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61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615A
KR20100095615A KR1020107014277A KR20107014277A KR20100095615A KR 20100095615 A KR20100095615 A KR 20100095615A KR 1020107014277 A KR1020107014277 A KR 1020107014277A KR 20107014277 A KR20107014277 A KR 20107014277A KR 20100095615 A KR20100095615 A KR 2010009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entity
sequence
packets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038B1 (ko
Inventor
아르나우드 메이란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04W36/0235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by transmitting sequence numbers, e.g. SN status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1Reseque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핸드오버 동안에 패킷들을 전송하고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사용자 기기(UE)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UE를 위한 패킷들을 목표 기지국으로 발송할 수 있고, 그 목표 기지국은 그 패킷을 순서대로 수신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목표 기지국은 각각의 패킷이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다면 그 패킷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다면 그 패킷을 버릴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목표 기지국은 재정렬 윈도우 내에서 수신되는 패킷들을 재정렬할 수 있고, 그 재정렬된 패킷들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목표 기지국은 예컨대 하이퍼-프레임 번호(HFN)를 증가시키거나 늦은 시퀀스 번호를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각각의 패킷에 재할당함으로써, 상기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각각의 패킷을 마치 순서대로 수신된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7년 11월 27일에 미국 가출원된 제 60/990,589호 및 2007년 11월 28일에 미국 가출원된 제 60/990,906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는데, 그 두 가출원들은 "METHODS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HYPER FRAME NUMBER SYNCHRONIZATION BETWEEN A TARGET ACCESS POINT AND USER EQUIPMENT AT HANDOVDR"란 명칭을 가지며,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여기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여러 통신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무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및 직교 FDMA(OFDMA) 시스템들, 및 단일-반송파 FDMA(SC-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UE들)을 위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이동적일 수 있고, 또한 UE가 시스템의 여러 곳으로 이동할 때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 소스 기지국은 UE에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의 패킷들을 가질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는 이러한 패킷들을 UE에 적절히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에 패킷들을 전송하고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여기서 설명된다. UE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UE를 위한 패킷들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킷들을 목표 기지국에 발송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예컨대 소스 및 목표 기지국들 간의 인터페이스의 패킷-스위칭 특성으로 인해, 패킷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목표 기지국이 패킷들을 비순서적으로 UE에 전송한다면, 동기화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거나 및/또는 UE가 그 패킷들을 복원하지 못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목표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에 의해서 발송된 각각의 패킷이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패킷은 그 패킷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질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각각의 발송된 패킷이 그 패킷의 시퀀스 번호 및 UE에 전송된 마지막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그 패킷을 버릴 수 있다. UE에 의해 버리질 패킷들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자원들이 절약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목표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재정렬 윈도우 내에 재정렬할 수 있고, 재정렬된 패킷들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패킷을 수신할 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제 1 패킷이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그 제 1 패킷을 버퍼링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또한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모든 후속 패킷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그 버퍼링된 패킷들을 재정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재정렬 윈도우는 시간 기간 또는 시퀀스 번호들의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목표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비순서적으로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패킷을 순서적인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비순서적인 패킷으로 인해 하이퍼-프레임 번호(HFN)를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HFN 및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카운트로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목표 기지국은 마지막으로 전송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늦은 시퀀스 번호를 그 패킷에 재할당할 수 있다. 여하튼, UE는 패킷을 정확히 암호해독할 수 있으며, 동기화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UE에서의 상위 계층들이 패킷들의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 발송되는 패킷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기술들은 제 3 엔티티(예컨대, UE)로의 전송을 위해서 제 1 엔티티(예컨대, 소스 기지국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제 2 엔티티(예컨대, 다른 기지국)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패킷들은 시퀀스 번호들을 가질 수 있고, 제 2 엔티티에 의해 비순서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제 2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된 설계들 중 임의의 설계를 사용하여 패킷들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양상들 및 특징들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그 시스템에서 상이한 엔티티들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들을 나타낸다.
도 3은 핸드오버를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call flow)을 나타낸다.
도 4는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발송을 나타낸다.
도 5a는 전송 엔티티에서의 암호화를 나타낸다.
도 5b는 수신 엔티티에서의 암호해독을 나타낸다.
도 6a는 암호화 및 암호해독을 위해 사용되는 COUNT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도 6b는 시퀀스 번호 공간을 나타낸다.
도 7은 패킷들의 전송 및 패킷들의 버림을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8은 패킷들의 전송 및 패킷들의 버림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재정렬을 통해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10은 재정렬을 통해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강제적인 순서화를 통해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12는 강제적인 순서화를 통해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14는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5는 UE 및 2 개의 기지국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란 용어들은 종종 서로 바뀌어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Figure pct00001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에 의해 정의되는 에어 인터페이스 및 E-UTRAN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활용한다. E-UTRA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 상에서는 SC-FDMA를 이용한다. UTRA, E-UTRA, E-UTRAN, LTE 및 GSM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란 이름의 기관들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3GPP2)"란 이름의 기관들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서, 그 기술들의 일부 양상들이 LTE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고, LTE 용어가 아래의 설명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도 1은 LTE 시스템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시스템(100)은 eNB들(evolved Node B들), 및 3GPP에 의해 설명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간략성을 위해서, 단지 2개의 eNB들(120 및 122)과 하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서빙 게이트웨이(13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으며, 또한 노드 B,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B는 특정 지리 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eNB의 전체적인 통신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개의(예컨대 3개) 작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작은 영역은 각각의 eNB 서브시스템에 의해서 서빙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란 용어는 eNB의 가장 작은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B들(120 및 122)은 논리 또는 물리 인터페이스일 수 있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eNB들(120 및 122)은 또한 S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MME/서빙 게이트웨이(13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데이터,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비디오, 메시징 등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MME(130)는 핸드오버 시에 소스 eNB와 목표 eNB 간의 경로 스위칭을 책임질 수 있다. MME/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코어 및/또는 네트워크(140)(예컨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고, 코어/데이터 네트워크(140)에 연결되는 다른 엔티티들(예컨대, 원격 서버들 및 단말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UE(1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서 eNB(120) 및/또는 eNB(122)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업링크)는 eNB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eNB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UE(110)는 또한 이동국,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110)는 셀룰러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장치, 핸드헬드 장치, 랩톱 컴퓨터, 코들리스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도 2는 LTE에서 사용자 플랜(plane)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들(200)을 나타낸다. 사용자 플랜은 도 1에서 eNB(120 또는 122)일 수 있는 서빙 eNB를 통해서 UE(110)와 서빙 게이트웨이(130) 간에 트래픽 데이터를 전달한다. 각각의 엔티티는 다른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스택을 유지한다.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은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계층(계층 3 또는 L3), 링크 계층(계층 2 또는 L2), 및 물리 계층(계층 1, L1 또는 PHY)을 포함한다. UE 및 서빙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I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및/또는 다른 프로토콜들을 위한 상위 계층 데이터가 UE와 서빙 게이트웨이 간에 서빙 eNB를 통해서 교환될 수 있는 IP 패킷들에 인캡슐화될 수 있다.
링크 계층은 통상적으로 네트워크/무선 기술에 따라 좌우된다. LTE에서 사용자 플랜의 경우, UE를 위한 링크 계층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및 MAC(Medium Access Control)를 위한 3개의 부계층들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빙 eNB에서 종료된다. UE는 또한 물리 계층에서 E-UTRA 에어-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eNB와 통신한다. 서빙 eNB는 링크 및 물리 계층들을 위한 기술-종속 인터페이스 및 IP를 통해 서빙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PDCP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헤더들의 압축, 보안을 위한 데이터의 암호화/엔크립션(encryption) 및 무결성 보호 등과 같은 여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RLC는 (i) 전송기에서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SDU들)의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및 연결(concatenation)과 (ii) 수신기에서 하위 계층 SDU들의 중복 검출, RLC SDU들의 재정렬, 및 상위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들)의 순서적인 전달과 같은 여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LTE에서 PDCP 및 RLC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은 다른 무선 기술들에서 등가의 프로토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cdma2000에서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및 IP 적응 계층은 PDCP 및 RLC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과 유사한 기능들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PDCP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Specification"이란 명칭의 3GPP TS 36.323에 설명되어 있다. RLC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Radio Link Control(RLC) Protocol Specification"란 명칭의 3GPP TS 36.322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들은 대중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UE(110)는 MME/서빙 게이트웨이(130)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eNB(120)와 초기에 통신할 수 있다. UE(110)는 이동적일 수 있고, eNB(120)로부터 eNB(122)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핸드오버의 경우, eNB(120)는 소스 eNB로 지칭될 수 있고, eNB(122)는 목표 eNB로 지칭될 수 있다. 핸드오버 이후에, UE(110)는 MME/서빙 게이트웨이(130)와의 데이터 교환들을 위해서 eNB(1220)와 통신할 수 있다. eNB(120)가 핸드오버 이전에 UE(110)를 위한 서빙 eNB일 수 있고, eNB(122)가 핸드오버 이후에 UE(110)를 위한 서빙 eNB일 수 있다.
