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274A - 지엽류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수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8274A KR20100098274A KR1020090095805A KR20090095805A KR20100098274A KR 20100098274 A KR20100098274 A KR 20100098274A KR 1020090095805 A KR1020090095805 A KR 1020090095805A KR 20090095805 A KR20090095805 A KR 20090095805A KR 20100098274 A KR20100098274 A KR 20100098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sheet
- banknote
- paper
- unit
- sta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엽류 수납 시의 부정렬을 경감할 수 있는 지엽류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반입 루트(L6)로부터 1차 보류 장치(30)의 내부로 지폐를 반입하고,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으로 지폐를 지지하여 수납한다. 스테이지(41)는, 적재부(41a)에서 적층 지폐(44)를 적재할 수 있으며, 벨트(39)의 구동력을 받아 전진(상승), 후퇴(하강)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고,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 압박되도록 형성된다.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고,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으면서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엽류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사이즈의 지폐를 함께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ATM(자동 거래 장치)이나 BRU(지폐 리사이클 유닛)에 탑재되는 지엽류 수납 장치에 있어서는, 다양한 종이의 취급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 종류의 종이가 유통되고 있고, 또한 그 종이의 사이즈가 일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지엽류 수납 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지엽류를 수납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해외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한 지역에서 길이나 폭의 사이즈가 다양한 지엽류가 함께 사용되므로(예를 들어, 유로나 중국 위엔 등),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지엽류를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의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요청에 응하여, 지엽류 퇴적 장치의 퇴적 수납부 바닥면을, 종이 반입측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경사지게 구성하고, 반입되는 지폐를 퇴적시켜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가능한 누름판을 포함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지엽류 퇴적 장치에 의하면,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사이즈의 종이가 반입되더라도, 종이의 하단이 정렬된다. 또한, 이러한 지엽류 퇴적 장치에 의하면, 종이는 자중에 의해 반입 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퇴적 수납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지엽류 퇴적 장치는, 종이 자신의 압입에 의해 수납 매수를 늘릴 수 있고, 또 반입되는 지폐와 퇴적된 종이가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없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7-62918호 공보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대량으로 수납을 행하는 경우에, 종이를 받는 누름판이 하강함에 따라, 종이가 경사진 벽에 기대어 원활하게 강하되지 않아, 잼(종이끼리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정전기나 진동 등이 원인이 되어, 종이의 정렬 상태에 있어서, 종이 간의 간극의 증가나 전도 등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엽류 수납 시의 부정렬을 경감할 수 있는 지엽류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사진 바닥면에서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가 제공된다.
지엽류 수납 장치는, 수용부와, 수납부와, 지엽류 적재부와, 지엽류 하단 지지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지엽류를 수용한다. 수납부는 수용부가 수용한 지엽류를 수납한다. 지엽류 적재부는 지엽류를 적재한다. 또한, 지엽류 적재부는,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한다. 또한,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지엽류 하단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엽류 수납 장치에 의하면, 지엽류 수납 시의 부정렬을 경감할 수 있 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자동 거래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 거래 장치(1)는, 지폐의 입출금 거래를 수행하고, 이 때에 지폐를 1차 보류하는 1차 보류부(160)(도 2)를 포함한다.
자동 거래 장치(1)는, 주제어부(11)와, 기억부(12)와, 조작부(13)와, 표시 제어부(14)와, 음성 출력부(15)와, 기장 처리부(16)와, 카드 처리부(17)와, 영수증 발행부(18)와, 통신 처리부(19)와, 입출금 처리부(100)를 포함하며, 각각은 통신선(20)에 의해 접속된다.
주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이루어지며, 기억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에 따라서 자동 거래 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기억부(12)는, 각종 데이터나 입출금 거래 등의 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기억부(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로 구성된다. RAM에는, 주제어부(1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이나 자동 거래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에는, 주제어부(1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HDD에는, OS나 자동 거래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조작부(13)는, 예를 들어, 자동 거래 장치(1)의 전면측의 조작 화면 상에 배치된 터치 패널 등에 의한, 이용자의 조작에 기초한 거래 내용의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주제어부(11)의 묘화(描畵) 명령에 따라 조작 화면 상에 거래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이나 이용자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 등을 표시시킨다.
음성 출력부(15)는, 스피커를 통해, 이용자에게 거래의 상황이나 조작을 안내하는 음성 안내나 경고음을 출력한다.
기장 처리부(16)는, 통장 접수부에 삽입된 통장에 대하여, 기장 처리를 수행하고 통장 접수부를 통해 배출한다.
카드 처리부(17)는, 카드 접수구를 통해 삽입된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함으로써, 또는 IC 칩과 통신함으로써 카드 정보을 판독한다. 또한, 카드 처리부는, 거래 종료 시에 삽입된 카드를 배출한다.
