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455A -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455A
KR20100100455A KR1020090019353A KR20090019353A KR20100100455A KR 20100100455 A KR20100100455 A KR 20100100455A KR 1020090019353 A KR1020090019353 A KR 1020090019353A KR 20090019353 A KR20090019353 A KR 20090019353A KR 20100100455 A KR20100100455 A KR 2010010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il
weight
foo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하
김진준
정관영
정태화
박병준
신경진
신용국
옥주안
노재균
박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0455A/ko
Publication of KR2010010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울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울금(Curcuma Wenyujin)으로부터 피부 진균증의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Trichophyton rubrum),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Epidermophyton floccosum),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 (Microsporum canis)를 포함한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가지는 온울금 오일을 추출하여 이를 0.0001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통상의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경우, 피부 진균증에 대한 예방, 완화, 및 억제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온울금(Curcuma Wenyujin)추출물, 피부 진균류, 항진균, 피부 진균증의 예방, 완화 및 억제, 화장료

Description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urcuma Wenyujin essential oil having anti-dermatophytosis activity and Cosmetic components comprised of it }
일상 생활 속에서 가장 흔한 형태로 발명하는 피부 질환인 피부 진균증은 수영장, 목욕탕, 군대, 집 등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 감염된 피부에서 떨어진 각질이나 조갑 부스러기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옮겨 갈 수 있고, 면역기능이 떨어지거나 당뇨 등의 질환이 있거나 위생상태가 안 좋은 경우 자신도 모르게 걸리는 수가 있다. 치료를 하지 않을 때는 몸의 정상인 다른 부위에도 옮겨가거나 손톱, 발톱의 기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특히 개나 고양이에서 옮기는 피부 진균증 환자가 느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온울금(溫?金, Curcuma Wenyujin)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에게서 빈번하게 발현되어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 룸(Trichophyton rubrum),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Microsporum canis) 등을 포함하는 피부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온울금 오일과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0.0001중량%-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중량%-10중량%를 첨가하여 피부 진균증 증상의 완화, 예방 및 억제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의약품이 아닌 화장료로서 일반인들이 그 사용에 부담을 갖지 않고 피부 진균증에 대한 예방, 완화 및 억제가 용이하여 그 활용이 매우 광범위 할 것이다.
강황(Curcuma)은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로, 꽃 이삭은 잎보다 먼저 나오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연한 녹색의 포에 싸여있다. 4~6월에 잎 겨드랑이에서 노란꽃이 피며, 윗부분의 포는 나비가 약간 좁고 끝은 담자홍색이며 잎겨드랑이에 꽃이 달리지 않는다. 뿌리줄기의 겉은 연한 노랑색이고, 속은 주홍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많은 연구에서 항암제 등의 약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특히 전부터 강황은 중국에서 okestu syndromes (혈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질병)의 약으로 사용되어져 왔다고 한다. 많은 종류의 강황 중 온울금(Curcuma Wenyujin)은 8세기부터 중국에서 재배된 식물로 1062년, 1108년, 1596년, 1977년 중국 고대 의학 서적에 기록되어 전해져 오고 있으며, 다른 종류의 강황에 비해 온울금은 에센셜 오일, β-Elemene, curcumol, curdione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온울금의 효능으로는 간 기능 장애로 인한 생리통, 생리불순과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고, 토혈, 코피, 소변 출혈 등에 지혈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심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흉복부가 답답한 것을 없애주며, 담즙 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에도 유효하다는 보고가 있다.