여기서의 설명에 있어서, 핸드오버 또는 핸드오프는 하나의 eNB로부터 다른 eNB로의 핸드오버 뿐만 아니라 동일한 eNB의 상이한 셀들 사이에서의 핸드오버를 지칭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시스템 또는 UE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UE는 순방향 핸드오버 절차에 따라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거나, 정지(outage)가 발생한 이후에 적합한 eNB와의 무선 접속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는 부하 균형(load balancing)을 제공하기 위해서, 무선 접속의 재구성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지할 수 없는 에러 경우들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또는 다른 것들을 위해서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의 이동성을 지원할 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위에서 언급된 이유들 중 임의의 이유로 인해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도 3은 소스 eNB(120)로부터 목표 eNB(122)로의 UE(110)의 핸드오버를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300)을 나타낸다. 소스 eNB는 UE에 대한 측정 절차들을 구성할 수 있고(단계 1), UE는 소스 eNB에 측정 레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2). 소스 eNB는 UE를 핸드오버(HO)할지를 결정할 수 있고(단계 3), 목표 eNB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단계 4). 목표 eNB는 허가 제어(admission control)를 수행할 수 있고, UE의 핸드오버를 수락할 수 있다(단계 5). 목표 eNB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Ack) 메시지를 소스 eNB에 반송할 수 있다(단계 6). 이어서, 소스 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7).
핸드오버 이전에, 소스 eNB는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UE를 위한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고(단계 A), 그 패킷들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B). 단계 7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소스 eNB는 UE를 위한 버퍼링된 패킷들을 목표 eNB에 발송할 수 있다(단계들 C 및 D). 발송되는 패킷들은 UE에 전송되지 않은 패킷들뿐만 아니라 예컨대 전송되었지만 UE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패킷들과 같은 전송 중인(in transit)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단계 E).
단계 7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UE는 소스 eNB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목표 eNB로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advance)의 획득을 시작할 수 있다(단계 8). 목표 eNB는 UE에 대한 자원 할당 및 타이밍 어드밴스(TA)로 응답할 수 있다(단계 9). 일단 UE가 목표 eNB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였다면, UE는 UE를 위한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를 목표 eNB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10).
목표 eNB는 UE가 eNB를 변경하였다는 것을 MME/서빙 게이트웨이에 알리기 위해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11). 이어서, MME/서빙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데이터 경로 또는 접속을 소스 eNB로부터 목표 eNB로 스위칭할 수 있다(단계 G). MME/서빙 게이트웨이는 또한 핸드오버 완료 Ack 메시지를 목표 eNB에 반송할 수 있다(단계 12). 목표 eNB는 UE의 성공적인 핸드오버를 나타내기 위해서 해제 자원 메시지(Release Resource message)를 소스 eNB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13). 소스 eNB는 그 해제 자원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UE를 위한 자원들을 해제할 수 있다.
단계 11에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서빙 게이트웨이는 UE를 위한 패킷들을 소스 eNB에 계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단계 F). 소스 eNB는 UE를 위한 패킷들을 목표 eNB에 계속해서 발송할 수 있다(단계 H). 단계 11에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서빙 게이트웨이는 UE를 위한 패킷들을 목표 eNB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I).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발송되는 패킷들 및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J).
도 3은 소스 eNB로부터 목표 eNB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위한 예시적인 호 흐름을 나타낸다. UE의 핸드오버는 또한 다른 호 흐름들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핸드오버 동안에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발송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핸드오버 이전에, 서빙 게이트웨이는 S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UE를 위한 패킷들을 소스 eNB에 전송할 수 있다(도 3의 단계들(A 및 F)). 소스 eNB는 패킷들을 PDCP SDU들로서 수신할 수 있고, PDCP 시퀀스 번호(SN)를 각각의 PDCP SDU에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의 설명에 있어서, PDCP SDU #k는 k의 PDCP SN을 갖는 PDCP SDU를 나타낸다. 소스 eNB는 각각의 PDCP SDU를 처리하여 UE에 전송할 수 있다(도 3의 단계 B).
핸드오버 동안에 임의의 시점에서, UE를 위한 데이터 경로는 소스 eNB로부터 목표 eNB로 스위칭될 수 있다(도 3의 단계 G). 이때부터, 서빙 게이트웨이는 UE를 위한 새로운 패킷들을 S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목표 eNB에 전송할 수 있다(도 3의 단계 I). 목표 eNB는 패킷을 PDCP SDU들로서 수신할 수 있고, PDCP SN을 각각의 PDCP SDU에 할당할 수 있다. 목표 eNB는 각각의 PDCP SDU를 처리하여 UE에 전송할 수 있다(도 3의 단계 J).
핸드오버 동안에, 소스 eNB는 (i) UE에 아직 전송되지 않은 펜딩 중인 PDCP SDU들을 갖거나 및/또는 (ii) UE에 전송되었지만 그 UE에 의해서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은 전송 중인(in-transit) PDCP SDU들을 가질 수 있다. 소스 eNB는 그 펜딩 중인 및 전송 중인 PDCP SDU들을 X2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목표 eNB에 발송할 수 있다(도 3의 단계들(D 및 H)). 목표 eNB는 예컨대 X2 인터페이스의 패킷-스위칭 특성으로 인해서, 발송된 PDCP SDU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는 새로운 패킷들을 목표 eNB에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도 또한 예컨대 S1 인터페이스의 패킷-스위칭 특성으로 인해서, 새로운 패킷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PDCP SDU들은, PDCP SDU #1이 가장 이른 PDCP SDU이고 PDCP SDU #4가 가장 늦은 PDCP SDU이도록, 순서가 정렬될 수 있다. 소스 eNB는 PDCP SDU들 #1 내지 #4를 UE에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UE는 PDCP SDU #1을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고, PDCP SDU들 #2 및 #3을 에러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으며, PDCP SDU #4를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다. UE는 PDCP SDU #4의 이른(early) HARQ 종료로 인해서 PDCP SDU #4는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지만 PDCP SDU들 #2 및 #3은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없다. 소스 eNB는 PDCP SDU들 #2 및 #3을 목표 eNB에 발송할 수 있다. 목표 eNB는 PDCP SDU #2 이전에 PDCP SDU #3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목표 eNB는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새로운 패킷들 이전에 PDCP SDU #2 및/또는 PDCP SDU #3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다운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서빙 eNB일 수 있거나 업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UE일 수 있는 전송 엔티티에서 PDCP SDU의 암호화를 나타낸다. 유닛(510)은 KEY, COUNT, BEARER 및 DIRECTION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KEY 파라미터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COUNT 파라미터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위한 시변적인 입력(time-variant input)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crypto-sync일 수 있다. BEARER 파라미터는 암호화되고 있는 데이터의 무선 베어러를 나타낼 수 있다. DIRECTION 파라미터는 업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다운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1'로 설정될 수 있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510)은 그 파라미터들 모두에 기초해서 그리고 LTE에 의해 정의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키스트림(keystream)을 생성할 수 있다. 배타적-OR 게이트(512)가 유닛(510)으로부터의 키스트림 및 PDCP SDU를 위한 입력 데이터 비트들의 비트-방식 모듈로-2 가산(bit-wise modulo-2 addition)을 수행할 수 있고, PDCP SDU를 위한 암호화된 데이터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b는 다운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UE일 수 있거나 업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서빙 eNB일 수 있는 수신 엔티티에서 PDCP SDU의 암호해독을 나타낸다. 유닛(550)은 KEY, COUNT, BEARER 및 DIRECTION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유닛(550)은 그 파라미터들 모두에 기초하여 그리고 전송 엔티티의 유닛(510)과 동일한 방식으로 키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배타적-OR 게이트(552)는 유닛(550)으로부터의 키스트림 및 PDCP SDU를 위한 암호화된 데이터 비트들의 비트-방식 모듈로-2 가산을 수행할 수 있고, 그 PDCP SDU를 위한 암호해독된 데이터 비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LTE에서 COUNT 파라미터의 설계를 나타낸다. COUNT는 M-비트 HFN 및 N-비트 PDCP SN으로 구성되는 32-비트 값인데, 여기서 M 및 N은 구성가능한 값들일 수 있다. HFN은 COUNT의 M 최상위비트들(MSB들)을 점유하고, PDCP SN은 COUNT의 N 최하위비트들(LSB들)을 점유한다. 한 구성에 있어서, 32-비트 COUNT는 20-비트 HFN 및 12-비트 PDCP SN으로 구성된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32-비트 COUNT는 25-비트 HFN 및 7-비트 PDCP SN으로 구성된다. 그 두 구성들에 있어서, PDCP SN은 각각의 PDCP SDU와 함께 에어(air)를 통해 전송된다. HFN은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에어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도 6b는 0 내지 K의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PDCP SN 공간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K=2N-1이다. 예컨대, K는 7-비트 PDCP SN의 경우에는 127일 수 있거나 12-비트 PDCP SN의 경우에는 4095일 수 있다. PDCP SDU는 k의 PDCP SN을 가질 수 있는데, 그 k는 0 내지 K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PDCP SN은 K의 최대 값에 도달할 때까지는 각각의 새로운 PDCP SDU에 대해 증가될 수 있고, 이어서 '0'으로 랩어라운드(wrap around)할 수 있다.
