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604A -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 Google Patents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604A
KR20100092604A KR1020090011803A KR20090011803A KR20100092604A KR 20100092604 A KR20100092604 A KR 20100092604A KR 1020090011803 A KR1020090011803 A KR 1020090011803A KR 20090011803 A KR20090011803 A KR 20090011803A KR 20100092604 A KR20100092604 A KR 2010009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standing angle
rear wheel
bicyc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형준
Original Assignee
신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준 filed Critical 신형준
Priority to KR102009001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2604A/ko
Publication of KR2010009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모차자전거로써 구조는 앞바퀴가 2개이고 뒷바퀴가 1개인 역삼륜 자전거의 구조로 앞바퀴 쪽에 있는 2개의 포스트(6,6')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하여 각각 핸들(3,3')로 조향할 수 있게 하고 이때 좌우 앞바퀴를 조향연결바(bar)(11)로 연결시켜 같은 방향, 같은 각도로 조향되게 하며 2개의 포스트 사이에 유모차의자(1)를 결합하여 유모차자전거로써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포스트(6.6')와 차대(14)의 각도를 포스트 기립각 변환장치(13)에 의해 변환 시킴으로써 자전거일 때의 역방향으로 진행방향을 갖는 유모차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유모차로의 기능일 때는 유모차의자를 자전거일 때의 반대방향으로 결합한다.
접어서 수납할 때도 마찬가지로 포스트와 차대의 기립각을 완전히 접어서 납작하게 만들어 적은 부피로 변환하여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유모차자전거,자전거유모차,삼륜자전거,조깅트레일러,자전거,유모차

Description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multi stroller}
본 발명의 기술은 앞바퀴 2개와 뒷바퀴 1개의 구조로 하되 동력은 페달(15)을 구동하여 체인(16)에 의해 뒷바퀴로 전달한다.
또한 앞바퀴 2개에 각각의 핸들 포스트를 분리하여 독립된 2개의 핸들포스트(6,6') 구조로 하고 포스트를 통과한 2개의 조향축을 조향연결바(bar)(11)로 연결하여 같은 방향,같은 각도로 조향되게 한다.
그리고 핸들포스트 부분(6,6')과 차대(14)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그 각도에 의해 유모차자전거,유모차,접었을 때의 기능을 갖도록하며,
이때 유모차의자(1)는 분리된 2개의 핸들포스트(6,6') 사이에 결합하는 구조로 하되 유모차자전거일 때와 유모차일 때 반대방향으로 결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taga.nl (네덜란드) 검색 on line, 검색일 2008.12월
종래의 유모차자전거의 문제점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여성이 조작하기 힘들며 집안에 보관하기 힘들고, 차량에 실을 수 없으며 유모차자전거에서 분리를 해서 유모차로 변환하여 실내에 들어가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앞바퀴 2개와 뒷바퀴 1개의 구조를 가진 역삼륜 자전거의 구조를 하되 앞바퀴를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를 2개로 분리하여 그사이에 유모차의자를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차대와 핸들 포스트의 기립각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유모차자전거,유모차, 접었을 때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핸들 포스트를 2개로 분리하고 그 사이에 유모차의자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하되 유모차의자를 앞방향, 뒷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며, 핸들포스트와 차대의 기립각을 조절하여 간단하게 유모차자전거,유모차,접었을 때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여성이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보관과 수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유모차자전거,유모차,접었을 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한다.
먼저 앞바퀴 2개,분리된 핸들포스트 2개(6,6'), 차대(14),뒷바퀴 1개, 페달(15), 체인(16), 유모차의자(1)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때, 2개의 핸들 포스트 사이는 유모차의자를 결합할 수 있는 적정한 간격으로 하고 포스트(6)와 포스트(6')를 2개의 가로지르는 연결바로 고정결합한 다음, 아래 연결바에 있는 힌지구조에 차대(14)를 결합하고, 위에 있는 연결바에 있는 힌지에는 기립각 유지포스트(9)의 한쪽 끝을 연결하고, 다른 쪽 끝은 차대에 위치한 기립각 변환장치에 있는 힌지(13f)에 연결한다. 핸들과 연결된 2개의 포스트를 통과한 각각 2개의 조향축은 아래쪽에서 조향연결바(bar)(11)로 연결하여 같은 방향, 같은 각도로 조향되게 한다. 그리고,조향연결바(11) 가운데 지점에 조향고정장치(12)를 장착하여 유모차로 변환하여 사용할 때, 그 조향고정장치(12)가 차대(14)에 끼워져 앞바퀴가 조향되지 않게 하여 직진성을 갖게 한다.
