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371A - 에어컨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371A
KR20100093371A KR1020090012521A KR20090012521A KR20100093371A KR 20100093371 A KR20100093371 A KR 20100093371A KR 1020090012521 A KR1020090012521 A KR 1020090012521A KR 20090012521 A KR20090012521 A KR 20090012521A KR 20100093371 A KR20100093371 A KR 2010009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conditioner
operation mode
ai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근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3371A/ko
Publication of KR2010009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에 형성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컨의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건조키,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건조키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 수행 후 송풍팬을 건조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컨, 건조 기능, 열교환, 건조키, 습기

Description

에어컨 건조 장치{DRYING DEVICE OF AIR CONDITIONNER}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에 형성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는 증발기는 냉매를 기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주위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압축기는 실외기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시키고, 응축기로 토출한다.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켜 액화시킨다. 냉각팬은 냉매의 더운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열을 식히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실내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흡입된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바꾸어 주는 증발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방 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증발기가 증발작용을 일으켜 주변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동시에 송풍팬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증발기에 의해 하강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실내기에 구비된 증발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의 더운공기를 찬공기로 열교환시켜주는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 습기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 습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에어컨 재기동시 깨끗한 공기를 토출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에어컨은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팬을 구동시켜 증발기 표면에 남아 있는 습기를 제거하였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에어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팬을 구동시켜 습기를 제거하였으나, 에어컨 정지후 송풍팬만 임의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강제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 표면의 습기 제거라는 목적을 달성했지만, 이는 에어컨 가동 조건에 따라 의미없는 강제 구동 조건을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에어컨의 건조 기능의 수행 여부 및 건조시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냉방모드 또는 제습 모드의 운전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의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에어컨 건조 장치는 에어컨의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건조키,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건조키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 수행 후 상기 송풍팬을 건조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키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의 운전모드 수행 전 또는 상기 운전모드 수행 중에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시간은 상기 건조키의 입력횟수에 따라 증가되고, 상기 운전모드는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에어컨 건조 장치는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운전 모드 수행 후, 수행한 상기 운전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송풍팬을 건조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 모드는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시간은 상기 운전 모드의 운전시간에 비례하여 증감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컨의 건조 기능의 수행 여부 및 건조시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운전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증발기를 적절히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는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를 수행한 후, 자동으로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된 습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를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건조키 입력에 의해 설정된 건조기능의 수행 여부 및 건조시간에 따라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제2실시예에서는 운전모드와 운전시간에 따라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 송풍팬(110), 압축기(120), 건조키(130) 및 표시부(140)를 구비한다.
송풍팬(110)은 실내기에 설치되어 증발기(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찬 공기를 실내로 송풍함과 더불어,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된 습기를 제거한다.
압축기(120)는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시에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로 공급한다.
건조키(130)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제어명령, 즉 건조기능 수행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에 설치되거나 실내기의 전면 패널에 설치된다.
표시부(140)는 실내기의 전면 패널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운전모드와 희망온도, 실내온도, 동작시간, 현재시간 등을 표시하여 현재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표시부(140)는 현재 에어컨이 건조 기능을 수행중이거나 건조키(130) 입력에 따른 건조 기능이 예약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건조 기능 수행 여부, 건조시간, 구동횟수 등과 같은 건조 기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건조키(130)가 입력되면, 해당 운전모드 종료 후 송풍팬(110)을 기 설정된 건조시간 구동시켜 증발기 표면에 있는 습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건조키(130)는 운전모드 설정 및 운전 개시를 위한 키(미도시) 보다 먼저 입력되거나 운전모드 운전 중에 입력될 수 있다.
건조키(130)는 1회 입력 뿐만 아니라, 다수 회에 걸쳐 입력가능하며, 다수 회에 걸쳐 입력되면, 입력 횟수에 비례하여 건조시간이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건조키(130)의 입력횟수를 조절하여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방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방법은 최초 제어부(100)가 운전 모드 설정 전 즉, 전원이 온된 후, 운전모드 설정 전 또는 운전모드 운전 중에 건조키(110)가 입력되는 지를 확인(S100)한다.
이 경우, 건조키(110)가 입력될 때마다 그 입력횟수를 카운트(S110)하고, 건조키(110) 입력을 통한 건조 기능 설정이 완료되는 지를 확인(S120)한다.
건조 기능 설정이 완료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은, 건조키(110)가 입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건조키(110)가 입력된 후 확인키 등과 같은 건조 시간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키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통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00)는 건조키(110)의 입력횟수를 이용하여 건조시간을 산출(S130)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모드가 종료하는 지를 체크한다.
이 경우, 운전모드가 종료하면, 송풍팬(110)을 산출된 건조시간 동안 구동(S140)시켜 증발기 표면에 있는 습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건조기능이 예약되어 있거나, 건조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원격제어장치 또는 실내기의 전면 패널에 설치된 표시부(140)에 건조기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조 기능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에어컨의 운전모드에 따라 구동 여부와 건조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는 제어부(200), 송풍팬(210), 압축기(220) 및 표시부(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송풍팬(210)과 압축기(220) 및 표시부(2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00)는 수행한 운전모드에 따라 증발기 표면의 습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즉, 제어부(200)는 이전에 수행한 운전모드가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이면, 이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가 종료한 후 송풍팬(210)을 건조시간 동안 구동시켜 증발기 표면의 습기를 제거한다.
건조시간은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운전시간에 비례하여 증감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현재 수행 중인 운전모드가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를 수행하여 건조기능이 예약되어 있거나, 건조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표시 부(240)에 건조기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방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가 이전에 수행한 운전모드를 확인하여 이 때 운전모드가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이면, 그 운전시간을 체크(S200)하고 건조기능을 예약한다.
이 경우,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운전 시간에 설정된 건조시간을 확인하여 이 건조시간 동안 송풍팬(210)을 구동(S210)시킨다.
예를 들어, 냉방 또는 제습모드의 운전시간이 60분이면, 건조시간은 15초로 설정하고,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운전시간이 120분이면, 건조시간은 30초로 설정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건조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제어부 110,210: 송풍팬
120,220: 압축기 130: 건조기
140,240: 표시부