k의 PDCP SN의 경우에, PDCP SN 공간의 일부는 k보다 "늦은(later)"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 PDCP SN의 나머지 부분은 k보다 "이른(earlier)"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k+1 내지 L의 PDCP SN들은 k의 PDCP SN보다 늦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L+1 내지 k-1의 PDCP SN들은 k의 PDCP SN보다 이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L은 L = (k+K/2) mod K로서 정의될 수 있고, 따라서 PDCP SN 공간의 절반은 k보다 늦고, PDCP SN 공간의 나머지 절반은 k보다 이르다. L은 또한 다른 방식들로도 정의될 수 있다.
도 6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k-1의 PDCP SN들은 k보다 "더 작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k+1 내지 K의 PDCP SN들은 k보다 "더 큰"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UE는 eNB(120)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 eNB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베어러들을 설정할 수 있다. UE 및 eNB 각각은 무선 베어러들이 설정될 때 COUNT를 제로로 리셋할 수 있다. eNB는 새로운 PDCP SDU가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PDCP SN을 증가시킬 수 있고, PDCP SN이 k의 최대 값에 도달한 이후에 제로로 랩어라운드할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eNB는 각각의 PDCP SDU 및 그것의 PDCP SN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UE는 eNB로부터 PDCP SDU를 수신할 수 있고, PDCP SN에 기초하여 HFN을 업데이팅할 수 있다.
UE는 소스 eNB(120)로부터 목표 eNB(122)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위해서, 소스 eNB는 현재 HFN 및 현재 PDCP SN과 같은 적절한 상태 정보를 목표 eNB에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현재 PDCP SN 및 HFN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새로운 PDCP SDU들에 PDCP SN들을 할당할 수 있다. UE는 핸드오버 내내 COUNT를 유지할 수 있고, 목표 eNB로부터 수신되는 PDCP SDU들의 PDCP SN들에 기초하여 HFN을 업데이팅할 수 있다.
LTE에서의 PDCP 규격은 증가적인 PDCP SN들을 갖는 PDCP SDU들이 전송 엔티티에 있는 하위 계층에 전달된다는 가정을 통해 기록된다. 수신 엔티티는 그 하위 계층이 적절한 순서대로 PDCP SDU들을 전달할 것이라는 점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엔티티는 새롭게 수신되는 PDCP SDU가 마지막 수신된 PDCP SDU의 PDCP SN보다 작을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가정들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래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서빙 eNB는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PDCP SDU에 PDCP SN을 할당할 수 있다. 그 eNB는 각각의 PDCP SDU 이후에 PDCP SN을 증가시킬 수 있고, PDCP SN이 제로로 랩어라운드할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는 각각의 PDCP SDU를, 그 eNB에 의해 유지되는 HFN에 의해 형성된 COUNT 및 그 PDCP SDU의 PDCP SN을 통해 암호화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PDCP SDU를 적절한 순서로 UE에 전송할 수 있다. UE는 eNB로부터의 PDCP SDU들을 적절한 순서로 수신할 수 있다. UE는 자신이 마지막 PDCP SDU의 PDCP SN보다 작은 PDCP SN을 갖는 PDCP SDU를 수신할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UE는 각각의 수신된 PDCP SDU를, UE에 의해서 유지되는 HFN에 의해 형성된 COUNT 및 그 수신된 PDCP SDU로부터 획득되는 PDCP SN을 통해 암호해독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종래 처리 방식은 소스 eNB로부터 목표 eNB로의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에러들을 초래할 수 있다. 핸드오버 시에, 소스 eNB는 X2(또는 S1)를 통해서 PDCP SDU들을 목표 eNB에 발송할 수 있다. X2(또는 S1) 인터페이스는 회선-스위칭 인터페이스(circuit-switched interface)가 아니기 때문에, 발송되는 PDCP SDU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eNB에 비순서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발송되는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 목표 eNB가 그 PDCP SDU를 처리한다면, 목표 eNB에서 비순서적인 PDCP SDU들의 수신은 UE에서 HFN 동기의 손실/암호해독 에러를 초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할 수 있고, 3의 PDCP SN 및 HFN에 의해 형성되는 COUNT를 통해 이러한 PDCP SDU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러한 COUNT는 (HFN|3)으로 표현될 수 있다. 목표 eNB는 암호화된 PDCP SDU #3을 UE로의 전송을 위해 하위 계층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 이후에,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비순서적으로 PDCP SDU #2를 수신할 수 있다. 목표 eNB는 (HFN|2)을 통해 PDCP SDU #2를 암호화할 수 있는데, 상기 (HFN|2)는 이러한 PDCP SDU에 대한 정확한 COUNT이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종래 처리 방식의 경우, UE는 자신이 PDCP SDU #3을 수신한 이후에 PDCP SDU #2를 수신할 때 자신의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UE는 (HFN+1|2)를 통해 PDCP SDU #2를 암호해독할 수 있고, 목표 eNB가 (HFN|2)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PDCP SDU를 에러적으로 암호해독할 것이다. 게다가, UE는 자신이 후속 PDCP SDU들을 암호해독하기 위해 HFN+1을 사용할 것인데 반해 목표 eNB는 암호화를 위해 HFN을 계속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HFN 동기화가 손실될 것이다. 따라서, 후속 PDCP SDU들은 UE에 의해 에러적으로 암호해독될 수 있다.
