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058B1 - 절단설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설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058B1
KR101388058B1 KR1020120044092A KR20120044092A KR101388058B1 KR 101388058 B1 KR101388058 B1 KR 101388058B1 KR 1020120044092 A KR1020120044092 A KR 1020120044092A KR 20120044092 A KR20120044092 A KR 20120044092A KR 101388058 B1 KR101388058 B1 KR 10138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deburring
rotors
slab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877A (ko
Inventor
도영주
문홍길
하태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05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의 벤딩(bending) 정도에 따른 슬라브의 저부의 높이차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디버링 로터들 커팅위치를 자동 조절하여 절단설을 제거함으로써, 슬라브의 벤딩 정도에 관계없이 정확한 절단설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절단설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벤딩된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형상에 대응하도록 슬라브의 폭 방향을 따라 굴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브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다수의 디버링 로터를 가지는 커팅수단; 및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디버링 로터의 커팅높이를 조절하는 커팅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절단설 제거장치{BURR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전단설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주조 설비에서 생산되는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에 생성되는 절단설(burr)을 제거하기 위한 절단설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 설비에서 연속 생산되는 슬라브(Slab)는 연주기의 롤을 따라 안내되고, 소정이 온도로 냉각되며, 수요자의 주문에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슬라브의 절단은 통상적으로 토치 절단 머신(TORCH CUTTING MACHINE)에 의해 일정한 치수로 절단된다. 이러한 절단 과정에서는 용융 산화 반응에 의해 녹아내린 슬라브의 용융물이 슬라브의 절단면 저부에 냉각 및 융착되는데, 이렇게 슬라브의 절단면 저부에 냉각 및 융착된 융융물을 "절단설(burr)"이라 한다.
한편, 절단설은 슬라브 적재과정에서 압착되어 수작업으로는 분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후공정인 압연공정에서 슬라브와 함께 압연되면 코일 파단 등과 같은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단설은 절단설 제거장치, 즉 디버링(deburring) 작업에 의해 제거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 2003-0006139 호(공개일자 : 2003. 01. 23, 명칭 : 절단설 제거를 위한 스트로커 조정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슬라브의 벤딩(bending) 정도에 따른 슬라브의 저부의 높이차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디버링 로터들 커팅위치를 자동 조절하여 절단설을 제거함으로써, 슬라브의 벤딩 정도에 관계없이 정확한 절단설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절단설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단설 제거장치는, 벤딩된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형상에 대응하도록 슬라브의 폭 방향을 따라 굴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브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다수의 디버링 로터를 가지는 커팅수단; 및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디버링 로터의 커팅높이를 조절하는 커팅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디버링 로터들의 외주면 상에는 커터들이 장착되며, 서로 인접한 각각의 디버링 로터들은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 받으면서 굴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팅높이조절수단은, 서로 인접한 각각의 디버링 로터들을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측정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각각의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모터는 지면에서 각각의 디버링 로터의 양단 측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하우징에 배치되고, 높이조절모터에는 피니언 기어가 장착되며, 피니언 기어는 지지블록의 하부에서부터 높이조절하우징의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치합될 수 있다.
커팅수단은, 서로 연결된 디버링 로터들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디버링 로터들을 커팅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절단설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디버링 로터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는, 서로 연결된 디버링 로터의 양단에 배치되는 승강 하우징; 각각의 승강 하우징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어링블록; 베어링블록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인접한 디버링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어느 하나에는 메인구동모터가 연결되는 회전축; 및 승강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어링블록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설 제거장치는, 슬라브의 벤딩 정도에 따른 슬라브의 저부의 높이차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디버링 로터들의 커팅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절단설을 제거함으로써, 슬라브의 벤딩 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절단설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며, 그로 인해 절단설 미제거로 인한 후속공정 상의 문제 발생이나 제품의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버링 로터들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함으로써, 벤딩된 슬라브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디버링 로터들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용강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설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팅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로터들의 연결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으로써, 연속주조(連續鑄造, Continuous casting)는 용융금속을 바닥이 없는 주형(Mold)에서 응고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주물 또는 강괴(剛塊, steel ingot)를 뽑아내는 주조법이다. 연속주조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등 단순한 단면형의 긴 제품과 주로 압연용 소재인 슬라브, 블룸, 빌릿과 같은 중간소재를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연속주조기의 형태는 수직형, 수직굴곡형, 수직축차굴곡형, 만곡형, 수평형 등으로 분류되며, 도 1 및 도 2에서는 만곡형 연속주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주조기는 턴디쉬(20), 주형(30), 2차 냉각대(60, 65), 핀치롤(70), 및 절단기(90)를 포함한다.
