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026A -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026A
KR20110121026A KR1020100040429A KR20100040429A KR20110121026A KR 20110121026 A KR20110121026 A KR 20110121026A KR 1020100040429 A KR1020100040429 A KR 1020100040429A KR 20100040429 A KR20100040429 A KR 20100040429A KR 20110121026 A KR20110121026 A KR 2011012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ging
slab
probe unit
measu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준
조원재
최주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026A/ko
Publication of KR2011012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편에 접촉하여 상기 주편의 벌징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 유닛;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브 유닛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변위 센서; 및 상기 프로브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성된 프로브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주편 벌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BULGING OF SLAB AND METHOD FOR MEASURING BULGING OF SLAB}
본 발명은, 연속주조에 있어서, 주편 벌징의 형상 및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주편의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turndish)에 받았다가 연속 주조기용 주형로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슬라브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상기 연속 주조기는 용강을 저장하는 래들과,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에서 출강되는 용강을 최초 냉각시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주물으로 형성하는 연속 주조기용 주형와, 상기 주형에 연결되어 주형에서 형성된 주물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래들과 턴디쉬에서 출강된 용강은 주형에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물로 형성되어 핀치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 사이에서의 벌징의 양뿐만 아니라 벌징의 형상을 측정할 수 있는 주편의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측정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편에 접촉하여 상기 주편의 벌징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 유닛;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브 유닛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변위 센서; 및 상기 프로브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성된 프로브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편 벌징 측정 장치는, 상기 관통 중공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냉각수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변위 센서는, 마그네틱 변위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주편 벌징 측정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주편 벌징 측정 장치는 상기 프로브 유닛을 측정 초기에 상기 주편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구성된 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을 상가 주편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주편 벌징 측정 방법은, 연속 주조를 통해 제조되는 주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하여 프로브 유닛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유닛의 원운동에 따라,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프로브 유닛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 유닛의 상하 변위를 측정하여 상기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주편 벌징 측정 방법은, 상기 프로브 유닛에 냉각수 공급 유닛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프로브 유닛의 상하 변위를 측정하여 상기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는, 마그네틱 변위 센서를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의 상하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프로브 유닛의 원운동에 따라,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 유닛을 상기 일면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 유닛이 임의의 점으로 이동가능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부분의 벌징량 및 벌징의 형상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차 냉각대의 공정조건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편 내부의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 장치의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연속주조(連續鑄造, Continuous casting)는 용융금속을 바닥이 없는 주형(鑄型, Mold)에서 응고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주물 또는 강괴(鋼塊, steel ingot)를 뽑아내는 주조법이다. 연속주조는 정사각형·직사각형·원형 등 단순한 단면형의 긴 제품과 주로 압연용 소재인 슬래브·블룸·빌릿을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
연속주조기의 형태는 수직형·수직굴곡형·수직축차굴곡형·만곡형·수평형 등으로 분류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만곡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속주조기는 턴디쉬(20)와, 주형(30)과, 2차냉각대(60 및 65), 핀치롤(70), 그리고 절단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턴디쉬(Tundish, 20)는 래들(Laddle, 10)로부터 용융금속을 받아 주형(Mold, 30)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기이다. 래들(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교대로 용강을 받아서 턴디쉬(20)에 공급하게 된다. 턴디쉬(20)에서는 주형(30)으로 흘러드는 용융금속의 공급 속도조절, 각 주형(30)으로 용융금속 분배, 용융금속의 저장,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介在物)의 분리 등이 이루어진다.
주형(30)은 통상적으로 수냉식 구리제이며, 수강된 용강이 1차 냉각되게 한다. 주형(30)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슬라브를 제조하는 경우에, 주형(30)은 한 쌍의 장벽과, 장벽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벽은 장벽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게 된다. 주형(30)의 벽들, 주로는 단벽들은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되어 일정 수준의 테이퍼(Taper)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는 주형(30) 내에서 용강(M)의 응고로 이한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한다. 용강(M)의 응고 정도는 강종에 따른 탄소 함량, 파우더의 종류(강냉형 Vs 완냉형), 주조 속도 등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주형(30)은 주형(30)에서 뽑아낸 주물이 모양을 유지하고, 아직 응고가 덜 된 용융금속이 유출되지 않게 강한 응고각(凝固殼) 또는 응고쉘(Solidifying shell, 81, 도 2 참조)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 구조에는 구리관을 이용하는 방식, 구리블록에 수냉홈을 뚫는 식, 수냉홈이 있는 구리관을 조립하는 방식 등이 있다.