UE는 HFN 동기화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복-버림 윈도우(duplicate-discard window)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윈도우의 처음은 상위 계층들에 전달되는 마지막 PDCP SDU에 놓일 수 있고, 그 윈도우의 끝은 상위 계층들에 아직 전달되지 않은 가장 낮은 PDCP SDU에 놓일 수 있다. UE는 PDCP SDU를 처리하여 상위 계층들에 전달할지 또는 그 PDCP SDU를 버릴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 중복-버림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UE는 PDCP SDU들 #1 및 #4는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지만 PDCP SDU들 #2 및 #3은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없다. UE는 PDCP SDU #1을 상위 계층에 전달할 수 있고, PDCP SDU #4를 버퍼링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목표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할 수 있고, 이 PDCP SDU를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다. UE는 PDCP SDU가 목표 eNB에 의해서 순서대로 전송된다고 가정할 수 있고, PDCP SDU #2가 손실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PDCP SDU들 #3 및 #4를 상위 계층들에 전달할 수 있고, 복제-버림 윈도우의 처음을 PDCP SDU #4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 이후에, UE는 목표 eNB로부터 PDCP SDU #2를 수신할 수 있다. UE는 이러한 PDCP SDU가 복제-버림 윈도우 밖에 있다고 인지할 수 있고, 그 PDCP SDU를 버릴 수 있다. UE는 HFN을 증가시키는 대신에 그 HFN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UE 처리 방식은 HFN 동기화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UE가 버릴 PDCP SDU들을 비순서적인 PDCP SDU들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자원들이 소모된다.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고 UE에서의 HFN 동기화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방식들은 목표 eNB가 소스 eNB로부터의 발송된 PDCP SDU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할 때 핸드오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제 1 처리 방식에 있어서, 목표 eNB는 자신이 UE에 순서대로 전송할 수 없는 PDCP SDU들은 버릴 수 있다. 목표 eNB는 PDCP SDU들이 수신될 때 그 PDCP SDU들을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PDCP SDU들을 재정렬하려 시도하지 않는다. 대신에, 만약 목표 eNB가 UE에 전송되어진 PDCP SDU의 PDCP SN보다 더 이른 PDCP SN을 갖는 발송된 PDCP SDU를 수신한다면, 목표 eNB는 그 발송된 PDCP SDU를 버리고 그것을 UE에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목표 eNB는 UE에 전송된 가장 늦은 PDCP SDU의 PDCP SN에 대한 포인터를 유지할 수 있다. 목표 eNB는 발송된 PDCP SDU의 PDCP SN을 이러한 포인트에 비교함으로써, 그 PDCP SDU가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PDCP SDU를 (HFN|3)을 통해 암호화할 수 있으며, 그 암호화된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는 포인터를 3으로 셋팅할 수 있다. 그런 이후에,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2를 수신할 수 있고, 2의 PDCP SN을 그 포인터에 비교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이 PDCP SDU를 버릴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PDCP SDU의 2인 PDCP SN이 전송된 PDCP SDU의 3인 PDCP SN보다 이르기 때문이다.
제 1 처리 방식은 목표 eNB의 동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방식은 또한 무선 자원들을 절감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UE가 위에서 설명된 중복-버림 윈도우를 사용하여 버릴 비순서적인 PDCP SDU들을 목표 eNB가 전송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 2 처리 방식에 있어서, 목표 eNB는 짧은 시간 기간 또는 작은 범위의 PDCP SN들에 대해서 발송된 PDCP SDU들의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시간 기간 또는 작은 PDCP SN 범위는 재정렬 윈도우로 지칭될 수 있다.
시간-기반의 재정렬 윈도우의 경우, 목표 eNB는 시간을 추적하기 위해 타이머를 사용할 수 있고, 소스 eNB로부터의 제일 먼저 발송된 PDCP SDU를 수신하였을 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목표 eNB는 타이머가 활성인 동안에 소스 eNB로부터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모든 발송된 PDCP SDU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 타이머 만료할 때, 목표 eNB는 모든 버퍼링된 PDCP SDU들을 재정렬할 수 있고, 각각의 재정렬된 PDCP SDU를 암호화하여 UE에 전송할 수 있다. 재정렬 윈도우는 소스 eNB로부터의 제일 먼저 발송된 PDCP SDU보다 이른 PDCP SDU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하고, 이러한 PDCP SDU를 버퍼링하며,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런 이후에,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2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PDCP SDU를 버퍼링할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하였을 때, 목표 eNB는 PDCP SDU #2 및 #3을 재정렬할 수 있다. 이어서, 목표 eNB는 PDCP SDU #2를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고, 그 다음에 PDCP SDU #3을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PDCP SDU #2를 수신하였을 때, 목표 eNB는 타이머가 만료하기를 기다리는 대신에, PDCP SDU들 #2 및 #3을 재정렬하고, 암호화하며, UE에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에 의한 처리과정은 목표 eNB에 이용가능한 상태 정보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여하튼, UE는 PDCP SDU #2 및 #3을 목표 eNB로부터 순서대로 수신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제일 먼저 발송된 PDCP SDU에 대해서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목표 eNB는 타이머가 만료한 이후에 제 1 처리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만약 그 이후에 목표 eNB가 전송된 PDCP SDU보다 이른 발송된 PDCP SDU를 수신한다면, 그 목표 eNB는 그 발송된 PDCP SDU를 단순히 버릴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만약 목표 eNB가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 PDCP SDU #2를 수신한다면, 목표 eNB는 이러한 PDCP SDU를 버릴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목표 eNB는 제일 먼저 발송된 PDCP SDU에 대해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또한 불연속적인 PDCP SN을 갖는 발송된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eNB는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 PDCP SDU #2 및 #3D을 전송할 수 있고, 그런 이후에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6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목표 eNB는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소스 eNB로부터의 PDCP SDU #5를 기다릴 수 있다.
PDCP SN-기반의 재정렬 윈도우의 경우, 목표 eNB는 UE에 전송되는 마지막 PDCP SDU로 윈도우의 끝을 셋팅할 수 있다. 그 재정렬 윈도우는 미리 결정된 수의 PDCP SN들 또는 모든 펜딩 중인 그리고 전송 중인 PDCP SDU들에 미칠 수 있다(span). 목표 eNB는 늦은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그 재정렬 윈도우를 어드밴스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재정렬 윈도우의 처음에 PDCP SDU를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재정렬 윈도우는 PDCP SDU #2 및 #3을 커버할 수 있다. 만약 목표 eNB가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2를 수신한다면, 그 목표 eNB는 이러한 PDCP SDU를 처리하여 전송하고, 그 윈도우를 어드밴스할 수 있다. 만약 목표 eNB가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한다면, 그 목표 eNB는 그 윈도우를 유지하고, PDCP SDU #2를 기다릴 수 있다. 만약 목표 eNB가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5를 수신한다면, 목표 eNB는 서빙 PDCP SDU #2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윈도우를 어드밴스할 수 있다.
제 2 처리 방식의 경우, 재정렬 윈도우 지속시간이 레이턴시 및 데이터 손실 간의 절충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더 넓은 재정렬 윈도우는 소스 eNB로부터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더 많은 PDCP SDU들이 UE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지만 그 PDCP SDU들을 UE에 전송하는데 있어서 더 긴 지연을 초래할 수도 있다. 역으로, 더 짧은 재정렬 윈도우는 PDCP SDU들을 전송하는데 있어서 더 짧은 지연을 초래할 수 있지만 더 많은 PDCP SDU들이 버려지도록 초래할 수도 있다.
제 3 처리 방식에 있어서, 목표 eNB는 HFN 동기화의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UE와 동일한 방식으로 HFN을 업데이팅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종래 처리 방식에 있어서, UE는 PDCP SDU들이 순서대로 전송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고, 또한 더 작은 PDCP SN을 갖는 PDCP SDU가 수신될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목표 eNB는 또한 더 작은 PDCP SN을 갖는 발송된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3 처리 방식의 경우,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발송된 PDCP SDU를 처리할 수 있고(예컨대, 암호화), 그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는, 각각의 발송된 PDCP SDU를 목표 eNB에서 버퍼링하지 않고도, 그 발송된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 그 PDCP SDU를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는 더 작은 PDCP SN을 갖는 발송된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목표 eNB는 업데이팅된 HFN을 갖는 그 발송된 PDCP SDU를 암호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하고, 이 PDCP SDU를 (HFN|3)을 통해 암호화하며, 그 암호화된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런 이후에,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2를 수신할 수 있다. 목표 eNB는 더 작은 PDCP SN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그리고 UE가 자신의 HFN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것을 기대하고 HF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목표 eNB는 PDCP SDU #2를 (HFN+1|2)를 통해 암호화할 수 있고, 그 암호화된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UE는 그 암호화된 PDCP SDU #2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HFN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PDCP SDU를 (HFN+1|2)를 통해 암호해독할 수 있다. UE는, 목표 eNB가 UE와 동일한 방식으로 HFN을 업데이팅하기 때문에, 비록 PDCP SDU #2가 비순서적으로 전송될지라도, PDCP SDU #2를 정확하게 암호해독할 수 있다. UE는 그 암호해독된 PDCP SDU #2를 상위 계층들에 비순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PDCP SDU가 (HFN+1|2)의 COUNT를 갖는 반면에 암호해독된 PDCP SDU #3은 (HFN|3)의 COUNT를 갖기 때문이다.
