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869A -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 Google Patents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869A
KR20100096869A KR1020090015944A KR20090015944A KR20100096869A KR 20100096869 A KR20100096869 A KR 20100096869A KR 1020090015944 A KR1020090015944 A KR 1020090015944A KR 20090015944 A KR20090015944 A KR 20090015944A KR 20100096869 A KR20100096869 A KR 2010009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dioxythiophene
anionic surfactant
poly
piezoelectr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260B1 (ko
Inventor
이동수
임상규
박범호
Original Assignee
(주)필스
(주)수양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스, (주)수양켐텍 filed Critical (주)필스
Priority to KR102009001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8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with foil-type piezoelectric elements, e.g. PVD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압전 필름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압전 효과에 의해 필름이 전후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의 양쪽 면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전도성고분자 막과,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의 양쪽 면의 가장자리 둘레로 형성된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압전 필름스피커로서, 기존의 소듐 폴리(4-스타이렌술포네이트)를 도펀트로 사용하는 대신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함으로써 도전체로서의 상업적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코팅액과의 혼합을 위한 용해 특성이 뛰어나고 전도도의 향상을 갖는다.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 음이온계면활성제, 수분산, 압전필름 스피커

Description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FILM SPEAKER USED ANION SURFACTANTS OF AQUEOUS DISPERSE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SOLUTIONS PRODUCED ACCORDING TO SAID METHOD}
본 발명은 3, 4-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단량체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용액을 도전체로 사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압전 필름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스피커는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기계적인 진동을 하는 압전필름과, 압전 필름의 양면에 형성되어진 전도성 고분자막, 고분자막에 외부로부터의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어진 압전 필름스피커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전도성 고분자 막의 전압차이로 인해 압전 필름이 진동하면서 소리를 만들어 낸다.
압전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포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프론(FE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ine Fluoride: PVDF)등이 사용가능하다. 특히 PVDF는 가장 효과적인 압전필름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 스피커는 압전 필름의 양면에 전도성 고분자막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도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전도성 고분자는 탁월한 전도성 기능과 다양한 용매에 대하여 용해성이 우수하고, 높은 내구성, 낮은 표면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술폰산 치환기가 포함된 단량체형 도펀트 경우에는 도핑이 잘 되는 특성이 있지만 장시간 사용하거나 고온 조건에서 도펀트가 전도성 고분자 주쇄에서 탈락 되는 탈도핑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술폰산 치환체가 포함된 고분자형 도펀트는 분자량이 큰 술폰화스티렌 고분자 주쇄에 전도성 고분자가 연결되어 도핑된 형태로 존재하고, 이때 100% 술폰화된 고분자는 극성이 높아져 물에만 용해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 합성시 수용액상에만 분산되는 물성을 나타내며,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전도성 고분자막으로 사용되어지는 PEDT/PSS를 대신하여 사용함으로써 개선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갖고, PSS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높은 전기전도성, 투명성, 낮은 표면장력, 20Hz ~ 20KHz 에서의 우수한 음향 품질,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 한 수분산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이용한 압전 필름스피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압전 효과에 의해 필름이 전후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의 양쪽 면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전도성고분자 막과,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의 양쪽 면의 가장자리 둘레로 형성된 전극으로 이루어진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를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 필름스피커는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의 양쪽 면에 그라비아 방식에 의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전도성고분자 막을 형성한 후 70℃ ~ 90℃에서 3분간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형성된 전도성고분자 막의 가장자리 둘레로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은 폴리불화비닐라덴(PVDF:Polyvinylidene fluoride)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코팅액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10 ~ 70wt%와, 용매 20 ~ 80wt%와, 접착성 바인더 2 ~ 1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이다.
상기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는 화학식 1의 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단량체와, 도펀트로 사용하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9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산화제를 이용하여 중합시킨 후 하기 화학식 10의 유기 용매에 용해된 폴리 용액이다.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1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2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3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4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6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7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8
Figure 112009011783711-PAT00009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0
상기 화학식 2 내지 9의 알킬 치환체 R은 탄소 4개 ~ 18개의 알킬, 이소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설퍼닐, 알콕시설퍼닐, 알킬실란, 알콕시실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화학식 2 내지 9의 금속이온 M은 Li, Na, Mg, K, C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아민류로 중화된 화합물이다.