턴디쉬(Tundish; 20)는 래들(Ladle; 10)로부터 용융금속을 받아 주형(Mold; 30)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기이다. 래들(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교대로 용강(M)을 받아서 턴디쉬(20)에 공급한다. 턴디쉬(20)에서는 주형(30)으로 흘러드는 용융금속의 공급 속도조절, 각 주형(30)으로 용융금속 분배, 용융금속의 저장,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介在物)의 분리 등이 이루어진다.
주형(30)은 통상적으로 수냉식 구리제이며, 수강된 용강이 1차 냉각되게 한다. 주형(30)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슬라브를 제조하는 경우에, 주형(30)은 한 쌍의 장벽과, 장벽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벽은 장벽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게 된다. 주형(30)의 벽들, 주로는 단벽들은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되어 일정 수준의 테이퍼(Taper)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는 주형(30) 내에서 용강(M)의 응고로 인한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한다. 용강(M)의 응고 정도는 강종에 따른 탄소 함량, 파우더의 종류, 주조 속도 등에 의해 달라진다.
주형(30)은 주형(30)에서 뽑아낸 주물의 모양을 유지하고, 아직 응고가 덜 된 용융금속이 유출되지 않게 강한 응고각(凝固殼) 또는 응고쉘(Solidifying shell; 81, 도 2참조)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 구조에는 구리관을 이용하는 방식, 구리블록에 수냉홈을 형성하는 방식, 수냉홈이 있는 구리관을 조립하는 방식 등이 있다.
주형(30)은 용강이 주형(30)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실레이터(40)에 의해 오실레이션(oscillation; 왕복운동)된다. 오실레이션 시 주형(30)과 주물과의 마찰을 줄이고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가 이용된다. 윤활제로는 주형(30) 내의 용융금속 표면에 첨가되는 파우더(Powder)를 사용한다. 파우더는 주형(30) 내의 용융금속에 첨가되어 슬래그가 되며, 주형(30)과 주물의 윤활뿐만 아니라 주형(30) 내 용융금속의 산화, 질화 방지와 보온, 용융금속의 표면에 떠오른 비금속 개재물의 흡수의 기능도 수행한다. 파우더를 주형(30)에 투입하기 위하여, 파우더 공급기(50)가 설치된다. 파우더 공급기(50)의 파우더를 배출하는 부분은 주형(30)의 입구를 지향한다.
2차 냉각대(60, 65)는 주형(30)에서 1차로 냉각된 용강(M)을 추가로 냉각한다. 1차 냉각된 용강(M)은 지지롤(60)에 의해 응고각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되면서,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직접 냉각된다. 주물 응고는 대부분 2차 냉각대(60, 65)에 의해 이루어진다.
핀치롤(70)은 인발장치(引拔裝置)로서, 주물이 미끄러지지 않게 뽑아내도록 몇 조의 핀치롤(70)들을 이용하는 멀티드라이브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다. 핀치롤(70)은 용강(M)의 응고된 선단부를 주조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주형(30)을 통과한 용강(M)이 주조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절단기(90)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주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절단기(90)로는 토치 절단 머신(TORCH CUTTING MACHINE)이 채용될 수 있다.
하기에는 용강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강(M)은 래들(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턴디쉬(20)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을 위하여, 래들(10)에는 턴디쉬(20)를 향해 연장하는 슈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15)이 설치된다. 슈라우드 노즐(15)은 용강(M)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 질화되지 않도록 턴디쉬(20) 내의 용강(M)에 잠기도록 연장된다. 슈라우드 노즐(15)의 파손 등으로 용강(M)이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를 오픈 캐스팅(Open casting)이라 한다.