다음, 기립각 변환장치(13)는 차대(14)를 축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베이스(13g), 기립각 유지 고정핀(13b), 스프링(13d), ㄱ자 걸쇠(13a), 조절선(5'), 핸들포스트 기립각 조절레버(5)로 구성하고 차대(14)에 유모차자전거, 유모차, 접었을 때의 기립각에 맞는 기립각 유지 고정홈을 3개가 위치하게 한다.
다음, 포스트(6)와 포스트(6') 사이를 가로지르는, 위에 위치한 연결바에 유모차자전거일 때 고정홈(7")과 유모차일 때 고정홈(7')으로 구성된 유모차의자고정장치(7)를 장착하고 기능에 따라 유모차의자 고정바(8)를 홈에 끼워 사용한다.
다음, 차대(14)에 있는 안장 포스트는 적정한 위치에 접철 장치(17)를 만들어 앞바퀴 방향으로 접어지게 하고, 그 안장 포스트에 유모차일 때 유모차의자의 아래 쪽 부분에 있는 고정핀(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터치 고정장치(18')를 장착한다.
다음, 차대는 페달(15), 앞기어, 체인(16), 뒷바퀴, 동력차단장치(21)로 구성한다.
다음, 뒷바퀴 동력차단장치(21)는 핸들에 부착된 뒷바퀴 동력차단 조절레버(4), 조절선(4'), 조절선연결부(21a),ㄱ자걸쇠(21b),ㄱ자걸쇠베이스(21c),당김선(21d), Y자걸쇠(21e), 스프링(21f), 체크베어링(21g),프리(free)휠(21h),뒷바퀴프리휠베이스(21i),뒷바퀴에 부착된 중심축(21j),으로 구성한다. 유모차로 변환하여 사용할 때, 유모차자전거일 때와 진행방향이 반대이므로 페달이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동력차단 조절레버(4)를 조작하여 조절선(4')을 당김으로써 뒷바퀴와 연결되어 있는 프리(free)휠(21h)을 뒷바퀴에 부착된 중심축(21j)위에서 슬라이딩 되게 분리시켜, 뒷바퀴의 회전에 상관없이 체인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페달이 움직이지 않게 해서 유모차로서의 진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유모차자전거로 사용할 때는 역으로 조절선(4')을 풀어주어, 스프링(21f)의 힘에 의해 프리휠(21h)이 슬라이딩되어, 뒷바퀴와 결합하여서 동력을 전달하게 됨으로 자전거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1)유모차자전거 일 때
접혀 있는 상태에서 유모차자전거로 사용할 때는 제일 먼저 접혀있는 안장 포스트(18)를 펴서 세우고, 핸들 포스트 기립각 조절레버(5)를 조작하여, 조절선(5')을 당겨서 기립각 변환장치(13)에 있는 기립각 유지 고정핀(13b)을 홈에서 해제하여, 차대에 위치한 유모차자전거 일 때의 고정홈에 고정핀(13b)이 삽입되도록 조절선(5')을 풀어주면서 핸들 포스트(6,6')를 위로 끌어 당겨 세운다. 그 다음 포스트(6)와 포스트(6') 사이에 유모차의자의 고정바(8)를 자전거진행 방향으로 고정홈(7")에 끼워서 유모차자전거로 사용한다.
