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904B1 -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904B1
KR102230904B1 KR1020190120712A KR20190120712A KR102230904B1 KR 102230904 B1 KR102230904 B1 KR 102230904B1 KR 1020190120712 A KR1020190120712 A KR 1020190120712A KR 20190120712 A KR20190120712 A KR 20190120712A KR 102230904 B1 KR102230904 B1 KR 10223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fn
pdcp
sequence number
data
estimati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Abstract

본 발명은,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더라도,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DATA RECEI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N-DC 환경에서 PDCP 패킷을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NR(New Radio, 5G) 규격만으로 서비스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초기 NR 투자 비용 과다 및 NR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제공 불가를 고려하여, 많은 사업자들이 기존 상용화된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방식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DC의 Architecture는, 기존 EPC(MME/S-GW)와 E-UTRA 기지국(이하, eNB)/ NR 기지국(이하, gNB)를 연동하는 방식이며, 시그널링의 Control Plane은 eNB 중심으로 연동되며, 데이터 전송의 User Plane은 eNB/gNB 모두 연동되는 방식이다.
User Plane 측면에서 단말의 데이터 세션은, MCG Bearer, SCG Bearer, Split bearer의 3개 Type Bearer가 존재한다.
MCG Bearer는, E-UTRA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또는 NR PDCP에 Configuration되며, SCG 및 Split Bearer는 NR PDCP에 Configuration된다.
이에, 단말이 eNB/gNB 간 연동을 기반으로 하는 Split Bearer를 사용하는 경우, EPC(MME/S-GW)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는 gNB의 NR PDCP에서 eNB의 E-UTRA RLC 및 gNB의 NR RLC로 전송 및 eNB/gNB 내 하위 계층을 거쳐 각 eNB/gNB로부터 단말에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단말의 NR PDCP에서는, 각 E-UTRA RLC와 NR RLC의 각 전송 패스(LTE/NR 전송 패스)를 통해 전달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재 정렬(Re-ordering)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의 경우, 단말이 eNB/gNB 각각에 Scheduling Request 시 BSR(Buffer Status Report)을 통해 제공하는 정보(업링크 데이터 양)를 기반으로 eNB 및 gNB가 업링크 리소스(UL Resource)를 할당해주면, 단말의 NR PDCP가 eNB 및 gNB 별로 각기 할당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E-UTRA RLC 및 NR RLC로 분배 전송하면 각 하위 계층을 거쳐 각 eNB/gNB에 수신될 수 있다.
이에, gNB의 NR PDCP에서는, eNB의 E-UTRA RLC와 자신의 NR RLC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재 정렬(Re-ordering)하여 EPC(MME/S-GW)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현재 EN-DC 기술에 따르면, 송신측 엔티티(이하, 송신 PDCP Entity) 예컨대 다운링크의 경우 gNB의 NR PDCP, 업링크의 경우 단말 PDCP는, 전송하는 데이터 즉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 및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를 이용하여 생성한 카운트값(COUNT)으로 PDCP 패킷을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이에, 수신측 엔티티(이하, 수신 PDCP Entity) 예컨대 다운링크의 경우 단말 PDCP, 업링크의 경우 gNB의 NR PDCP는, 수신하는 데이터 즉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 및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추정한 HFN을 이용하여 카운트값(COUNT)을 생성하고 이 카운트값(COUNT)으로 PDCP 패킷을 복호화하도록 되어 있다.
즉, EN-DC 기술에는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HFN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있다.