영수증 발행부(18)는, 거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 명세가 인쇄된 영수증을 발행하여, 영수증 발행구를 통해 배출한다.
이들 기장 처리부(16), 카드 처리부(17) 및 영수증 발행부(18)는 유닛화되어 있고,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고 있다. 주제어부(11)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MPU가 펌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각 부분을 제어한다.
통신 처리부(19)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관리 센터에 배치된 금융기관의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한다.
입출금 처리부(100)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그 중의 하나로서 지폐를 1차 보류하는 1차 보류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금 처리부(100)는,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MPU를 포함하고 있다. 주제어부(11)의 지시에 기초하여, MPU가 펌(펌웨어)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각 부분을 제어하고, 투입된 현금을 계수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되어 있는 현금을 계수하여 꺼내어 배출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입출금 처리 장치; 1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입출금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입출금 처리부의 개관도이다. 입출금 처리부(100)는,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와, 투출부(投出部)(120)와, 불명권 보류부(130)와, 반송부(140)와, 리젝트부(150)와, 1차 보류부(160)와, 수납부(170)와, 감별부(180)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통신선(190)에 의해 접속된다.
입출금 제어부(110)는, 통신선(20)을 통해 주제어부(11)와 통신하고, 주제어부(11)의 지시에 기초하여, 입출금 처리부(100)를 구성하는 각 유닛[투출부(120), 불명권 보류부(130), 반송부(140), 리젝트부(150), 1차 보류부(160), 수납부(170), 감별부(180)]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투출부(120)는, 지폐의 투입과 투출을 수행하는 유닛이다. 투출부(120)에 있어서는, 셔터를 열어 복수 매의 투입 지폐를 수용하고, 셔터를 닫고 나서 반출부(121)를 통해 반송부(140)에 투입된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또한, 투출부(120)는, 반출부(121)를 통해 반송부(140)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입하고, 셔터를 열어 복수 매의 지폐를 투출한다. 따라서, 투출부(120)는, 일시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불명권 보류부(130)는, 감별부(180)가 감별한 지폐가 불명권인 경우에 불명권을 보류한다. 불명권 보류부(130)는, 일시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반송부(140)는, 각 유닛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한다. 반송부(140)는, 복수의 반송로(140a, 140b, 140c)를 가지며, 반송로 전환 기구에 의해 반송하는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리젝트부(150)는,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이다.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가 대량으로 투입된 경우에도, 운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주(主)리젝트고(150a)와 종(從)리젝트고(150b)를 구비한다.
1차 보류부(160)는, 감별부(180)가 감별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지폐 수납고이다. 1차 보류부(160)는, 반출부(수용부; 161)를 통해 일시 보류부 내로의 지폐의 반출 및 반입을 수행한다. 1차 보류부(160)가 보류하는 지폐에 대해서는, 조작자(고객)가 입금 조작을 취소한 경우에는 지폐를 반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1차 보류부(160)에 있어서는, 조작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지폐의 고속 반입과 반출이 요구된다.
수납부(170)는, 복수의 수납고(170a, 170b, 170c, 170d, 170e, 170f)를 구비한다. 수납부(170)는, 입금된 지폐의 수납과, 출금할 지폐의 수납을 행한다. 각 수납고(170a, 170b, 170c, 170d, 170e, 170f)는 수납고마다 수납하는 권종이 정해져 있다.
감별부(180)는, 투입된 지폐 또는 투출할 지폐의 권종 및 진위를 감별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입출금 처리 장치; 100)에서의 지폐의 반송 개요에 관해, 입금 처리, 입금 2차 처리 및 출금 처리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행하는 입금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입금 처리는, 조작자가 입금 처리를 선택함으로써 개시된다.
[단계 S1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 처리의 개시에 따라,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지폐 삽입을 대기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의 지폐 삽입을 검출하면 셔터를 닫는다.
[단계 S1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에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로 방향 길이, 세로 방향 길이)를 체크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 정상이면,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 이상이면, 단계 S19로 진행한다.
[단계 S1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에 투입된 지폐를 반출부(121)까지 넣는다.
[단계 S1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부터 감별부(180)에 이르는 반송로(140a)에 조출부(121)를 통해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단계 S1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송로(140a)를 통과하여 감별부(180)에 이른 지폐의 감별 결과를 감별부(180)로부터 통지받는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로부터 정상 지폐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 반송로(140b)를 통해 1차 보류부(160)에 지폐를 반송한다.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로부터 이상 지폐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 반송로(140b)를 통해 불명권 보류부(130)에 지폐를 반송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가 모두 정상인 경우,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투입된 지폐에 이상 지폐가 포함된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를 모두 1차 보류부(160)에 수납한다.