주형(30)은 용강이 주형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실레이터(40)에 의해 오실레이션(oscillation, 왕복운동)된다. 오실레이션 시 주형(30)과 주물과의 마찰을 줄이고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가 이용된다. 윤활제로는 뿜어 칠하는 평지 기름과 주형(30) 내의 용융금속 표면에 첨가되는 파우더(Powder)가 있다. 파우더는 주형(30) 내의 용융금속에 첨가되어 슬래그가 되며, 주형(30)과 주물의 윤활뿐만 아니라 주형(30) 내 용융금속의 산화·질화 방지와 보온, 용융금속의 표면에 떠오른 비금속 개재물의 흡수의 기능도 수행한다. 파우더를 주형(30)에 투입하기 위하여, 파우더 공급기(50)가 설치된다. 파우더 공급기(50)의 파우더를 배출하는 부분은 주형(30)의 입구를 지향한다.
2차 냉각대(60 및 65)는 주형(30)에서 1차로 냉각된 용강을 추가로 냉각한다. 1차 냉각된 용강은 지지롤(60)에 의해 응고각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되면서,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직접 냉각된다. 주물 응고는 대부분 상기 2차 냉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발장치(引拔裝置)는 주물이 미끄러지지 않게 뽑아내도록 몇 조의 핀치롤(70)들을 이용하는 멀티드라이브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다. 핀치롤(70)은 용강의 응고된 선단부를 주조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주형(30)을 통과한 용강이 주조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절단기(90)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주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절단기(90)로는 가스토치나 유압전단기(油壓剪斷機)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용강(M)은 래들(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턴디쉬(20)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을 위하여, 래들(10)에는 턴디쉬(20)를 향해 연장하는 슈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15)이 설치된다. 슈라우드 노즐(15)은 용강(M)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질화되지 않도록 턴디쉬(20) 내의 용강에 잠기도록 연장한다. 슈라우드 노즐(15)의 파손 등으로 용강(M)이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를 오픈 캐스팅(Open casting)이라 한다.
턴디쉬(20) 내의 용강(M)은 주형(30) 내로 연장하는 침지 노즐(SEN, Submerged Entry Nozzle, 25)에 의해 주형(30) 내로 유동하게 된다. 침지 노즐(25)은 주형(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침지 노즐(25)의 양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용강(M)의 유동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의 시작, 토출 속도, 및 중단은 침지 노즐(25)에 대응하여 턴디쉬(20)에 설치되는 스톱퍼(stopper, 21)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톱퍼(21)는 침지 노즐(25)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침지 노즐(25)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유동에 대한 제어는, 스톱퍼 방식과 다른,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게이트는 판재가 턴디쉬(2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주형(30) 내의 용강(M)은 주형(30)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M)의 중심보다는 주변부가 수냉되는 주형(30)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주변부가 먼저 응고되는 방식에 의해, 스트랜드(80)의 주조 방향을 따른 뒷부분은 미응고 용강(82)이 용강(M)이 응고된 응고쉘(81)에 감싸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핀치롤(70, 도 1)이 완전히 응고된 스트랜드(80)의 선단부(83)를 잡아당김에 따라, 미응고 용강(82)은 응고쉘(81)과 함께 주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응고 용강(82)은 위 이동 과정에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냉각된다. 이는 스트랜드(80)에서 미응고 용강(82)이 차지하는 두께가 점차로 작아지게 한다. 스트랜드(80)가 일 지점(85)에 이르면, 스트랜드(80)는 전체 두께가 응고쉘(81)로 채워지게 된다. 응고가 완료된 스트랜드(80)는 절단 지점(91)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슬라브 등과 같은 제품(P)으로 나뉘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장치(200)는, 하우징(210), 지지대(220), 프로브 유닛(230), 변위 센서(240), 프로브 구동 유닛(250), 냉각수 공급 유닛(260), 및 조절 프레임(27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주편 형상 측정 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내벽에는 후술하는 지지대 가이드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중공부를 구비하며, 그 중공부에는 후술하는 지지대(220)가 설치된다.