헌데, EN-DC 기술에서 정의하는 HFN 추정 알고리즘은, 송신 PDCP Entity에서 PDCP SDU 수신 지연이 발생하거나 LTE 전송 패스 또는 NR 전송 패스의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등의 원인으로 인해,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수신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을 위한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이상 지연되는 경우, HFN 추정 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더라도,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더라도,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송 패스(Pat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엔티티(Entity)에 대하여, 상기 수신측 엔티티에 데이터 수신 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지연확인부; 상기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특정값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하는 추정오류판단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Entity)와 상호 설정하는 범위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연확인부는,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패스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는, 수신하는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과 관련된 윈도우의 사이즈(Window_Size) 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연확인부는,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별로 가장 최근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COUNT),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추정한 상기 특정값과 관련된 카운트값(COUNT), 및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패스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값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 생성 시 이용하는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와 관련하여 PDCP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인 PDCP PDU의 시퀀스 넘버 간 차이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미만이면, 상기 수신한 PDCP PDU에 대해 추정되는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인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와 관련하여 PDCP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를 뺀 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이면, 상기 수신한 PDCP PDU에 대해 추정되는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추정된 HFN에 대한 추정 오류를 보상 후 상기 보상한 HFN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을 재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추정된 HFN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는, PDCP 계층은 동일하며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RLC 계층의 하위 계층은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기지국 및 단말 간에 연결되는 전송 패스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송 패스(Pat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엔티티(Entity)에 대하여, 상기 수신측 엔티티에 데이터 수신 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지연확인단계; 상기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특정값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하는 추정오류판단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Entity)와 상호 설정하는 범위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연확인단계는,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패스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연확인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별로 가장 최근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COUNT),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추정한 상기 특정값과 관련된 카운트값(COUNT), 및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패스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값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 생성 시 이용하는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정오류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와 관련하여 PDCP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인 PDCP PDU의 시퀀스 넘버 간 차이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미만이거나, 상기 수신한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에서 상기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를 뺀 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이면, 상기 수신한 PDCP PDU에 대해 추정되는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추정된 HFN에 대한 추정 오류를 보상 후 상기 보상한 HFN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을 재 생성하는 카운트값 재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상한 HFN은 상기 추정된 HFN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한 값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더라도,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HFN 추정 오류 가능성을 사전에 해소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EN-DC 환경에서 기지국 및 단말을 계층 관점에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기존 HFN 추정 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HFN 추정 시 본 발명의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이 적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HFN 추정 시 오류가 개선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DC의 Architecture는, 기존 EPC(MME/S-GW)와 E-UTRA 기지국(이하, eNB)/ NR 기지국(이하, gNB)를 연동하는 방식이며, 데이터 전송의 User Plane은 eNB/gNB 모두 연동되는 방식이다.
User Plane 측면에서 단말의 데이터 세션은, MCG Bearer, SCG Bearer, Split bearer의 3개 Type Bearer가 존재한다.
MCG Bearer는, E-UTRA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또는 NR PDCP에 Configuration되며, SCG 및 Split Bearer는 NR PDCP에 Configuration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0)이 eNB(10)/gNB(20) 간 연동을 기반으로 하는 Split Bearer를 사용하는 EN-DC Split Bearer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여 전술의 EN-DC 환경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겠다.
먼저, EPC(MME/S-GW)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는, gNB(20)의 NR PDCP에서 eNB(10)의 E-UTRA RLC 및 gNB(20)의 NR RLC로 전송 및 eNB/gNB 내 하위 계층을 거쳐 각 eNB(10)/gNB(20)로부터 단말(30)에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단말(30)의 NR PDCP에서는, eNB(10)/gNB(20)로부터 수신 및 각 E-UTRA RLC와 NR RLC의 전송 패스(LTE 전송 패스: Path#1, NR 전송 패스: Path#2)를 통해 전달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재 정렬(Re-ordering)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30)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의 경우, 단말(30)이 eNB(10)/gNB(20) 각각에 Scheduling Request 시 BSR(Buffer Status Report)을 통해 제공하는 정보(업링크 데이터 양)를 기반으로 eNB(10) 및 gNB(20)가 업링크 리소스(UL Resource)를 할당해주면, 단말(30)의 NR PDCP가 eNB(10) 및 gNB(20) 별로 각기 할당된 업링크 리소스에서 E-UTRA RLC 및 NR RLC로 분배 전송하면 각 하위 계층을 거쳐 각 eNB(10)/gNB(20)에 수신될 수 있다.