[단계 S17]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에 수납한 지폐의 합계 금액을 산출하여 확인한다.
[단계 S18]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수납한 지폐의 합계 금액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표시 제어부(1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합계 금액을 표시시키고, 조작자의 확인 조작을 조작부(13)로부터 접수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OK이면 입금 2차 처리로 진행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NG이면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하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0]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불명권 보류부(130)로부터 투출부(120)로 지폐를 이동시킨 후,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한다.
[단계 S2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이상 지폐의 반환에 의해 입금 처리가 중단된 것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표시 제어부(14)에 의 해 표시 장치(도시 생략)에 입금 처리 계속에 대한 의사를 조작자에게 묻는 표시를 하여, 조작자의 확인 조작을 조작부(13)로부터 접수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YES이면 단계 S22로 진행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NO이면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정상 지폐에 대한 입금 처리의 계속을 확인하여, 다시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2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로부터 투출부(120)로 지폐를 이동시킨 후,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하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있어서 입금 처리 시간은 대기 시간이 된다. 그리고, 1차 보류부(160)는, 이 대기 시간 동안 입금 지폐의 수납을 수행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확실한 수납 처리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입금 2차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입금 2차 처리의 흐름도이다. 입금 2차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입금 금액의 확인에 의해 개시된다.
[단계 S3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에 수납된 지폐를 조출부(161)까지 이동시킨다.
[단계 S3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단계 S3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에 대하여 리사이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리사이클이란, 입금된 지폐를 출금을 위한 지폐로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반출된 지폐에 대해서는, 권종, 오손(汚損)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판단 기준에 따라 리사이클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반송로(140b)를 통해 대응하는 각종 금액의 카세트[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 중 어느 것]에 반송하여 수납한다(단계 S34).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반송로(140b, 140c)를 통해 주리젝트고(150a) 또는 종리젝트고(150b)에 반송하여 수납한다(단계 S3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된 지폐를 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 주리젝트고(150a) 또는 종리젝트고(150b) 중 임의의 것에 수납함으로써, 입금 2차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 2차 처리가 종료된 것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입금 2차 처리 종료를 통지받아, 영수증 발행부(18)에 의한 영수증 발행, 카드 처리부(17)에 의한 카드 배출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출금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출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출금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출금 지시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단계 S4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송로(140c)를 통해 각종 금액 카세트[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로부터 감별부(180)에 지폐를 반송한다.
[단계 S4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에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여, 정상 지폐로 감별한 경우는 지폐를 투출부(120)에 수납한다(단계 S43).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에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여, 정상 지폐로 감별하지 않은 경우(불명 지폐인 경우)는 지폐를 리젝트고에 수납하고(단계 S46), 다른 지폐를 출금하기 위해 단계 S41로 진행한다.
[단계 S4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의 셔터를 연다.
[단계 S4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부터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검출하면 셔터를 닫고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부터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검출하지 않으면 셔터를 닫아 지폐를 넣고(단계 S47),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1차 보류 장치(1차 보류부; 30)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차 보류 장치(30)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 장치로서, 특히 일시적으로 지폐를 보류하기 때문에 지폐의 반입과 반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폐 수납 장치이다. 1차 보류 장치(30)는, 투출부(120)와 동일한 수납 용량을 가지며, 예를 들어 일본 은행권의 경우 적어도 200장을 수납할 수 있다.