(2)유모차로 사용할 때
유모차자전거로 타고 가다 유모차로 변환할 때는 우선 유모차의자(1)를 분리한 후, 포스트 기립각 조절레버(4)를 조작하여 조절선(4')을 당겨서 기립각 유지 고정핀(13b)을 홈에서 해제한 다음, 차대에 위치한 유모차일 때의 고정홈에 고정핀(13b)이 삽입이 되게 조절선(4')을 풀어주면서 핸들 포스트(6,6') 각도를 맞추어 유모차로 변환한다. 그 다음에 안장 포스트(18)를 차대(14) 쪽으로 접고, 유모차의자의 고정바(8)를 자전거진행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고정홈(7')에 끼우고 아래쪽에 있는 고정핀(1')을 안장포스트(18)에 있는 원터치 고정장치(18')에 끼워서 유모차로 사용한다.
(3)접어서 보관 및 수납할 때
위와 방법과 마찬가지로 먼저 유모차의자(1)를 분리한 다음, 조절레버(4)를 조작하여 조절선(4')을 당겨 기립각 유지 고정핀(13b)을 홈에서 해제한 다음, 차대(14)에 위치한 접었을 때의 고정홈에 고정핀(13b)이 삽입이 되게 조절선(4')을 풀어주면서 핸들 포스트(6,6')를 완전히 접어서 납작하게 하여 접는다.
도1 : 유모차자전거일 때 사시도
도2 : ″ 평면도
도3: ″ 좌측면도
도4 : ″ 우측면도
도5 : ″ 정면도
도6 : ″ 배면도
도7 : 포스트 기립각 변환장치 상세도
도8 : 뒷바퀴동력차단 조절장치 상세도
도9 : 유모차일 때 사시도
도10: ″ 평면도
도11: ″ 좌측면도
도12: ″ 우측면도
도13: ″ 정면도
도14: ″ 배면도
도15: 접었을 때 사시도
도16: ″ 평면도
도17: ″ 좌측면도
도18: ″ 우측면도
1 : 유모차의자 1' : 유모차의자고정핀
2 : 좌측브레이크레버 2' : 우측브레이크레버
3 : 좌측핸들손잡이 3' : 우측핸들손잡이
4 : 뒷바퀴동력차단조절레버 4' : 뒷바퀴동력차단조절선
5 : 핸들포스트기립각조절레버 5' : 핸들포스트기립각조절선
6 : 좌측핸들포스트 6' : 우측핸들포스트
7 : 유모차의자고정장치 7' : 유모차일때고정홈
7" : 자전거일때고정홈
8 : 유모차의자고정바(bar)
9 : 기립각유지포스트
10: 조향연결바(bar)연결장치
11: 조향연결바(bar)
12: 조향고정장치
13: 포스트기립각변환장치 13a : ㄱ자걸쇠
13b : 고정핀
13c : 걸쇠베이스
13d : 스프링
13e : 조절선연결부
13f : 포스트연결힌지
13g : 슬라이딩베이스
14 : 차대
15 : 페달
16 : 체인
17 : 안장포스트접철장치
18 : 안장포스트 18' : 원터치고정장치
19 : 안장
20 : 뒷바퀴포크
21 : 뒷바퀴동력차단조절장치 21a : 조절선연결부
21b : ㄱ자걸쇠
21c : ㄱ자걸쇠베이스
21d : 당김선
21e : Y자걸쇠
21f : 스프링
21g : 체크베어링
21h : 프리휠
21i : 뒷바퀴프리휠베이스
21j : 뒷바퀴중심축

Claims (6)

  1. 본 발명은 2개의 분리된 핸들포스트(6,6')와 차대의 기립각변환장치(13)의 조절에 의해 유모차자전거일 때의 기립각, 유모차일 때의 기립각, 접었을 때의 기립각을 각각 유지하게 하여 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청구항으로 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립각변환장치(13)는 핸들에 장착된 핸들포스트 기립각 조절레버(5)에 연결된 조절선(5')을 통해 기립각변환장치(13)에 있는 고정핀(13b)을 차대에 있는 고정홈에서 이탈시키거나 결합시켜 각 기능에 맞는 위치에 핀을 고정시켜 기립각을 유지시킴으로써 유모차자전거, 유모차, 접었을 때의 기능을 갖도록한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기립각변환장치(13)에 있는 고정핀(13b)이 끼워지는 고정홈은 차대에 위치하며 각각의 기립각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3개의 고정홈을 갖는다.