이에, gNB(20)의 NR PDCP에서는, eNB(10)의 E-UTRA RLC와 자신(20)의 NR RLC로부터 전달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재 정렬(Re-ordering)하여 EPC(MME/S-GW)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현재 EN-DC 기술에 따르면, 송신측 엔티티(이하, 송신 PDCP Entity) 예컨대 다운링크의 경우 gNB(20)의 NR PDCP, 업링크의 경우 단말(30) PDCP는, 전송하는 데이터 즉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 및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를 이용하여 생성한 카운트값(COUNT)으로 PDCP 패킷을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이에, 수신측 엔티티(이하, 수신 PDCP Entity) 예컨대 다운링크의 경우 단말 PDCP, 업링크의 경우 gNB의 NR PDCP는, 수신하는 데이터 즉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 및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추정한 HFN을 이용하여 카운트값(COUNT)을 생성하고 이 카운트값(COUNT)으로 PDCP 패킷을 복호화하도록 되어 있다.
즉, EN-DC 기술에는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HFN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HFN 추정 알고리즘을 간단히 설명하면, 수신 PDCP Entity가 송신 PDCP Entity와 관련하여 상위 계층 예컨대 RRC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이하, RX_DELIV)의 시퀀스 넘버(이하, SN(RX_DELIV))와,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시퀀스 넘버(이하, RCVD_SN), 및 수신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을 위한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를 이용하여, RX_DELIV에 대해 추정한 HFN를 기준으로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에 대한 HFN를 추정한다.
즉, 기존의 HFN 추정 알고리즘은, RX_DELIV의 SN 및 HFN를 기준으로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의 SN 및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를 이용하여 HFN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은, RX_DELIV를 기준으로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에 의존하는 추정 방식이기 때문에, 송신 PDCP Entity에서 PDCP SDU 수신 지연이 발생하거나 LTE 전송 패스 또는 NR 전송 패스의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등의 원인으로 인해,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수신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을 위한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이상 지연되는 경우, HFN 추정 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PDCP Entity가 12bit를 사용하는 경우로 가정하며, 이 경우 RLC AM에 맵핑 가능한 PCDP 패킷의 시퀀스 넘버는 0~4095이며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는 4096의 1/2인 2048일 것이다.
도3에 도시된 상황처럼,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예:2048) 이상 지연되는 경우, 수신 PDCP Entity에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하는 HFN(이하, RCVD_HFN)가 i+1로 추정되어야 하지만 RX_DELIV의 HFN(i)과 동일하게 추정되는 추정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더라도,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하, HFV 추정 오류 해소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수신 PDCP Entity와 관련되어 수신측 장치에 구비되며, 따라서 다운링크 관점에서는 단말 측에 구비되며 업링크 관점에서는 NB(gNB 또는 eNB)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다운링크의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지연확인부(110), 추정오류판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범위설정부(140), 카운트값생성부(150), 전달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수신장치(100)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데이터 수신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데이터 수신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안 즉 EN-DC 환경에서 HFN 추정 오류를 해소하는 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연확인부(110)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송 패스(Pat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엔티티(Entity)에 대하여, 수신측 엔티티에 데이터 수신 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송 패스는, PDCP 계층은 동일하며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RLC 계층의 하위 계층은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기지국 및 단말 간에 연결되는 전송 패스일 수 있다.
PDCP 계층은 동일하며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RLC 계층의 하위 계층은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기지국은, EN-DC 환경에서 E-UTRA 기술에 따른 기지국(이하, eNB) 및 NR(New Radio, 5G) 기술에 따른 기지국(이하, gNB)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연확인부(110)는, EN-DC 환경에서 eNB 및 gNB과 단말 간에 연결된 전송 패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엔티티(Entity)에 대하여, 수신측 엔티티에 데이터 수신 시 eNB 및 단말 간 전송 패스와 gNB 및 단말 간 전송 패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의 다운링크의 경우로 가정한 바에 따르면, 수신측 엔티티 즉 수신 PDCP Entity는 단말(30)의 NR PDCP일 것이므로, 지연확인부(110)는, 단말(30)의 NR PDCP에 데이터 수신 시 eNB(10) 및 gNB(20)와 연결된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물론, 업링크의 경우라면, 수신측 엔티티 즉 수신 PDCP Entity는 gNB(20)의 NR PDCP일 것이므로, 지연확인부(110)는, gNB(20)의 NR PDCP에 데이터 수신 시 eNB(10) 및 gNB(20)와 단말(30) 간 연결된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계속해서 다운링크의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지연확인부(110)는, 단말(30)의 NR PDCP에 데이터 즉 PDCP 패킷(PDCP PDU) 수신 시, eNB(10) 및 gNB(20)와 연결된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추정오류판단부(120)는, 지연확인부(110)에서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금번 수신한 데이터 즉 PDCP 패킷을 복호화하기 위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의 시퀀스 넘버(이하, RCVD_SN)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특정값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특정값은, 수신 데이터의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 생성 시 이용하는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을 의미한다.