온울금(Curcuma Wenyujin)에 관한 연구는 Jie Cao 등의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Curcuma Wenyujin Y.H Chen et C. Ling by headspace solvent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nalytica Chimica Acts, Vol. 561, No. 2 pp88-95, 2006), Jie Cao 등의 “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from Curcuma Wenyujin Y.H. Chen et C, Ling”(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Vol. 40, No. 3, pp.552-558, 2006), Viaoxia Peng 등의 “Assessing the quality of RCYs on the effect of β-elemene , one ingredient of a Chinese herb, against malignant tumors”(Contemporary Clinical Trials, Vol. 27, No.1, pp70-82,2006), S.Y. Chor 등의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hepatic stellate cell”(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100, No. 22, pp,180-186, 2005), Jizhong Yan 등의 “Perparativ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germacrone and curdione from the essential oil of the rhizomes of Curcuma Wenyujin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070, No. 8, pp. 207-210, 2005)와 같은 성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으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는 그 결과가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미용 및 피부, 피부질환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 특허 출원 출원번호 제 1999-034697호는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울금 덩이뿌리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며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가 있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을 뿐,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 효과와 관련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2-0021590호는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호르몬 의존형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5α-환원효소에 의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잉생산을 억제하여 남성 호르몬 의존형 피부질환에 그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인 일반적인 피부 진균증의 예방, 완화 및 억제와는 활용의 범위의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은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피부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를 갖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부 진균류는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곰팡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주로 소분상 포자를 생산하고 간혹 연필 또는 방망이 모양의 끝이 뭉뚱하고 표면이 매끈한 1-12개의 세포로 된 대분상 포자를 생산하는 Trichophuton 속, 주로 대포상 포자를 균사 끝에 생산하고 그 모양은 북처럼 생겼고, 표면은 거칠며 여러 개의 세포로 되어 있는 Microsporum 속, 그리고 균집락 형태가 쉽게 변하여 백색의 균사만이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는 Epidermopguton 속이 있다. 이 중에서 우리는 하기의 실험 예에서, 사람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Microsporum canis) 에 대해서 그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피부진균증이란 진균(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피부 질병을 의미하며, 크게 표재성과 심재성으로 나눌 수 있다. 종류에는 두부 백선과 안면 및 체부 백선, 완선, 수족부 백선, 조갑 백선 등이 있다. 수족부 백선은 공중목욕탕이나 수영장 등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환자로부터 떨어져 나온 때나 각질을 통해 감염되고, 완선은 고온다습한 환경과 발한, 비만증, 밀착한 내의와의 기계적 마찰 등이 중요한 원인이다. 합병증으로 하지에서 봉소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 녹농균에 의한 감염이 일어날 수도 있다.
수족부 백선은 흔히 무좀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흔한 형태이다. 크게 지간 형, 소수포형, 과각화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간형은 발가락이나 손가락 사이에 각질이 일어나거나 균열이 나타나면서 허물이 벗겨지고, 짓무르며, 악취가 난다. 소수포형은 작은 물집이 하나 또는 여러 개가 모여서 생기고, 진행하면 적갈색 딱지가 남거나 각질이 되는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과각화형은 가려움증이 거의 없으며 만성이거나 치료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완선은 주로 서혜부나 음부 주위에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각질이 덮인 홍반으로 시작하여 주위로 퍼지면서 가장자리가 주변보다 융기한다. 젊은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회음부, 대퇴내부, 음모부, 항문, 두부까지 퍼질 수 있다.
조갑백선은 손톱 및 발톱에 발생하며, 대부분 만성 수족부 백선이 진행하여 발병한다. 손톱 또는 발톱이 황백색으로 변하고, 광택이 없어지면서 두꺼워지며, 표면은 불규칙해지고 손톱 및 발톱의 끝부분이 쉽게 부스러진다.
체부 및 안면 백선은 도장부스럼이라고도 하는데, 초기에는 각질이 일어나는 붉은 반점이 발생하며, 주변부로 퍼져나가면서 뚜렷하면서 융기가 일어난다.