UE가 PDCP SDU들을 버리는 대신에 이러한 PDCP SDU들을 상위 계층에 비순서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위 계층들은 데이터를 재정렬할 수 있고 최종 애플리케이션에 그 데이터를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예컨대, TCP 또는 RTP)을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비순서적인 PDCP SDU들은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HFN이 동기화에 있어 유지되는 한은 PDCP SDU들을 상위 계층들에 비순서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용인가능할 수 있다.
제 4 처리 방식에 있어서, 목표 eNB는 HFN 동기화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새로운 PDCP SN들을 발송되는 PDCP SDU들에 재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방식의 경우, 목표 eNB는 각각의 발송된 PDCP SDU를 버퍼링하지 않고도, 그 발송된 PDCP SDU가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때 그 PDCP SDU를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목표 eNB가 UE에 이미 전송된 PDCP SDU보다 이른 발송된 PDCP SDU를 수신한다면, 그 목표 eNB는 그 전송된 PDCP SDU의 PDCP SN보다 늦은 새로운 PDCP SN을 이러한 PDCP SDU에 재할당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목표 eNB는 4의 PDCP SN이 소스 eNB에 의해서 사용된 마지막 PDCP SN이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3을 수신하고, 이러한 PDCP SDU를 (HFN|3)을 통해 암호화하며, 그 암호화된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런 이후에,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2를 수신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이러한 PDCP SDU에 5의 PDCP SN을 재할당하고, 이러한 PDCP SDU를 (HFN|5)를 통해 암호화하며, 그 암호화된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그런 이후에 목표 eNB가 소스 eNB로부터 PDCP SDU #5를 수신한다면, 목표 eNB는 이러한 PDCP SDU에 6의 PDCP SN을 재할당하고, 그 PDCP SDU를 (HFN|6)을 통해 암호화하며, 그 암호화된 PDCP SDU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의 각각의 발송된 PDCP SDU를 동일한 방식으로 재할당할 수 있고, 그 PDCP SDU를 처리하여 UE에 전송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 비순서적으로 수신되는 발송된 PDCP SDU에 PDCP SN들을 재할당할 수 있다. PDCP SN들의 이러한 재할당은 UE로 하여금 PDCP SDU들을 정확하게 암호해독하는 동시에 HFN 동기화를 유지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UE는 상위 계층에 비순서적으로 PDCP SDU들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인가능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새로운 패킷들에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PDCP SN들을 할당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4 가지의 처리 방식들은 HFN 동기화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목표 eNB는 소스 eNB로부터의 발송된 PDCP SDU들을 수신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4 가지의 처리 방식들 중 임의의 한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이러한 PDCP SDU들을 전송할 수 있다. 모든 4 가지의 처리 방식들은 UE로 하여금 각각의 PDCP SDU를 정확하게 암호해독하고 목표 eNB와의 HFN 동기화를 유지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제 1 및 제 2 처리 방식들은 UE로 하여금 PDCP SDU들을 상위 계층들에 순서대로 전달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처리 방식들은 PDCP SDU들이 UE에서 상위 계층들에 비순서적으로 전달되도록 야기할 수 있고, 이는 용인가능할 수 있다. HFN 동기화는 다른 처리 방식들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서, 그 처리 방식들은 LTE에서 PDCP SDU들에 대해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리 방식들은 프로토콜 스택의 임의의 계층에서 그리고 임의의 프로토콜에 대해 패킷들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서, 그 처리 방식들은 소스 eNB로부터 목표 eNB로의 UE의 핸드오버에 대해 설명되었다. 이러한 처리 방식들은 또한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서빙 eNB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 패킷들은 예컨대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에 의해서 시퀀스 번호들이 할당될 수 있다. 서빙 eNB는 다른 eNB로부터 발송되는 PDCP SDU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의 패킷들을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7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처리(700)는 전송기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데, 그 전송기는 다운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지국/eNB 또는 업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UE일 수 있다. 패킷들의 시퀀스는 예컨대 패킷-스위칭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1 엔티티로부터 제 2 엔티티에 수신될 수 있다(블록 712).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제 2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블록 714).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전송될 수 있다(블록 716).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각각의 패킷은 버려질 수 있다(블록 718).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은, 제 2 엔티티에서 그 패킷을 버퍼링하지 않고, 그 패킷이 제 1 엔티티로부터 수신될 때 처리되어 전송되거나 혹은 버려질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엔티티는 소스 기지국/eNB일 수 있고, 제 2 엔티티는 목표 기지국/eNB일 수 있으며, 제 3 엔티티는 UE일 수 있다. 블록들(712 내지 718)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목표 기지국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1 엔티티는 서빙 게이트웨이일 수 있고, 제 2 엔티티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 3 엔티티는 UE일 수 있다. 그 패킷들은 PDCP SDU들 또는 일부 다른 타입의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712)의 한 설계에 있어서, 제 3 엔티티에 전송되는 가장 늦은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대한 포인터가 유지될 수 있다.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가 그 패킷의 시퀀스 번호와 그 포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이미 전송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더 이른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그 패킷은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8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800)는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기 위한 모듈(812),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814),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을 제 3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한 모듈(816), 및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각각의 패킷을 버리기 위한 모듈(818)을 포함한다.
도 9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900)의 설계를 나타낸다. 패킷들의 시퀀스가 패킷-스위칭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1 엔티티로부터 제 2 엔티티에서 수신될 수 있다(블록 912). 그 시퀀스의 패킷들은 재정렬될 수 있다(블록 914). 재정렬된 패킷들은 제 2 엔티티로부터 제 3 엔티티로 전송될 수 있다(블록 916).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엔티티는 소스 기지국일 수 있고, 제 2 엔티티는 목표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 3 엔티티는 UE일 수 있다. 블록들(912 내지 916)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목표 기지국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1 엔티티는 서빙 게이트웨이일 수 있고, 제 2 엔티티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 3 엔티티는 UE일 수 있다. 패킷들은 PDCP SDU들 또는 일부 다른 타입의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패킷들의 시퀀스는 재정렬 윈도우에 의해서 결정되는 시간 기간 동안에 제 2 엔티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블록(914)의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엔티티로부터의 시퀀스의 제 1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타이머가 시작될 수 있다. 제 1 패킷이 순서대로 수신되는 경우에, 그 제 1 패킷은 버퍼링될 수 있다.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제 1 엔티티로부터 순서대로 수신되지 않는 후속 패킷들도 또한 버퍼링될 수 있다. 버퍼링된 패킷들은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 재정렬되어 전송될 수 있다.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 제 1 엔티티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패킷은 제 2 엔티티에서의 버퍼링이 없이 처리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10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1000)는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기 위한 모듈(1012), 그 시퀀스의 패킷들을 재정렬하기 위한 모듈(1014), 및 제 2 엔티티로부터의 재정렬된 패킷들을 제 3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한 모듈(1016)을 포함한다.
도 1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11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제 1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1 패킷이 수신되고(블록 1112), 수신 엔티티로의 전송을 위해 처리될 수 있다(블록 1114).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제 2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2 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블록 1116). 제 2 패킷은 제 1 패킷에 관련해서 비순서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제 2 패킷은 마치 수신 엔티티로의 전송을 위한 제 1 패킷보다 늦은 것처럼 처리될 수 있다(블록 1118). 제 1 및 제 2 패킷들은, 각각의 패킷들을 버퍼링하지 않고, 이러한 패킷이 수신될 때 처리될 수 있다.
수신 엔티티는 UE일 수 있다.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패킷들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그 목표 기지국으로 그 소스 기지국에 의해서 발송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기지국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다.
블록(1114)의 한 설계에 있어서, 제 1 패킷은 HFN 및 제 1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제 1 카운트를 통해 암호화될 수 있다. 블록(1118)의 한 설계에 있어서, HFN은 제 2 패킷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제 2 패킷은 그 증가된 HFN 및 제 2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제 2 카운트를 통해 암호화될 수 있다.
