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892A -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 Google Patents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892A
KR20100096892A KR1020090015973A KR20090015973A KR20100096892A KR 20100096892 A KR20100096892 A KR 20100096892A KR 1020090015973 A KR1020090015973 A KR 1020090015973A KR 20090015973 A KR20090015973 A KR 20090015973A KR 20100096892 A KR20100096892 A KR 2010009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runout table
runout
detection sensor
run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875B1 (ko
Inventor
류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8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22D11/1265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having auxiliary devices for 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설비의 디버링 작업시 슬라브의 위치에 따라 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는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팅장치로부터 투입된 슬라브를 디버링부로 이동시키는 제1런아웃 테이블, 제1런아웃 테이블로부터 디버링부를 통해 투입된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제2런아웃 테이블, 제1런아웃 테이블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제2런아웃 테이블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및 슬라브의 이동 방향과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제1런아웃 테이블과 제2런아웃 테이블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주설비, 디버링부, 런아웃 테이블, 위치감지센서, 슬라브

Description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RUN OUT TABLE DRIVING DEVICE OF CONTINUOUS CASTING LINE}
본 발명은 연주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설비의 디버링 작업시 슬라브의 위치에 따라 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는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주공장은 래들의 하부에 턴디쉬가 위치되고, 턴디쉬의 하부에는 슬라브를 주조하기 위한 몰드가 배치되며, 몰드의 하류측에는 용강이 응고되어 형성된 슬라브를 일정길이로 용융, 절단시키기 위한 커터장치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터장치의 후류측으로는 슬라브의 하부면 전,후단에 부착된 절단 지금을 제거하기 위한 디버링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주설비에서는 턴디쉬로부터 용강이 몰드로 주입되고, 몰드내의 용강은 슬라브로 응고되면서 그 하류측으로 인출되며, 커터장치가 슬라브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브 절단부위에는 절단 과정에서 슬라브의 일부가 하부로 처지면서 슬라브의 양단부에 융착된다. 이를 절단 지금이라 하며, 그 재질은 탄소가 다량 함유된 산화물로서 슬라브의 재질과는 상이하므로 절단 지금을 제거하지 않고, 후공정인 열연에 슬라브를 공급하게 되면, 슬라브 품질에 큰 영향을 주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절단 지금을 제거하기 위해 디버링부를 구비하게 되었다.
디버링부는 커터장치로부터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런아웃 테이블에 설치되어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슬라브의 위치에 따라 구동하여 절단 지금을 제거하였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연주설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 테이블이 커팅장치로부터 이동되는 슬라브를 디버링부로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디버링부를 구동시켜 커팅장치에 의해 형성된 슬라브의 절단 지금을 제거한다.
이 때, 런아웃 테이블은 슬라브의 위치에 관계없이 계속 구동하게 되는데, 이는 연주설비에서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키고, 런아웃 테이블의 모터 수명을 감소시키게 되는 한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런아웃 테이블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브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슬라브의 위치에 따라 런아웃 테이블의 로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주설비에서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모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는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런아웃 테이블, 상기 각각의 런아웃 테이블을 통해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런아웃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운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는 커팅장치로부터 투입된 슬라브를 디버링부로 이동시키는 제1런아웃 테이블,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로부터 디버링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제2런아웃 테이블,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슬라브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브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고,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한 후, 상기 슬라브가 역방향으로 이동하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슬라브 선단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며,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한 후, 상기 슬라브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슬라브 후단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된 후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브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고,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한 후, 상기 슬라브가 역방향으로 이동하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슬라브 선단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며,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한 후, 상기 슬라브가 정방향으 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슬라브 후단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된 후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런아웃 테이블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브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슬라브의 위치에 따라 런아웃 테이블의 로트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연주설비에서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는 제어부(10), 제1감지센서(20), 제2감지센서(30), 런아웃 테이블(40,50)을 구비한다.
런아웃 테이블(40,50)은 커팅장치로부터 절단된 슬라브(S)를 이동시키는 것 으로서,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포함한다.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은 슬라브(S)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각각이 롤(44,54)과 이 롤(44,54)을 회전시키는 모터(42,52)를 구비한다.
참고로, 제1,2런아웃 테이블(40,50)에 있어서, 모터(42,52)를 회전시켜 롤(44,54)을 회전시킴으로써, 롤(44,54) 상에 위치한 슬라브(S)를 이동시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감지센서(20)와 제2감지센서(30)는 런아웃 테이블(40,50)을 통해 이동되는 슬라브(S)의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제1감지센서(20)와 제2감지센서(30)는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 사이에 설치되고, 특히 제1감지센서(20)는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감지센서(30)는 제2런아웃 테이블(5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 사이에는 슬라브(S)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는 디버링부(60)가 설치된다.
디버링부(60)는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브(S)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슬라브(S)의 절단 지금을 제거한다.
이러한 디버링부(60)는 슬라브(S)의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된 절단 지금을 제거하는 칼날을 구비한다. 디버링부(60)는 슬라브(S)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한 칼날을 상승시켜 슬라브(S)에 형성된 절단 지금을 타격함으로써 절 단 지금을 제거한다.
여기서, 디버링부(60)를 통해 슬라브(S)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는 것은 슬라브(S)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브(S)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식 해머로 절단 지금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디버링부(6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는 제1런아웃 테이블(40)로의 슬라브 투입 여부, 제1감지센서(20)와 제2감지센서(30)의 감지신호 온/오프, 디버링부(60)의 구동 여부 및 슬라브 이동 방향에 따라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0)의 제어과정은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운전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운전 장치의 동작 과정은 최초 커팅장치에 의해 절단된 슬라브(S)가 제1런아웃 테이블(40)에 투입되면, 슬라브(S)를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하여 정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킨다(S2).
참고로, 도 3 에 있어서 화살표는 슬라브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하여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2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하여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저속 이동시킨다(S4,S6).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하여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저속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 정지하여 슬라브(S)를 정지시킨다.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 정지하여 슬라브(S)를 정지시킨 후에는 디버링부(60)를 상승시킨다(S8).
디버링부(60)를 상승시킨 후,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운전하여 슬라브(S)를 역방향으로 중속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디버링부(60)에 의해 슬라브(S)의 전단 부분에 형성된 절단 지금이 제거된다(S10,S12). 아울러, 디버링부(60)를 하강시킨다.
이 후, 제1감지센서(30)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운전 정지하여 슬라브(S)를 정지시킨다(S14).
슬라브(S)를 정지시킨 후,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운전하여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킨다(S16,S18).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2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된 후,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의 운전을 제어하여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중속 이동시킨다(S20).
슬라브(S)가 계속 이동하여 제1감지센서(20)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디버링부(60)를 상승시켜 슬라브(S)의 후단에 형성된 절단 지금을 제거한다(S22).
이 후,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중속 이동시키고(S24),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 정지하며, 제2런아웃 테이블(50)의 슬라브(S) 배출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슬라브(S)를 정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킨다(S26). 이 때 디버링부(60)는 하강시킨다.
즉, 제어부(10)는 제1런아웃 테이블(40)에 슬라브(S)가 투입되면, 우선 슬라브(S)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한다. 이 후,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 정지한다.
다음으로, 슬라브(S)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운전한다. 이 때, 제1감지센서(20)와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운전 정지한다.
이 후, 슬라브(S)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런아웃 테이블(40)과 제2런아웃 테이블(50)을 운전한다. 이 때, 제1감지센서(20)와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된 후, 제1감지센서(20)와 제2감지센서(30)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제1런아웃 테이블(40)을 운전 정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제1감지센서
30: 제2감지센서 40: 제1런아웃 테이블
50: 제2런아웃 테이블

