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888A -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888A
KR19980046888A KR1019960065305A KR19960065305A KR19980046888A KR 19980046888 A KR19980046888 A KR 19980046888A KR 1019960065305 A KR1019960065305 A KR 1019960065305A KR 19960065305 A KR19960065305 A KR 19960065305A KR 19980046888 A KR19980046888 A KR 1998004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utter
roller
measuring mean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8850B1 (ko
Inventor
이호훈
박상덕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6006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8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공장의 연주기에서 주조된 슬리브(1)를 가스절단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였을 때 슬리브(1)의 절단된 전, 후단부에 생기는 버(2-1)(2-2)를 슬라브(1)의 상향, 또는 하향 만곡정도에 관계없이 항시 정확히 제거해내도록 할 수 있는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버제거대상 슬라브(1)(1-1)(1-2)의 저부에 접동되는 롤러(5-1)와, 한쪽 단부가 장치의 적소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그 반대쪽 가동단부에는 상기 롤러(5-1)를 설치지지한 링크(5-2)와, 상기 링크(5-2)의 일측 및 반대측에 설치제공된 스프링(5-3) 및 스토퍼(5-4)와, 상기 링크(5-2)의 고정단부에 연결설치된 엔코더(5-5)로 이루어진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과, 상기 측정수단(5)의 측정결과에 상응하여 버제거 커터(3-2)를 적합한 버제거작업 위치로 자동이동시켜 주는 커터이동용 실린더(3-5), 서보밸브(6-1), 제어기(6-2)로 이루어진 커터높이 조절수단(6)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본 발명은 제철소 연주공장의 연주기에서 주조된 슬라브(slab)를 일정 길이로 절단할 때 슬라브의 전, 후단부에 생기는 버(bur)를 제거하는 장치(이하 디버러(deburrer)로 칭함)의 개선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버가 형성된 슬라브 전, 후단부의 만곡정도에 따라 버제거 커터(deburring cutter)의 높이를 자동조절하여 항시 최적의 정확한 디버링(deburring)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의 연주공장에서는 용융선철로부터 슬라브가 생산되어지는데, 도 1 (a) 및 도 1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주공장의 연주기에서 주조된 슬라브(1)를 원하는 길이로 자르기 위해 가스절단을 하면 절단된 슬라브(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가스절단으로 인한 버(2-1)(2-2)가 생기게 되며, 이와 같이 생긴 버(2-1)(2-2)를 적절히 제거해 주지 않으면 후속 공정인 열연, 냉연 공정의 수행상에 문제를 불러 일으키거나 제품의 품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연주공장에서는 주조된 슬라브를 일정 길이로 잘라내는 가스절단기와 마킹머신(marking machine) 사이에 버제거를 위한 커터(3-2)를 구비한 디버러(3)를 설치하여 절단 슬라브(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생긴 버(2-1)(2-2)에 대하여 상기 커터(3-2)를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깎아 내도록 하고 있다. 이는 즉, 포토센서(4)가 슬라브(1) 전단부의 진입을 감지하면 도 1 (a)와 같이 커터(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브 전단부의 버(2-1)를 깎아 내고, 상기 포토센서(4)가 슬라브(1) 후단부의 통과를 감지하면 도 1 (b)와 같이 커터(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브 후단부의 버(2-2)를 깎아 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제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버제거를 수행하는 커터(3-2)의 커터날(3-3)은 사용에 따라 점차 마모되므로 그 마모상태에 따라 커터(3-2)의 높이를 조절해주어야 한다.
둘째, 도 2 (a)와 같이 전, 후단부가 아래로 만곡된 슬라브(1-1)의 버제거시 커터(3-2)를 적절히 내려주지 않으면 슬라브(1-1)가 커터(3-2) 및 커터날(3-3)에 충격손상을 줄 수 있다.
셋째, 도 2 (b)와 같이 전, 후단부가 위로 만곡된 슬라브(1-2)의 버제거시에는 커터(3-2)를 적절히 올려 주지 않으면 버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3 (a)~도 3 (c)는 상술한 슬라브의 버제거를 위해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장치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인데, 슬라브(1)의 만곡정도에 따라 슬라브(1) 및 커터(3-2)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현재는 조작자의 경험에 의해 커터이동용 실린더(3-5)로 커터(3-2)를 내린 상태에서 철편이송용 실린더(3-6)를 이용하여 약 1mm 정도의 높이차를 갖는 4단의 철편(3-4)을 움직여서 슬라브(1)와 커터(3-2)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고 다시 커터이동 실린더(3-5)로부터 커터(3-2)를 상승고정시킨 후 작업을 수행토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확한 조절이 어려우므로 버의 정밀한 제거가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슬라브의 만곡정도에 따른 슬라브 저부의 높이차를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에 상응하는 최적의 높이로 버제거 커트를 자동 이동시켜 항시 정확한 버제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연구완성된 것이다.