즉, 추정오류판단부(120)는, 지연확인부(110)에서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기 위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기반으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되는 HFN(이하, RCVD_HFN)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연확인부(110)가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범위설정부(140)는, 2 이상의 전송 패스 예컨대 eNB(10) 및 gNB(20)을 이용하는 각 전송 패스(Path#1,#2)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Entity) 즉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와 상호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측 엔티티(Entity) 즉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는,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에 대한 각 전송 패스(Path#1,#2)의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시퀀스 넘버 범위(GAP)는, 수신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과 관련된 윈도우의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는, 각 전송 패스(Path#1,#2) 별로, 연속해서 PDCP 패킷(PDCP PDU)을 전송하는 개수를 최대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까지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는, 각 전송 패스(Path#1,#2)에 설정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에서 인지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르면, eNB(10) 및 gNB(20) 중 어느 하나는, 송신 PDCP Entity(예: gNB(20)가 설정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에 대한 정보를, EN-DC 환경에서 단말(30)에 대한 Secondary Node Add 시 RRC connection Configuration 메시지 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eNB(10) 및 gNB(20) 중 어느 하나는, 송신 PDCP Entity(예: gNB(20)가 설정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에 대한 정보를, PDCP Control PDU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 즉 범위설정부(140)는, 각 전송 패스(Path#1,#2)에 설정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와 상호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지연확인부(110)는, 전술과 같이 각 전송 패스(Path#1,#2)의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 및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가 상호 동일하게 설정한다는 전제 하에,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기반으로, 전송 패스(Path#1,#2) 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연확인부(110)는, 각 전송 패스(Path#1,#2) 별로 가장 최근 수신한 데이터 즉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COUNT),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을 복호화하기 위해 추정한 HFN(RCVD_HFN)과 관련된 카운트값(COUNT), 및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이용하여, 각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전송 패스(Path#1,#2) 별로 가장 최근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COUNT)은, LTE 전송 패스 Path#1의 경우 가장 최근(마지막)에 수신한 PDCP 패킷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이하, LTE_Last_COUNT)과, NR 전송 패스 Path#2의 경우 가장 최근(마지막)에 수신한 PDCP 패킷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이하, NR_Last_COUNT)을 의미한다.
만약, LTE 전송 패스 Path#1에서 가장 최근(마지막)에 수신한 PDCP 패킷이 없는 초기 시, LTE_Last_COUNT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RX_DELIV-1로 정의하며,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가장 최근(마지막)에 수신한 PDCP 패킷이 없는 초기 시, NR_Last_COUNT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RX_DELIV-1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을 복호화하기 위해 추정한 HFN(RCVD_HFN)과 관련된 카운트값(COUNT)은,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 및 RCVD_SN를 기반으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를 이용하여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를 의미한다.
카운트값생성부(150)는,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기반으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RCVD_HFN를 추정하고, RCVD_SN 및 RCVD_HFN를 이용하여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기 위한 카운트값(RCVD_COUNT)를 생성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카운트값생성부(150)는,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외부에 구비 및 연동하는 기능부일 수도 있다.