턴디쉬(20) 내의 용강(M)은 주형(30) 내로 연장하는 침지노즐(Submerged Entry Nozzle; 25)에 의해 주형(30) 내로 유동하게 된다. 침지노즐(25)은 주형(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침지노즐(25)의 양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용강(M)의 유동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침지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의 시작, 토출 속도, 및 중단은 침지노즐(25)에 대응하여 턴디쉬(20)에 설치되는 스토퍼(stopper; 21)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21)는 침지노즐(25)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침지노즐(25)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수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침지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유동에 대한 제어는, 스토퍼 방식과 다른,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게이트는 판재가 턴디쉬(2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침지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주형(30) 내의 용강(M)은 주형(30)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M)의 중심보다는 주변부가 수냉되는 주형(30)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주변부가 먼저 응고되는 방식에 의해, 연주주편(80)의 주조 방향을 따른 뒷부분은 미응고 용강(82)이 용강(M)이 응고된 응고쉘(81)에 감싸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핀치롤(70; 도 1참조)이 완전히 응고된 연주주편(80)의 선단부(83)를 잡아당김에 따라, 미응고 용강(82)은 응고쉘(81)과 함께 주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응고 용강(82)은 위 이동 과정에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냉각된다. 이는 연주주편(80)에서 미응고 용강(82)이 차지하는 두께가 점차로 작아지게 한다. 연주주편(80)이 일 지점(85)에 이르면, 연주주편(80)은 전체 두께가 응고쉘(81)로 채워지게 된다. 응고가 완료된 연주주편(80)은 절단 지점(91)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슬라브, 블룸, 빌릿 등과 같은 중간소재로 나눠진다.
한편, 절단기(90)의 후방으로는 절단기(90)에 의해 절단된 중간소재, 예를 들면 슬라브의 절단면 저부에 형성된 절단설(burr)을 제거하기 위한 절단설 제거장치가 마련된다.
그런데, 전술한 절단설 제거장치는 절단설을 제거하는 디버링 로터가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한 슬라브에 대한 절단설 제거 작업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슬라브의 전단 또는 후단이 만곡되게 벤딩될 경우 전단설이 타격되지 않아 전단설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브의 벤딩 정도에 관계없이 정확한 절단설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절단설 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설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단설 제거장치(100)는, 연속 주조 설비에 의해 생산된 슬라브(S)를 절단하는 절단기(90; 도 1 참조)의 뒤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설 제거장치(100)는, 측정센서(110)와, 측정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슬라브(S)의 전단(前端) 및 후단(後端)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절되면서 슬라브(S)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커팅수단(120), 및 측정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디버링 로터(122)들의 커팅높이를 조절하는 커팅높이조절수단(150),을 포함한다.
먼저, 측정센서(110)는 슬라브(S)의 진행에 간섭되지 않게 슬라브(S)를 후술하는 커팅수단(120) 측으로 안내하는 롤러(114)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측정센서(110)는 롤러(114)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브(S)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 즉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높이차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측정센서(110)는 통상의 CCD 카메라, 또는 통상의 거리센서(distant sensor)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이와 같은 측정센서(110)의 뒤쪽으로는 커팅수단(120)이 배치된다.
커팅수단(120)은 슬라브(S)의 절단설을 제거하는 다수의 디버링 로터(122)를 포함한다. 디버링 로터(122)들은 슬라브(S)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되거나, 또는 슬라브(S)의 진행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디버링 로터(122)는 슬라브(S)의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되며, 디버링 로터(122)들의 외주면 상에는 커터(124)들이 장착된다. 커터(124)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디버링 로터(122)와 함께 회전하면서 슬라브(S)의 절단설의 절삭을 수행한다.