도 1 (a)는 종래의 연주기에서 슬라브상의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작업의 개요도로서, 슬라브의 전단부 버에 대한 디버링작업 상태.
도 1 (b)는 위와 동일한 개요도로서, 슬라브의 후단부 버에 대한 디버링작업 상태.
도 2 (a)는 종래의 연주기에서 아래로 만곡된 슬라브에 대한 디버링작업 상태도.
도 2 (b)는 종래의 연주기에서 위로 만곡된 슬라브에 대한 디버링작업 상태도.
도 3 (a)는 종래의 연주기 디버러의 평면도.
도 3 (b)는 위 디버러의 측면도.
도 3 (c)는 위 디버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개요도.
도 5 (a)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아래로 만곡된 슬라브에 대한 디버링작업 상태도.
도 5 (b)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위로 만곡된 슬라브에 대한 디버링작업 상태도.
도 6 (a) 및 도 6 (b)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위, 아래로 만곡된 슬라브 선단부 위치와 관련된 측정수단 롤러의 바람직한 설치위치 및 롤러 직경 범위를 보여주는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 슬라브 높이차 측정원리를 보여주는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2:슬라브2-1,2-2:버
3:디버러3-1:슬라브이송 롤러
3-2:커터3-3:커터날
3-5:커터이동용 실린더4:포토센서
5:측정수단5-1:롤러
5-2:링크5-3:스프링
5-4:스토퍼5-5:엔코더
6:커터 높이 조절수단6-1:서보밸브
6-2:제어기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절단 슬라브의 만곡정도에 따른 슬라브 저부 높이차를 측정하는 수단과, 동 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 버제거 커터를 그 경우에 맞는 최적의 버제거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높이로 자동 이동시켜 주는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개요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부호 3은 디버러, 3-1은 슬라브이송 롤러, 3-2는 버제거 커터, 3-5는 커터이동용 실린더를 각각 나타내며, 이들을 전술한 종래의 디버러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가스절단기(도시되지 않음)로 절단된 후 롤러(3-1)을 타고 이송되어오는 슬라브의 저부에 접촉해서 구르는 롤러(5-1)와, 한쪽 단부가 장치의 적소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지지되고 그 반대쪽의 가동단부에는 상기 롤러(5-1)를 설치지지한 링크(5-2)와, 상기 링크(5-2)의 일측 및 반대측에 설치제공된 스프링(5-3) 및 스토퍼(5-4)와, 상기 링크(5-2)의 고정단부에 연결설치된 엔코더 또는 포텐셔미터(5-5)로 이루어진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 커터(3-2)를 적합한 높이로 이동시켜 주는 커터이동용 실린더(3-5), 서브밸브(6-1), 제어기(6-2)로 이루어진 커터 높이 조절수단(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는 슬라브 저부에 접촉하는 롤러(5-1)에 연결설치된 링크(5-2)의 변위를 이용하여 슬라브 하단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2조의 동일한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을 도시된 예와 같이 설치사용할 경우 버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브 하단부의 높이와 함께 해당 슬라브의 만곡된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슬라브의 만곡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는 커터(3-2)로부터 인접한 적소에 하나의 측정수단(5)만을 설치해 주어도 바의 위치측정 및 그에 상응하는 적합한 디버링위치로의 커터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측정수단(5)에 있어서 스토퍼(5-4)는 링크(5-2) 및 롤러(5-1)가 규정 위치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정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스프링(5-3)은 링크(5-2)를 스토퍼(5-4)쪽으로 탄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커터이동용 실린더(3-5), 서보밸브(6-1), 제어기(6-2)를 포함하는 상기 커터 높이 조절수단(6)은, 전술한 측정수단(5)에 있어서 롤러(5-1)에 접촉하여 이동되는 슬라브 하단부의 높이에 상응하는 각도로 링크(5-2)가 그 고정단부를 중심으로 각도변위를 일으키면 이 변위가 엔코더(5-5)를 통해 측정되고 상기 엔코터(5-5)는 그 측정값이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기(6-2)로 전달하여 동 제어기(6-2)가 서보밸브(6-1) 및 실린더(3-5)를 작동시켜 커터(3-2)를 해당 슬라브 하단부의 높이에 상응하는 최적의 디버링 작업장치로 가져 가도록 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해 본다면, 도 5 (a)와 같이 가스절단기로 절단된 그 전단부 및 후단부가 아래로 굽은 슬라브(1-1)의 경우 등 슬라브(1-1)의 전, 후단부에 형성된 버(2-1)(2-2)는 편평한 슬라브(1)의 경우보다 아래로 치우친 위치에 있게 되며, 이 경우 버제거 커터(3-2)는 전술한 측정수단(5) 및 높이 조절수단(6)의 