그리고 화학식 2 내지 9의 설포네이트, 설페이트는 카르복실레이트, 포스페 이트, 시아네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대체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의 사용량은 코팅액 전체양에 대해 10 ~ 70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전도도가 낮아 충분한 음량이 나오지 않게 되고, 7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낮은 투과도와 높은 건조 온도가 필요하므로, 상기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는 10 ~ 7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산화제는 파라톨루엔황산철(III), 벤젠황산철(III), 메타톨루엔황산철(III), 트리플로로황산철(III), 황산철(III)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용매는 물, 메틸 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1-메톡시-2-프로판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이며, 그 사용량은 코팅액 전체 양에 대해 20 ~ 80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상기 용매 사용량이 20wt% 미만인 경우에는 높은 건조온도와 낮은 투과도의 문제가 있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낮은 전도도에 의한 음량의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코팅액 전체양의 20 ~ 80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성 바인더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불소-우레탄, 테트라플루오로에 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그 사용량은 코팅액 전체 양에 대해 2 ~ 10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상기 접착성 바인더의 사용량이 2wt% 미만인 경우에는 낮은 부착성의 문제가 있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낮은 전도도로 인한 음량의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접착성 바인더의 사용량은 코팅액 전체 양의 2 ~ 10wt%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액의 분산은 고전단 분산기(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15 ~ 600MPa의 압력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은 500 ~ 3000Ω 범위의 저항값을 갖으며,
상기 전극은 실버 페이스트 또는 구리 페이스트 중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여 전도성고분자 막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하여 제조된 압전 필름스피커는 산도가 적절히 조절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함으로써 폴리소듐스타이렌 설포네이트(PSS) 도펀트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탈도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PSS에 비하여 다양한 용 매의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을 전도성 코팅액으로 사용함으로써, 압전 필름에 전압을 공급할 때 높은 전기전도성, 투명성, 낮은 표면장력, 20Hz ~ 20KHz 에서의 우수한 음향 품질,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를 통해 살펴보고, 비교 예를 통해 실시 예와의 비교내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하에 기재된 실시 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스피커(1)는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압전 효과에 의해 필름이 전후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과, 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의 양쪽 면에 형성된 전도성고분자 막(20)과,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양쪽 면에 형성된 전극(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도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스피커(1)는 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의 양쪽 면에 그라비아 방식에 의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전도성고분자 막(20)을 형성한 후 70℃ ~ 90℃에서 3분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전도성고분자 막(20)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가장자리 둘레로 전극(3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건조과정에서의 건조온도는 70℃ 미만인 경우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90℃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름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건조온도는 70℃ ~ 9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은 계면활성제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10 ~ 70wt%와, 용매 20 ~ 80wt%와, 접착성 바인더 2 ~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코팅액을 고전단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로 균질화하여 잉크젯 프린팅, 다이 코팅, 슬롯다이 코팅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의 양쪽 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전극은 구리 페이스트 또는 실버 페이스트의 금속 페이스트로서,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가장자리의 둘레로 스크린 인쇄(메쉬)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구리 테이프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도성고분자 막(20)과의 접촉 저항으로 인해 음압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외측면(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과 멀어지는 방향의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전극(30)형성됨으로써 완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연체인 압전 플라스틱 필름(110)에 고주파 처리를 한 후 그 양면에 그라비아 방식에 의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전도성막(120)을 코팅하여 3분간 70~90℃에서 건조시켜 고분자 층(120)이 형성된 가장자리를 따라 전극(130)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투명성을 갖는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100)을 제조 할 수 있다.