1차 보류 장치(30)는,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으로 지폐를 지지하여 수납한다. 스테이지(41)는, 적재부(41a)와, 현수 지지부(41b)와, 가이드 롤러(34, 35)로 이루어진다. 적재부(41a)는, 수납하는 지폐보다 큰 판형의 부재이며, 적층 지폐(44; 스테이지 위에 적층되어 적재된 지폐)의 바닥면을 면으로 지지하여 적층 지폐(44)를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현수 지지부(41b)는, 스테이지(41)를 케이스(36)로부터 현수 지지한다. 현수 지지부(41b)는 벨트(39)와 접속되고, 벨트(39)의 구동력을 받아 전진(상승), 후퇴(하강)한다(도면 중 화살표 방향). 따라서, 수납 공간(42)은, 전진에 의해 축소되고, 후퇴에 의해 확대된다. 가이드 롤러(34, 35)는, 스테이지(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이다. 또, 가이드 롤러(34, 35)는, 각각 현수 지지부(41b)의 좌우에 한 쌍(34a, 34b, 35a, 35b : 도 11 참조)이 구비된다. 벨트(39)는, 종동 롤러(31)와 종동 롤러(38) 사이에 걸쳐 있다. 벨트(32)는, 종동 롤러(31)와 구동 롤러(33) 사이에 걸쳐 있다. 구동 롤러(33)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다. 구동 장치, 벨트(32, 39), 종동 롤러(31, 38) 및 구동 롤러(33)는, 스테이지(41)로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한다. 구동 장치는, 정회전, 역회전으로 제어 가능하고, 스테이지(4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구동 장치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의 센싱부를 연결하는 지폐 검지 라인(L5)의 차광 상태와 투광 상태를 검지하여 제어된다. 또한, 구동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스테이지(41)의 이동 한계를 검출하여 제어된다. 구동 장치는, 그 구동량 또는 구동 시간에 따라 스테이지(41)의 이동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에 의해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높이가 상이한 지폐가 함께 있더라도 지폐의 하단이 일치되어 정렬된다. 또한, 가동식 수납벽(45)은, 1차 보류 장치(30)의 바닥면을 구 성하는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상승), 후퇴(하강)(도면 중 화살표 방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스프링 장착부(48)를 갖는 스프링 장착 보스(47)를 포함한다. 스프링 장착부(48)와 고정단이 되는 스프링 장착부(51) 사이에는, 가동식 수납벽(45)을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스프링(49)이 설치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스프링(49)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압박되어 규제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전진 위치가 규제된 위치를 초기 위치(도 7)로 한다. 스프링(49)은 인장 스프링이지만, 가동식 수납벽(45)을 전진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 기능할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외에,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닥면 가이드(46)의 연장선(L2)은, 수평선(L1)에 대하여 각도 R1을 갖는다. 이 때, 적재부(41a)의 연장선(L3)과 바닥면 가이드(46)의 연장선(L2)은 직교하고 있다. 이 때, 각도(바닥면 경사각) R1은 45도 미만이며, 연장선(L2)쪽이 연장선(L3)보다 수평선(L1) 방향으로 쓰러져 있다. 따라서, 지폐끼리 겹칠 때의 마찰력이 작아지고, 지폐 하단의 부정렬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1차 보류 장치(30)는, 각도 R1이 대략 20도 내지 40도의 각도를 이룰 때, 지폐의 바람직한 수납을 실현한다.
또한,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반입 루트(L6)로부터 1차 보류 장치(30)의 내부로 지폐를 반입한다. 반입 지폐(43)는, 피드 롤러(56), 가속 롤러(54), 임펠러(52)에 의해 수납 공간(42)으로 안내된다. 이 때, 반입 지폐(43)의 연장선(L4)과 적재부(41a)의 연장선(L3)이 이루는 각도(지폐 진입각) R2가 대략 25 도 내지 35도의 각도를 이룰 때, 반입 지폐(43)의 바람직한 적층이 실현된다. 연장선(L4)을 따라 수납 공간(42)에 진입한 반입 지폐(43)는, 스테이지 천정부(40)와 지폐 충돌 위치(82)에서 충돌한다. 충돌한 반입 지폐(43)는, 튕겨져 적층 지폐(44)와 겹치는 위치로 적합하게 안내된다. 이 때문에, 스테이지 천정부(40)는, 반입 지폐(43) 및 스테이지 천정부(40)를 보호하기 위해 완충재로서 고무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고무 시트는, 탄성체로서 반입 지폐(43)에 적당한 반발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지폐 충돌 위치(82)는, 스테이지 천정부(40)와 지폐 검지 라인(L5)의 교차점(81)보다, 반입 지폐(43)의 진입 위치측(상측)에 설정된다.
또한, 1차 보류 장치(30)는, 반출 루트(L7)로부터 1차 보류 장치(30)의 외부[반송로(140a, 140b)]로 지폐를 반출한다. 반출 지폐는, 픽 롤러(58), 피드 롤러(56) 및 가속 롤러(54)에 의해, 바닥면 테이퍼부(57) 및 반송 가이드(55)를 따라 1차 보류 장치(30)의 외부로 안내된다. 또한, 반출 지폐가 한번에 복수매가 되지 않도록, 세퍼레이터 롤러(53)가 겹쳐진 지폐를 분리한다.
또한, 반출 지폐의 유무는, 스테이지(41)의 전진 시에 지폐가 검지 레버(60)를 누름으로써, 검지 레버 지지부(59)가 지지하는 축(83)을 중심으로 검지 레버(60)가 회동하며, 센서(84)가 검지 레버(60)의 이러한 회동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다음으로, 1차 보류 장치(1차 보류부; 30)가 미리 정해진 양의 지폐를 수납한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적층 지폐(44)가 증가함에 따라 스테이지(41)가 후퇴함으로써 수납 용량이 증대된다. 이 때, 스테이지(41)의 후퇴량은, 1차 보류 장치(30)의 내부로의 지폐의 반입 매수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스테이지(41)의 후퇴는, 적층 지폐(44)의 최상면이 대략 미리 정해진 범위의 위치에 수용되도록 제어된다.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에 미치지 않을 때, 가동식 수납벽(45)은,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41)가 후퇴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는다. 그리고,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으면서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킨다. 도 8은, 가동식 수납벽(45)이, 스프링(49)의 스프링 장착부(48a)로부터 스프링 장착부(48b)까지 후퇴한 모습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의 후퇴량에 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 중 화살표는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의 전진, 후퇴 방향을 나타낸다.