  4. 본 발명은 유모차자전거에서 유모차로 기립각을 변환하여 사용할 때 진행방 향이 유모차자전거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뒷바퀴의 역방향회전으로 뒷바퀴의 프리(free)휠(21h)이 자전거의 후진방향으로 구동되게 됨으로, 체인에 의해 페달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뒷바퀴 동력차단장치(21)를 핸들에 장착된 동력차단레버(4)의 조작으로 뒷바퀴의 프리(free)휠을 뒷바퀴와 분리시켜, 역방향으로 진행할 때도 페달이 움직이지않게 하는 것을 청구항으로 한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뒷바퀴 동력차단장치(21)는 프리휠(21h) 중심축속에 체크베어링(21g)을 장착하고 스프링(21f)과 조절선(4')의 당김기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조절선(4')을 당겼을 때 뒷바퀴에서 프리(free)휠(21h)이 분리됨으로써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고, 조절선을 풀었을 때 스프링(21f)의 힘으로 프리(free)휠(21h)이 뒷바퀴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동력이 전달되게 하여 자전거와 유모차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6. 본 발명은 유모차의자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영아용, 유아용, 장바구니용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기능을 청구항으로 한다.
KR1020090011803A 2009-02-13 2009-02-13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KR20100092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803A KR20100092604A (ko) 2009-02-13 2009-02-13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803A KR20100092604A (ko) 2009-02-13 2009-02-13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04A true KR20100092604A (ko) 2010-08-23

Family

ID=4275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03A KR20100092604A (ko) 2009-02-13 2009-02-13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26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19B1 (ko) * 2011-02-11 2011-07-14 윤택준 수동 운송 수단 겸용 자전거
WO2014088132A1 (ko) * 2012-12-05 2014-06-12 Kim Jung Keon 유모차
CN109178182A (zh) * 2018-08-29 2019-01-11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转向架及折叠式亲子娱乐车
KR102219036B1 (ko) * 2020-07-30 2021-02-23 이엠스토리지 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자전거용 캐리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19B1 (ko) * 2011-02-11 2011-07-14 윤택준 수동 운송 수단 겸용 자전거
WO2014088132A1 (ko) * 2012-12-05 2014-06-12 Kim Jung Keon 유모차
CN109178182A (zh) * 2018-08-29 2019-01-11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转向架及折叠式亲子娱乐车
CN109178182B (zh) * 2018-08-29 2024-04-02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转向架及折叠式亲子娱乐车
KR102219036B1 (ko) * 2020-07-30 2021-02-23 이엠스토리지 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자전거용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045B2 (en) Bicycle conversion kit and cargo bicycle apparatus
US9114842B2 (en) Multi-passenger tricycle
US7249779B2 (en) Convertible stroller/tricycle
US6497426B2 (en) Convertible bicycle
TWI284099B (en) Folding bicycle
EP2892797B1 (en) Free-wheeling, free-steering, foldable multi-stage tricycle with a single-motion release mechanism
CN107922028B (zh) 可转换成推车的自行车
HU185269B (en) Collapsible bicycle
EP3564106A1 (en) Robotrike
KR20090129335A (ko) 유모차겸용 자전거
KR20100092604A (ko)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US20070261905A1 (en) Electrically operated three-wheeled pushcart
KR20130116423A (ko)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JP5062515B2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US8123242B2 (en) Folding steering column for elliptical bike and method of use
US7121567B1 (en) Bicycle having front and rear rotative wheel frames with actuatable means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rear wheel frame rotation
KR20080085560A (ko) 복합적 유모차 자전거
US8096569B2 (en) Convertible cycling-stroller apparatus
KR101191789B1 (ko) 변환좌석을 구비한 동력 운반수레
CN202089167U (zh) 可折叠、变形的脚踏车
CN101519102B (zh) 易拉折便携式多人骑多用自行车
KR20070052718A (ko) 다용도 자전거
CN101554910A (zh) 多用途便携车
CN206125279U (zh) 推骑多功能母婴车
KR100796348B1 (ko)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