Claims (3)

  1.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런아웃 테이블;
    상기 각각의 런아웃 테이블을 통해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런아웃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운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2. 커팅장치로부터 투입된 슬라브를 디버링부로 이동시키는 제1런아웃 테이블;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로부터 디버링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제2런아웃 테이블;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슬라브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브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 고,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한 후, 상기 슬라브가 역방향으로 이동하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슬라브 선단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로부터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며,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한 후, 상기 슬라브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과 상기 제2런아웃 테이블을 운전하여 상기 슬라브 후단의 절단 지금을 제거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된 후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런아웃 테이블을 운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KR1020090015973A 2009-02-25 2009-02-25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KR10114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73A KR101148875B1 (ko) 2009-02-25 2009-02-25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73A KR101148875B1 (ko) 2009-02-25 2009-02-25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892A true KR20100096892A (ko) 2010-09-02
KR101148875B1 KR101148875B1 (ko) 2012-05-29

Family

ID=4300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973A KR101148875B1 (ko) 2009-02-25 2009-02-25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65B1 (ko) * 2012-01-31 2014-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냉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1816A (ja) * 1986-01-23 1987-07-28 Toshiba Corp 鋳片搬送装置
JPH0747469A (ja) * 1993-08-09 1995-02-21 Nippon Steel Corp スラブのノロ取り検査装置
JP3219982B2 (ja) * 1995-10-26 2001-10-15 川崎製鉄株式会社 連続鋳造鋳片の搬出装置及び搬出方法
KR100655644B1 (ko) * 2006-04-17 2006-12-08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플로팅 실 자동 생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65B1 (ko) * 2012-01-31 2014-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냉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875B1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641B2 (en)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as well as method for working ground surfaces
US20110266858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Ground Surfaces
KR102124091B1 (ko) 슬라브를 포함하는 강재의 버 제거 장치
KR101148875B1 (ko) 연주설비 런아웃 테이블 운전 장치
KR101399528B1 (ko) 슬라브의 절단설 제거방법
KR101388058B1 (ko) 절단설 제거장치
KR101354930B1 (ko) 연속주조 공정의 슬라브 측면 스케일 제거장치
KR101853830B1 (ko) 고로 탕도 내의 산화 내화물 제거장치
KR101193844B1 (ko) 연주설비의 디버러 제어 방법
KR100969794B1 (ko) 슬래브의 절단설 제거장치
JP2012529370A (ja) 素材速度測定装置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200183899Y1 (ko) 디버링 장치
KR101193843B1 (ko) 연주설비의 크롭 카 제어 방법
KR101040784B1 (ko) 다목적 버제거장치
KR20090004911U (ko) 상하 이동 부재를 구비한 디스켈러 헤더
KR100823584B1 (ko) 주편 절단면 홈발생 방지장치
KR20180079004A (ko) 디버어링 장치
CN212350628U (zh) 一种铜辊研削装置
KR200188748Y1 (ko) 슬래브 디버러의 자동정밀 제어장치
KR101148904B1 (ko) 코일 회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9004B1 (ko) 슬라브의 토오치 슬래그 제거장치
KR20170068683A (ko) 연속주조설비의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 절단방법
KR101398285B1 (ko) 롤표면 마모 방지기능이 구비된 구동장치
KR20000014704U (ko) 보조토치장치가 구비된 토치커팅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