한편, 디버링 로터(122)들은 각각 회전력이 전달됨과 아울러 굴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서로 인접한 각각의 디버링 로터(122)들은 통상의 유니버설 조인트(1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디버링 로터(122)들 사이에는 유니버설 조인트 축(128)이 배치되고, 유니버설 조인트 축(128)의 일단 및 타단에 "+"자 형상을 가지는 십자형 저널(130)에 의해 연결되는 각각의 요크(132)가 배치되는데, 각각의 요크(132)는 인접한 디버링 로터(122)의 회전중심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126)에 의해 서로 연결된 각각의 디버링 로터(122)들은 유니버설 조인트(126)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유니버설 조인트(126)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아 절단설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커팅수단(120)은 승강부(134) 및 메인구동모터(146)를 더 포함하는데, 승강부(134)는 유니버설 조인트(126)에 의해 서로 연결된 디버링 로터(122)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절단설 제거 시 디버링 로터(122)들을 커팅위치로 상승시키고, 절단설 제거 완료 시 디버링 로터(122)들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메인구동모터(146)는 절단설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디버링 로터(122)들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승강부(134)는 서로 연결된 디버링 로터(122)의 양단에 배치되는 승강 하우징(136)과, 각각의 승강 하우징(136)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어링블록(138)과, 베어링블록(138)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인접한 디버링 로터(122)와 연결되어 디버링 로터(1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40), 및 승강 하우징(136)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어링블록(138)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실린더(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실린더(142)에서 연장되는 실린더로드(144)의 연장단부는 승강 하우징(136)의 상부를 관통 연장되어 베어링블록(138)의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디버링 로터(122), 디버링 로터(122)들의 양단과 연결된 회전축(140) 및 회전축(14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베어링블록(138)은 승강실린더(142)의 작동에 의해 승강된다.
한편, 메인구동모터(146)는 어느 하나의 회전축(140)과 연결되어 디버링 로터(1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메인구동모터(146)는 승강부(134)에 작동, 즉 승강실린더(142)에 작동에 의해 베어링블록(138)을 따라 승강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커팅수단(120)에는 커팅높이조절수단(150)이 배치된다.
커팅높이조절수단(150)은 각각의 디버링 로터(122)의 일단 및 타단에 장착된 요크(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152), 및 각각의 지지블록(152)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모터(154)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모터(154)는 측정센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센서(112)의 신호를 받아 구동된다. 즉 높이조절모터(154)는 측정센서(112)에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각각의 지지블록(152)을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모터(154)는 지면에서 각각의 디버링 로터(122)의 일단 및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하우징(156)에 배치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모터(154)에는 피니언 기어(158)가 장착된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158)는 지지블록(152)의 하부에서부터 높이조절하우징(156)의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랙 기어(160)에 맞물리도록 치합된다.
즉, 높이조절모터(154)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158)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면 피니언 기어(158)와 맞물린 랙 기어(160)는 승하강되고, 그로 인해 랙 기어(160)와 연결된 지지블록(152)도 승하강하면서 각각의 디버링 로터(122)의 커팅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절단설 제거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절단기(90; 도 1참조)에 의해 절단된 슬라브(S)가 절단설 제거장치(100) 측으로 장입되면, 커팅수단(120)은 승강실린더(142)를 작동시켜 서로 연결된 디버링 로터(122)를 커팅위치로 안내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슬라브(S)가 롤러(114)를 따라 안내되면, 측정센서(110)는 슬라브(S)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을 측정하는데, 이렇게 측정센서(110)가 슬라브(S)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을 측정하면, 측정센서(110)는 측정값에 따라 각각의 높이조절모터(154)를 작동시켜 디버링 로터(122)들의 커팅위치를 조절한다. 이렇게 디버링 로터(122)들의 커팅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디버링 로터(122)들의 커팅위치는 슬라브(S)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커팅수단(120) 측으로 장입되는 슬라브(S)의 전단 및 후단이 벤딩(bending)되더라도 디버링 로터(122)들의 커팅위치를 슬라브(S)의 전단 및 후단에 대응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슬라브(S)의 벤딩 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절단설 제거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절단설 제거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절단설 제거장치 110 : 측정센서
120 : 커팅수단 122 : 디버러 로터
124 : 커터 126 : 유니버설 조인트
134 : 승강부 146 : 메인구동모터
150 : 커팅높이조절수단

Claims (6)

  1. 벤딩된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브의 폭 방향을 따라 굴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절단설을 제거하는 다수의 디버링 로터를 가지는 커팅수단; 및
    상기 슬라브의 전단 및 후단 저부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상기 디버링 로터의 커팅높이를 조절하는 커팅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디버링 로터들의 외주면 상에는 커터들이 장착되며, 서로 인접한 각각의 상기 디버링 로터들은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 받으면서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절단설 제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높이조절수단은,
    서로 인접한 각각의 상기 디버링 로터들을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정센서에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각각의 상기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모터;를 포함하는 절단설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모터는 지면에서 각각의 상기 디버링 로터의 양단 측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모터에는 피니언 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서부터 상기 높이조절하우징의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치합되는 절단설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서로 연결된 상기 디버링 로터들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디버링 로터들을 커팅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절단설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디버링 로터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절단설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서로 연결된 디버링 로터의 양단에 배치되는 승강 하우징;
    각각의 상기 승강 하우징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어링블록;
    상기 베어링블록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인접한 상기 디버링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어느 하나에는 상기 메인구동모터가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승강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블록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절단설 제거장치.