도 9의 (A)는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다.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와 가동식 수납벽(45)은 맞닿지 않은 상태이며, 가동식 수납벽(45)은 스프 링(49)에 의해 압박되어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다.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는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가 지폐 검지 라인(L5)보다 전진측에 있으므로, 반입 지폐(43)가 적층될 때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다. L11은, 스테이지(41)의 적재면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이 때, 대략 L5와 L11의 간격이 유효한 지폐 수납 공간(최소)으로 된다.
도 9의 (B)는,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와 가동식 수납벽(45)이 맞닿는 위치를 나타낸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아직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다.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는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가 지폐 검지 라인(L5)보다 전진측에 있어, 반입 지폐(43)가 적층될 때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다. 또한 L12는, 스테이지(41)의 적재면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이 때, 대략 L5와 L12의 간격이 유효한 지폐 수납 공간으로 된다.
도 9의 (C)는,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와 가동식 수납벽(45)의 최대 후퇴 위치를 나타낸다. 가동식 수납벽(45)은, 후퇴하는 스테이지(41)와 함께 후퇴되어 있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의 선단이 지폐 검지 라인(L5) 상에 있어, 반입 지폐(43)가 적층될 때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다. L13은, 스테이지(41)의 적재면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이 때, 대략 L5와 L13의 간격이 유효한 지폐 수납 공간(최대)으로 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41)의 전진, 후퇴에 의해 지폐 수납 공간을 가변으로 하더라도, 가동식 수납벽(45)이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으므로, 지폐 수납시의 부정렬을 바람직하게 경감한다.
이것은, 가동식 수납벽(45)의 후퇴량을 크게 하여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가 지폐 검지 라인(L5)에 닿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지 않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지폐 수납시의 부정렬의 경감에 대해 일정한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스테이지(41)의 후퇴를 제어하는 지폐 수납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지폐 수납 처리의 흐름도이다. 지폐 수납 처리는,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수행한다. 지폐 수납 처리는, 예를 들어, 입금 2차 처리가 실행될 때에 실행된다.
[단계 S5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스테이지(41)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S5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입 지폐(43)를 세어, 10장을 수납할 때마다 단계 S53으로 진행시키고, 그 밖의 경우는 대기한다.
[단계 S5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가 투광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까지 스테이지(41)를 후퇴시키고, 단계 S52로 진행시킨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41)는, 반입 지폐(43) 10장을 수납할 때마다,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가 투광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까지 후퇴된다. 따라서, 주름이나 접힘, 또는 대전(정전기)에 의해 반입 지폐(43)의 사이가 벌어졌다 하더라도, 스테이지(41)의 후퇴량의 오차는, 적정값과 지폐 10장의 범위 내의 오차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에 관해, 1차 보류 장치(30)의 천정측에서 본 모습을 설명한다. 도 11은,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을 1차 보류 장치의 천정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바닥면 가이드(46)는 1차 보류 장치(30)의 주된 바닥면을 형성하며, 테이퍼 경계(L8)를 경계로 지폐의 반입, 반출측에 바닥면 테이퍼부(57)를 갖는다. 바닥면 가이드(46)는, 스테이지(41)의 전진, 후퇴 방향을 따라 가이드 구멍(63a, 63b, 63c)을 갖는다. 가이드 구멍(63b)은 지폐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가이드 구멍(63a, 63c)은 지폐의 길이 방향의 좌우 대칭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 구멍(63a, 63b, 63c)의 지폐의 반입, 반출측 단부(61)를 지폐의 반입, 반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쐐기형으로) 잘라, 바닥면 테이퍼부(57)에서의 지폐의 반송 저항을 저감하였다. 또한, 바닥면 가이드(46)는, 이면측에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a, 50b)를 갖는다.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a, 50b)는, 도시하지 않은 투광창을 통하여, 대향하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의 방향으로 발광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가이드 구멍(63a)에 가이드되는 지폐 지지부(62a)와, 가이드 구멍(63b)에 가이드되는 지폐 지지부(62b)와, 가이드 구멍(63c)에 가이드되는 지폐 지지부(62c)를 갖는다. 지폐 지지부(62a, 62b, 62c)는, 바닥면 가이드(46)의 바닥면보다 약간 튀어 나와 있어, 지폐의 하단을 지지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의 사이에서 스프링(49a)에 의해 압박되고, 지폐 지지부(62b, 62c)의 사이에서 스프링(49b)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스프링(49a)은, 스프 링 장착부(51a)를 고정단으로 하고, 스프링 장착부(48a)를 자유단으로 하였다. 또한, 스프링(49b)은, 스프링 장착부(51b)를 고정단으로 하고, 스프링 장착부(48b)를 자유단으로 하였다.