이에, 예를 들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이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전송된 경우라면, 지연확인부(11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LTE_Last_COUNT, NR_Last_COUNT, RCVD_COUNT, 시퀀스 넘버 범위(GAP, 이하 Max. PDCP SN Gap)을 이용하여 각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9832959-pat00001
지연확인부(110)는, 수학식 1에 따른 조건1 또는 조건2가 만족되면, 각 전송 패스(Path#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연 발생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이 LTE 전송 패스 Path#1에서 전송된 경우라면, 지연확인부(110)는,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LTE_Last_COUNT, NR_Last_COUNT, RCVD_COUNT, 시퀀스 넘버 범위(GAP, 이하 Max. PDCP SN Gap)을 이용하여 각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9832959-pat00002
지연확인부(110)는, 수학식 2에 따른 조건3 또는 조건4가 만족되면, 각 전송 패스(Path#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연 발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정오류판단부(120)는, 지연확인부(110)에서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기반으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정오류판단부(120)는,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시퀀스 넘버 즉 RCVD_SN 및 송신측 엔티티 즉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와 관련하여 PDCP 계층 즉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가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RX_DELIV)의 시퀀스 넘버 즉 RX_DELIV_SN(또는 SN(RX_DELIV)) 간 차이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미만이면(이하 수학식 3),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앞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을 추정된 RCVD_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9832959-pat00003
또는, 추정오류판단부(120)는,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시퀀스 넘버 즉 RCVD_SN 에서, 송신측 엔티티 즉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와 관련하여 PDCP 계층 즉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가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RX_DELIV)의 시퀀스 넘버 즉 RX_DELIV_SN를 뺀 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이상이면(이하 수학식 4),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앞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을 추정된 RCVD_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9832959-pat00004
추정오류판단부(120)는, 수학식 3에 따른 판단1 또는 수학식 4에 따른 판단2가 만족되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앞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을 추정된 RCVD_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하고, 기존 추정된 RCVD_HFN에 대한 추정 오류를 보상한다.
구체적으로 추정오류판단부(120)는, 기존 추정된 RCVD_HFN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정오류판단부(120)는, 보상한 HFN(RCVD_HFN+1) 및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이용하여,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기 위한 카운트값(RCVD_COUNT)를 재 생성할 수 있다(이하 수학식 5).
Figure 112019099832959-pat00005
즉, 추정오류판단부(120)는, 직접 카운트값(RCVD_COUNT)를 재 생성하거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카운트값생성부(150)와 연동하여 카운트값(RCVD_COUNT)를 재 생성할 수 있다.
전달부(160)는, 추정오류판단부(120)에 의해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되는 경우 재 생성된 카운트값(RCVD_COUNT)을 이용하고 추정오류판단부(120)에 의해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되지 않으면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를 이용하여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을 이용하여,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는 등 정의된 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유효한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기능부 예컨대 지연확인부(110), 추정오류판단부(120), 범위설정부(140) 중 일부 또는 전체는 수신 PDCP Entity에 실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보다 작은 시퀀스 넘버 범위(Max. PDCP SN Gap)를 전송 패스에 새롭게 정의하여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는 상황을 식별하고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 상황을 고려한 HFN 추정 오류 판단 알고리즘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HFN 추정 오류를 보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 기능 즉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을 실현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HFN 추정 시 오류가 개선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에서는 PDCP Entity가 12bit를 사용하는 경우로 가정하며, 이 경우 RLC AM에 맵핑 가능한 PCDP 패킷의 시퀀스 넘버는 0~4095이며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는 4096의 1/2인 2048일 것이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시퀀스 넘버 범위(Max. PDCP SN Gap)로서 1000을 설정하여, 각 전송 패스(Path#1,#2) 각각에서 연속해서 1000개의 PDCP 패킷(PDCP PDU)이 전송되는 상황, 및 LTE 전송 패스 Path#1로 PDCP 패킷(2301)이 전송되는 시점부터 LTE 무선 환경 문제로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이상 수신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로 가정하고 있다.
이 경우,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전송하여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1701~2300)의 경우(①), 수학식 1에 따른 조건1 또는 조건2가 만족되지 않기 때문에, 추정오류판단부(120)에 의해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1701~2300)의 경우(①),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를 이용하여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으로 복호화 등 정의된 처리 절차가 수행된 후 유효 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것이다.