지지대(220)는, 상기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지지대(22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냉각수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브 유닛(230)은 주편에 접촉되어, 주편의 벌징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프로브 유닛(230)은 상기 지지대(22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유닛(230)은 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볼은 주편의 일굴곡에 따라 구르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브 유닛(230)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프로브 유닛(230)은 주편의 일면에 형성된 벌징의 형상 및 양을 측정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지지대(220)의 일단에서 90°절곡되어 설치됨으로써, 프로브 유닛(230)의 원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원운동을 함에 따라, 주편에 형성된 벌징을 면으로써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변위 센서(240)는 상기 프로브 유닛(230)의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에 따라 변위의 양 및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지지대(220)의 타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변위센서로서, 마그네틱 변위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마그네틱 변위센서로부터 획득된 주편의 벌징에 대한 형상은 데이터 수집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전송된다. 프로브 유닛(230)의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벌징의 형상 및 벌징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프로브 구동유닛(250)은 상기 프로브 유닛(230)를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220)의 타단에 연결된 구성요소이다. 즉, 지지대(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대(220)에 절곡되어 설치된 프로브 유닛(230)을 회전시킨다.
냉각수 공급 유닛(260)는 상기 프로브 유닛(23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지지대(220)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하고, 이 관통 중공부에는 냉각수 파이프(261)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브 유닛(230)은 주편의 고온의 열로 인하여, 고온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 공급 유닛(260)이 설치되고, 지지대(220)의 관통 중공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냉각수가 프로브 유닛(230)의 볼(주편과 접촉하는 구성요소)까지 공급되어, 프로브 유닛(230)을 냉각시킨다.
지지대 가이드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하우징(210)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22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한다. 접촉 저항에 의해 지지대(220)의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벌징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조절 프레임(270)은 상기 프로브 유닛(230)을 측정 초기에 상기 주편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조절 프레임(270)은 레일을 포함하고, 이 레일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은 수직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브의 회전운동과 더불어, 주편의 폭방향의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편과 프로브의 수직도 보장을 위해 각도 조정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조절 프레임(270) 및 프로브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0)의 타단에 설치된 프로브 구동 유닛(250)이 동작하게 되면, 지지대(220)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브 유닛(230)은 원운동을 하게 된다. 프로브 유닛(230)의 구성요소인 볼은 주편의 일면에 접촉하게 되고, 주편의 굴곡, 즉 벌징에 따라, 프로브 유닛(230) 및 지지대(220)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조절 프레임(270)은 하우징(210), 즉 지지대(220)를 주편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60) 사이에 있는 주편의 전부분에 대하여 벌징(100)의 형상 및 벌징(100)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 유닛(230)이 임의의 점으로 이동가능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부분의 벌징량 및 벌징의 형상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2차 냉각대의 공정조건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편 내부의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주편 벌징 형상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편 벌징 형상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연속 주조를 통해 제조되는 주편을 준비한다(S1). 그 다음, 롤러 사이에 상술한 주편 벌징 형상 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하여 프로브 유닛(230)을 접촉시킨다(S3). 그 다음, 프로브 구동 유닛(250)을 동작시켜, 상기 프로브 유닛(230)을 원운동시킨다(S5). 그러면, 이 원운동에 따라서, 프로브 유닛(230)은 상기 주편의 일면의 굴곡에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를 측정하여,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한다(S7). 즉, 여기서 벌징의 측정은, 마그네틱 변위 센서(240)를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230)의 상하 변위를 통해 측정하게 된다.