스테이지(41)[스테이지 천정부(40)는 도시 생략]는, 가이드 롤러(34a, 34b, 35a, 35b)를 갖는다.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피드 롤러축(6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드 롤러(56a∼56e)와 세퍼레이터 롤러축(6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세퍼레이터 롤러(53a∼53d) 사이로부터 지폐가 반입되고, 또 지폐가 반출된다.
다음으로, 가동식 수납벽(45)이 지폐를 지지하는 모습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가동식 수납벽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지폐 지지부(62)는, 고마찰 영역(66)과 저마찰 영역(67)을 갖는다. 고마찰 영역(66)은, 저마찰 영역(67)에 비하여, 적층 지폐(44)와의 마찰이 크게 되어 있다. 고마찰 영역(66)은 표면에 톱니 형상을 가져, 일단 정렬된 적층 지폐(44)의 지폐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지폐 하단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고마찰 영역(66)은, 진동이나 정전기 등으로 인한 지폐 간격의 벌어짐에 의한 부정렬을 경감한다. 저마찰 영역(67)은 표면이 평탄하여, 적층 지폐(44)를 1차 보류 장치(30)로부터 반출할 때에 저항으로 되지 않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지폐 지지부(62)의 고마찰 영역(66)과 저마찰 영역(67)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지폐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지폐 지지부(62)는, 스테이지(41)의 고마찰 영역(66)과 저마찰 영역(67)을 갖는다. 고마찰 영역(66)은, 지폐 지지부(62)의 적재부(41a)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저마찰 영역(67)은, 나머지 선단부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다.
지폐 지지부(68)는 지폐 지지부(62)의 일 형태로서, 고마찰 영역(69)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도 13의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요철 영역을 포함한다. 요철 영역은, 지폐의 반입측을 완경사로 하고, 지폐 지지부(62)의 적재부(41a)측(지폐의 반입측의 반대측)을 급경사로 한 비대칭 산형의 요철(톱니) 형상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층 지폐(44)의 하단의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에 비하여, 적층 지폐(44)의 하단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이동이 어렵다. 이에 의해, 고마찰 영역(69)은, 진동이나 정전기 등으로 인한 지폐 간격의 벌어짐에 의한 부정렬을 경감한다. 또한, 자동 거래 장치(1)의 설치 환경하에서, 1차 보류 장치(30) 내의 완경사부 지지면의 연장선(L9)은 수평이거나 좌측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연장선(L9)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 R3은 각 R1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고마찰 영역(69)의 역경사에 의한 지폐 간격의 벌어짐에 따른 부정렬을 방지한다. 톱니의 높이는 약 1 mm, 톱니의 피치는 1.5 mm 정도로 설정하면 된다.
지폐 지지부(70)는 지폐 지지부(62)의 일 형태로서, 고마찰 영역(71)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리브열 형성 영역을 포함한다.
지폐 지지부(72)는 지폐 지지부(62)의 일 형태로서, 고마찰 영역(73)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 형상 리브열 형성 영역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수납벽 구동 모터(85)를 사용하여 가동식 수납벽(45)을 구동하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가동식 수납벽(45)은 벨트(78)와 접속되며, 벨트의 구동력을 받아 전진(상승), 후퇴(하강)한다. 가이드 롤러(34, 35)는 스테이지(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이다. 또한, 가이드 롤러(79, 80)는 각각 가동식 수납벽(45)의 좌우에 한쌍이 구비된다. 벨트(78)는, 종동 롤러(75)와 종동 롤러(76) 사이에 걸쳐 있다. 벨트(77)는, 종동 롤러(75)와 구동 롤러(74) 사이에 걸쳐 있다. 구동 롤러(74)는, 수납벽 구동 모터(85)의 출력축에 장착된다. 구동 장치, 벨트(77, 78), 종동 롤러(75, 76) 및 구동 롤러(74)는, 가동식 수납벽(45)으로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한다.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정회전, 역회전으로 제어 가능하고,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의 센싱부를 연결하는 지폐 검지 라인(L5)의 차광 상태와 투광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제어된다. 또한,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한계를 검출함으로써 제어된다.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그 구동량 또는 구동 시간에 의해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수납벽 구동 모터(85)를 사용한 가동식 수납벽(45)의 제어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가동식 수납벽의 제어의 타이밍차트이다.