실시 예 1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SY-S-5) 60g, 우레탄계 바인더(PUD 33%) 6g, 불소계 바인더(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30%) 1g, 용매인 NMP 5g, IPA 28g을 사용하여 전도성 코팅액을 제조한 후, 이 코팅액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로 분산되어 균질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전도성 코팅액을 압전 플라스틱 필름인 PVDF 100㎛의 필름에 slot die 코팅 방식에 의해 15㎛로 코팅한 후 6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투명한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 스크린 인쇄를 통하여 가장 자리(2 X 2mm)에 은 페이스트(1Ω/□)를 인쇄하여 투명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 스피커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에서 제조된 코팅액의 전기전도층의 특성, 투과율 및 표면장력은 온도 25℃ 및 37%의 상대습도인 실내 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표면비저항(Ω/□)은 Probe(SRM-110)과 FLUKE(8846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투과율은 UV(Jasco V-570)를 사용하여 측정(550nm)하였으며, 표면장력은 EASY dyne(K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저항에 따른 음압은 LINEAR system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2
전도성 코팅액의 제조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도성 코팅액을 압전 플라스틱 필름인 PVDF 100㎛ 필름에 slot die 코팅 방식에 의해 29㎛로 코팅한 후 6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투명한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 스크린 인쇄를 통하여 가장 자리(2 X 2mm)에 은 페이스트(1Ω/□)를 인쇄하여 투명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 스피커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2에서 제조된 코팅액의 전기전도층의 특성, 투과율 및 표면장력은 온도 25℃ 및 37%의 상대습도인 실내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표면비저항(Ω/□)은 Probe(SRM-110)과 FLUKE(8846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투과율은 UV(Jasco V-570)를 사용하여 측정(550nm)하였고, 표면장력은 EASY dyne(K20)을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또한 저항에 따른 음압은 LINEAR system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예 1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Baytron pH) 60g, 우레탄계 바인더(PUD 33%) 6g, 불소계 바인더(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30%) 1g, 용매인 NMP 5g, IPA 28g을 혼합하여 전도성 코팅액을 제조 하였다.
제조된 전도성 코팅액을 압전 플라스틱 필름인 PVDF 100㎛ 필름에 slot die 코팅 방식에 의해 15㎛로 코팅한 후 6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투명한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 스크린 인쇄를 통하여 가장 자리(2 X 2mm)에 은 페이스트(1Ω/□)를 인쇄하여 투명 전도성 압전 플라스틱 필름 스피커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1로 부터 제조된 코팅액의 전기전도층의 특성, 투과율 및 표면장력은 온도 25℃ 및 37%의 상대습도인 실내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표면비저항(Ω/□)은 Probe(SRM-110)과 FLUKE(8846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투과율은 UV(Jasco V-570)를 사용하여 측정(550nm)하였고, 표면장력은 EASY dyne(K20)을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또한 저항에 따른 음압은 LINEAR system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Type 1) 실시예 2(Type 2) 비교예 1(Type 3)
표면비저항(O/□) 700 500 1000
표면장력(mN/m) 20.4 20.4 28
투과율(%) 87 86 83
상기 표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전성 코팅액은 기존 PSS를 도펀트로 사용한 도전성 코팅액과 비교하여 표면비저항은 300 ~ 500Ω이 향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음압도 기존에 비해 2 ~ 9dB 향상되었고, 기존의 코팅액 보다 낮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젖음성이 개선되어 코팅두께를 손쉽게 조절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밀착성이 향상 되어 낮은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스피커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스피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스피커의 저항에 따른 음압의 결과값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전도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스피커
10: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
20: 전도성막
30: 전극

Claims (10)

  1.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압전 효과에 의해 필름이 전후 진동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과,
    상기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의 양쪽 면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전도성고분자 막(20)과,
    상기 전도성고분자 막(20)의 양쪽 면의 가장자리 둘레로 형성된 전극(30)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절연성 압전플라스틱 필름(10)은 폴리불화비닐라덴(PVDF:Polyvinylidene fluoride)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코팅액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도펀트로 사용한 전도성 폴리(3, 4-에틸렌다 이옥시싸이오펜) 10 ~ 70wt%와, 용매 20 ~ 80wt%와, 접착성 바인더 2 ~ 1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4.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코팅액은 고전단 분산기(마이크로 플루다이저)의 15 ~ 600MPa의 압력 범위에서 분산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9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화학식 2]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1
    [화학식 3]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2
    [화학식 4]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3
    [화학식 5]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4
    [화학식 6]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5
    [화학식 7]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6