두부 백선은 모발에 발생하는 것이다. 원형의 각질이 일어나고, 머리카락의 윤기가 없어지며, 진균이 침범한 부위의 털이 끊어지거나 빠져서 탈모 증세가 나타난다. 또한 심한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피부 진균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Amphotericin B, Flucytosine, Azole group, Griseofulvin, Terbinafine 등을 이용하여 약물치료를 하고 있으나, 이는 발열, 오한, 근육경련, 구토, 혈압 강하, 신장 손상, 빈혈, 간기능 장애, 위장관 자극, 미각장애 등 부작용의 발생을 초래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곰팡이균의 번식에 대한 억제력이 강한 초산(Acetic acid) 또는 그 유도체의 사용, 그리고 항균 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창 및 벤조일 페록사이드 (Benzoylperoxide)등의 활성억제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피부 진균증 예방과 치료에 있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피부의 자극성과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 피부세포조직 자체의 손상, 파괴 등 피부 안정성 측면에 있어서 아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나 여성의 피부, 신체 가운데는 얼굴 등 연약한 피부의 경우 더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부작용이 적으며 피부 진균증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은 천연 추출물은 큰 장점을 가진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온울금 오일을 피부 진균증의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및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에 대한 항균력을 하기 실시예1와 실시예2를 통해서,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울금 오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피부 진균증 완화, 예방,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를 포함한 피부 진균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온울금 오일과 이를 0.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온울금 오일은 피부 진균증의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을 포 함한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며, 따라서 온울금 오일과 이를 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균증 증상의 완화, 예방 및 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진균증의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를 포함한 피부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온울금 오일과 이를 함유하는 피부 진균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발명은 온울금 오일의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을 포함한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또한 이들 성분을 이용한 우수한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온울금 오일은 0.0001-30중량%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를 함유한다. 만일 그 함유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이 미비한 단점이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상에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온울금 오일은 다음과 같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울금 오일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온울금 오일은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기 위해 가장 폭 넓게 이용되어 지는 증기증류법(steam distillation), 식물을 직접 압착해서 정유를 얻는 방법인 압착법(expression, pressing), 휘발성 유기용매에 꽃을 일정기간 침적시켜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용매 투석법(extraction, infusion), 유리판에 라드를 바른 후 식물들을 펼쳐놓아 라드가 오일을 흡수하는 애플라지(enfieurage), 액화한 탄산가스를 이용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CO2 extraction) 등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온울금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온울금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증기증류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 추출법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 크림, 에멀젼(로션) 등의 기초 화장료 형태로 제조 할 수 있다.
유연화장수(스킨)의 제조시 온울금 오일과, 보습제, 알코올, 유연제, 가용화제, 방부제, 수용성 고분자, 완충제, 중화제, 금속이온봉쇄제, 첨가제, 기타 색소, 향료, 산화방지제, 정제수를 혼합한다.
보습제에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텔렌글리콜, 솔 비톨, 말티톨, 다가알코올, 히아론산, 아미노산, 나토검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알코올은 에틸알코올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유연제로는 식물유, 에스테르유 등을 사용한다. 가용화제로는 POE 경화피마자유, POE 올레이알코올에테르 등을, 방부제로는 파라벤류,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알긴산염, 셀룰로오스유도체, 퀀시드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완충제로는 구연산, 젖산, 아미노산 등이, 중화제로는 트리에탈올아민이. 금속이온봉쇄제로는 에틸렌디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인 토너나 스킨로션의 성분을 포함한다.
크림과 에멀젼(로션) 등의 유화 제품 제조시에는 온울금 오일과, 유지, 왁스에스테르, 탄화수소, 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콜, 에스테르, 보습제, 점증제, 알코올, 유화제, 중화제, 금속염봉쇄제, 방부제, 완충제, 금속비누, 첨가제, 미백제, 수렴제, 비타민, 기타 색소,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 정제수 등을 혼합한다.