「지폐 수용」은, 지폐의 반입시에 지폐를 1차 보류 장치(30)에 수용할 때마다 발생하는 펄스 신호이다. 1펄스는 1장의 지폐를 수용했음을 의미한다. 「지폐 검지 센서」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의 검지 상태를 나타낸다. 「스테이지」는 스테이지(41)의 이동량을 나타내며,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량을 그래프화하고 있다. 「가동식 수납벽」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량을 나타내며,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량을 그래프화하고 있다.
[타이밍 T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입 지폐(43)를 세어 10장을 수납함으로써, 스테이지(41) 및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킨다.
[타이밍 T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에서의 투광 상태의 검출에 의해 스테이지(41)를 정지시킨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스테이지(41)의 정지후에도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키고 정지시킨다(타이밍 T3).
[타이밍 T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스테이지(41)의 정지후에 미리 정해진 양만큼 후퇴한 가동식 수납벽(45)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전진시키고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수납벽 구동 모터(85)를 사용하여 가동식 수납벽(45)의 구동함으로써, 스테이지(41)와 독립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양만큼 후퇴시킴으로써, 지폐 지지부(62)가 지지하고 있던 지폐의 하단이 부정렬(정렬되지 않은 상태, 지폐 간격에 간극이 있는 상태)이었던 경우라도, 지폐 지지부(62)가 지지하고 있던 지폐가 스테이지(41)에 밀려 정렬 상태로 고쳐진다.
수납벽 구동 모터(85)의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여 지폐 지지부(62)를 진동시킴으로써, 지폐를 정렬 상태로 고치도록 해도 된다. 이 때, 지폐의 하단 이동 방 향을 후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지폐 지지부(62)에, 지폐의 반입측을 완경사로 한 비대칭 산형 톱니 형상을 갖는 요철 영역을,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면, 지폐를 정렬 상태로 적합하게 고칠 수 있다.
지폐는 지엽류의 일 형태이며, 지엽류란, 지폐, 엽서 등의 직사각형의 종이 조각을 포함한다. 또한, 지엽류의 재질은 종이로 한정되지 않고, 수지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지엽류 수납 장치는, 자기 카드나 IC 카드와 같은 카드류에 적용한 카드류 수납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의 1차 보류 장치(지엽류 수납 장치; 30)를 그 밖의 수납 장치[예를 들어, 수납고(170a∼170f)]나, 주리젝트고(150a)와 종리젝트고(150b)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실시형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수의 변형, 변경을 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자동 거래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입출금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입출금 처리부의 개관도이다.
도 4는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입금 2차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출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지폐 수납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을 1차 보류 장치의 천정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2는 가동식 수납벽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지폐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가동식 수납벽 제어의 타이밍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30 : 1차 보류 장치
36 : 케이스
37 :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40 : 스테이지 천정부
41 : 스테이지
41a : 적재부
41b : 현수 지지부
42 : 수납 공간
43 : 반입 지폐
44 : 적층 지폐
45 : 가동식 수납벽
46 : 바닥면 가이드
47 : 스프링 장착 보스
48 : 스프링 장착부
49 : 스프링
50 :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1 : 스프링 장착부
L6 : 반입 루트
L7 : 반출 루트
Claims (13)
- 경사진 바닥면에서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로서,상기 지엽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상기 수용부가 수용한 상기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부와,상기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엽류를 적재하는 지엽류 적재부와,상기 지엽류의 하단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엽류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지엽류 적재부가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하면, 상기 지엽류 적재부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이동하는 상기 지엽류 적재부와 맞닿아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가 상기 수용부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 수단에 의해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 및 상기 지엽류 적재부는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일단,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가 상기 지엽류 적재부의 이동량보다 크게 이동한 후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엽류 적재부와 상기 이동량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수납 장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유무를 검출하는 적층 유무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지엽류 적재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지엽류를 수용할 때마다, 상기 적층 유무 검출 수단이 상기 지엽류의 적층을 검출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으로부터 상기 수납부 내를 향하며,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수납부의 바닥면과 상기 지엽류의 하단 사이의 마찰보다 상기 지지 부 재의 지지면과 상기 지엽류의 하단 사이의 마찰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지지면은,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요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지지면은, 상기 수용부측의 단부에 상기 요철 영역을 갖지 않는 마찰 경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은, 상기 수용부측을 완경사로 하고, 반대측을 급경사로 한 비대칭 산형의 요철이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수용부측에 테이퍼면을 포함하고,상기 가이드 구멍의 일단부는, 상기 테이퍼면에 있으며,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적재부는, 상기 수납부의 천정으로부터 현수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적재부의 적재면과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의 지지면은 직교하며, 상기 지지면이 상기 적재면보다 쓰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45683A JP5234795B2 (ja) | 2009-02-27 | 2009-02-27 | 紙葉類収納装置 |