한편, 무선 환경이 정상인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전송하여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3301~4095,0~100)의 경우(②), 수학식 1에 따른 조건1 또는 조건2가 만족되고 수학식 3 또는 4에 따른 추정 오류 판단1 또는 2가 만족되기 때문에, 추정오류판단부(120)에 의해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된다.
예를 들어, PDCP 패킷(3301)의 경우는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이 i-1로 추정되는 오류가 발생하므로, 추정오류판단부(120)에서는 기존 추정된 RCVD_HFN(i-1)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한 후(i-1 -> i) 수학식 5에 따라 카운트값(RCVD_COUNT)을 재 생성할 것이다.
또 예를 들어, PDCP 패킷(100)의 경우는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이 i로 추정되는 오류가 발생하므로, 추정오류판단부(120)에서는 기존 추정된 RCVD_HFN(i)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한 후(i -> i+1) 수학식 5에 따라 카운트값(RCVD_COUNT)을 재 생성할 것이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3301~4095,0~100)의 경우(②),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 가 아닌 본 발명에 따라 재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으로 복호화 등 정의된 처리 절차가 수행된 후 유효 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것이다.
한편, 무선 환경이 정상인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전송하여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1101~1700)의 경우(③), 수학식 1에 따른 조건1 또는 조건2가 만족되고 수학식 3 또는 4에 따른 추정 오류 판단1 또는 2가 만족되기 때문에, 추정오류판단부(120)에 의해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된다.
예를 들어, PDCP 패킷(1101~1700)의 경우(③)는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이 i로 추정되는 오류가 발생하므로, 추정오류판단부(120)에서는 기존 추정된 RCVD_HFN(i)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한 후(i -> i+1) 수학식 5에 따라 카운트값(RCVD_COUNT)을 재 생성할 것이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1101~1700)의 경우(③),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 가 아닌 본 발명에 따라 재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으로 복호화 등 정의된 처리 절차가 수행된 후 유효 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것이다.
한편, 무선 환경이 정상인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전송하여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1801~2400)의 경우(④), 수학식 1에 따른 조건1 또는 조건2가 만족되고 수학식 3 또는 4에 따른 추정 오류 판단1 또는 2가 만족되기 때문에, 추정오류판단부(120)에 의해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된다.
예를 들어, PDCP 패킷(1801~2400)의 경우(④)는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이 i로 추정되는 오류가 발생하므로, 추정오류판단부(120)에서는 기존 추정된 RCVD_HFN(i)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한 후(i -> i+1) 수학식 5에 따라 카운트값(RCVD_COUNT)을 재 생성할 것이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1801~2400)의 경우(④),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 가 아닌 본 발명에 따라 재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으로 복호화 등 정의된 처리 절차가 수행된 후 유효 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HFN 추정 시 본 발명의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이 적용되는 예를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신규 기능 즉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은, 수신 PDCP Entity에 PDCP 패킷 수신 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RCVD_HFN이 추정된 이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수신 PDCP Entity에 하위 계층으로부터 PDCP 패킷(PDCP PDU)이 수신되면(S10), 수신 PDCP Entity에서는 기존의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RX_DELIV의 SN(RX_DELIV)와,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 및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를 이용하여, RX_DELIV에 대해 추정한 HFN(RX_DELIV)를 기준으로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한 RCVD_HFN를 추정한다(S20~S40).
이에, 수신 PDCP Entity에서는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 및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이용하여 카운트값(RCVD_COUNT)을 생성하게 된다(S50).
이때, 수신 PDCP Entity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신규 기능 즉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S60).
그리고, 수신 PDCP Entity에서는, S60단계에서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되는 경우 재 생성된 카운트값(RCVD_COUNT)을 이용하고 S60단계에서 카운트값(RCVD_COUNT)이 재 생성되지 않으면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를 이용 및 S50단계에서 생성한 카운트값(RCVD_COUNT)을 이용하여,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는 등 정의된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S70).