    [화학식 8]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7
    [화학식 9]
    Figure 112009011783711-PAT00018
    (상기 화학식 2 내지 9의 알킬 치환체 R은 탄소 4개 ~ 18개의 알킬, 이소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알킬설퍼닐, 알콕시설퍼닐, 알킬실란, 알콕시실란 중 선 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이고, 금속이온 M은 Li, Na, Mg, K, C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아민류로 중화된 화합물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용매는 물,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1-메톡시-2-프로판올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7. 청구항 3에 있어서,
    접착성 바인더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불소-우레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우레탄, 우레탄-아크릴, 폴리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도성고분자 막(20)은 500 ~ 3000Ω 범위의 저항값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극(30)은 실버 페이스트 또는 구리 페이스트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전극(30)은 전도성고분자 막(20)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KR1020090015944A 2009-02-25 2009-02-25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KR10101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44A KR101016260B1 (ko) 2009-02-25 2009-02-25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44A KR101016260B1 (ko) 2009-02-25 2009-02-25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869A true KR20100096869A (ko) 2010-09-02
KR101016260B1 KR101016260B1 (ko) 2011-02-25

Family

ID=4300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944A KR101016260B1 (ko) 2009-02-25 2009-02-25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844A (ko) 2021-09-29 2023-04-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 필름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7752A (ko) 2021-12-10 2023-06-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Dba를 포함하는 압전체 및 압전체의 제조방법
KR20230087753A (ko) 2021-12-10 2023-06-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압전체 및 압전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719B1 (ko) 2000-11-03 2003-03-04 오응주 가용성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분말제조방법
JP2008047693A (ja) 2006-08-16 2008-02-2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圧電材料、超音波探触子、圧電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超音波探触子の製造方法
KR100882262B1 (ko) * 2007-02-12 2009-02-09 (주)필스 압전 폴리머 스피커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844A (ko) 2021-09-29 2023-04-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 필름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7752A (ko) 2021-12-10 2023-06-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Dba를 포함하는 압전체 및 압전체의 제조방법
KR20230087753A (ko) 2021-12-10 2023-06-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압전체 및 압전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260B1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5631A1 (en) Lithium ion conduct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of use
KR102188125B1 (ko) 도전성 조성물, 도전체, 적층체와 그의 제조 방법, 도전성 필름, 및 고체 전해 콘덴서
JP4077675B2 (ja) ポリ(3,4−ジアルコキシチオフェン)とポリ陰イオンとの複合体の水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96669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ctu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5794640B2 (ja) 重合液及びその製造方法、この重合液から得られた透明フィルム及び透明電極
KR101849616B1 (ko) 중합액, 이 중합액으로부터 얻어진 도전성 폴리머 필름, 폴리머 전극 및 고체 전해 콘덴서
WO2009150697A1 (ja) 導電性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24367A1 (zh) 一种导电聚乙烯二氧噻吩的醇分散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16260B1 (ko) 음이온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수분산 폴리(3, 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용액을 사용한 압전 필름스피커
JP2024009802A (ja) 改善された親水性組成物
JP2010090397A (ja) ポリ(3,4−ジアルコキシチオフェン)とポリ陰イオンとの複合体の水分散体の製造方法
KR20100076534A (ko)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대전방지 고분자 필름
Khadka et al. Influence of solvent on linear polypyrrole–polyethylene oxide actuators
WO2015170594A1 (ja)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系二次電池
JP5954412B2 (ja) 複合材料、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8031205A (ja) 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当該フィルム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CN101488398A (zh) 固体电解质、使用该固体电解质的电解电容器以及固体电解电容器的制备方法
JP4660255B2 (ja) 導電性フィルム
EP1402319B1 (en) Material having a conductive pattern; and a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a conductive pattern
US20130092878A1 (en) Thermoplastic based electronic conductive ink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7131682A (ja) 導電性高分子膜及び回路基板
JP6340826B2 (ja) 二次電池多孔膜用スラリー、製造方法、二次電池用多孔膜、及び二次電池
JP2006294455A (ja) 導電性フィルム
JP5324517B2 (ja) 導電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EP4245797A1 (en) Autonomous self-healing, transparent, electrically conducting elastom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