블록(1118)의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제 2 패킷은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늦은 제 3 시퀀스 번호가 재할당될 수 있다. 이어서, 제 2 패킷은 수신 엔티티로의 전송을 위해서 제 3 시퀀스 번호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제 3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3 패킷이 그런 이후에 수신될 수 있고, 제 3 시퀀스 번호보다 늦은 제 4 시퀀스 번호가 재할당될 수 있다. 이어서, 그 제 3 패킷은 수신 엔티티로의 전송을 위해서 제 4 시퀀스 번호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12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1200)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1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1212), 수신 엔티티로 전송할 제 1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1214),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제 2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2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1216) - 제 2 패킷이 제 1 패킷과 관련해서 비순서적으로 수신됨 -, 및 수신 엔티티로 전송할 제 2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1218) - 제 2 패킷은 제 1 패킷보다 늦은 것처럼 처리됨 -을 포함한다.
도 1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처리(1300)의 설계를 나타낸다. 패킷들의 시퀀스가 목표 기지국으로부터 UE에 수신될 수 있다(블록 1312). 그 패킷들의 시퀀스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그 소스 기지국에 의해서 그 목표 기지국에 발송될 수 있다. 목표 기지국은 (i)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발송된 패킷을 버릴 수 있거나, (ii) 발송된 패킷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고 UE로의 전송에 앞서 그 패킷들을 재정렬할 수 있거나, (iii) 발송된 패킷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고 그 패킷이 마치 순서대로 수신된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은 그 패킷을 복원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블록 1314). 한 설계에 있어서, HFN은 만약 패킷이 시퀀스에서의 선행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더 작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증가될 수 있다. 그 패킷은 HFN 및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카운트를 통해 암호해독될 수 있다. 복원된 패킷들은 상위 계층들에 전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복원된 패킷들은 상위 계층들에 비순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상위 계층들은 복원된 패킷들에 데이터를 재정렬할 수 있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1400)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1400)는 목표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UE에서 수신하기 위한 모듈(1412), 및 패킷을 복원하기 위해서 그 시퀀스의 각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1414)을 포함한다.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의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장치들, 하드웨어 장치들, 전자 컴포넌트들, 논리 회로들, 메모리들 등이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UE(110), 소스 eNB/기지국(120), 및 목표 eNB/기지국(122)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소스 eNB(120)에서, 전송 프로세서(1514a)는 데이터 소스(1512a)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와 제어기/프로세서(1530a) 및 스케줄러(1534a)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530a)는 UE(120)의 핸드오버를 위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스케줄러(1534a)는 UE(120)를 위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자원들의 할당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1514a)는 트래픽 데이터, 제어 정보, 및 파일럿을 처리하고(예컨대, 인코딩 및 심볼 매핑),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 파일럿 심볼들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변조기(MOD)(1516a)는 데이터, 제어, 및 파일럿 심볼들을 처리하고(예컨대, OFDM의 경우), 출력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기(TMTR)(1518a)는 출력 샘플들을 컨디셔닝하고(예컨대, 아날로그로의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안테나(1520a)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목표 eNB(122)는 자신에 의해서 제공되는 UE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유사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 트래픽 데이터, 제어 정보, 및 파일럿은 전송 프로세서(1514b)에 의해서 처리되고, 변조기(1516b)에 의해서 추가로 처리되고, 전송기(1518b)에 의해서 컨디셔닝되며, 안테나(1520b)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UE(110)에서는, 안테나(1552)가 eNB들(120 및 122)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RCVR)(1554)는 안테나(15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하고(예컨대,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입력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복조기(DEMOD)(1556)는 그 입력 샘플들을 처리하고(예컨대, OFDM의 경우에),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1558)는 그 검출된 심볼들을 처리하고(예컨대, 심볼 디매핑 및 디코딩), 디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1560)에 제공하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157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를 통해, 전송 프로세서(1582)는 데이터 소스(1580)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1570)로부터의 제어 정보(예컨대, 핸드오버의 경우에)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변조기(1584)는 프로세서(1582)로부터의 심볼들을 처리하고(예컨대, SC-FDM의 경우에), 출력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기(1586)는 그 출력 샘플들을 컨디셔닝하여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그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155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eNB에서는, UE(110) 및 다른 UE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이 안테나(1520)에 의해서 수신되고, 수신기(1540)에 의해서 컨디셔닝되고, 복조기(1542)에 의해서 복조되며, 수신 프로세서(1544)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1544)는 디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1546)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15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1530a, 1530b 및 1570)은 eNB들(120 및 122) 및 UE(11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할 수 있다. 각각의 eNB에 있는 제어기/프로세서(1530)는 또한 도 7의 처리(700), 도 9의 처리(900), 도 11의 처리(1100),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처리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UE(110)에 있는 제어기/프로세서(1570)는 도 13의 처리(1300)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처리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1532a, 1532b 및 1572)은 eNB들(120 및 122) 및 UE(110)를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들(1534a 및 1534b)은 eNB들(120 및 122)과의 통신을 위해 UE들을 각각 스케줄링할 수 있고, 그 스케줄링된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여러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들,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여기서의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알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을 통해 일반적으로 위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의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 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의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진 방법의 단계들 및 알고리즘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탈착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그로 인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존재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이산적인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들에 있어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일예일뿐 비제한적으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나 특수 용도의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나 특수 용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불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같은 disk 및 disc은 콤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disk 및 disc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전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수행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여기서 설명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로 제공되어야 한다.

Claims (40)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엔티티(entity)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in order)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을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각각의 패킷을 버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엔티티는 소스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엔티티는 목표 기지국이며, 상기 제 3 엔티티는 사용자 기기(UE)이고,
    상기 수신 단계, 상기 결정 단계, 상기 전송 단계, 상기 버림 단계는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목표 기지국으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상기 목표 기지국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되는 가장 늦은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대한 포인터(pointer)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각각의 패킷의 시퀀스 번호 및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만약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이미 전송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상기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 상기 전송 단계, 및 상기 버림 단계는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각각의 패킷을 상기 제 2 엔티티에 버퍼링하지 않고,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들의 시퀀스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SDU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들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패킷-스위칭 인터페이스(packet-switched interface)를 통해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상기 패킷들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고,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을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며,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각각의 패킷을 버리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되는 가장 늦은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대한 포인터를 유지하고,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각각의 패킷의 시퀀스 번호 및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만약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이미 전송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상기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을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각각의 패킷을 버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되는 가장 늦은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대한 포인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각각의 패킷의 시퀀스 번호 및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여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만약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이미 전송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상기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이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패킷을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각각의 패킷을 버리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5.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퀀스의 패킷들을 재정렬(re-ordering)하는 단계; 및
    재정렬된 패킷들을 상기 제 2 엔티티로부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엔티티는 소스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엔티티는 목표 기지국이며, 상기 제 3 엔티티는 사용자 기기(UE)이고,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재정렬 단계, 및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목표 기지국으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상기 목표 기지국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들의 시퀀스는 재정렬 윈도우(re-ordering window)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제 2 엔티티에 의해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들을 재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상기 시퀀스의 제 1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만약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순서대로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 1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순서대로 수신되지 않는 후속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버퍼링된 패킷들을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패킷을 버퍼링하지 않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다면, 상기 패킷을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 및
    만약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다면, 상기 패킷을 버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제 2 엔티티에서 수신하고, 상기 시퀀스의 패킷들을 재정렬하며, 재정렬된 패킷들을 상기 제 2 엔티티로부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상기 시퀀스의 제 1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타이머를 시작하고, 만약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순서대로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 1 패킷을 버퍼링하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순서대로 수신되지 않는 후속 패킷들을 버퍼링하며,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버퍼링된 패킷들을 재정렬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패킷을 버퍼링하지 않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는 상기 제 1 엔티티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이 상기 제 3 엔티티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다면 상기 패킷을 상기 제 3 엔티티에 전송하며, 만약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다면 상기 패킷을 버리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5.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제 2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패킷은 상기 제 1 패킷과 관련하여 비순서적으로(out of order) 수신됨 ―; 및
    상기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 ― 상기 제 2 패킷은 마치 상기 제 2 패킷이 상기 제 1 패킷보다 늦은 것처럼 처리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엔티티는 사용자 기기(UE)이고,
    상기 제 1 패킷 및 상기 제 2 패킷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서 상기 목표 기지국으로 발송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비순서적으로 상기 제 2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이퍼-프레임 번호(HFN:hyper-frame number)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HFN은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는 하이퍼-프레임 번호(HFN) 및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제 1 카운트로 상기 제 1 패킷을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는,
    비순서적으로 상기 제 2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HFN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증가된 HFN 및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제 2 카운트로 상기 제 2 패킷을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늦은 제 3 시퀀스 번호를 상기 제 2 패킷에 재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를 갖는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3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보다 늦은 제 4 시퀀스 번호를 상기 제 3 패킷에 재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4 시퀀스 번호를 갖는 상기 제 3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킷 및 상기 제 2 패킷이 수신될 때, 상기 제 1 패킷 및 상기 제 2 패킷 각각은 버퍼링되지 않고 처리되는,
    무선 통신 방법.