이에, 수신 PDCP Entity에서는,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는 등 처리 절차 시 이용한 카운트값(RCVD_COUNT)이 RX_DELIV의 카운트값(COUNT) 보다 작으면(S80 예),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이 이미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것으로 유효하지 않으므로 버리고(S85), 유효한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것이다(S9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 예컨대 도 5에서 수행되는 S50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도 4의 데이터 수신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에서,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수신 PDCP Entity에 PDCP 패킷(PDCP PDU) 수신 시, LTE/NR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62).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측 엔티티(Entity) 즉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는,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에 대한 각 전송 패스(Path#1,#2)의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시퀀스 넘버 범위(GAP)는, 수신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과 관련된 윈도우의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는, 각 전송 패스(Path#1,#2) 별로, 연속해서 PDCP 패킷(PDCP PDU)을 전송하는 개수를 최대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까지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는, 각 전송 패스(Path#1,#2)에 설정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에서 인지하도록 한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에서는, 각 전송 패스(Path#1,#2)에 설정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와 상호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각 전송 패스(Path#1,#2)의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송신 PDCP Entity(예: gNB(20)의 NR PDCP) 및 수신 PDCP Entity(예: 단말(30)의 NR PDCP)가 상호 동일하게 설정한다는 전제 하에,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기반으로, 전송 패스(Path#1,#2) 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이 NR 전송 패스 Path#2에서 전송된 경우라면, 전술의 수학식 1에 따라 LTE_Last_COUNT, NR_Last_COUNT, RCVD_COUNT, 시퀀스 넘버 범위(GAP, 이하 Max. PDCP SN Gap)을 이용하여 각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금번 수신한 PDCP 패킷이 LTE 전송 패스 Path#1에서 전송된 경우라면, 전술의 수학식 2에 따라 LTE_Last_COUNT, NR_Last_COUNT, RCVD_COUNT, 시퀀스 넘버 범위(GAP, 이하 Max. PDCP SN Gap)을 이용하여 각 전송 패스(Path#1,#2)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에서,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S62단계에서 전송 지연이 확인되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기반으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한 RCVD_HFN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S64).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전술의 수학식 3에 따라,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 및 RX_DELIV의 시퀀스 넘버 즉 RX_DELIV_SN(또는 SN(RX_DELIV)) 간 차이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미만이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앞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을 추정된 RCVD_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S64 예).
또는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전술의 수학식 4에 따라,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에서, RX_DELIV의 시퀀스 넘버 즉 RX_DELIV_SN(또는 SN(RX_DELIV))를 뺀 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예: 2SN_Size-1) 이상이면,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에 대해 앞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을 추정된 RCVD_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S64 예).
본 발명에 따른 HFN 추정 오류 해소 방안(방법)에서, 데이터 수신장치(100)는, S64 단계에서 기존 HFN 추정 알고리즘을 추정된 RCVD_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되면(S64 예), 기존 추정된 RCVD_HFN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하고, 보상한 HFN(RCVD_HFN+1) 및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의 RCVD_SN를 이용하여, 금번 수신한 PDCP 패킷(PDCP PDU)을 복호화하기 위한 카운트값(RCVD_COUNT)를 재 생성할 수 있다(S66, 수학식 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EN-DC 환경에서 수신 PDCP Entity에 수신되는 PDCP 패킷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 지연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HFN 추정 오류를 보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오류 없이 HFN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HFN 추정 오류 가능성을 사전에 해소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EN-DC 환경에서 HFN 추정 오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해소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데이터 수신장치
110 : 지연확인부 120 : 추정오류판단부
140 : 범위설정부 150 : 카운트값생성부
160 : 전달부

Claims (17)

  1.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송 패스(Pat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엔티티(Entity)에 대하여, 상기 수신측 엔티티에 데이터 수신 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기반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지연확인부;
    상기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특정값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하는 추정오류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는,
    수신하는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과 관련된 윈도우의 사이즈(Window_Size)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Entity)와 상호 설정하는 범위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확인부는,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별로 가장 최근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COUNT),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추정한 상기 특정값과 관련된 카운트값(COUNT), 및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패스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값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 생성 시 이용하는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와 관련하여 PDCP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인 PDCP PDU의 시퀀스 넘버 간 차이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미만이면, 상기 수신한 PDCP PDU에 대해 추정되는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인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와 관련하여 PDCP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를 뺀 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이면, 상기 수신한 PDCP PDU에 대해 추정되는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추정된 HFN에 대한 추정 오류를 보상 후 상기 보상한 HFN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을 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오류판단부는,