유화제품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유지로는 마카데미아너트오일, 아보카도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오일, 아몬드오일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왁스에스테르로는 호호바오일, 밀납, 카나우바왁스, 칸델리나왁스, 라놀린 등을 사용한다. 탄화수소로는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바셀린, 고형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레신 등을, 지방산으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리인산, 이소 스테아린산 등을 첨가한다. 고급알코올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옥틸도데실 알코올 등을, 실리콘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사이크로메치콘, 고분자 실리콘 등을,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세틸헥사노에이트 등을 사용한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소듐락 테이트, 피롤리돈카르본산, 디프로필렌글리콜, 말티톨, 히아루론산, 나토검 등을 사용하며, 점증제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펙틴, 산탄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루로오스 유도체 등을 사용한다. 알코올로는 에틸알코올 등을 사용하고, 유화제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POE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스테르, POE POP 블로폴리머, POE 경화피마자유에스테르 등을, 중화제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금속염봉쇄제로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에세틱애스드 등이, 방부제로서는 파라벤유,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가, 완충제로는 구연산, 유산등이 금속비누로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한다. 첨가제로는 알라토일, 감초산, 감마오리자놀, 비타민류 등을, 미백제로는 비타민C 유도체, 쌍백피, 닥나무, 알부틴, 코직산 등을 사용한다. 기타 수렴제로는 위치하젤, 탄닌산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비타민 A, B, D, E, H의 첨가가 가능하다. 다만, 유화제품의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크림과 로션 등의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풋크림, 풋스킨 및 풋티슈 중에 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풋크림, 풋스킨 및 풋티슈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사용용도에 따라 첨가되는 성분과 그 성분함량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풋크림 제조시에는 온울금 오일 0.1%, 디메치콘코폴리올 10.0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0.0중량%, 우레아 15.0-25.0중량%, 글리세린 15.00-25.0중량%, 트리에타올아민 0.01중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을 혼합한다.
온울금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풋스킨은 온울금 오일 0.1중량%,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0중량%, 우레아 1.0중량%, L-멘톨 0.5중량%, 폴리옥시에칠렌노닐페닐에텔 0.8중량%, 에탄올 10.-20.0중량%, EDTA 0.05중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을 혼합한다.
풋티슈는 온울금 오일 0.1중량%, 락틱애씨드 0.15중량%, 우레아 0.001중량%, L-멘톨 0.01중량%, 실리카 5.0중량%, 에탄올 20.0-30.0중량%,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4중량%, EDTA 0.05중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을 혼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온울금 오일을 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우선 온울금을 수확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증기를 쪼여준 후 잘 말려 건조 절편물을 만든다. 정유 추출장치에 미리 제조한 온울금 건조 절편물을 넣고, 높은 압력을 가해 스팀이 온울금 건조 절편물을 통과하도록 하면, 스팀이 온울금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온울금 오일 성분과 수증기가 모아지고, 이것이 관을 통하여 냉각기를 통과하면, 온울금 오일과 수분이 분리되어 온울금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이 때의 수율은 약 0.5% 이었다.
[ 실험예 1. 피부진균류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온울금 오일을 피부 진균증의 주요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1-1. 실험 방법
한국미생물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은 트리코피톤 루브룸(ATCC: 28188), 트리 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KCCM:11950),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KCCM:60072)은 3일,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KCCM:11667)은 7일동안 28℃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활성화시켰으며, EMMON'S MODIFICATION OF SABOURAUD‘S BROTH(SDB)을 사용하였다. 이 때 활성화된 배양액의 내 무좀균의 균수는 생균수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약 107 cfu/ml 이었다. 100ml SDB 배지에 배양한 균이 1%가 되게 넣은 후 온울금 오일을 1%, 0.5%,0.1%, 0.05%, 0.01%가 되게 각각 넣어 28℃에서 3일, 7일 각각 배양한 후, 각각의 배양액을 EMMON'S MODIFICATION OF SABOURAUD‘S AGAR(SDA)에 100μl 도말한 후 28℃에서 3일, 7일 각각 배양하여 결과를 관찰하였다.
1-2 실험결과
결과는 [도면1] 에 도시하였다.