  32.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1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이른 제 2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2 패킷을 수신하며 ― 상기 제 2 패킷은 상기 제 1 패킷과 관련하여 비순서적으로(out of order) 수신됨 ―, 상기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킷은 마치 상기 제 2 패킷이 상기 제 1 패킷보다 늦은 것처럼 처리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이퍼-프레임 번호(HFN) 및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제 1 카운트로 상기 제 1 패킷을 암호화하고, 비순서적으로 상기 제 2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HFN을 증가시키며, 증가된 HFN 및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제 2 카운트로 상기 제 2 패킷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보다 늦은 제 3 시퀀스 번호를 상기 제 2 패킷에 재할당하고, 상기 수신 엔티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를 갖는 상기 제 2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5.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목표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사용자 기기(UE)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을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들의 시퀀스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서 상기 목표 기지국으로 발송되고,
    상기 목표 기지국은 상기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발송된 패킷을 버리거나, 또는 발송된 패킷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UE로의 전송에 앞서 상기 발송된 패킷들을 재정렬하거나, 또는 발송된 패킷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고 마치 순서대로 수신된 것처럼 상기 발송된 패킷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는,
    만약 패킷이 상기 시퀀스의 선행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작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하이퍼-프레임 번호(HFN)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HFN 및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카운트로 상기 패킷을 암호해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복원된 패킷들을 상위 계층들에 전달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복원된 패킷이 상기 상위 계층들에 비순서적으로 전달됨 ―; 및
    상기 상위 계층들의 상기 복원된 패킷들에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목표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들의 시퀀스를 사용자 기기(UE)에서 수신하고,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을 복원하기 위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들의 시퀀스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상기 UE의 핸드오버 동안에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서 상기 목표 기지국으로 발송되고,
    상기 목표 기지국은 상기 UE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발송된 패킷을 버리거나, 또는 발송된 패킷들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UE로의 전송에 앞서 상기 발송된 패킷들을 재정렬하거나, 또는 발송된 패킷을 비순서적으로 수신하고 마치 순서대로 수신된 것처럼 상기 발송된 패킷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각각의 패킷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만약 패킷이 상기 시퀀스의 선행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작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면, 하이퍼-프레임 번호(HFN)를 증가시키고, 상기 HFN 및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카운트로 상기 패킷을 암호해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0.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퀀스의 복원된 패킷들을 상위 계층들에 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복원된 패킷을 상기 상위 계층들에 비순서적으로 전달하며, 상기 상위 계층들의 상기 복원된 패킷들에 데이터를 재정렬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07014277A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101255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058907P 2007-11-27 2007-11-27
US60/990,589 2007-11-27
US99090607P 2007-11-28 2007-11-28
US60/990,906 2007-11-28
US12/276,590 US20090168723A1 (en) 2007-11-27 2008-11-24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276,590 2008-11-24
PCT/US2008/084670 WO2009070576A2 (en) 2007-11-27 2008-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052A Division KR101252705B1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1020127016867A Division KR20120091404A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15A true KR20100095615A (ko) 2010-08-31
KR101255038B1 KR101255038B1 (ko) 2013-04-16

Family

ID=403424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277A KR101255038B1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1020117028052A KR101252705B1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1020127016867A KR20120091404A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052A KR101252705B1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1020127016867A KR20120091404A (ko) 2007-11-27 2008-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090168723A1 (ko)
EP (1) EP2220828A2 (ko)
JP (2) JP5123396B2 (ko)
KR (3) KR101255038B1 (ko)
CN (2) CN101874387B (ko)
BR (2) BRPI0820279A2 (ko)
CA (1) CA2704621A1 (ko)
RU (1) RU2470474C2 (ko)
TW (1) TWI374676B (ko)
WO (1) WO200907057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04B1 (ko) * 2019-09-30 2021-03-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8723A1 (en) 2007-11-27 2009-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36501B1 (en) * 2008-06-20 2019-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livering a PDCP data unit to an upper layer
WO2010074441A2 (en) * 2008-12-26 2010-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CN102217368B (zh) * 2009-02-02 2015-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载波小区切换方法、装置和系统
KR101541079B1 (ko) * 2009-02-09 2015-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의 암호화처리 장치 및 방법
US8213610B2 (en) * 2009-06-25 2012-07-03 Nokia Corporation Generation of key str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4394557B (zh) * 2009-10-07 2018-03-30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便利td‑scdma系统中的切换的装置和方法
JP2011164755A (ja) * 2010-02-05 2011-08-25 Fujitsu Ltd 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40248B2 (ja) * 2010-02-25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端末装置、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10101403A (ko) * 2010-03-08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패킷 포워딩 장치 및 방법
JP2011223525A (ja) * 2010-04-14 2011-11-04 Kyocera Corp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223691B (zh) * 2010-04-15 2015-08-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中的切换方法
US11418580B2 (en) * 2011-04-01 2022-08-16 Pure Storage, Inc. Selective generation of secure signatures in a distributed storage network
KR20130093774A (ko) * 2011-12-2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p 패킷 전송 방법
CN103260204A (zh) * 2012-02-21 2013-08-21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无线网络控制器间切换的方法和装置
JP6001886B2 (ja) * 2012-03-13 2016-10-0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US8958422B2 (en) * 2012-03-17 2015-02-17 Blackberry Limited Handl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data units
GB2503873B (en) * 2012-05-23 2017-05-24 Nvidia Corp Processing data units
GB2502954B (en) * 2012-05-23 2014-10-15 Nvidia Corp Processing data units
US20140029609A1 (en) * 2012-07-27 2014-01-30 Siamack Ayandeh Updating table data in network device
US9136984B2 (en) 2013-03-20 2015-09-15 Google Inc. Multi-listener wireless medium access method
EP2991418B1 (en) * 2013-04-26 2021-06-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ream aggregation
US9444753B2 (en) 2013-06-1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all performance and data throughput
CN104798320B (zh) * 2013-11-11 2018-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4935413B (zh) * 2014-03-19 2019-12-27 夏普株式会社 分组数据汇聚协议pdcp实体及其执行的方法
US9654389B2 (en) 2014-07-21 2017-05-16 Cisco Technology, Inc. Order-sensitive communications in packet reordering networks
KR102202894B1 (ko) * 2014-08-28 2021-0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 손실 관리 방법
WO2016073591A1 (en) 2014-11-06 2016-05-12 Intel IP Corporation Early termination of repeated transmissions for mtc
EP3247148B1 (en) * 2015-02-09 2019-05-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Rlc data packet offload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10485042B2 (en) * 2015-04-02 2019-11-19 Kt Corporation Method for reconfiguring wireless bearer and device thereof
US9918344B2 (en) 2015-04-09 2018-03-13 Intel IP Corporatio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enhanced coverage support
US9860614B2 (en) 2015-05-13 2018-0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photonic electronic switching
US9860615B2 (en) * 2015-05-14 2018-0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hotonic switching
US9999049B2 (en) 2015-08-31 2018-06-12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unnecessary protocol data unit (PDU) transmissions
EP3349486B1 (en) * 2015-09-11 2021-03-24 Ne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rela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CN107548116B (zh) * 2016-06-25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分布式ap间切换的方法、中心ap和分布式ap
WO2018064381A1 (en) * 2016-09-30 2018-04-05 Kyocera Corporation Special uplink subframe for enhanced mobility
CN112713970B (zh) * 2016-11-02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报文的方法、装置、芯片及终端
WO2018119123A1 (en) * 2016-12-20 2018-06-28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 forwarding during handover procedures
CN110313195B (zh) * 2017-02-27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09196902B (zh) * 2017-03-13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终端设备、基站
WO2018172602A1 (en) * 2017-03-23 2018-09-27 Nokia Technologies Oy Quality of service flow relocation