    상기 추정된 HFN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는,
    PDCP 계층은 동일하며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RLC 계층의 하위 계층은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기지국 및 단말 간에 연결되는 전송 패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서로 다른 2 이상의 전송 패스(Pat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 엔티티(Entity)에 대하여, 상기 수신측 엔티티에 데이터 수신 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를 기반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지연확인단계;
    상기 지연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특정값에 대하여 추정 오류를 판단하는 추정오류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는,
    수신하는 데이터의 재 정렬(Re-ordering)과 관련된 윈도우의 사이즈(Window_Size)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전송 가능한 시퀀스 넘버 범위(GAP)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Entity)와 상호 설정하는 범위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확인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전송 패스 별로 가장 최근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추정한 카운트값(COUNT),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추정한 상기 특정값과 관련된 카운트값(COUNT), 및 상기 시퀀스 넘버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패스의 지연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값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 생성 시 이용하는 하이퍼-프레임 넘버(Hyper-Frame Number, HF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오류판단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티티와 관련하여 PDCP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인 PDCP PDU의 시퀀스 넘버 간 차이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미만이거나,
    상기 수신한 PDCP PDU의 시퀀스 넘버에서 상기 가장 앞선 PDCP PDU의 시퀀스 넘버를 뺀 값이 윈도우 사이즈(Window_Size) 이상이면,
    상기 수신한 PDCP PDU에 대해 추정되는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HFN에 대해 추정 오류로 판단되면, 상기 추정된 HFN에 대한 추정 오류를 보상 후 상기 보상한 HFN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시퀀스 넘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카운트값(COUNT)을 재 생성하는 카운트값 재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한 HFN은
    상기 추정된 HFN에 1을 증가시켜 추정 오류를 보상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120712A 2019-09-30 2019-09-30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3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12A KR102230904B1 (ko) 2019-09-30 2019-09-30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12A KR102230904B1 (ko) 2019-09-30 2019-09-30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904B1 true KR102230904B1 (ko) 2021-03-23

Family

ID=7522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12A KR102230904B1 (ko) 2019-09-30 2019-09-30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615A (ko) * 2007-11-27 2010-08-3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20150037757A (ko) * 2012-05-2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6535A (ko) * 2014-05-02 2015-11-12 주식회사 팬택자산관리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43783A (ko) * 2014-10-14 2016-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성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KR20190017604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615A (ko) * 2007-11-27 2010-08-3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에 비순서적인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20150037757A (ko) * 2012-05-2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6535A (ko) * 2014-05-02 2015-11-12 주식회사 팬택자산관리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43783A (ko) * 2014-10-14 2016-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성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KR20190017604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227B2 (en) Duplication and rlc operation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US11343671B2 (en) Handling of PDCP duplication and data recovery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EP317034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KR10187996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9153139A1 (zh) 无线链路失败处理方法及相关产品
EP3522667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3590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029777A1 (en) Discard timer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50126535A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59148A1 (zh) 一种数据转发的方法及其设备
WO2019061856A1 (en) PRETREATMENT IN WIRELESS UPLINK TRANSMISSIONS
KR102230904B1 (ko) 데이터 수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US11903065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24090357A1 (ja) 通信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WO2023098548A1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WO2024064397A1 (en) Fast serving cell change for a ue
WO2024064399A1 (en) Managing radio link control protocol operation for a fast serving cell change
WO2024073105A1 (en) Managing data communication in a serving cell change scenario
WO2024064398A1 (en) Managing serving cell changes in a radio access network
WO2024073061A1 (en) Managing configurations in handover
WO2024073036A1 (en) Managing pdcp operation in a serving cell change scenario
WO2024064392A1 (en) Managing a fast serving cell change in a disaggregated base station
WO2024073039A1 (en) Managing communication failures in a disaggregated base station
WO2024073748A1 (en) Managing communication failures in a user equipment
CN112997577A (zh) 资源控制连接的数据包重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