작용에 의해 편평한 슬라브(1)에 대한 버제거 작업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로 높이조정되어 디버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5 (b)와 같이 가스절단기로 절단된 그 전단부 및 후단부가 위로 굽은 슬라브(1-2)의 경우는 등 슬라브(1-2)의 전, 후단부에 형성된 버(2-1)(2-2)가 편평한 슬라브(1)의 경우보다 위로 치우친 위치에 있게 되므로 이 경우는 버제거 커터(3-2)가 편평한 슬라브(1)에 대한 버제거 작업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로 높이조정되어 디버링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정수단(5)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2조의 측정수단(5)을 디버러(3)의 버제거 커터(3-2)와 슬라브이송 롤러(3-1)사이, 그리고 다른 슬라브이송 롤러(3-1) 및 롤러(3-1)사이에 각각 설치제공하고, 각 측정수단(5)의 롤러(5-1)를 도 6 (a)와 같이 최대로 상향 만곡된 슬라브(1-2) 선단의 하단 모서리부위보다 약간 높이 위치에 있도록 하여 설치한다. 상기 롤러(5-1)의 길이는 너무 짧지 않은 범위내에서 적절한 길이로 하고, 동 롤러(5-1)의 직경(b)와 같이 최대로 하향 만곡된 슬라브(1-1) 선단의 하단 모서리부위가 롤러(5-1)의 직경의 ¼보다 높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하여 정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디버링작업이 완료되고 지나간 슬라브가 후진할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측정수단(5)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의 초기 보정(Calibration)방법은, 도 7에서와 같이 디버러(3)의 롤러(3-1)위에 휘지 않은 편평한 슬라브(1)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엔코더(5-5)에서의 측정값을 링크(5-2)의 기울기 각도θ로 환산하여 제어기(6-2)에 기억시킨다. 단부가 위로 굽은 슬라브(1-2)의 경우와 같이 슬라브의 휨 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5-2)의 기울기 각도변화 △θ가 생기면 그 때의 높이차 △h는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h=ℓ[sin(θ+△θ)-sin θ]
상기 식에서 ℓ은 링크(5-2)의 길이이다.
상기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을 도 5 (a), 도 5 (b)와 같이 2조를 설치사용하면 각 측정수단(5)에서 측정된 높이차이와 두 측정수단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슬라브가 만곡된 정도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버제거대상 슬라브 하단부의 높이차가 측정되면 제어기(6-2)에서는 서보밸브(6-1)에 명령을 주어 커터이동용 실린더(3-5)를 측정된 높이차만큼 움직여서 커터(3-2)의 커터날(3-3) 끝이 항상 슬라브의 밑면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장치의 사용에 따라 커터날(3-3)이 마모되면 제어기(6-2)를 통해 커터(3-2)의 높이를 그만큼 보상해주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을 통해 편평한 슬라브(1) 뿐만 아니라 위, 아래로 만곡된 슬라브(1-1)(1-2)에 대해서도 항시 정확한 버제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버의 미제거로 인한 후속공정상의 문제점 발생이나 제품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장치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슬라브이송 롤러(3-1)들을 타고 일방향으로 이송되어 오는 슬라브(1)(1-1)(1-2)의 저부에 접동되는 롤러(5-1)와, 한쪽 단부가 장치의 적소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그 반대쪽 가동단부에는 상기 롤러(5-1)를 설치지지한 링크(5-2)와, 상기 링크(5-2)의 일측 및 반대측에 설치제공된 스프링(5-3) 및 스토퍼(5-4)와, 상기 링크(5-2)의 고정단부에 연결설치된 엔코더(5-5)로 이루어진 슬라브 높이 측정수단(5)과, 상기 측정수단(5)의, 측정결과에 상응하여 버제거 커터(3-2)를 적합한 버제거 작업 높이로 이동시켜 주는 커터이동용 실린더(3-5), 서보밸브(6-1), 제어기(6-2)로 이루어진 커터 높이 조절수단(6)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5)이 한 슬라브이송 롤러(3-1)와 커터(3-2) 사이, 그리고 다른 슬라브이송 롤러(3-1)와 롤러(3-1)사이에 동일하게 설치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5)의 롤러(5-1)가 상향 만곡된 슬라브(1-2) 선단의 하단 모서리부위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5)의 롤러(5-1)가, 하향 만곡된 슬라브(1-1) 선단의 하단 모서리부위가 롤러(5-1) 직경의 ¼보다 높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하는 범위의 직경(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KR1019960065305A 1996-12-13 1996-12-13 연주기의 디버러커터 높이 자동 조절 장치 KR10026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05A KR100268850B1 (ko) 1996-12-13 1996-12-13 연주기의 디버러커터 높이 자동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05A KR100268850B1 (ko) 1996-12-13 1996-12-13 연주기의 디버러커터 높이 자동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88A true KR19980046888A (ko) 1998-09-15