온울금 오일은 피부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며,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은 각각 0.1%, 0.1%, 0.1%, 0.05%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2 . 피부진륜류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 마이크로 스포럼의 MIC 측정]
온울금 오일의 무좀 원인균에 항균 활성을 추가입증하기 위하여 무좀 원인균을 배양 기간에 따른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다.
2-1 실험 방법
실험방법은 실험예1-1과 동일하며,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는 3일, 6일, 9일 배양하고,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은 7일, 14일 배양하여 결과를 관찰하였다.
2-2 실험결과
결과는 [도면 2a 내지 도면2d]에 도시하였다.
온울금 오일은 배양기간에 따라 각 균에 대한 효과가 증가되며,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는 6일,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은 14일 배양하였을 때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3 . 온울금 오일의 성분 분석]
3-1. 실험방법
온울금 오일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GC/MS spectrophometer를 사용하였다. GC/MS는 Gas Chromatography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조절을 통해 휘발성을 띄는 성분들을 하나하나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물질들을 Mass spectrometer를 통해 이온화시켜 각 물질 특유의 분자이온과 쪼개진 조각 피크를 확인하였고 구조를 추측하기 위해 NIST분자량 스펙트럼 검색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온울금 오일 1μg을 1ml의 hexane (Burdick & Jackson, HPLC grade)에 녹여 1μl를 주입하였으며, carrier gas는 질소를 사용하여 1ml/min으로 흘러주었다. injector 온도는 230℃, ionization 온도는 260℃이었다. 컬럼의 온도는 70℃(3분유지), 5℃/min의 속도로 110℃까지 상승, 3℃/min의 속도로 145℃까지 상승(25분유지), 10℃/min의 속도로 200℃까지 상승(20분유지), 20℃/min의 속도로 280℃까지 상승(20분유지)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온울금 오일의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3-2. 실험결과
결과를 [도면3] 도시하고 [표1]에 기재하였다.
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여 전체 함량 중 각 성분의 부분 함량을 %로 계산하여, [표1]에 표시하였으며, 면적을 계산할 수 있었던 성분들의 부분 함량의 합은 전체 함량의 82.956%에 달했다. 이 중 5-isopropenyl-3,6-dimethyl-6-vinyl-4,5,6,7-tetrahydro-1-benzofuran이 24.31%로 가장 높았으며, curdione이 13.052%, eucalyptol (cineole)이 12.646%를 차지했다.
  Compound Amount (%) Retention time
1 R-α-pinene 0.579 5.08
2 Camphene 1.072 5.499
3 β-pinene 0.053 5.988
4 eucalyptol (cineole) 12.646 7.577
5 cis-β-terpineol 0.046 9.199
6 β-linalool (linalol) 1.201 9.407
7 Camphor 2.103 10.884
8 Isoborneol 0.825 11.348
9 Borneol 0.167 11.594
10 4-terpineol 0.187 11.823
11 α-terpineol 0.383 12.261
12 2-acetoxytridecane 0.053 13.327
13 heptadecane, 2,6,10,14-tetramethyl- 0.017 14.655
14 pichtosin (isobornylacetate) 0.015 15.138
15 2-undecanone 0.041 15.363
16 2-undecanol 0.036 15.688
17 δ-elemene 0.819 16.738
18 ζ-muurolene 0.018 18.344
19 β-elemene 6.115 18.867
20 Caryophyllene 0.808 19.955
21 cis-lanceol 0.057 20.109
22 ζ-elemene 2.264 20.29
23 α-amorphene 0.032 20.848
24 α-caryophyllene 0.461 21.265
25 germacrene D 1.298 22.211
26 eudesma-4(1,4),11-diene 0.343 22.51
27 5-isopropenyl-3,6-dimethyl-6-vinyl-4,5,6,7-tetrahydro-1-benzofuran 24.31 22.868
28 α-himachalene 0.587 23.16
29 β-guaiene 0.053 23.433
30 δ-cadinene 0.053 23.433
31 eudesma-3,7(11)-diene 0.253 24.071
32 β-vatirenene 0.065 24.775
33 Elemol 0.136 24.923
34 β-gurjunene 0.383 25.427
35 caryophyllene-oxide 0.091 26.601
36 Viridiflorol 0.297 27.004
37 Germacrone 6.274 27.631
38 Neocurdione 4.545 28.316
39 β-eudesmol 0.852 31.077
40 Epiglobulol 0.366 31.36
41 Curdione 13.052 36.199
  Total 82.956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온울금 오일을 함유하여 피부 진균증 증상 예방, 완화 및 억제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 풋크림, 풋스킨, 풋티슈 화장료 조성 예를 보여주며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처방예1
온울금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풋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온울금 오일 0.1
디메치콘코폴리올 10.0
사이클로메치콘 10.0
우레아 20.0
글리세린 20.0
트리에탄올아민 0.02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2
온울금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풋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온울금 오일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0
우레아 1.0
L-멘톨 0.5
폴리옥시에칠렌노닐페닐에텔 0.8
에탄올 15
EDTA 0.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3
