이상진 정중환축관절 회전운동 모사가 가능한 지그타입 교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144A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428B2 (en) Dental articulator
JPH0225615B2 (ko)
KR100564691B1 (ko) 치과용 반조절성 교합기
US3905112A (en) Dental articulator
JP3555829B2 (ja) 咬合器
US5334017A (en) Dental articulator
KR20170107613A (ko) 치과용 교합기
US6558161B2 (en) Completely reproducible articulator
JP2013543152A (ja) 歯科用マニキン
US4505674A (en) Articulator for use in making dentures or parts thereof
US4245987A (en) Dental articulator
US7083410B2 (en) Dental articulator
US5267858A (en) Average movement articulator capable of being set for free movement
US3048923A (en) Condylar bearing support and adjusting means for dental articulators
US9320578B2 (en) Articulator
KR101397438B1 (ko) 유격방지수단이 구비된 교합기
US5314332A (en) Dental articulator
US3035350A (en) Incisal guide for dental articulators
JP3954568B2 (ja) 咬合器
KR101432420B1 (ko)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JPH09206315A (ja) 咬合器
US4536161A (en) Articulator
KR101518736B1 (ko) 치아교합기
JP2013132356A (ja) 咬合器
JPH02129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