KR1020120044092A 2012-04-26 2012-04-26 절단설 제거장치 KR10138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92A KR101388058B1 (ko) 2012-04-26 2012-04-26 절단설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92A KR101388058B1 (ko) 2012-04-26 2012-04-26 절단설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77A KR20130120877A (ko) 2013-11-05
KR101388058B1 true KR101388058B1 (ko) 2014-04-22

Family

ID=4985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092A KR101388058B1 (ko) 2012-04-26 2012-04-26 절단설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8116A (zh) * 2014-11-26 2015-06-17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螺旋式旋转轴及其制造方法
KR20200060854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4B1 (ko) * 2018-09-05 2019-02-21 손현승 레이저 가공기 지지플레이트의 슬래그 제거장치
US11052477B2 (en) 2018-09-05 2021-07-06 Hyeon Seung SOHN Slag removal apparatus
CN112423925B (zh) * 2018-09-05 2023-10-24 孙贤昇 除渣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358U (ja) * 1981-10-08 1983-04-18 川崎製鉄株式会社 鋼片のト−チダレ除去装置
JPS62138524U (ko) * 1986-02-21 1987-09-01
KR19980046888A (ko) * 1996-12-13 1998-09-15 김종진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KR100784421B1 (ko) 2001-07-11 2007-12-11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제거를 위한 스트로커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358U (ja) * 1981-10-08 1983-04-18 川崎製鉄株式会社 鋼片のト−チダレ除去装置
JPS62138524U (ko) * 1986-02-21 1987-09-01
KR19980046888A (ko) * 1996-12-13 1998-09-15 김종진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KR100784421B1 (ko) 2001-07-11 2007-12-11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제거를 위한 스트로커 조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8116A (zh) * 2014-11-26 2015-06-17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螺旋式旋转轴及其制造方法
KR20200060854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77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038B1 (ko) 큰 단면을 갖는 긴 주괴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플랜트
KR101388058B1 (ko) 절단설 제거장치
KR101109450B1 (ko) 침지 노즐 막힘 정도 추정 방법 및 침지 노즐 교환 시기 추정 방법
KR20130120843A (ko) 고품질 주편 제조방법
KR20120022080A (ko) 용강 자동 샘플링 장치
KR20120001823A (ko) 슬라브 코너 절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코너 스카핑 방법
KR101368350B1 (ko) 용강의 탄소증가량 예측장치 및 그 방법
KR101175629B1 (ko) 슈라우드 노즐 장착 장치
KR20130046739A (ko) 노즐 실링용 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59605B1 (ko) 조절형 탕면 프로파일 측정 장치
KR101193857B1 (ko) 슈라우드 노즐 교체 장치
KR101204960B1 (ko) 탕면 유동 검사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85919B1 (ko) 침지 노즐 막힘 경고 방법
KR101159598B1 (ko) 몰드 파우더 점도 추정 방법
KR20110121026A (ko)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KR101400039B1 (ko) 냉각장치
KR101435115B1 (ko) 슬라브 표면 결함 예측 방법
KR20120001087A (ko) 슈라우드 노즐 교체 장치 및 방법
KR20120020483A (ko) 노즐조작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0345B1 (ko) 턴디쉬내 용강 측온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4299A (ko) 연속주조용 몰드 단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93875B1 (ko) 슈라우드 노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20356B1 (ko) 연속주조시 연연주수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CN108367343B (zh) 用于执行连续铸造机的终止操作的设备和方法
KR101435113B1 (ko) 열연 코일 에지부 선형결함 저감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