온울금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풋티슈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온울금 오일 0.1
락틱애씨드 0.15
우레아 0.001
L-멘톨 0.01
실리카 5.0
에탄올 25.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4
EDTA 0.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울금 오일의 농도에 따른 피부진균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면 2a 내지 도면 2d는 온울금 오일의 무좀 원인균에 항균 활성을 추가입증하기 위하여 무좀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마이크로스포럼 캐니스의 배양 기간에 따른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면3은 GC/MS spectrophmeter를 사용하여 온울금 오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2)

  1.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온울금 오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균류가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Epidermophyton floccosum, 또는 Microsporum canis 중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진균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활성을 갖는 온울금 오일.
  3. 피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온울금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균류가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Epidermophyton floccosum, 또는 Microsporum canis 중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진균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울금 오일을 0.0001-3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울금 오일을 0.01-1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풋크림, 풋스킨 및 풋티슈 중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풋크림, 풋스킨 및 풋티슈 중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풋크림, 풋스킨 및 풋티슈 중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10. 온울금 오일 0.05-3중량%, 우레아 15-25중량%, 및 글리세린15-25중량%를 포함하여 제조한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풋크림.
  11. 온울금 오일 0.05-3중량%, 에탄올 10-20중량%을 포함하여 제조한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풋스킨.
  12. 온울금 오일 0.05-3중량%, 실리카 3-5중량%, 및 에탄올 20-30중량%을 포함하여 제조한 피부 진균증 예방, 완화 및 억제용 풋티슈.
KR1020090019353A 2009-03-06 2009-03-06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100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353A KR20100100455A (ko) 2009-03-06 2009-03-06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353A KR20100100455A (ko) 2009-03-06 2009-03-06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455A true KR20100100455A (ko) 2010-09-15

Family

ID=4300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353A KR20100100455A (ko) 2009-03-06 2009-03-06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04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460A (zh) * 2018-01-23 2018-05-18 温州市中心医院 一种中药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15364002A (zh) * 2022-09-30 2022-11-22 丽鑫生技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粉底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460A (zh) * 2018-01-23 2018-05-18 温州市中心医院 一种中药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15364002A (zh) * 2022-09-30 2022-11-22 丽鑫生技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粉底液及其制备方法
CN115364002B (zh) * 2022-09-30 2024-04-12 丽鑫生技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粉底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21B1 (ko)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07294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JPH0717845A (ja) 皮膚外用剤
FR2829928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homme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2002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111621A1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5971B1 (ko) 항염효과를 갖는 커리플랜트로부터 추출한 헤리크리섬오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70420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0455A (ko)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059513B1 (ko) 애엽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7961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2742B1 (ko) 여드름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