Claims (8)

  1. 에어컨의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건조키;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건조키가 입력되면, 운전 모드 수행 후 상기 송풍팬을 건조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키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간은 상기 건조키의 입력횟수에 따라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키는 상기 에어컨의 운전모드 수행 전 또는 상기 운전모드 수행 중에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6. 실내기의 증발기 표면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운전 모드 수행 후, 수행한 상기 운전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송풍팬을 건조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드는 냉방모드 또는 제습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간은 상기 운전 모드의 운전시간에 비례하여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 장치.
KR1020090012521A 2009-02-16 2009-02-16 에어컨 건조 장치 KR20100093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521A KR20100093371A (ko) 2009-02-16 2009-02-16 에어컨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521A KR20100093371A (ko) 2009-02-16 2009-02-16 에어컨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71A true KR20100093371A (ko) 2010-08-25

Family

ID=4275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521A KR20100093371A (ko) 2009-02-16 2009-02-16 에어컨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3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495A (zh) * 2017-10-30 2018-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燥换热器的方法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495A (zh) * 2017-10-30 2018-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燥换热器的方法和装置
CN107990495B (zh) * 2017-10-30 2020-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燥换热器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2205B2 (ja) 空気調和機
JPWO2017159455A1 (ja) 空調装置
JPWO2021176637A5 (ko)
JP6079316B2 (ja) 空気調和機
JP2005009849A (ja) 空気調和機
KR20100093371A (ko) 에어컨 건조 장치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JP396020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90684A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조건 설정방법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317113A (ja)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4614748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0179919A (ja) 空気調和機
KR100502300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풍량 조절방법
JP310822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3080931A (ja) ヒートポンプ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59710B2 (ja) 空気調和機
CN108105850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WO2022004264A1 (ja) 空気浄化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23033769A (ja) 空気調和機
JPH10122596A (ja) 外気導入型空気調和装置
KR100863303B1 (ko) 에어컨 운전 제어 방법
JP2008116081A (ja) 空気調和機
JP2002071191A (ja) 空気調和装置
KR200186861Y1 (ko) 철도 차량용 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