WO2018189882A1 (ja) * 2017-04-14 2018-10-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0622543A (zh) * 2017-04-28 2019-12-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分组数据汇聚协议(pdcp)重新排序的网络节点及其中的方法
WO2018231006A1 (en) * 2017-06-16 2018-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reporting frequency measurement result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9429269B (zh) * 2017-08-22 2022-02-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序列号动态调整方法、装置和基站
EP3697131A4 (en) * 2017-11-14 2020-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WITCHING PROCESS AND DEVICE
CN110557848B (zh) * 2018-06-01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0820057B2 (en) 2018-11-07 2020-10-27 Nvidia Corp. Scalable light-weight protocols for wire-speed packet ordering
US11108704B2 (en) 2018-12-04 2021-08-31 Nvidia Corp. Use of stashing buffer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rossbar switches
US10749765B2 (en) * 2019-01-08 2020-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mmunication in a network
US11418631B2 (en) 2019-07-24 2022-08-16 Mediatek Inc. Efficient packet delivery methods and associate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2399476B (zh) * 2019-08-15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包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20220075318A (ko) * 2019-09-30 2022-06-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2584450A (zh) * 2019-09-30 2021-03-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锚点转换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3225748A (zh) * 2020-01-17 2021-08-06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超帧号失步检测方法及装置
CN114124840B (zh) * 2021-11-26 2023-09-15 哲库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接收pdcp包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770215B2 (en) 2022-02-17 2023-09-26 Nvidia Corp. Transceiver system with end-to-end reliability and ordering protocols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7342A (en) * 1987-07-22 1989-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Selective sequential control method in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EP0633678B1 (en) * 1993-06-29 2000-07-19 Alcatel Resequencing method and resequencing device realizing such a method
US6480477B1 (en) * 1997-10-14 2002-11-12 Innowave Eci Wireless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ata transmission rate of multiples of 100 MBPS in a terminal for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US6424625B1 (en) * 1998-10-28 2002-07-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arding packets in a data network having automatic repeat request
AU4365599A (en) * 1999-05-21 2000-12-12 Nokia Corpor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in third generation mobile system
US6765885B2 (en) * 2001-02-09 2004-07-20 Asustek Computer Inc. Determination of acceptable sequence number ranges in a communications protocol
JP4724928B2 (ja) * 2001-02-27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伝送装置及び無線伝送方法
US7099346B1 (en) * 2001-05-15 2006-08-29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hannel capacity optimization for packet services
US20030007642A1 (en) * 2001-07-05 2003-01-09 Jiang Sam Shiaw-Shiang Local suspend function and reset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05503699A (ja) * 2001-08-31 2005-02-03 アダプ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でホストベースのセキュリティを行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438443B1 (ko) * 2001-12-12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수행방법
KR100747464B1 (ko) * 2002-01-05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시스템을 위한타이머를 이용한 교착상황 회피방법
KR100765123B1 (ko) * 2002-02-16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rns 재할당 방법
JP2004015143A (ja) * 2002-06-04 2004-01-15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ルータ装置
EP1383292B1 (en) * 2002-07-16 2005-06-29 Lucent Technologies Inc. Packet order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04086508A (ja) 2002-08-26 2004-03-18 Alpine Electronics Inc 3次元形状データに基づく動画の表示制御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796602B2 (en) * 2002-11-25 2010-09-14 Intel Corporation In sequence packet delivery without retransmission
CN1523797B (zh) * 2003-02-17 2012-07-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Wcdma系统增强型上行专用信道harq的重排序方法
US7395538B1 (en) * 2003-03-07 2008-07-01 Juniper Networks, Inc. Scalable packe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JP2005012718A (ja) * 2003-06-23 2005-01-13 Hitachi Ltd 移動体ipデータ通信システム
EP1511231A1 (en) * 2003-08-28 2005-03-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through a network
US7573883B2 (en) * 2004-03-05 2009-08-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operator for increasing the active window size in a NAK-based window protocol
US8018945B2 (en) * 2004-04-29 2011-09-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non-consecutive data blocks in enhanced uplink transmissions
JP2006211632A (ja) * 2005-01-26 2006-08-10 Asustek Computer Inc Crc検査範囲外エラーを検出する方法
CN1855887A (zh) * 2005-04-29 2006-11-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在接收端中减少数据串流前后跳动的方法及其相关装置
IL169503A (en) * 2005-07-03 2010-12-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US7653060B2 (en) * 2005-09-26 2010-01-26 David Mayhew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SI over long distances
US7782862B2 (en) * 2006-01-13 2010-08-24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delivery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KR101162378B1 (ko) * 2006-03-08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의 순서재정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4778342B2 (ja) * 2006-03-27 2011-09-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基地局
WO2007116701A1 (ja) * 2006-03-28 2007-10-18 Ntt Docomo, Inc. 基地局および経路制御装置並びに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WO2007125592A1 (ja) * 2006-04-28 2009-09-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US7907594B2 (en) * 2006-06-01 2011-03-15 Cisco Technology, Inc. Marking keyframes for a communication session
GB0616682D0 (en) * 2006-08-22 2006-10-04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US20080137574A1 (en) * 2006-12-08 2008-06-1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ata deli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80182579A1 (en) * 2007-01-26 2008-07-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Systems for Handover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4909418B2 (ja) * 2007-03-15 2012-04-0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発展型hspaシステムでデータをリオーダ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711833B2 (en) * 2007-04-18 2014-04-29 Wi-Lan, Inc.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a single frequency network
US8130723B2 (en) * 2007-04-19 2012-03-06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ordering function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813339B2 (en) * 2007-05-02 2010-10-12 Tehuti Networks Ltd. Direct assembly of a data payload in an application memory
US8774203B2 (en) * 2007-06-07 2014-07-08 Intel Corporation One-way message notification with out-of-order packet delivery
WO2009009532A2 (en) * 2007-07-11 2009-0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operations
US20090046577A1 (en) * 2007-08-14 2009-02-19 Motorola, Inc. Resuming an interrupted flow of data packets
WO2009045160A1 (en) * 2007-10-02 2009-04-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handov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168723A1 (en) 2007-11-27 2009-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139452A (ja) 2007-12-04 2009-06-25 Sharp Corp 表示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04B1 (ko) * 2019-09-30 2021-03-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883A (ko) 2011-12-19
JP5123396B2 (ja) 2013-01-23
US20210144605A1 (en) 2021-05-13
US20090168723A1 (en) 2009-07-02
KR20120091404A (ko) 2012-08-17
BRPI0820279A2 (pt) 2012-12-25
JP2012239175A (ja) 2012-12-06
US20170048765A1 (en) 2017-02-16
BRPI0823521A2 (pt) 2013-12-17
US11647435B2 (en) 2023-05-09
JP2011505758A (ja) 2011-02-24
CN102938912A (zh) 2013-02-20
JP5431526B2 (ja) 2014-03-05
KR101252705B1 (ko) 2013-04-09
US10924970B2 (en) 2021-02-16
RU2010126220A (ru) 2012-01-10
WO2009070576A3 (en) 2009-08-13
US20170367017A9 (en) 2017-12-21
RU2470474C2 (ru) 2012-12-20
TW200939830A (en) 2009-09-16
CN101874387A (zh) 2010-10-27
CN101874387B (zh) 2015-10-07
TWI374676B (en) 2012-10-11
EP2220828A2 (en) 2010-08-25
CN102938912B (zh) 2016-12-21
WO2009070576A2 (en) 2009-06-04
KR101255038B1 (ko) 2013-04-16
CA2704621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30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CDP discard
US10397754B2 (e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with enhanced component carriers
US8437306B2 (en) Layer 2 tunneling of data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28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iphering and re-ordering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79855B2 (en) Ciphering in a packet-switched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1061746B1 (ko) 암호화 구성이 변화하는 동안 중단되지 않는 송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