이때, 주편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프로브 유닛(230)을 열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브 유닛(230)에 냉각수 공급 유닛(260)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조절 프레임(270)을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230)을 상기 일면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함으로써, 주편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벌징의 양 및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래들 15: 슈라우드 노즐
20: 턴디쉬 25: 침지 노즐
30: 주형 40: 주형 오실레이터
50: 파우더 공급기 60: 지지롤
65: 스프레이 70: 핀치롤
80: 스트랜드 81: 응고쉘
82: 미응고 용강 83: 선단부
85: 응고 완료점
200 : 주편 벌징 측정 장치
210 : 하우징
220 : 지지대
230 : 프로브 유닛
240 : 변위 센서(마그네틱 변위 센서)
250 : 프로브 구동 유닛
260 : 냉각수 공급 유닛
270 : 조절 프레임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편에 접촉하여 상기 주편의 벌징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 유닛;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브 유닛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변위 센서; 및
    상기 프로브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성된 프로브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관통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중공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냉각수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센서는, 마그네틱 변위 센서인, 주편 벌징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을 측정 초기에 상기 주편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구성된 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상가 주편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을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장치.
  7. 연속 주조를 통해 제조되는 주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하여 프로브 유닛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유닛의 원운동에 따라,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의 원운동에 따라,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 유닛의 상하 변위를 측정하여 상기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에 냉각수 공급 유닛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의 상하 변위를 측정하여 상기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는,
    마그네틱 변위 센서를 통해 상기 프로브 유닛의 상하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의 원운동에 따라,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 유닛을 상기 일면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주편의 일면에 대한 벌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편 벌징 측정 방법.
KR1020100040429A 2010-04-30 2010-04-30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KR20110121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29A KR20110121026A (ko) 2010-04-30 2010-04-30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29A KR20110121026A (ko) 2010-04-30 2010-04-30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26A true KR20110121026A (ko) 2011-11-07

Family

ID=4539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429A KR20110121026A (ko) 2010-04-30 2010-04-30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1958A (zh) * 2015-11-18 2016-01-20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位移传感器保护装置及保护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1958A (zh) * 2015-11-18 2016-01-20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位移传感器保护装置及保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450B1 (ko) 침지 노즐 막힘 정도 추정 방법 및 침지 노즐 교환 시기 추정 방법
KR101388058B1 (ko) 절단설 제거장치
KR20120022080A (ko) 용강 자동 샘플링 장치
KR20120110584A (ko) 박슬라브용 몰드의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1823A (ko) 슬라브 코너 절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코너 스카핑 방법
KR101193850B1 (ko) 침지 노즐의 개재물 탈락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20110121026A (ko) 주편 벌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벌징 측정 방법
KR101159598B1 (ko) 몰드 파우더 점도 추정 방법
KR101175629B1 (ko) 슈라우드 노즐 장착 장치
KR101159605B1 (ko) 조절형 탕면 프로파일 측정 장치
KR101193857B1 (ko) 슈라우드 노즐 교체 장치
KR20130034299A (ko) 연속주조용 몰드 단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59613B1 (ko) 연속주조 주형의 테이퍼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1159604B1 (ko) 주형 내 비대칭 유동 판별 장치 및 비대칭 유동 제어 방법
KR101435115B1 (ko) 슬라브 표면 결함 예측 방법
KR20120020483A (ko) 노즐조작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30771A (ko) 침지 노즐 막힘 경고 방법
KR20130099289A (ko) 연속주조시 판재의 품질 예측장치 및 그 방법
KR101193875B1 (ko) 슈라우드 노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204944B1 (ko) 연주공정에서 몰드의 진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09311A (ko) 주편 단면 측정 방법, 주편 품질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편 관리 시스템
KR20120001087A (ko) 슈라우드 노즐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1368352B1 (ko) 주조 온도 제어방법
KR101400047B1 (ko) 극저탄소강 주조 제어방법
KR101443584B1 (ko) 극저탄소강의 슬라브 스카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