JPJP-P-2009-045683 | 2009-0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8274A true KR20100098274A (ko) | 2010-09-06 |
KR101075927B1 KR101075927B1 (ko) | 2011-10-26 |
Family
ID=426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5805A KR101075927B1 (ko) | 2009-02-27 | 2009-10-08 | 지엽류 수납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234795B2 (ko) |
KR (1) | KR101075927B1 (ko) |
CN (1) | CN10181746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31321B2 (ja) * | 2012-03-23 | 2015-12-09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収納繰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JP5770387B2 (ja) * | 2012-10-03 | 2015-08-26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紙葉類取扱装置 |
JP5983334B2 (ja) * | 2012-11-13 | 2016-08-31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位置調整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
KR102104614B1 (ko) * | 2013-04-16 | 2020-04-24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매체 집적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6102487B2 (ja) * | 2013-05-10 | 2017-03-29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KR101671572B1 (ko) * | 2014-06-20 | 2016-11-01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
CN104123785A (zh) * | 2014-07-18 | 2014-10-29 |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片状介质收纳装置 |
CN104794807A (zh) | 2015-05-12 | 2015-07-22 |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纸币收集回收箱 |
CN105947764A (zh) * | 2016-07-06 | 2016-09-21 |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片状物叠齐装置 |
CN109785502B (zh) * | 2017-03-30 | 2020-10-27 | 南通大学 | 双排振动型散乱纸币整理收集装置的控制方法 |
JP2018205821A (ja) * | 2017-05-30 | 2018-12-27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処理装置 |
CN107481452A (zh) * | 2017-09-30 | 2017-12-15 |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 自助设备及自助设备的取出装置 |
CN111527527B (zh) * | 2018-01-30 | 2022-03-22 |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 纸张堆积装置和控制纸张堆积装置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55061A (ja) * | 1984-08-27 | 1986-03-19 | オムロン株式会社 | 紙葉類収納装置 |
JPH0511255Y2 (ko) * | 1985-03-19 | 1993-03-19 | ||
JPH0336157A (ja) * | 1989-06-30 | 1991-02-15 | Tokyo Electric Co Ltd | 券格納装置 |
US5551834A (en) * | 1995-08-02 | 1996-09-03 | Pitney Bowes Inc. | Pressure roller mechanism for stacking apparatus |
JP3058150B2 (ja) * | 1998-08-28 | 2000-07-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紙葉類取扱装置 |
JP3183288B2 (ja) * | 1998-10-12 | 2001-07-0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紙幣入出金装置 |
CN100591601C (zh) * | 2005-08-05 | 2010-02-24 | 光荣株式会社 | 纸页类收纳输出装置 |
JP5251027B2 (ja) | 2007-08-01 | 2013-07-31 | 富士電機株式会社 | 紙幣処理装置 |
-
2009
- 2009-02-27 JP JP2009045683A patent/JP5234795B2/ja active Active
- 2009-09-29 CN CN2009101757249A patent/CN10181746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0-08 KR KR1020090095805A patent/KR10107592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817462B (zh) | 2012-07-04 |
KR101075927B1 (ko) | 2011-10-26 |
JP2010195574A (ja) | 2010-09-09 |
CN101817462A (zh) | 2010-09-01 |
JP5234795B2 (ja) | 201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5927B1 (ko) | 지엽류 수납 장치 | |
KR100984533B1 (ko) | 지엽류 집적 장치 | |
KR100492203B1 (ko) | 지폐 입출금 장치 | |
JP6591787B2 (ja) | 現金自動取引装置 | |
KR101909021B1 (ko) | 금융 기기 | |
JP2013088882A (ja) | 紙幣取扱装置 | |
AU2023266292A1 (en) |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 |
KR101628481B1 (ko) | 매체 저장부 | |
KR101471754B1 (ko) |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JP5898041B2 (ja) |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 |
KR101631791B1 (ko) | 금융 기기 | |
KR102694507B1 (ko) | 실리콘판을 갖는 지폐입금처리기 | |
KR101834498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 |
KR101880453B1 (ko) | 금융 기기 | |
JP2007091436A (ja) | 紙幣入出金装置を備えた現金自動取引装置 | |
JP2002053234A (ja) | 紙葉類送出装置 | |
RU275396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 |
JP3120397B2 (ja) | 自動取引装置 | |
KR101631806B1 (ko) | 금융 기기 | |
KR101637698B1 (ko) | 매체 저장부 | |
KR20170112336A (ko) |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 |
KR20160053040A (ko) | 매체 저장부 | |
KR20160045986A (ko) | 매체 저장부 | |
KR20170131907A (ko) |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처리방법 | |
KR20160032374A (ko) | 매체 저장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