KR100268850B1 KR100268850B1 (ko) 2000-10-16

Family

ID=1948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305A KR100268850B1 (ko) 1996-12-13 1996-12-13 연주기의 디버러커터 높이 자동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8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87B1 (ko) * 2011-06-28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제거장치
KR101388058B1 (ko) * 2012-04-26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절단설 제거장치
KR101399528B1 (ko) * 2012-08-10 2014-05-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브의 절단설 제거방법
CN117047481A (zh) * 2023-10-12 2023-11-14 自贡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用铝型材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05B1 (ko) 2002-12-24 2010-02-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장입도어 제어장치
KR100967013B1 (ko) 2008-04-24 2010-06-30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87B1 (ko) * 2011-06-28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제거장치
KR101388058B1 (ko) * 2012-04-26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절단설 제거장치
KR101399528B1 (ko) * 2012-08-10 2014-05-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브의 절단설 제거방법
CN117047481A (zh) * 2023-10-12 2023-11-14 自贡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用铝型材切割装置
CN117047481B (zh) * 2023-10-12 2024-01-02 自贡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用铝型材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8850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699B1 (ko) 평탄도 측정 롤을 구비한 박 스트립 코일러
CN101099977A (zh) 精轧机架间带钢穿带时的活套控制方法
EP0377796A2 (de) Mess- und Ausrichteinrichtung an einer Rundschleifmaschine
GB2100475A (en) Apparatus to control the position of rolled strip during rolling
KR19980046888A (ko) 연주기의 디버러 커터 높이 자동조절장치
US4215558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taper leaf spring and its device
CN2242741Y (zh) 带钢自动对中装置的检测器
KR200227135Y1 (ko) 슬라브최적절단장치
CA1067320A (en) Roll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75183A (ko) 오스테나이트계 강, 혼합된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강, 및 페라이트계 강을 압연하는데 있어서 특정 제품특성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 조절 시스템
KR200301280Y1 (ko) 스트립장력감지에의한압연롤제어장치
ZA200303533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in slabs.
CA1058428A (en) Combination strip contacting device for use in a rolling mill
KR100265426B1 (ko) 조압연 엣저롤 간격 자동측정장치
KR100899708B1 (ko) 가변형 날판 길이 계측장치
CN111570528A (zh) 一种全连续热轧薄带线夹送辊辊缝曲线的标定方法
KR200302683Y1 (ko) 주편 용융덧살 자동제거장치
KR100832961B1 (ko) 주편 마킹설비의 주편마킹 센터링 및 레벨 조정장치
US3852988A (en) Machine for marking identification marks on billets, blooms and slags
US5927376A (en) Method to shear slabs arriving from a continuous casting plant and relative device
KR100518335B1 (ko) 소재 용접부 구간에서의 압연력 및 라인속도 제어장치
CN216965846U (zh) 一种钢卷加工用横向调节结构
KR200295668Y1 (ko) 슬라브의 버르제거장치
KR20040100431A (ko) 얼라인먼트 조정이 용이한 연주기의 롤장치
KR200207198Y1 (ko) 회전팔을 이용한 엣저롤 간격 자동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